KR100728403B1 -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 Google Patents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403B1
KR100728403B1 KR1020050081071A KR20050081071A KR100728403B1 KR 100728403 B1 KR100728403 B1 KR 100728403B1 KR 1020050081071 A KR1020050081071 A KR 1020050081071A KR 20050081071 A KR20050081071 A KR 20050081071A KR 100728403 B1 KR100728403 B1 KR 10072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extension
call
network
premi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207A (ko
Inventor
박성균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4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297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with number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 및 구내무선망을 통한 발신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구내교환장치는 무선가입단말로부터 발신요청을 받은 착신번호가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내선가입자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착신번호로 외부통신망을 통해 발신한다.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을 때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도 입력된 전화번호에 소정의 특수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내무선망 내에서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경우에도 해당 이동전화번호가 다른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내선가입자가 현재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로 호출을 줌으로써 이동통신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구내무선교환기, 액세스포인트, 발신, 이중모드, 근거리통신, 복합단말, 이동전화번호

Description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Wireless PBX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in wireless PBX system}
도 1은 구내무선교환시스템의 국선 및 내선 연결 상황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내교환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가입단말에서의 발신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교환장치에서의 발신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구내교환장치의 가입자 DB의 구성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구내교환장치, 201,..,203 액세스포인트,
310 VoIP 망, 320 PSTN,
330 CDMA망, 400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
본 발명은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 및 구내무선망을 통한 발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SM, CDMA 등의 이동통신기술 및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근거리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하나의 단말기로 이동전화 및 구내무선전화가 가능한 복합단말기 또는 이중모드 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출원으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4-0107977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4-0103028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5-0024850호 등이 있다.
종래의 복합단말기는 구내무선망 영역내에 있을 때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발신을 하고, 구내무선망 영역에서 벗어나 있을 때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발신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시에 발생되는 통화료의 절감을 꾀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때에는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가 많다. 복합단말기는 구내무선망 영역 밖에서도 전화를 걸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부에는 착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구내무선망 영역내에서 구내무선 망 가입자에게 발신을 하는 경우에도 해당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 복합단말기에서는 구내무선망을 통해서 발신을 하게 되지만, 구내무선망을 통해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 전달되는 전화번호는 이동전화번호이므로,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는 결국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화를 발신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 가입자의 이동전화 통화료는 절감될지 몰라도 회사 전체로 보면 통화료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복합단말기가 구내무선망 영역안에 있는 경우에도 복합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으로 접속을 하고자 하거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내무선망을 통하지 않고 직접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방법에 제공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내무선망 영역내에서 전화를 걸 때에 회사 전체의 통화료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내무선망 영역내에서도 이동통신망을 통해 직접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의 내선가입자별로 이동전화번호와 내선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에 있어서, 무선가입단말로부터 특정 착신번호로의 발신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이면 착신 무선가입단말이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여,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으면 해당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로 발신하는 제2단계와, 착신번호가 내선번호가 아니면 외부통신망을 통해 해당 착신번호로 발신하는 제3단계를 구비한다.
제3단계는 착신번호가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무선가입단말이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가입단말의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는 제3-1단계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착신번호로 외부통신망을 통해 발신하는 제3-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는 내선번호만이 할당되는 유선가입단말도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단계에서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이고 해당 내선번호가 유선가입단말의 내선번호인 경우에는 해당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내무선교환시스템은, 외부망과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내선통화 및 국선통화를 위한 각종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구내교환장치와,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과, 유 무선으로 상기 구내교환장치에 연결되며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과 통신하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 구내교환장치가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별로 내선번호 및 이동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내선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무선가입단말로부터 발신요청을 받은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인 경우에 해당 내선가입자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으면 해당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지 않으면 외부망을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내교환장치는 무선가입단말로부터 발신요청을 받은 착신번호가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내선가입자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착신번호로 외부통신망을 통해 발신한다.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을 때 구내무선망 내부에서는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액세스포인트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구내무선망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을 때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도 입력된 전화번호에 소정의 특수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입력된 전화번호의 맨뒤에 특수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구내무선교환시스템의 국선 및 내선 연결 상황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다이아그램이다.
구내무선교환시스템은 VoIP(Voice over IP)망(31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320), CDMA망(330) 등의 외부망과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내선통화 및 국선통화를 위한 각종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구내교환장치(100)와,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400)과, 유무선으로 구내교환장치(100)에 연결되며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400)과 통신하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201,202,203)를 구비한다.
무선가입단말(400)은 CDMA나 GSM 등의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회로와,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위한 회로를 모두 구비하고 있어서, 구내무선망(A,B,C) 내부에서는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액세스포인트(201,202,203)를 거쳐서 구내교환장치(100)의 내선가입단말로서 동작하고, 구내무선망(A,B,C)의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과의 접속회로를 사용하여 기지국(331)을 통해 이동통신망(330)에 직접 연결되어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로서 동작한다.
구내교환장치(100)는 VoIP망(310)이나 PSTN(320) 등의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VoIP망(310)이나 PSTN(320)에 연결된 다른 전화기(311, 321)와 무선가입단말(400)과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구내교환장치(100)에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201, 202, 203)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 어서, 액세스포인트의 무선신호가 도달하는 지역에 의해 형성되는 구내무선망(A,B,C) 내에서 무선가입단말(400)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내교환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구내교환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하여 VoIP망 인터페이스부(140), PSTN 인터페이스부(150), 이동통신망 인터페이스부(160) 등의 다양한 통신망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구내교환장치(100)는 액세스포인트와의 접속을 위한 AP 인터페이스부(120)를 구비한다. 액세스포인트와의 접속은 일반적인 디지털 교환기의 내선 인터페이스, 유무선 LAN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접속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접속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구내교환장치(100)에는 일반적인 전화기 형태, 키폰 형태, VoIP폰 형태 등의 유선가입단말도 연결될 수 있다.
구내교환장치(100)는 또한 내선가입자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 DB(130)를 구비한다. 가입자 DB에는 가입자 단말의 내선번호, 가입자 단말의 현재 상태(대기상태, 통화중 등), 가입자 단말별 옵션 상황(내선그룹정보, 착신전환정보 등) 등의 일반적인 사설교환기에서의 가입자 정보 이외에도,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각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다.
호처리부(110)는 일반적인 사설교환기에서의 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처리부(110)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이거나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무선가입단말이 무선구내 망 영역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가입단말의 내선번호로 착신호출을 준다. 또한,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이고 해당 무선가입단말이 무선구내망 영역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로 발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400)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420), 단말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430), 스피커(SPK)와 마이크로폰(MIC)을 사용한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회로부(440),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이동통신망 접속부(450),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무선가입단말(400)은 또한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접속부(460)를 구비한다.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을 때 구내무선망 내부에서는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액세스포인트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구내무선망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무선가입단말(400)이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도 '010-123-4567#'과 같이 입력된 전화번호에 소정의 특수코드(#, * 등의 문자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문자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한다. 이 경우에, 특수코드가 맨뒤에 있거나 또는 맨앞에 있는 경우에만 이러한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가입단말에서의 발신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무선가입단말(400)은 대기상태(S410)에서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는지를 계속 확인하고 있는다(S420).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으면, 무선가입단말(400)은 단말기가 현재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430).
무선가입단말(400)이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근거리무선통신접속부(460)를 통해 발신을 한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특수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가입단말(400)은 단계 S440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에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을 위한 특수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입력된 전화번호에 이러한 특수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근거리무선통신접속부(460)를 통해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구내무선망을 통한 발신을 시도하고(S450) 통화상태(S470)로 접어든다.
한편, 구내무선망 영역 바깥에 있거나, 또는 구내무선망 영역 내부에서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상기 특수코드를 추가하여 발신을 요청한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신하고(S460) 통화상태(S470)로 접어든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교환장치에서의 발신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무선가입단말(400) 또는 구내교환장치(10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선가입단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으면(S510), 구내교환장치 (100)는 내선가입자가 요청한 착신자의 전화번호(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인지를 확인한다(S520). 착신번호가 내선번호가 아니라면, 구내교환장치(100)는 또한 내선가입자가 요청한 착신번호가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인지를 도 6과 같은 가입자 DB(130)를 검색하여 확인한다(S530). 만약, 착신번호가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인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를 가입자 DB(130)에서 읽어온다(S540). 도 6의 경우를 예로 들면, 가입자 1234567로부터 '010-456-8283'으로의 발신 요청을 접수하면, 착신번호 '010-456-8283'는 가입자 1234790의 이동전화번호이므로 구내교환장치(100)는 가입자 1234790의 내선번호인 '1231'을 가입자 DB(130)에서 읽어오는 것이다.
이렇게 읽어온 내선번호의 내선가입자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S550의 '아니오') 해당 내선가입자가 현재 속해있는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해당 내선번호로 발신을 하고(S580), 구내무선망 내부에 없는 경우에는(S550의 '예') 해당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가입자 DB에서 읽어와서(S560) 이동통신망 등의 외부망을 통해 발신한다(S570).
한편,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인 경우에는 단계 S520에서 단계 S550으로 가서 내선가입자가 구내망 내부에 있는지를 확인해서, 구내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가 현재 속해있는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로 발신하고(S580), 구내무선망 내부에 없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가입자 DB에서 읽어와서(S560) 이동통신망 등의 외부망을 통해 발신한다(S570).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에 가입자 1234567이 내선번호 1232로 발신을 한 경우에, 내선번호 1232에 해당하는 가입자 1268833이 현재 외부에 있으므로 가입자 1268833의 이동전화번호 '010-246-8888'로 이동통신망 등의 외부망을 통해 발신한다.
한편, 착신번호가 내선번호도 아니고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도 아닌 경우에는(S530의 '아니오') 단계 S570으로 가서 외부망을 통해 입력된 착신번호로 발신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서 전화를 걸 때에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경우에도 해당 이동전화번호가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내선가입자가 현재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로 호출을 줌으로써 이동통신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내선번호로 전화를 건 경우에 해당 내선가입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로 외부망을 통해 발신함으로써 내선가입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내선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서도 무선가입단말을 사용하여 발신을 하는 경우에도, 특수코드를 입력하여 발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신이 되므 로, 구내무선망 영역 내에서도 이동통신시스템에서만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의 내선가입자별로 이동전화번호와 내선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에 있어서,
    무선가입단말로부터 특정 착신번호로의 발신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이면 착신 무선가입단말이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여,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으면 해당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로 발신하는 제2단계와,
    착신번호가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무선가입단말이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가입단말의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는 제3단계와,
    착신번호가 내선번호가 아니고,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가 아니거나 또는 무선가입단말의 이동전화번호이지만 해당 무선가입단말이 구내무선망 내부에 없는 경우에는 해당 착신번호로 외부통신망을 통해 발신하는 제4단계
    를 구비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는 내선번호만이 할당되는 유선가입단말도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단계에서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이고 해당 내선번호가 유선가입단말의 내선번호인 경우에는 해당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4. 삭제
  5. 삭제
  6. 외부망과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내선통화 및 국선통화를 위한 각종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구내교환장치와,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화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과, 유무선으로 상기 구내교환장치에 연결되며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과 통신하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
    상기 구내교환장치는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별로 내선번호 및 이동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내선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무선가입단말로부터 발신요청을 받은 착신번호가 내선번호인 경우에 해당 내선가입자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으면 해당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지 않으면 외부망을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로 발신하며,
    상기 구내교환장치는 무선가입단말로부터 발신요청을 받은 착신번호가 내선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이고 해당 내선가입자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로의 내선통화 호출 절차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착신번호로 외부통신망을 통해 발신하며,
    상기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을 때 구내무선망 내부에서는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액세스포인트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구내무선망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요청이 있을 때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는 경우에도 입력된 전화번호에 소정의 특수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모드 무선가입단말은 구내무선망 내부에 있을 때 상기 소정의 특수코드가 입력된 전화번호의 맨뒤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이동통 신망으로 발신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무선교환시스템.
KR1020050081071A 2005-09-01 2005-09-01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KR10072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071A KR100728403B1 (ko) 2005-09-01 2005-09-01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071A KR100728403B1 (ko) 2005-09-01 2005-09-01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07A KR20070025207A (ko) 2007-03-08
KR100728403B1 true KR100728403B1 (ko) 2007-06-13

Family

ID=3809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071A KR100728403B1 (ko) 2005-09-01 2005-09-01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3223B (zh) 2008-02-08 2014-10-29 Adc长途电讯有限公司 用于使用许可的射频频谱和会话发起协议提供蜂窝无线服务的企业移动网络
KR101463748B1 (ko) * 2010-05-20 2014-11-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법인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08567A1 (ko) * 2011-02-10 2012-08-16 (주) 에이에스피커뮤니케이션코리아 구내망 기반의 인터넷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43476B2 (ja) * 2019-12-03 2022-03-29 Nttテクノクロ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653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분리된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및 그를 이용한 발신호 처리 방법
KR20040074357A (ko) * 2003-02-17 200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데이터 교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7977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653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분리된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및 그를 이용한 발신호 처리 방법
KR20040074357A (ko) * 2003-02-17 200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데이터 교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7977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69653
1020040074357
10200401079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07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582596B (zh) 电信网络中控制及启用移动电话中高级服务和用户界面的方法、装置和配置
US651606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extending a PBX phone port to a remote phone device
JP4536056B2 (ja) 転送変更を自動設定する電話交換システム
US20050143057A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from cellular phone to IP phone
KR10072840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WO2005125258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00531425C (zh) 一种拒接来电的方法、移动终端及电话呼叫留言方法
CN104602214A (zh) 一种扩展手机无线语音和短信业务的方法
JPH1050416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話確立方法
JP2002271478A (ja) 電話機及び呼接続制御方法
US762730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coming-call filtering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100749435B1 (ko)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WO2005081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 telephone call either through a telephone network or through an ip based network to a subscriber
KR100779801B1 (ko) 간이 교환기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386367B1 (ko) 무선 블루투스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JP3917155B2 (ja) 呼接続管理システムおよび呼接続管理方法、接続先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3751773B2 (ja) 交換システムおよび着信電話制御方法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3376339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を利用した通話モニタ方式
KR20020071581A (ko) 구내용 통신제어장치
KR10072843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방법
KR10025537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결경로 표시 방법
KR20040072001A (ko) 사설교환기와 연동을 위한 에스아이피 메시지 컨버터시스템 및 방법
KR200362267Y1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