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387B1 -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387B1
KR100726387B1 KR1020050105634A KR20050105634A KR100726387B1 KR 100726387 B1 KR100726387 B1 KR 100726387B1 KR 1020050105634 A KR1020050105634 A KR 1020050105634A KR 20050105634 A KR20050105634 A KR 20050105634A KR 100726387 B1 KR100726387 B1 KR 10072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bottom plate
plate
composite deck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494A (ko
Inventor
이기홍
서옥근
Original Assignee
비비엠코리아(주)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태평양개발(주)
서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엠코리아(주),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태평양개발(주), 서옥근 filed Critical 비비엠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5010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3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저판의 상면에 부착보강재가 구비되어 있는 강관을 부착시킴으로써 한 피스의 프리캐스트부재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프리캐스트 부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한 후에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완성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콘크리트와 강관의 합성작용으로 인하여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 공장에서 이미 완성된 프리캐스트부재를 현장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저판, 강관, 부착보강재, 덮개콘크리트, 연결보강재

Description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Composite deck plate using concrete filled tub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서 도시된 합성데크플레이트에 대하여 하나의 절편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에 대하여 하나의 절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재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강관 : 100 충전콘크리트 : 102
덮개콘크리트 : 104 지지판 : 106
저판 : 200a, 200b, 200c, 200d
부착보강재 : 300 복부 : 302
부착돌기 : 304 부착공 : 306
덕트 : 400 긴장재 : 402
정착부 : 404
연결보강재 : 500 절취부 : 502
돌설부 : 602 입설부 : 604
본 발명은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저판의 상면에 부착보강재가 구비되어 있는 강관을 부착시킴으로써 한 피스의 프리캐스트부재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프리캐스트 부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한 후에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완성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는 건축물의 바닥판이나 교량의 상판과 같은 슬래브 구조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는 인장측에 철근을 보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거나 강판 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철근콘크리트에 의하는 경우 거푸집에 인장철근, 횡철근 기타 보강철근 등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레이트를 구성하게 된다. 콘크리트의 타설은 현장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미리 공장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편 강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립되는 데크플레이트의 경우 강판이 거푸집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인장철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철근을 더 보강하기도 한다.
어느 경우에나 플레이트가 일체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품질관리 등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가 일체로서 타설되어 양생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는 있겠지만 건조수축이나 시공상의 오차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교량의 상판 등을 시공하는 경우 거푸집을 설치하고 여러 종류의 철근을 조립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모든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상의 오차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크고,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강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립되는 데크플레이트의 경우, 강판이 거푸집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 작업성이 조금은 개선되기는 하지만 별도의 보강철근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는 점에서 작업성을 크게 개선하지는 못하였 다.
또한 강판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 등의 위험성이 있고 이로 인하여 구조물 전체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된 데크플레이트의 절편을 현장으로 운반한 후에 현장에서 즉시 시공이 가능한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관과 저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하여 모멘트 및 전단에 대하여 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저판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 휨인장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킨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직사각형 단면을 자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저판과,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저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은 길이방향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이웃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및 상기 부착보강재에 의해서 마련 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 단면을 자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간 방향에 평행한 측면 중 일방의 측면에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설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저판에 형성되어 있는 돌설부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입설부가 형성되어 있는 저판과,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저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설부가 이웃하는 상기 저판의 상기 입설부에 맞추어지면서 끼움되어 복수개의 상기 저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이웃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및 상기 부착보강재에 의해서 마련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 단면을 자지는 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간 방향의 양쪽 모서리를 직각으로 절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과,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되접혀지고, 양 끝단이 상기 저판의 절취부 수직면에 횡방향으로 매립되는 연결보강재와, 상기 저판의 상면에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은 길이방향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이웃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및 상기 부착보강재에 의해서 마련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된 각각의 플레이트 절편을 현장에서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먼저 하나의 강관(100)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저판(200a)을 연속적으로 이웃하게 위치시킨다. 강관(100)과 저판(200a)의 상면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덮개콘크리트(104)를 형성한다.
덮개콘크리트(104)를 타설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합성데크플레이트는 교량의 상판 또는 건축물의 슬라브판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저판(200a)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판(200a)의 두께는 50 ~ 200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저판(200a)의 두께는 시공환경이나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저판(200a)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상당히 클 것이고, 일반적인 건축물의 슬라브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에서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강관(100)은 저판(200a)의 상면에 저판(200a)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강관(1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관으로서 강철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강관(100)은 저판(200a)에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송된다. 강관(100)은 철근콘크리트에서 마치 인장철근이나 주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강관(100)의 외면에는 후술하게 될 부착보강재(300)가 부착되어 있는데 부착보강재(300)는 강관(100)과 덮개콘크리트(104)와의 부착강도를 확보하는 작용을 한다.
덮개콘크리트(104)는 저판(200a)과 강관(10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저판(200a)의 상부 공간에 타설됨으로써 형성된다. 강관(100)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부재의 내구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물론 압축을 받는 콘크리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서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판(200a)의 상부에 덮개콘크리트(104)를 타설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서는 인장철근이나 기타 보강철근 등을 별도로 배치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에서는 저판(200a)이 무근콘크리트로 도시되어 있지만, 저판(200a)의 제작시에 철근을 사용함으로써 저판(200a)을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부재로서 형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는 것인 만큼 본 발명의 단순한 변경에 해당하는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2a는 도 1에서 도시된 합성데크플레이트에 대하여 하나의 절편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관(100)이 저판(200a)의 상면에 저판(200a)의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면서 부착되어 있고, 강관(100)의 외면에는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300)가 부착되어 있다.
충전콘크리트(102)는 강관(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로서 구조물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강관(100)의 직경방향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강관(100)의 좌굴에 대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전콘크리트(102)를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부착보강재(300)는 강관(100)의 외면에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의 상면에 한 개가 부착되어 있고, 강관(100)의 양 측면에 각각 한 개가 부착되어 있다. 부착보강재(300)의 위치 및 개수는 시공환경이나 소요강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강관(100)의 저판(200a)과의 부착면 측에도 부착보강재(300)를 부착시킬 수 있고 이로써 강관(100)과 저판(200a)과의 부착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부착보강재(3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302), 부착공(306), 부착돌기(304)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강관(100)에 결합된다. 강관(100)의 외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강도를 발휘하게 되면 부착보강재(300)는 콘크리트와 맞물리게 되고 이로써 콘크리트와 강관(100)이 기계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강관(100)과 콘크리트가 일체로서 거동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강성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복부(302)는 강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뻗어 있고 강관(10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복부(302)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있어서의 횡방향 보강재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담당하므로 강관(100)과 함께 수직하중으로 인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작용을 한다.
부착돌기(304)는 복부(302)의 상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복부(302)의 상편을 좌우로 꺽음으로써, 복부(302)의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부착돌기(304)의 형상을 직사각형만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반원형, 사다리꼴,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부착공(306)은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복부(302)를 따라 일렬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강관(100)의 외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부착공(306)을 관통하여 채워지게 될 것이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복부(302)는 콘크리트와 맞물리게 된다.
특히 부착공(306)은 보강철근을 삽설할 수 있는 철근스페이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웃하는 강관(100)들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보강재(300)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공(306)을 관통하여 철근을 배치시킴으로써,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강관(100)끼리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횡방향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도 증가시킬 수 있다.
부착공(306)의 개수는 도 2a에 도시한 것과 얼마든지 달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고, 부착공(306)의 형상도 도 2a에 도시된 원형 이외에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슬롯형 등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에 의한 부착공(306)과 그 목적 및 작용, 효과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발명에 의한 부착공(306)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에 대하여 하나의 절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강관(100)의 일부가 저판(200a)에 묻혀 부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구별된다.
부착보강재(300)는 강관(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한 개씩 부착되어 있다. 강관(100)을 저판(200a)에 소정의 깊이만큼 묻어서 부착시키기 때문에 강관(100)과 저판(200a)과의 부착강도가 더욱 개선되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부착보강재(300)의 개수와 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부착보강재(300)의 위치와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 2a에서는 강관(100)의 일부만이 저판(200a)에 묻힌 것을 도시하였지만, 강관(100)의 전체 직경에 걸쳐 묻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한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저판(200a) 한 개에 부착되는 강관(100)의 개수는 한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조물의 소요강도 등에 따라 저판(200a)의 폭과 강관(100)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저판(200a) 한 개에 부착되는 강관(100)의 개수는 복수의 개수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저판(200b)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다만 저판(200b)의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 돌설부(602)와 입설부(604)를 갖는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실시예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돌설부(602)는 사다리꼴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놓은 형상으로서 저판(200b)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다.
입설부(604)는 이웃하는 저판(200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설부(602)가 긴밀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돌설부(60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 다.
돌설부(602)와 입설부(604)의 결합에 의해 저판(200b)이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의 구조적인 일체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의 일부를 저판(200b)에 묻어서 부착시키는 방법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한 것이며, 콘크리트를 강관(100)의 내부에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판(200c)은 전체적으로 “┻” 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저판(200c)은 양쪽의 상단 모서리를 직각으로 절취하여 절취부(502)를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절취부(502)는 저판(200c)의 양측 상단 모서리를 직각으로 절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취부(502)는 저판(200c)의 상단부 양측에 “┛” 또는 “┗”의 형상을 가지면서 저판(200c)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취부(502)는 서로 직교하는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연결보강재(500)는 “⊂”또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끝단은 절취부(502)의 수직면에 매입되어 있다. 즉 연결보강재(500)는 일정 길이의 철근 등을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되접은 후에, 양 끝단을 저판(200c)의 절취부(502)의 수직면에 매입시킨 것이다.
연결보강재(500)는 이웃하는 연결보강재(500)와 서로 소정의 길이만큼 겹쳐 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보강재(500)는 원형철근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지만, 일정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이형철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저판(200c)의 상부에 덮개콘크리트(104)가 타설되는 경우 연결보강재(500)는 이웃하는 저판(200c)끼리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4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판(200c)의 양 측면에 도 3에서 도시된 돌설부(602)와 입설부(604)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으로부터 자명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당해 실시예에서도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의 일부를 저판(200c)에 묻혀 부착시키는 방법이 적용가능한 것이며, 강관(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콘크리트(102)의 사용 여부도 구조물의 소요강도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저판(200d)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 것이다. 즉 저판(200d)에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덕트(400)를 설치한 후 덕트(400)에 긴장재(402)를 삽입하여 긴장함으로써 저판(200d)에 일괄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이다.
덕트(400)는 콘크리트와 긴장재(402)를 절연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서, 저판(200d)의 폭방향으로 저판(200d)의 내부에 구멍을 뚫어 저판(200d)을 관통함으 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덕트(40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긴장재(402)에 고분자재료나 유지 등을 피복하고 저판(200d)에 묻는 방법, 저판(200d)의 내부에 강관(100)이나 플라스틱관 등을 묻어 넣은 다음에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이것을 뽑아내는 방법, 경화한 저판(200d)에 구멍을 뚫어내는 방법, 쉬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덕트(400)는 저판(200d)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덕트(400)의 간격은 구조물에 따라 요구되는 프리스트레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긴장재(402)를 부식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긴장재(402)와 저판(200d)의 일체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덕트(400)의 내부에 몰타르 등으로 그라우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장재(402)는 덕트(4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긴장된 후에 최외곽측에 있는 저판(200d)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부(404)에 정착된다. 이로써 저판(200d)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저판(200d)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는 저판(200d)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을 상쇄시키는 작용을 한다. 긴장재(402)의 소재로서는 소요강도에 따라 강선, 강연선, 강봉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판(200d)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프리텐션 및 포스트텐션 중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무방하다.
정착부(404)는 긴장된 긴장재(402)를 정착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저판(200d)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정착의 방법으로는 쐐기식, 지압식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저판(200d)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제5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어 졌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사항들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인 요지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저판(200a, 200b, 200c, 200d)이 서로 밀착되어 접해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저판(200a)을 서로 이격되게 구성하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저판(200a)끼리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격되어 이웃하는 양쪽의 저판(200a)에 지지판(106)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판(106)은 양쪽 끝단이 저판(200a)에 단순히 걸쳐지도록할 수 있겠지만, 구조물의 일체성을 위해서는 볼트나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저판(200a)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지판(106)은 덮개콘크리트(104)가 타설되는 경우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한편, 덮개콘크리트(104)의 타설 이후에도 제거되지 않음으로써 마치 인장측의 철근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고 이로써 본 발명이 합성플레이트로 작용하는데 있어서 그 효과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판(106)은 강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절곡하여 톱니 또는 물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한다.
지지판(106)은 상부하중에 의해 휨인장력을 받게 되는 만큼 강관(100)의 길 이 방향으로 반복 절곡하여 톱니 또는 물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경우 휨에 대한 저항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데크플레이트의 절편을 프리캐스트 부재로 함으로써 현장으로 운반한 후에 현장에서 즉시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은 물론 품질의 변동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저판의 상면에 강관을 부착시키고 강관의 외면에 부착보강재를 부착함으로써 강관과 콘크리트와의 합성작용을 극대화시키고 강관의 부식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이웃하는 복수개의 저판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는 덕트를 형성하고, 덕트의 내부에 긴장재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저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저판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 휨인장강도가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어 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2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저판;
    상기 저판의 상면에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은 길이방향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이웃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및 상기 부착보강재에 의해서 마련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상기 저판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접촉되는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그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상기 저판에 묻히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묻힌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7. 제4항에 있어서,
    측면끼리 밀착되면서 연속적으로 이웃하고 있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 중 최외곽의 일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작되고, 이웃하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을 연속적으로 관통하고, 최외곽의 타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판의 외측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긴장되고, 긴장된 상태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양쪽 상기 저판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부에 정착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에 일괄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긴장재를 더 포함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직사각형 단면을 자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간 방향에 평행한 측면 중 일방의 측면에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설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저판에 형성되어 있는 돌설부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입설부가 형성되어 있는 저판;
    상기 저판의 상면에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설부가 이웃하는 상기 저판의 상기 입설부에 맞추어지면서 끼움되어 복수개의 상기 저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이웃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및 상기 부착보강재에 의해서 마련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상기 저판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접촉되는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그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상기 저판에 묻히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묻힌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측면끼리 밀착되면서 연속적으로 이웃하고 있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 중 최외곽의 일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작되고, 이웃하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을 연속적으로 관통하고, 최외곽의 타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판의 외측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긴장되고, 긴장된 상태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양쪽 상기 저판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부에 정착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에 일괄적으로 5리스트레스를 주는 긴장재를 더 포함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5. 직사각형 단면을 자지는 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간 방향의 양쪽 모서리를 직각으로 절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되접혀지고, 양 끝단이 상기 저판의 절취부에 매입되는 연결보강재;
    상기 저판의 상면에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은 길이방향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이웃하면서 배치 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및 상기 부착보강재에 의해서 마련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보강재는
    복부; 및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방향을 번갈아가며 절곡하여 형성되는 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보강재는
    복부;
    상기 복부에 일정 간격으로 천공을 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 및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방향을 번갈아가며 절곡하여 형성되는 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상기 저판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 에 접촉되는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그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상기 저판에 묻히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묻힌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1.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이 일방의 측면에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설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저판에 형성되어 있는 돌설부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입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2.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끼리 밀착되면서 연속적으로 이웃하고 있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 중 최외곽의 일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작되고, 이웃하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을 연속적으로 관통하고, 최외곽의 타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판의 외측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긴장되고, 긴장된 상태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양쪽 상기 저판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부에 정착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배치 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저판에 일괄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긴장재를 더 포함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3.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저판;
    상기 저판의 상면에 상기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보강재; 및
    상기 저판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격되어 이웃하는 상기 저판에 양 단이 걸쳐지거나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저판과 상기 강관, 상기 부착보강재 및 상기 지지판에 의해서 마련된 상부 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보강재는
    복부; 및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방향을 번갈아가며 절곡하여 형성되는 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보강재는
    복부;
    상기 복부에 일정 간격으로 천공을 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 및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방향을 번갈아가며 절곡하여 형성되는 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절곡되어 톱니 또는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상기 저판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접촉되는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29.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그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상기 저판에 묻히고, 상기 강관의 외면 중 상기 저판에 묻힌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보강재가 부착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
KR1020050105634A 2005-11-04 2005-11-04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KR10072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634A KR100726387B1 (ko) 2005-11-04 2005-11-04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634A KR100726387B1 (ko) 2005-11-04 2005-11-04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494A KR20070048494A (ko) 2007-05-09
KR100726387B1 true KR100726387B1 (ko) 2007-06-11

Family

ID=3827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634A KR100726387B1 (ko) 2005-11-04 2005-11-04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73B1 (ko) * 2017-04-27 2019-04-1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핑콘크리트층을 갖는 강합성 중공 슬래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22Y1 (ko) 2000-01-12 2000-06-15 명화물산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JP2000170304A (ja) * 1998-12-07 2000-06-20 Taisei Corp ボイドスラブの構築方法
JP2001107499A (ja) * 1999-08-03 2001-04-17 Daiwa House Ind Co Ltd 中空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30087764A (ko) * 2002-05-09 2003-11-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JP2004162379A (ja) * 2002-11-13 2004-06-10 Tookatsu Kac:Kk 補助部材の固定具及び床構造部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304A (ja) * 1998-12-07 2000-06-20 Taisei Corp ボイドスラブの構築方法
JP2001107499A (ja) * 1999-08-03 2001-04-17 Daiwa House Ind Co Ltd 中空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186222Y1 (ko) 2000-01-12 2000-06-15 명화물산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KR20030087764A (ko) * 2002-05-09 2003-11-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JP2004162379A (ja) * 2002-11-13 2004-06-10 Tookatsu Kac:Kk 補助部材の固定具及び床構造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494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RU2380498C2 (ru) Арматура для усиления панел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панель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комплект панеле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бетонная форма,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бетонная форма для колонн,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бетонная форма для т-образной стены и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панел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KR20060055289A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6427045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090068536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90125233A (ko)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535157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706976B1 (ko) 강관을 이용한 지반구조물
JP6960082B2 (ja) コンクリート吹付けによる躯体構築方法
KR20070088341A (ko) 두 겹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형파형강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6387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을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JP5619017B2 (ja) プレストレストスラブ要素
JP345729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鉄筋接合部構造
KR20080111686A (ko) Phc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슬래브 일체형phc합성거더
JP2698959B2 (ja) 地中連続壁の剛結継手
KR102327700B1 (ko)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05940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JP2008240429A (ja) Pc床版箱桁橋
JP3442319B2 (ja) コンクリート橋用プレキャスト製pcウエブおよびそのpcウエブを有する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橋
KR101215764B1 (ko) 지하 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 구조
KR101765389B1 (ko) 아치메커니즘이 적용된 경량 중공 프리캐스트 보
JPH10110498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およびこれを用いた中空フラットスラブの構築方法
KR1014654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파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