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681B1 -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681B1
KR100727681B1 KR1020060001047A KR20060001047A KR100727681B1 KR 100727681 B1 KR100727681 B1 KR 100727681B1 KR 1020060001047 A KR1020060001047 A KR 1020060001047A KR 20060001047 A KR20060001047 A KR 20060001047A KR 100727681 B1 KR100727681 B1 KR 10072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radiation source
detection
detection elem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장호
김용균
이우교
김정복
박세환
조윤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0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7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방사선의 세기와 방사선원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는 복수의 방사선 검출 요소가 배열된 방사선 검출부; 및 상기 방사선 검출부에서 받은 검출 신호에 따라 방사선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사선원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상기 방사선 검출 요소는 금속 튜브, 방사선과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상기 금속 튜브 내에 봉입된 방사선 검출 매체, 상기 핵반응에 의해 발생한 전하를 취득하도록 상기 금속 튜브 내에 장착된 전극 및 상기 전극의 일단에 연결된 전치 증폭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방사성 물질의 분포와 위치 탐지를 위해 일정한 공간에서 2 차원 또는 3 차원적으로 방사선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방사선원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고준위 방사선, 방사선원, 위치 추적, 검출 매체, 전극, 핵반응

Description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APPARATUS FOR POSITIONING RADIATION SOURCE IN HIGH RADIATION FIEL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사선 검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변형례의 블록도이며, 각각의 검출 요소 둘레에 감쇄기를 설치한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사선윈 위치 추적 장치로 2 개의 방사선원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가 다수의 방사선 검출 요소를 갖는 것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가 다수의 방사선 검출 요소를 갖는 것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2, 102-2, 102-3: 검출부 104: 검출 요소
106: 튜브 108: 전극
110: 검출 매체 112: 전치 증폭기
116: 감쇄기 120: 위치 결정부
130: 표시부
본 발명은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방사선의 세기와 방사선원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방사성 물질의 분포와 위치 탐지를 위해 일정한 공간에서 2 차원 또는 3 차원적으로 방사선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방사선원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방사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사선 검출기는 방사선만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핫 셀(hot cell)과 같은 고준위 방사선 구역에서 공간 내의 핵물질 분포 및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측정 장치는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고준위 방사선 구역에서 방사선을 측정하고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 개발에 있어 기술적 문제점의 하나는 구역 내에서 의 작업을 위한 여러 가지 타 장비와 구조물이 설치된 관계로 구역 전반에 대한 방사성 물질의 분포 및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장치를 구역 내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으며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방사선원의 위치 추적을 위한 장치가 개발된 바 없고 단지 우물 형태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중심에 방사선원을 장입함으로써 방사선원의 강도를 측정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고준위 방사선 구역에서 일반적인 검출기를 사용할 경우 검출기 성능의 저하가 심각한 문제가 되므로 정확한 방사성 물질 성분 측정을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오프라인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즉, 기존의 동위원소 분석을 위한 감마선 분석 방법을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 적용할 경우, 감마선 검출기는 고방사선 환경에서 방사선에 의한 피로도 증가로 인하여 정확한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핵물질을 실시간 측정하고 그 위치를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핫 셀(hot cell)과 같은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방사선원 분포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내구적,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비용의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방사선원 분포와 위치를 탐지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방사선 검출 요소가 배열된 방사선 검출부; 및 상기 방사선 검출부에서 받은 검출 신호에 따라 방사선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사선원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를 제공하며, 각각의 상기 방사선 검출 요소는 금속 튜브, 방사선과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상기 금속 튜브 내에 봉입된 방사선 검출 매체,상기 핵반응에 의해 발생한 전하를 취득하도록 상기 금속 튜브 내에 장착된 전극 및 상기 전극의 일단에 연결된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매체는 핵반응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매체는 상기 전극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 검출 요소는 상기 전극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전치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요소는 복수의 동심원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요소는 3 차원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 요소는 복수의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 형태는 상하로 적층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신호에 따라 방사선원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는 각각의 상기 방사선 검출 요소 둘레에 배치한 감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서 방사선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외부의 방사선의 감쇄는 방사선원과 검출 지점의 거리에 따라 제곱의 비율로 감쇄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사선은 모든 방향으로 방사되며, 임의의 검출 지점에서 이러한 방사선의 세기를 측정한다. 또, 동시에 방사형으로 위치가 서로 다르게 위치한 검출기에서도 각각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외부 방사선원의 위치를 역추적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중에서 중성자를 바탕으로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면 고유한 방사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중성자의 경우 감마선과 달리 감쇄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감쇄 정도는 방사선원과 검출 지점의 거리의 제곱에 따르지 않고 지수 함수에 따른 급격한 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전산화된 분석 기술과 결합하면 위치에 따른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방사선원 검출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100)는 방사선원 검출부(102), 위치 결정부(120) 및 표시부(130)로 구성된다.
방사선원 검출부(102)는 복수의 검출 요소(104)를 포함한다. 물론 도 1에서 검출 요소(104)는 3 개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4 이상도 가능하다. 검출 요소(104)는 도 3에서와 같은 평면에서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의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3 개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검출 요소(104)의 수가 많을수록 위치 추적 장치(100)는 방사선원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검출 요소(104)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튜브(106) 내에 전하 취득 전극(108)이 설치되고 검출 매체(110)가 장입되며, 튜브(106) 양단에 전치 증폭기(112)가 설치된다. 전극(108)은 신호 라인(114)에 의해 위치 결정부(120)에 연결된다.
튜브(106) 내부에 채워진 검출 매체(110)는 방사선과 핵반응을 일으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반응 기체이다. 검출 매체(110)로서 기체를 사용하는 것은 기체가 내방사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검출 매체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검출 요소(104)의 튜브(106)는 양단이 밀봉되어 있고 알루미늄 같은 금속으로 얇게 벽체를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튜브(106) 내부의 전극(108)은 일정 굵기의 금속 도선으로 형성되어 튜브(106)의 벽과 이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금속 도선 즉 전극(108)이 절연체 및 차폐체 홀더에 끼워진 상태로 이 홀더가 튜브(106) 한 쪽을 밀봉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극(108)은 차폐체 홀더를 통과하여 튜브(106) 안으로 일부가 노출되고 양단은 전치 증폭기(112)에 연결된다. 물론, 전극(108)의 일단만을 전치 증폭기(112)에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치 증폭기(112)는 신호 수용부의 일종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전극(108)을 통해 수용된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런 작용을 위해 전치 증폭기(112)에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다. 증폭이나 변환을 위해 전치 증폭기(112)는 내부에 부품 소자들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부품 소자들은 내방사선 특성을 가지는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는 많은 부분이 감마선과 같은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체로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검출 요소(104)는 반응 기체를 검출 매체(110)로 사용하며 양단에서 전하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상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검출 요소(104)의 양단에 전치 증폭기(112)를 설치하면, 3 차원적인 방사선원 분포를 알 수 있다. 따라서 2 차원적인 방사선원 분포를 추적하는 경우에는 검출 요소의 일단에만 전치 증폭기(112)를 설치해도 좋다.
한편, 위치 결정부(120)는 일반적으로 QADC(Charge Analog Digital Converter)라고 하며 다수의 입력 신호를 전하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QADC의 대표적인 것은 CAMAC 시스템과 VXI시스템이 있다. 위치 결정부(120)는 취득된 신호를 전압으로 환산하여 저장매체(122)에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를 환산한다.
환산된 위치 정보는 표시부(130)로 전달되고 표시부(130)는 이 정보를 모니터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표시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대용량과 고 방사선 환경에서 방사선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검출 매체(110)로는 고체보다는 기체 형태를 이용하는 검출 요소(104)가 경제적이다. 즉, 고압의 기체 형태의 검출 매체를 사용하면 고체 형태의 검출 매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전체적인 방사선 효율이 우수하다.
한편, 측정 효율이 중요한 요소라면 고체 형태의 검출 매체를 사용하는 검출 요소가 유리하다. 이 경우, 핵반응 단면적이 큰 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방사선에 반응하는 물질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고체 형태의 결정을 만들기 어렵고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은 상대적으로 큰 형태의 안정된 결정 구로로 성형이 어렵다. 따라서 보통 검출 요소의 표면이나 검출 요소 내부의 전극에 코팅한 형태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체 검출 요소에서 방사선이 통과하는 감속재의 두께에 따라서 방사선과의 핵반응 효율이 달라진다. 즉, 투입되는 방사선의 에너지 혹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속히 검출 효율이 감소한다. 검출 요소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검출 효율은 일반적으로 증가하지만 일정 두께 이상에서는 낮은 에너지의 방사선 혹은 열방사선의 경우 검출 효율이 포화되거나 지나치게 차폐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 구성한다.
방사선의 검출 효율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검출 요소의 기체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사용하며, 4 내지 10 기압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기압 정도의 압력이 주로 사용된다. 압력 설정은 측정하고자 하는 방사선종류와 주변 간섭 방사선에 따라 다르다. 한편 압력이 증가하면 방사선 검출 효율은 증가하지만, 이에 따라 방사선 검출 요소의 노이즈(noise)도 증가하게 된다. 방사선의 효율이 중요시되는 시스템을 설계할 경우 부차적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므로 전체 시스템이 고가의 시스템이 될 우려가 있다. 결국, 기체 내부 압력의 적정한 선정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사용되는 재료는 순도가 높고 방사화시 반감기가 짧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방사선에 의한 재료의 방사화는 지속적으로 시스템 전체의 노이즈로 작용하여 측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중성자를 측정하여 분포를 알고자 한다면 튜브(106)에 He-3 기체를 채운 시스템이 가능하다. 방사선 검출 요소(104)의 튜브(106)에 봉입된 검출 매체(110)인 He-3 가스는 방사선을 흡수하고 핵반응에 의해 1 개의 양성자와 삼중수소를 방출하며 더불어 750keV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방사선이 검출 모듈 벽을 통과하여 He-3 가스와 핵반응을 하면 삼중수소와 양성자가 생성되는데 이는 검출 요소(104) 내부에서 백투백(back-to-back) 방향으로 나오기 때문에 둘 중 하나는 계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e-3 가스를 사용하는 방사선 검출 요소(104)는 안정성, 효율성, 감마선에 대한 불감성 등의 이유로 능동, 피동형 방사선 계측에 적절하다. 예컨대, 직경 2.5cm, 4 기압의 He-3 방사선 검출 요소(104)는 열방사선에 대한 반응확률은 77%이나 1MeV 감마선에 대한 반응확률은 0.01%로 열방사선에 대해서는 효율이 높고 감마선에 대해서는 반응 확률이 현저히 낮다. 또 방사선 반응에 의해 기상 검출 매체를 채용한 검출 요소(104)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평균 750keV이고 감마선 반응에 의한 전자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는 24keV로서 그 비가 30:1 정도로 중성자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가 감마선에 의한 것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검출 요소(104) 내의 감마선에 의한 신호는 통상적으로 매우 미약하여 방사선에 의한 신호와 비교할 때 심각한 노이즈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속재를 통과한 열방사선이 검출 튜브에 입사하여 He-3 가스와 핵반응하면 양성자와 3중수소 및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들은 반응 영역에 인접한 검출 튜브(106) 내의 금속 전극(108) 부위에 전하를 축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금속의 특성상 국부적으로 축적된 전하는 즉시 전극(108)과 그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생성한다. 이들 전류는 검출 튜브(106) 끝단의 전치 증폭기(112)에서 증폭되고 전압 신호로 변환된다. 전압 신호는 외부와 연결된 신호 라인(114)을 통해 위치 결정부(120)로 전달된다.
검출 요소(104)는 본 실시예에서 핫 셀 내에 있는 것으로 하면, 신호 라인 (114)은 검출 요소(104)를 핫 셀 외부의 위치 결정부(120)에 연결시킨다. 위치 결정부(120)는 각각의 검출 요소(104)의 끝에 연결된 복수의 전치 증폭기로부터 전달되는 두 경로의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를 발생시킨 방사선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위치 결정에는 여러 개의 전치 증폭기(112)에서 도달하는 신호의 시간차 또는 경로 거리 및 저항 차이에 따른 신호의 세기차를 분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통상 위치 결정부(120)에 내장된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각각의 검출 요소 둘레에 감쇄기를 설치하여 중성자 감쇄 시스템을 적용한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변형례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100-1)에서, 감쇄기(116)는 각각의 검출 요소(104) 둘레를 원통형으로 감싸도록 구성한다.
감마선의 경우 감쇄는 지수적으로 밀도에 따라서 발생하지만, 중성자의 경우 감쇄정도가 물질의 원자조성과 밀도에 따라 반응한다. 따라서, 감쇄기(116)를 설치하면, 위의 특성을 이용하여 중성자의 세기를 인위적으로 감쇄시고 또 이 감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요소(104) 중의 하나는 감쇄가 미미한 물질로 감쇄기(116)를 구성하고, 다른 검출 요소(104)에는 감쇄가 큰 물질로 된 감쇄기(116)를 구성하면 방사선원의 위치와 에너지 정보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쇄기(116)는 감마선의 경우 보다는 중성자의 경우 매우 중요하 다. 감마선의 경우 감쇄하면 효율의 저하를 가져오지만, 중성자의 경우 감쇄기의 역할은 검출 효율의 증대가 1차적인 목적이다. 또, 부차적으로 감쇄 물질을 선별할 경우 중성자의 에너지 정보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감쇄기(116)를 이용하면 방사선원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선행하는 도 1 및 2와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다만, 도 4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방사선원 검출부(102)만을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 3의 구성을 이용하여 도 4에 도시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방사선원(140)에서 방출된 방사선(140a, 140b, 140c)은 동심원을 그리며 퍼지며, 방사선은 140a, 140b 및 140c 순서로 갈수록 그 강도가 약해진다. 따라서 검출 요소(104b)에서 검출된 방사선(140c)의 강도는 검출 요소(104c)에서 검출된 방사선(140b)의 강도보다 약하다. 또, 검출 요소(104a)에서 검출될 방사선의 강도는 위의 두 방사선(140b, 140c)보다 약할 것이다.
이와 같이 방사선의 강도가 도 2의 위치 결정부(120)로 전달되면 위치 결정부(120)는 이러한 방사선의 강도에 기초하여 방사원(140)의 위치를 계산해내고, 계산한 결과를 표시부(130)에 전달하여 방사원(140)의 위치를 출력하게 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2 개의 방사원(140, 142)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검출부(102)는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방사원(140, 142)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의 강도를 검출하여 위치 결정부(120)로 전달하고, 위치 결정부(120)는 그 값에 기초하여 방사원(140, 142)의 위치를 계산한다.
하지만, 도 5에서와 같이 방사원(140, 142)이 복수인 경우에는 제한된 수의 검출 요소(104a, 104b, 104c)로는 각각의 방사원(140, 142)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중 방사원이 있더라도 이들 다중 방사원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검출부(102)에 다수의 검출 요소(104)를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검출 요소(104)는 동심원을 따라 배치되면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100-2)는 검출 요소(104a-104d)들이 3 차원적으로 배치된 검출부(102)를 구비한다. 한편, 위치 결정부(120)와 표시부(130)는 도 1과 2에 도시한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100)의 것과 동일하므로 도시 및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검출 요소(104a-104d)가 3 차원적으로 배치되면 방사원(140)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
도 8은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100-3)에 검출 요소(104)를 다수 개 배치한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검출부(102)를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한 평면에 다수의 검출 요소(104)를 동심원을 따라 배치하고 이러한 배치체를 상하로 복수 개로 구성하면 방사원(140)의 위치를 3 차원적으로 더욱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에 따르면, 핫 셀과 같은 고준위 방사선 구역 내에서 방사선원 분포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내구적,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 저비용의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방사선원 분포와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의 방사선 검출 요소가 배열된 방사선 검출부; 및
    상기 방사선 검출부에서 받은 검출 신호에 따라 방사선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사선원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방사선 검출 요소는
    - 금속 튜브,
    - 방사선과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상기 금속 튜브 내에 봉입된 방사선 검출 매체,
    - 상기 핵반응에 의해 발생한 전하를 취득하도록 상기 금속 튜브 내에 장착된 전극 및
    - 상기 전극의 일단에 연결된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매체는 핵반응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매체는 상기 전극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 검출 요소는 상기 전극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전치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요소는 복수의 동심원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요소는 3 차원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요소는 복수의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 형태는 상하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방사선 검출 요소 둘레를 원통형으로 감싸도록 구성된 감쇄기(116)를 구비한 중성자 감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신호에 따라 방사선원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방사선 검출 요소 둘레에 배치한 감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KR1020060001047A 2006-01-04 2006-01-04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KR10072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047A KR100727681B1 (ko) 2006-01-04 2006-01-04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047A KR100727681B1 (ko) 2006-01-04 2006-01-04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681B1 true KR100727681B1 (ko) 2007-06-13

Family

ID=3835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047A KR100727681B1 (ko) 2006-01-04 2006-01-04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781B1 (ko) 2008-10-15 2010-05-27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방사선 검출 시스템의 핵연료 자동검증장치
KR100977290B1 (ko) 2008-06-04 2010-08-23 주식회사 미래와도전 사용후핵연료 집합체의 결함 판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함판별방법
KR101644279B1 (ko) 2015-12-30 2016-07-29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선기기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210049272A (ko) 2019-10-25 2021-05-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펙트로스코프에 기반한 방사선원 위치추적 방법 및 방사선원 위치추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386A (ja) * 1993-08-04 1995-02-21 Hamamatsu Photonics Kk 放射線位置検出装置
JP2001255116A (ja) 2000-03-07 2001-09-21 Hitachi Ltd 放射性固体の位置検出装置
JP2002006054A (ja) 2000-06-19 2002-01-09 Toshiba Corp 放射線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386A (ja) * 1993-08-04 1995-02-21 Hamamatsu Photonics Kk 放射線位置検出装置
JP2001255116A (ja) 2000-03-07 2001-09-21 Hitachi Ltd 放射性固体の位置検出装置
JP2002006054A (ja) 2000-06-19 2002-01-09 Toshiba Corp 放射線検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90B1 (ko) 2008-06-04 2010-08-23 주식회사 미래와도전 사용후핵연료 집합체의 결함 판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함판별방법
KR100959781B1 (ko) 2008-10-15 2010-05-27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방사선 검출 시스템의 핵연료 자동검증장치
KR101644279B1 (ko) 2015-12-30 2016-07-29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선기기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210049272A (ko) 2019-10-25 2021-05-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펙트로스코프에 기반한 방사선원 위치추적 방법 및 방사선원 위치추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ddy et al. Nuclear reactor power monitoring using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radiation detectors
WO2006110159A2 (en) Micro neutron detectors
CN108562929B (zh) 一种重金属倍增的宽能中子源强测量系统
CN112904403B (zh) 一种宽能谱中子注量在线监测系统
CN112526584A (zh) 一种中子能谱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KR100727681B1 (ko) 고방사선 구역의 방사선원 위치 추적 장치
CN112764086A (zh) 一种小型化复合型γ谱仪
CN103245680A (zh) 基于飞行时间法的快中子成像方法及系统
CN113885069A (zh) 一种α探测器及D-T中子标记装置
KR100686446B1 (ko) 핵물질 분포 탐지를 위한 중성자 측정 방법과 그 장치
CN113433581B (zh) 一种低本底的α、β射线探测装置
KR102564895B1 (ko)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US3238369A (en) Fast neutron spectroscope for measurements in a high intensity time dependent neutron environment
US20230168398A1 (en) A fixed in-core detector design using sic schottky diodes configured with a high axial and radial sensor density and enhanced fission gamma measurement sensitivity
Linden et al. Localisation of a neutron source using measurements and calculation of the neutron flux and its gradient
Jovanovic et al. Directional neutron detection using a time projection chamber
RU21027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потоков нейтронов
CN112462409B (zh) 一种基于碲锌镉的空间带电粒子望远镜
EP3467843A1 (en) Reactor output monitoring device
Chong et al. High Data-Rate Neutron-Sensitive Pixelated Detector Using Silicon Photomultiplier
Uher et al. Directional radiation detector
US77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low neutrons by lyman alpha radiation
JP2012103179A (ja) 放射線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Bae et al. Assess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a neutron measurement system during the commissioning of the jordan research and training reactor
KR101893849B1 (ko) 고속중성자와 열중성자 동시 검출장치 및 그를 이용한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