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271B1 -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271B1
KR100728271B1 KR1020040107410A KR20040107410A KR100728271B1 KR 100728271 B1 KR100728271 B1 KR 100728271B1 KR 1020040107410 A KR1020040107410 A KR 1020040107410A KR 20040107410 A KR20040107410 A KR 20040107410A KR 100728271 B1 KR100728271 B1 KR 10072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real
access point
time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672A (ko
Inventor
윤현민
김성관
윤면기
전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271B1/ko
Priority to US11/262,785 priority patent/US20060133302A1/en
Priority to CNA200510127182XA priority patent/CN1790975A/zh
Priority to EP05026824A priority patent/EP1672840A1/en
Publication of KR2006006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음성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음성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무선랜 환경에서 전체적인 트래픽이 최적의 상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최악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 또는 무선랜 단말기를 리셋 해야 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무선랜 단말기가 공존할 경우 서로간의 실시간 트래픽에 최소한의 간섭을 주게 되어 기존의 음성 및 영상의 지연, 깨짐 등의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ffic controlling between Wireless LAN device and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도 1은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 및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단말기에서의 트래픽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트래픽 제어 장치를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단말기에서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랜 단말기 110 : 데이터 송/수신부
120 : 신호 판단부 130 : 신호 제어부
200 : 액세스 포인트 210 : 데이터 송/수신부
220 : 신호 판단부 230 : 신호 제어부
300 : 라우터 400 : 허브
500 : 인증 서버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전송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는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서 재전송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단말간의 효율성 및 QoS를 높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마비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DA 등과 같은 정보 단말기들은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LAN(Local Area Network)이라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정보 단말기를 통신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여 구성한 유선랜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사용한 무선 통신 방식의 무선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랜은 데이터 송/수신을 전파(RF : Radio Frequency)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행함에 따라 이동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확장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유선 처리부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3의 10/100 BASE-T 이더넷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무선 처리부로서 IEEE 802.11의 2.4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2Mbps 전송속도를 제공하고 있다.
무선 LAN의 처리량은 유선 LAN과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제품의 품질과 셋업에 달려 있다. 처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용자 수, 범위와 멀티패스 등의 채널 요인들, 이용하고 있는 무선 LAN 시스템의 형태, 그리고 LAN 연결 지점에서의 지연과 병목 등이다.
무선랜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1990년 10월부터 IEEE 802.11 위원회에 의해 무선 매체 접근제어 물리계층 규격에 대한 표준 OSI 참조모델에 준하여 진행되고 있다.
아직 완전한 표준안이 작성되어 있지 않으나 하나의 MAC 프로토콜을 여러 물리 계층 규격(Specifications)이 공유하는 것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거론되는 기본 전송기술로는 적외선방식과 라디오방식이 있다. 라디오 방식은 데이터를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확산시켜 간섭 없는 전송을 수행하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 사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단말기의 역할을 하는 무선랜 단말기(100)와; 무선랜 단말기(100)와 허브(400) 사이에 위치하여 무선랜 단말기(100)의 인터넷 접속 요청을 인증 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무선랜 단말기(100)의 무선랜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인터넷을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라우터(300) 및 허브(400)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50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은 임의의 무선랜 단말기(100) 또는 액세스 포인트(200)에서 패킷 전송이 실패할 경우 각 프레임에 대한 재전송 횟수는 7번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음성 패킷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 7회에 걸쳐 재전송을 시도하게 되는데, 음성패킷은 보통 10ms 또는 20ms 마다 무선상으로 하나씩 보내어 지는 데 만약 여러 단말이 재전송을 최대 7번까지 수행하게 되면서 네트워크 상황이 극도로 악화될 것이며, 음성이나 영상의 지연 및 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는 결국 모든 단말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고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단말이나 AP에서 음성이나 영상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상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802.11 무선랜 환경에서 VoIP 단말 및 화상 통화 단말(실시간 트래픽 사용기기)들간의 트래픽의 품질(Delay, 음성, 영상 깨짐)을 보장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호간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고 네트워크의 마비 상황을 방지해야 한다.
음성 및 실시간 화상 단말기는 음성 및 화상 통화 및 SMS, MMS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 기능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이다.
무선랜을 사용하는 실시간 트래픽은 네트워크에 Heavy Load를 가하게 되며, 이는 네트워크를 마비 상태로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802.11 무선랜 환경에서는 모든 트래픽에 대해서 응답(Aca) 신호를 받기 전까지 재전송을 최대 7번까지 전송하기 때문에 실시간 트래픽이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며, 재전송으로 인하여 모든 네트워크가 마비상태가 되거나, AP 및 단말기를 리셋(Reset)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영상 혹은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기 위하여 무선랜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들어오는 모든 프레임의 특정 바이트만을 비교하여 해당되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옵션을 줌으로써 단말간의 효율성 및 QoS를 높이며 네트워크 마비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이면,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 하는 패킷 타입(Type)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이면,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랜 단말기; 및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랜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전송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타입 판단 단계에서 실시간 패킷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전송 실패에 따른 패킷 재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단말기에서의 트래픽 제어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무선랜 단말기에서의 트래픽 제어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신호 판단부(120), 및 신호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의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의 신호 판단부(12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음성 패킷인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판단부(120)에서는 G.729의 RTP 페이로드를 통해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게 된 다. 이 때, 상기 신호 판단부(120)는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시간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의 신호 제어부(130)는 상기 신호 판단부(120)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음성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음성 패킷으로 판명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로의 전송에 실패하면, 그 실패한 음성 패킷을 폐기하고 다음 음성 패킷이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대기한다.
만약, 관리자에 의해 실패한 음성 패킷의 시점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횟수는 1∼6회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킷을 음성 패킷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간 영상 패킷도 음성 패킷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음성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이 때, 일반적으로 무선랜 모듈상에서 송/수신되는 프레임은 모두 특정한 포맷을 갖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수신시에 MAC 칩의 F/W가 802.11 헤더 부분을 제거하여 802.3 프레임 포맷 형태로 전달을 하여 주고, 송신시에는 802.3 헤더 프레임 포맷 형태를 갖추어 MAC 칩에 전 달하게 된다. 즉,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가 송/수신하는 패킷을 살펴보면 802.3 헤더(목적지, 소스, 길이) 프레임 14 바이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IP 헤더, UDP 헤더, RTP 헤더, 데이터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RTP 헤더에는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프레임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판단 단계(S1)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음성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한다(S2).
만약, 상기 판단 단계(S1)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데이터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전송 실패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3).
상기와 같은 패킷의 트래픽 제어를 무선랜 단말기에서도 가능하나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가능하다.
이에,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트래픽 제어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데이터 송/수신부(210), 신호 판단부(220), 및 신호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의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와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의 신호 판단부(220)는 상기 데이터 송/수 신부(210)를 통해 무선랜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음성 패킷인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의 신호 제어부(230)는 상기 신호 판단부(220)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음성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는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음성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
이어서, 상기 판단 단계(S10)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음성이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는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한다(S20).
반면에, 상기 판단 단계(S10)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데이터이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는 전송 실패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30).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무선랜 단말기(100)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의 패킷 송/수신은 유선랜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무선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경한 것으로, 각 단말이 데이터 전송 전에 캐리어를 센싱하여 전송 중인 단말이 있으면 랜덤 백오프를 수행하고 캐리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로 사용되고 있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랜 시스템은 다수개의 무선랜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200)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먼저,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100)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이는, 일반적인 음성 및 데이터 패킷 전송 보다 패킷의 재전송의 우선 순위가 높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재전송 판단 단계(S100)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100)가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음성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0).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로 음성 패킷의 전송을 실패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00).
이 때, 상기 판단 단계(S300)에서 음성 패킷의 전송이 가능하면, 다시 상기 재전송 판단 단계(S100)로 진행하는 한편, 음성 패킷의 전송을 실패하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전송하지 못한 음성 패킷을 폐기시키는 동시에 다음 패킷의 전송을 준비한다(S400).
이는,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가 음성 패킷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지 못할 경우 종래에는 재 전송을 7회에 걸쳐 시도하기 때문에 각 무선랜 단말기(100)의 패킷 전송의 지연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단계(S300)에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인 패킷 전송의 지연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음성 패킷의 재전송의 횟수를 줄이거나 전송 실패한 음성 패킷을 버리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재전송 판단 단계(S100)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100)가 존재하면(YES),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패킷의 전송을 대기시킨다(S500).
한편, 상기 판단 단계(200)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데이터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100)는 전송 실패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6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무선랜 환경에서 전체적인 트래픽이 최적의 상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최악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 또는 무선랜 단말기를 리셋(Reset) 해야 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무선랜 단말기가 공존할 경우 서로간의 실시간 트래픽에 최소한의 간섭을 주게되어 기존의 음성 및 영상의 지연, 깨짐 등의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무선랜 시스템에서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송/수신하는 무선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무선랜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단부는, 실시간 패킷의 구분을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무선랜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패킷은, 영상 패킷, 음성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무선랜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로 실시간 패킷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 그 실시간 패킷을 폐기하고 난 후 다음 패킷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무선랜 단말기.
  5. 무선랜 시스템에서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송/수신하는 무선랜 단말기의 패킷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이면,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이 아니면, 전송 실패에 따른 비실시간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실시간 패킷은 영상 패킷 또는 음성 패킷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시간 패킷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9. 무선랜 시스템에서 패킷을 무선랜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단부는,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시간 패킷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패킷은, 영상 패킷, 음성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무선랜 단말기로 실시간 패킷의 전송에 실패할 경우 그 실시간 패킷을 폐기 처리한 후 다음 패킷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13. 무선랜 시스템에서 실시간 패킷을 무선랜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패킷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이면,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비실시간 패킷이면, 전송 실패에 따른 비실시간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실시간 패킷은 영상 패킷 또는 음성 패킷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시간 패킷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17.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하는 패킷 타입(Type)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랜 단말기; 및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를 통해 전송하는 패킷 타입이 실시간 패킷일 경우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기의 신호 판단부는, 실시간 패킷의 구분을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기의 신호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로 실시간 패킷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 그 실시간 패킷을 폐기하고 난 후 다음 패킷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판단부는, 실시간 패킷의 구분을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제어부는, 무선랜 단말기로 실시간 패킷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 그 실시간 패킷을 폐기하고 난 후 다음 패킷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무선랜 단말기에서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실시간 패킷은, 음성 패킷 및 영상 패킷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트래픽 제어 장치.
  23.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패킷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전송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 하는 패킷의 타입이 실시간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타입 판단 단계에서 실시간 패킷이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전송 실패에 따른 패킷 재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제어 단계는,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실시간 패킷의 전송을 실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실시간 패킷의 전송을 성공하면, 다시 상기 제 100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실시간 패킷의 전송을 실패하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전송하지 못한 실시간 패킷을 폐기시키는 동시에 다음 패킷의 전송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패킷의 재전송을 시도하는 타 무선랜 단말기가 존재하면, 상기 무선랜 단말기가 패킷 전송을 대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전송되는 패킷 타입이 데이터이면, 전송 실패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실시간 패킷은 영상 패킷 또는 음성 패킷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G.729, G.711, 및 G.723의 RTP 페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시간 패킷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1020040107410A 2004-12-16 2004-12-16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410A KR100728271B1 (ko) 2004-12-16 2004-12-16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62,785 US20060133302A1 (en) 2004-12-16 2005-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between wireless LAN device and access point in a wireless LAN system
CNA200510127182XA CN1790975A (zh) 2004-12-16 2005-11-30 控制无线lan系统中无线lan设备与接入点间流量的装置和方法
EP05026824A EP1672840A1 (en) 2004-12-16 2005-12-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between a wireless lan terminal and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410A KR100728271B1 (ko) 2004-12-16 2004-12-16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672A KR20060068672A (ko) 2006-06-21
KR100728271B1 true KR100728271B1 (ko) 2007-06-13

Family

ID=360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410A KR100728271B1 (ko) 2004-12-16 2004-12-16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33302A1 (ko)
EP (1) EP1672840A1 (ko)
KR (1) KR100728271B1 (ko)
CN (1) CN1790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505B1 (ko) * 2005-05-25 200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 연동 시스템 및 망 연동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품질 협상방법
KR100985982B1 (ko) * 2008-10-15 2010-10-06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의 품질 분석을 이용한 영상 통화 단말 및 영상 통화 방법
US20190104424A1 (en) 2017-09-29 2019-04-04 Apple Inc. Ultra-low latency audio over bluetooth
WO2020226382A1 (ko) * 2019-05-03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ul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6553A2 (en) 2001-01-11 2002-07-18 Intersil Inc A system and method of repetitive transmission of frames for frame-based communications
KR20030027876A (ko) * 2000-07-27 2003-04-07 심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음성 및 데이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그 방법
US20050036466A1 (en) 2003-08-13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KR20050059801A (ko) * 2003-12-15 2005-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전송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4636D0 (en) * 1993-03-06 1993-04-21 Ncr Int Inc A method of accessing a communication system
US6078566A (en) * 1998-04-28 2000-06-20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Noise reduction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wireless data network telephony
US6804244B1 (en) * 1999-08-10 2004-10-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s for packet communications
US20060165029A1 (en) * 2002-12-19 2006-07-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tecting real-time data in wireless networks
JP3979306B2 (ja) * 2003-02-25 2007-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876A (ko) * 2000-07-27 2003-04-07 심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음성 및 데이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그 방법
WO2002056553A2 (en) 2001-01-11 2002-07-18 Intersil Inc A system and method of repetitive transmission of frames for frame-based communications
US20050036466A1 (en) 2003-08-13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KR20050059801A (ko) * 2003-12-15 2005-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전송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2840A1 (en) 2006-06-21
KR20060068672A (ko) 2006-06-21
US20060133302A1 (en) 2006-06-22
CN1790975A (zh)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7549B2 (en) Wireless LAN control over a wired network
EP1683377B1 (en) Adaptive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100608914B1 (ko) VoIP용 무선랜에 있어서 통신품질을 보장하는 매체접속 제어 장치
US20050025104A1 (en) Managing coexistence of separate protocols sharing the same communications channel
US9407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frame aggregation based on aggregation limits or parameters
US20060007914A1 (en) Dynamic call parameter switchover and graceful degradation for optimizing VoIP performan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20040080768A (ko) 통신시스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MXPA06004146A (es) Metodo para comunicaciones de datos sobre canales multiples.
EP2005673B1 (en) Uplink and bi-directional traffic classif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0418314C (zh) 无线移动终端和无线移动电信系统
EP222902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60072522A1 (en) Call parameter selection and self-enforced admission control for optimiz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erformance in wireless networks
US8537794B2 (en) Pseudo-response frame communication system, pseudo-response frame communication method, and pseudo-response frame transmitting device
JP2009510950A (ja) Voipパケットの衝突確率を低減すること
US20080037484A1 (en) Access Point, Access Point Controller and Wireless Lan System
KR1012034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의 전송 지연을줄이는 방법 및 장치
Cheng et al. A cross-layer design for TCP end-to-end performance improvement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WO2011006336A1 (zh) 一种基于tdd制式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Verkaik et al. Softspeak: Making VoIP Play Well in Existing 802.11 Deployments.
US20060215594A1 (en) Radio lan system, diversity apparatus, and radio lan terminal
KR10060459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2827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JP4324054B2 (ja) サービス品質保証方法、サービス品質保証装置、サービス品質保証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114973A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装置
US735633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