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989B1 -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989B1
KR100726989B1 KR1020050117333A KR20050117333A KR100726989B1 KR 100726989 B1 KR100726989 B1 KR 100726989B1 KR 1020050117333 A KR1020050117333 A KR 1020050117333A KR 20050117333 A KR20050117333 A KR 20050117333A KR 100726989 B1 KR100726989 B1 KR 10072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coated
cosmetic composition
amorphous titanium
amorph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722A (ko
Inventor
박명삼
심민경
신화영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11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9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결점에 대한 높은 커버력을 갖으면서도 허옇게 들떠보임 없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크게 향상시킨 파우더 및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에서 커버력과 색상 효과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백색 안료인 TiO2의 무정질(Amorphous)형 결정구조를 사용하여 입자사이즈를 조절하고, 상기의 무정질 TiO2를 비코팅 또는 유기금속염이나 실리콘 계 유래 물질로 코팅하여 새로이 적용함으로써 커버력이 높을 경우 문제시 되어온 부자연스럽고 허옇게 떠보이는 단점을 극복하고 높은 커버력을 갖으면서도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정질(Amorphous), 티타늄디옥사이드, 메이크업화장료,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Description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which contains non-coated or coated Amorphous Titanium Dioxide}
도 1 - 시험예 1의 RAO 와 고객 선호도 평가
도 2 - 시험예 2의 HP값과 고객 선호도 평가
본 발명은 피부 결점에 대한 높은 커버력을 갖으면서도 허옇게 들떠보임 없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크게 향상시킨 파우더 및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에서 커버력과 색상 효과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백색 안료인 티타늄디옥사이드(TiO2)의 무정질(Amorphous)형 결정구조를 사용하여 입자사이즈를 조절하고, 상기의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비코팅 또는 유기금속염이나 실리콘 계 유래 물질로 코팅하여 새로이 적용함으로써 커버력이 높을 경우 문제시 되어온 부자연스럽고 허옇게 떠보이는 단점을 극복하고 높은 커버력을 갖으면서도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료의 경우 커버력을 높이기 위하여 백색의 무기 안료인 티타늄디옥사이드(TiO2)를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atase), 부르카이트(Brookite) 및 무정질(Amorphous)형의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갖으며, 보통 루타일이나 아나타제형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디옥사이드는 굴절율(n = 2.5 ~ 2.75 )이 높아 은폐력이 높기 때문에 메이크업 화장료나 도료 산업에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루타일이나 아나타제형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높은 굴절율을 가지고 있어 백색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이들이 함유된 리퀴드 파운데이션이나 파우더 파운데이션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경우 피부 표현에 있어서 화장이 허옇게 들떠보임으로 인해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단점을 갖으며, 특히 커버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함량을 증가할 경우 그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장이 들떠보이는 문제는 피부의 굴절율이 n= 1.5 ~1.6인 반면, 루타일이나 아나타제형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디옥사이드의 굴절율은 n= 2.5 ~ 2.75로 피부와 루타일이나 아나타제형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사이의 큰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굴절율1-굴절율2/굴절률1+굴절율2)의 자승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유화형 및 파우더 파운데이션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의 결점을 은폐하는 커버력은 매우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일정 함량 이상의 티타늄디옥사 이드의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부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을 해결하는 것은 메이크업 화장료 개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종래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화장품에 적용한 예가 일본에서 발표된 바 있으나(일본특허: 특허번호 1994-183930,1994-199636), 이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입자 사이즈를 10 ~ 25nm, 크게는 70nm 이하에서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사이즈가 0.1㎛ 이하일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는 높일 수 있으나 피부 결점에 대한 커버력이 너무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 일반적인 파우더 파운데이션이나 유화형 파운데이션에의 적용이 부적합하였다.
상기와 같은 부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탈크, 마이카 및 실리카 등의 분체와 복합화하여 굴절율의 변화를 주거나 , 분체의 형상과 크기 등을 조절하여 빛에 대한 광산란 효과를 높임으로써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사용함량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피부 결점에 대한 커버력과 들뜸없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을 위해서는 아직 그 결과가 미흡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티타늄디옥사이드의 경우 결정 구조에 따라 굴절율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가장 적합한 굴절율을 갖는 결정구조의 티타늄디옥사이드를 개발, 도입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무정질 (Amorphous) 티타늄디옥사이드(TiO2)의 경우 굴절율이 n=2.2 ~ 2.35로 루타일이나 아나타제에 비하여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하며, 입자 사이즈를 0.1~1.0㎛ 범위에서 조절함으로써 커버력을 확보하면서도 들뜸없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0.1~1.0㎛의 입자사이즈를 가지는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함으로써 커버력을 확보하면서도 들뜸없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효과를 나타내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코팅 또는 유기금속염이나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여 커버력과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0.1~1.0㎛의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비코팅 상태로 사용하거나 유기금속염 또는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 코팅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조성물은 0.1~1.0㎛의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25.0 중량%로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티타늄디옥사이드(TiO2)는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이며,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 안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커버력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atase), 부르카이트(Brookite) 및 무정질(Amorphous)형의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루타일이나 아나타제의 경우 굴절율이 n= 2.5 ~ 2.75로 백색도가 너무 높아 부자연스러운 피부표현을 야기시키는 반면에, 무정질의 티타늄디옥사이드는 굴절율이 n=2.2~2.35 로 루타일이나 아나타제에 비하여 자연스러운 피부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정질의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사용하며,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는 0.1 내지 1.0㎛의 입자사이즈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사이즈가 0.1㎛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피부 결점에 대한 커버력이 너무 낮아서 일반적인 파우더 파운데이션이나 유화형 파운데이션에의 적용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1.0㎛ 초과에서도 빛에 대한 산란력의 약화로 인하여 커버력이 너무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허옇게 떠보임이 없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을 가능케 하기 위해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25.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 중량%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함께 사용되어지는 황색, 흑색 및 적색 안료에 의한 색감이 지나치게 강하게 표현되는 문제점이 있고, 25.0 중량%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력이 지나치게 높아 부자연스러워 질 수 있으며 사용성의 악화로 화장이 두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0.1 내지 1.0㎛의 입자사이즈의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소수 8 내지 25개의 마그네슘염 또는 알루미늄염의 유기금속염 또는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 코팅하여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는 트리에톡시실릴에틸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실릴에틸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헥실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 실란 및 아크릴레이트-크리데실 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0.1 내지 1.0㎛의 입자사이즈의 비코팅 또는 유기금속염이나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압축 분말형 파우더 파운데이션, 유중수 또는 수중유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및 루스타입 파우더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 할 수 있다.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0.01 내지 25.0중량%, 탈크, 마이카, 실리카, 세리 사이트,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체질 안료 3.0중량% 내지 30.0중량%, 적색, 황색 및 흑색 산화철 1.0 내지 7.0중량% 및 다이메치콘, 펜일트리메치콘 등의 실리콘계 오일이나 카프릴릭/카프릴 트리글리세라이드, 헥실라우레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알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부터 선태되는 오일결합제 1.0 내지 10.0중량%을 함유한다.
에멀젼 제형의 파운데이션의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0.01 내지 25.0중량%, 적색, 황색 및 흑색 산화철 1.0 내지 7.0중량%, 탈크, 마이카, 실리카, 세리사이트,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체질 안료 15 내지 30.0중량%, 유중수형 및 수중유형 유화제 0.1 내지 3.0중량% 및 사이클로메치콘이나 다이메치콘, 펜일트리메치콘 등의 실리콘계 오일 또는 카프릴릭/카프릴 트리글리세라이드, 헥실라우레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알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5.0 내지 40.0중량%을 함유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 파우더 파운데이션
파우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로 사용하여 통상의 파우더 파운데이션 제조방법에 따라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5070734358-pat00001
<제조방법>
1) 성분 1~11을 헨슬 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2) 성분 12~14을 혼합한 후 60℃까지 가열한다.
3) 1)의 혼합물에 2)의 혼합물을 유압 스프레이를 활용하여 분무한 후 혼합한다.
4) 3)의 혼합물을 유압식 성형기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시험예 1] RAO와 고객선호도 평가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에서 제조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식 1과 같이 둔각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 값을 예각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 값으로 나누어 RAO(Obtus reflection/ Acute reflection) 값을 얻은 후 RAO 값으로 피부표현력을 평가 하였다. 상기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에서 제조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예각 반사율 및 둔각 반사율을 Goniophotometer GP-200로 하기의 평가방법으로 측정하여 RAO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예각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은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값이며, 둔각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은 투명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값으로, 상기 RAO 값 측정은 유사한 색상이라고 하더라도 피부의 색상이 일반 파운데이션에 비하여 자연스러운 것이 둔각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 Fragrance J. 2001년, “아름다운 마무리감, 자연스러운 마무리감의 파운데이션 개발과 과제”)에 근거를 두고 측정되었으며, 다양한 RAO 값에 따른 선호도를 메이크업 사용 고객 30명 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식 1]
Figure 112005070734358-pat00002
평가 방법 :
1) 제형예와 비제형교예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Black 인조 피혁 위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2) 도포된 샘플을 고니오 포토미터를 활용하여 각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 값을 측정한다. ( 둔각 입사광 80˚, 예각 입사광 5˚ )
3) RAO 값을 구한다.
[표 2] RAO 값 측정 결과
Figure 112005070734358-pat00003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O 값이 4.5 이상일 때 고객들의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의 경우 둔각 입사광에 대한 높은 반사율로 인하여 5.0이상의 RAO 값을 가지므로, 무정질, 루타일 및 아나타제의 3가지 결정구조 중 무정질형이 가장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형예 1과 제형예 2로부터 입자사이즈가 0.1-1.0㎛ 인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RAO 값의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입자사이즈가 0.1㎛ 미만인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 비교제형예 1과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 제형예 3의 경우 RAO 값이 5.5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코팅하거나 입자사이즈를 작게 함으로써 피부를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코팅시킴으로서 더욱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커버력과 고객선호도 평가
상기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에서 제조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커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도료의 은폐력(hiding powder, 이하 HP라 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한국 공업 표준 KSM-498” 시험법을 활용하여 하기의 평가방법 및 식 2를 통하여 HP 값을 구하였다.
[식 2]
Figure 112005070734358-pat00004
[표 3] HP 값 측정 결과
Figure 112005070734358-pat00005
평가 방법 :
1) 제형예와 비제형교예의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White 와 Black 인조 피혁 위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2) 도포된 샘플을 고니오 포토미터(Goniophotometer P-200)를 활용하여 각 45˚ 입사광에 대한 45˚반사율 값을 측정한다
3) HP 값을 구한다.
또한 다양한 HP 값에 따른 선호도를 메이크업 사용고객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제형예 1과 제형예 3 및 비교제형예 1의 경우 코팅 여부에 상관없이 루타일이나 아나타제의 결정구조를 갖는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2와 비교제형예 3보다 높은 HP값을 가져 약한 커버력을 나타냈으나, 제형예 2의 경우에는 낮은 HP값을 가져 우수한 커버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HP 값에 따른 고객 선호도로부터 고객이 가장 선호하는 HP값 영역이 67 내지 69의 영역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제형예의 경우 커버력이 약한 경향을 가지더라도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형예 2와 같이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커버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그러나 입자사이즈가 0.1㎛ 미만인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 비교제형예 1의 경우 커버력이 크게 저하되어 피부 결점을 커버할 수 없으므로, 커버력에 대한 고객 선호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표 2 및 표 3과 도 1 및 도 2로부터 허옇게 들떠보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과 피부 결점에 대한 커버력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적합하며, 특히 입자사이즈가 0.1~1.0㎛ 범위에서 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상기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에서 제조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커버력과 피부표현의 개선 여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자 20∼40대의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법으로 상대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관능 평가 결과
Figure 112005070734358-pat00006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1.0㎛의 입자 사이즈를 갖는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제형예 1-3의 경우 들떠보임이 현저히 감소하면서, 자연스러움과 투명감이 크게 향상되는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제형예 2의 경우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을 높여 커버력을 증가시켰음에도 들떠보임이나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효과 측면에서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을 사용한 제형예 3의 경우에는 지속성이나 밀착감, 도포균일성 등의 사용감적인 측면도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0.1~1.0㎛의 입자사이즈를 갖는 무정질(Amorphous) 티타늄디옥사이드(TiO2)를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새로이 도입하여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서 커버력 조절이 가능하고, 커버력이 증가할 지라도 들떠보임 없이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효과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유기금속염이나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코팅하여 사용할 경우 지속성이나 밀착감, 도포균일성 등의 전반적인 사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0.1 내지 1.0㎛ 입자사이즈를 갖는 무정질(Amorphous) 티타늄디옥사이드(TiO2)를 트리에톡시실릴에틸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실릴에틸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헥실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 실란 및 아크릴레이트-크리데실 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실리콘계 유래 물질로 코팅하고, 상기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25.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압축 분말형 파우더 파운데이션, 유중수 또는 수중유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및 루스타입 파우더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KR1020050117333A 2005-12-05 2005-12-05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72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33A KR100726989B1 (ko) 2005-12-05 2005-12-05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33A KR100726989B1 (ko) 2005-12-05 2005-12-05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722A KR20070058722A (ko) 2007-06-11
KR100726989B1 true KR100726989B1 (ko) 2007-06-14

Family

ID=3835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333A KR100726989B1 (ko) 2005-12-05 2005-12-05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33B1 (ko) * 2006-11-30 2008-01-17 (주)아모레퍼시픽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38A (ja) * 1991-10-25 1994-02-01 Isehan:Kk 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38A (ja) * 1991-10-25 1994-02-01 Isehan:Kk 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33B1 (ko) * 2006-11-30 2008-01-17 (주)아모레퍼시픽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722A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95538B2 (en) Transparent concealing cosmetic compositions
JP6258462B2 (ja) 二酸化チタン粉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0162620B1 (ko) 포토 크로믹성 연색 조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재료
WO2007055529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ake up containing the interference color pigment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JP2006299051A (ja) 着色複合粉末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6196037B2 (ja) 微細で薄い合成基材をベースとする真珠光沢顔料
US8889107B2 (en) Nail varnish with a velvety feel
KR20070115875A (ko) 피부 화장료용 색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파운데이션 및화장 방법
JP6957350B2 (ja) 高い彩度および高い輝度を有する赤色装飾的顔料、それ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JP2008024677A (ja) 着色複合粉末及びこれを配合する化粧料
JP2019502733A (ja) 光学的に拡散する粒子
JP2002038051A (ja) ガラスフレーク、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0662387B2 (ja) 化粧料
KR100726989B1 (ko) 비코팅 또는 코팅된 무정질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한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9924A (ko)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4709643B2 (ja) 肌の印象演出方法
TWI388341B (zh) 印象控制劑
JP4791817B2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04091507A (ja) 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
JP2007291090A (ja) 粉末化粧料
Giancola et al. Decorative cosmetics
JP2001199826A (ja) 化粧料
JP5944193B2 (ja) 化粧料
CN112533574B (zh) 动态化妆产品
KR102472647B1 (ko) 자외선 차단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용 이산화티탄 안료 및 제조 방법, 이산화티탄 복합 안료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