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379B1 -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6379B1 KR100726379B1 KR1020060018353A KR20060018353A KR100726379B1 KR 100726379 B1 KR100726379 B1 KR 100726379B1 KR 1020060018353 A KR1020060018353 A KR 1020060018353A KR 20060018353 A KR20060018353 A KR 20060018353A KR 100726379 B1 KR100726379 B1 KR 100726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bridge
- plate
- support
- alumin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핑거플레이트의 소재로서 자연 마모되면서 종단 경사에 따른 단차를 점진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설치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량, 플레이트, 알루미늄, 핑거, 지지부재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핑거플레이트형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자연 마모를 보여주는 참조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지지부재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응력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을 부분 절개한 평면도.
도 9는 도 7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와 제 1지지부재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핑거플레이트 110 : 핑거
120 : 접시머리 볼트 130 : 끼움링
200 : 제 1지지부재 300 : 제 2지지부재
400 : 가이드부재 500 : 지지박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핑거플레이트의 소재로서 자연 마모되면서 종단 경사에 따른 단차를 점진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줄이는 데 적당하도록 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기온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상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핑거플레이트나 레일 등을 사용하는 신축이음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핑거플레이트형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핑거플레이트형 신축이음장치에서는 교량상판(90)의 상부 끝단에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가 설치된다.
종래의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량상판(90)이 신축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상기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에 교호하게 돌출된 선단부 핑거(11)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량상판(90)간 벌어진 틈새의 이격을 최소화하면서 메울 수 있었다. 특히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구조에 의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레일들과는 달리 횡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는 일직선 단절부위를 제거함으로써 통행하는 차량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및 충격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여전히 상기 핑거플레이트(10) 사이에 이격된 단절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로 인해 차량 통과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핑거플레이트(10) 사이의 이격거리가 늘어날수록 종단경사도 커지면서 소음 및 진동도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고하중의 차량이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처짐현상 등으로 인해 쉽게 손상되어 자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캔틸레버(Cantilever) 타입뿐만 아니라 레일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단 경사에 따른 단차를 점진적으로 완화시켜 차량 통과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설치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호 교호하게 돌출되어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핑거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하측에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플레이트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평편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자체 변각시에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는,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는,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긴밀한 접촉을 위해 평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와 제 1지지부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관통하여 체결하는 접시머리 볼트와, 상기 접시머리 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접시머리 볼트의 하향 경사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압착되어 억지끼움되는 끼움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링의 소재는 우레탄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과 끊임없이 접촉되는 핑거플레이트의 소재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단절 부위에서 자연 마모가 일어나면서 종단 경사에 따른 단차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이 시간이 갈수록 점진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를 자체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휘기 쉬운 알루미늄 소재의 특성에 기인한 핑거플레이트의 처짐 현상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요부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자연 마모를 보여주는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는 2개 이상을 한 쌍으로 하는 알루미늄 소재의 핑거플레이트(100)와, 상기 핑거플레이트(100)를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처짐현상을 방지해주는 제 1지지부재(200)와, 상기 제 2지지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U"자형 가이드부재(400)와 상기 제 2지지부재(3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박스(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0)는 2개 이상을 한 쌍으로 하며(도면에서는 5개를 한 쌍으로 함), 양끝에 배치된 2개는 교량 상단에 고정되고, 그 사이에 배치된 나머지는 제 1지지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지지부재(200)와 함께 이동하면서 교량 상판의 신축에 따라 서로간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핑거플레이트(100)들은 서로 마주보고 맞물릴 수 있도록 상호 교호하게 돌출된 핑거(110)들을 양편 혹은 한편에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핑거(110)들은 교량의 상판이 신축되는 정도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교량 상판의 신축 정도가 상당히 큰 경우에는 핑거플레이트(100)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핑거(110)의 길이를 길게 하는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기 핑거플레이트(100) 소재로는 전술된 것처럼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이는 알루미늄의 경우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과시 차량 바퀴와의 접촉으로 자연 마모가 일어나기 때문에 핑거플레이트(100) 간 이격구간에서의 단절로 인한 종단경사를 점진적으로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를 참조하면 겨울에는 맞물려 있던 핑거플레이트(100)가 교량 상판의 수축으로 인해 벌어져서 넓게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같이 핑거플레이트(100) 간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구배 또는 하향구배로 인해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는 심해지고 차량 통과시 소음, 충격 및 진동이 발생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차량 바퀴와의 접촉으로 인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핑거플레이트(100) 간 이격 부위를 중심으로 그 표면 일부가 자연 마모되면서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마모된 면(140)은 차량 바퀴와 자연스럽게 접촉을 유지하면서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를 줄여주어 차량 통과시 발생되던 소음을 비롯하여 진동 및 충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소재의 핑거플레이트(100)는 핑거플레이트(100) 간 이격된 상태에서 발생되던 차량의 소음 및 진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핑거플레이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핑거플레이트(100)의 하측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아래에서 상기 제 1지지부재(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지지부재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응력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그 횡단면의 상부(210) 및 하부(220) 폭은 넓고 중간(230)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부(220)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21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상면(211)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00)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평편면으로 형성되고, 하면(221)은 상부(2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자체 변각시에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하면(221)이 곡면으로 형성되면 차량이 상기 핑거플레이트(100)를 밟고 통과할 때 발생되는 미세한 흔들림 속에서도 차량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물론 상기 제 1지지부재(200)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 2지지부재(300) 및 지지박스(500)에 장기간에 걸쳐 발생될 수 있는 파손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지부재(200)가 "I"형의 횡단면으로 형성되면 단면계수가 커지면서 일정 하중에 대하여 휨이나 굽힘과 같은 변형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산시에는 소재의 양을 절약할 수 있게 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하부(220)가 상부(210)보다 두꺼운 독특한 형상을 갖게 되면 상부(210)에 핑거플레이트(100)가 결합되는 경우 하중으로 인한 파손을 대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상부(210)에 핑거플레이트(100)가 결합되면 상부(210) 두께가 보강되면서 하부(220)에 대해 균형잡힌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같은 구조가 되면 상측에서 하중(F)이 가해지는 경우 제 1지지부재(200)의 내부에서 각각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압축부(L1)와 인장부(L2)가 대칭된 형태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제 1지지부재(200)의 상부(210)에서 작용하는 압축응력과 하부(220)에서 작용하는 인장응력 중 어느 하나가 과도하게 되면서 야기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상부(210) 및 하부(220)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면 상기 핑거플레이트(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인장부(L1)가 확대되면서 인장부(L1)의 최대응력이 과도해지고 이에 따라 제 1지지부재(200)의 하부(220)에서 변형 및 파손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그 형태에 있어 철도레일과 흡사하므로 대량으로 생산되는 기존의 철도레일을 일정한 길이단위로 절단하는 정도의 가공을 거쳐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지지부재(200)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생산을 위해 소요될 수 있는 초기 투자비와 생산비의 상당부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핑거플레이트(100)가 휘기 쉬운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처짐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을 부분 절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지지부재(300)는 횡단면의 상부(310) 및 하부(320) 폭은 넓고 중간(330)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320)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31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300)의 상면(311)은 상기 지지박스(500) 내측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평편면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상기 제 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 1지지부재(200)와 동일한 것을 추가로 구비하여 그대로 이용하면 되며 효과에 있어서도 굽힘응력에 대한 변형 및 파손을 대비할 수 있는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효과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 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 1지지부재(200)를 거꾸로 한 것과 같은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지지부재(300)의 상부(310) 및 하부(320) 폭은 넓고 중간(330)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면(321)은 긴밀한 접촉을 위해 평편면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 1지지부재(200)를 거꾸로 한 형태와 유사하므로 상기 제 1지지부재(200)와 동일한 것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지지부재(300)의 상면(311)이 곡면이 되면서 긴밀한 접촉은 어려워지지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제 2지지부재(3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제 1지지부재(200)를 교량의 종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이 상기 제 1지지부재 하면(221)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제 2지지부재(300)를 둘러싼다.
상기 지지박스(500)는 상기 제 2지지부재(300)의 양단이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선단이 개구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00)가 설치된 하측에서 교량 상판에 매설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와 제 1지지부재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100)와 제 1지지부재(200)는 접시머리 볼트(12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접시머리 볼트(1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0)를 상면으로부터 관통하여 그 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제 1지지부재(20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시머리 볼트(120)에 끼워지는 링형태의 끼움링(130, 도 2와 도 11 비교 참조)이 구비되어 상기 접시머리 볼트(120)의 머리부(121) 하향 경사면(121A)과 상기 핑거플레이트(100) 사이에 압착되어 억지끼움된다. 상기 끼움링(130)은 우레탄 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같이 접시머리 볼트(1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사가공을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0)에 접시머리 볼트(120)가 들어갈 볼트공을 미리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볼트공 내에는 끼움링(130)의 일부가 들어가 안착될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한다.
이처럼 접시머리 볼트(120)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0)와 제 1지지부재(200)가 체결되되, 그 사이에 상기 끼움링(130)이 억지끼움되어 설치되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끼움링(130)이 접시머리 볼트(120)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이로 인한 알루미늄 소재인 핑거플레이트(100) 의 취성을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끼움링(130)은 상기 접시머리 볼트(120)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상기 핑거플레이트(100)의 볼트공을 수밀하게 봉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200) 상면으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교량 상판 위를 주행하면서 상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핑거플레이트(100)를 밟고 지나가게 되면 차량의 하중 및 충격이 순간적으로 상기 핑거플레이트(100)에 일차적으로 가해진다.
그러면 상기 핑거플레이트(100) 사이에 단절된 이격 부위에서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 핑거플레이트(100)는 성질이 무른 알루미늄을 소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차량 바퀴와의 접촉으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종단부위에 자연 마모가 발생한다.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핑거플레이트(100)의 표면은 차량의 바퀴가 충격이나 소음없이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마모되고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는 거의 사라진다. 따라서 차량 통과시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로 인해 발생하던 소음 및 진동은 거의 사라지게 된다.
한편, 차량 통과시 차량의 하중 및 진동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00)로부터 제 1지지부재(20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내부에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굽힘응력이 발생되며 그 상부(210)와 하부(220)에 각각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단면계수가 큰 "I"자형을 기본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응력에 대한 변형이 훨씬 적다. 이에 더 해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하부(220)는 상부(21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인장응력으로 인한 파손위험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지지부재(200)의 하면(22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차량 통과시 차량이 핑거플레이트(100)를 밝는 위치가 변하면서 불규칙하게 전달되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상기 제 1지지부재(200)가 흔들리면서 미세한 변위각이 생기더라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200)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제 2지지부재(300) 역시 상기 제 1지지부재(200)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지지부재(200)와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지지부재(200) 및 제 2지지부재(300)의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그 위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상기 알루미늄 핑거플레이트(100)의 처짐현상으로 인한 손상 우려는 사라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는 알루미늄 소재의 핑거플레이트가 차량 바퀴와의 접촉으로 자연 마모되면서 종단 경사에 따른 단차를 완화시켜주어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굽힘응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핑거플레이트의 휘기 쉬운 특성을 보완하고 처짐현상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핑거플레이트가 알루미늄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처짐으로 인한 손상이 적고 교체주기가 상당히 늘어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시머리 볼트와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링에 의해 접시머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이로 인한 알루미늄 핑거플레이트의 취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핑거플레이트의 볼트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설치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로서,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종단경사에 따른 단차를 완화하기 위해 차량 바퀴의 접촉에 의해 단절 부위가 점진적으로 자연 마모되는 정도의 무르기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플레이트와;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 1지지부재와;상기 제 1지지부재의 하측에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플레이트와 제 1지지부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관통하여 체결하는 접시머리 볼트와; 상기 접시머리 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접시머리 볼트의 하향 경사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압착되어 억지끼움되는 우레탄 또는 고무 소재의 끼움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 상호 교호하게 돌출되어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핑거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 1지지부재와;상기 제 1지지부재의 하측에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플레이트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평편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자체 변각시에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지지부재는,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지지부재는,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긴밀한 접촉을 위해 평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삭제
- 삭제
-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설치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로서,상호 교호하게 돌출되어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고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와;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면은 상기 플레이트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평편면으로 형성되며, 하면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자체 변각시에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제 1지지부재와;상기 제 1지지부재의 하측에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굽힘응력에 의한 파손을 대비하여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횡단면의 상부 및 하부 폭은 넓고 중간은 잘록한 "I"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은 긴밀한 접촉을 위해 평편면으로 형성된 제 2지지부재와;상기 플레이트와 제 1지지부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관통하여 체결하는 접시머리 볼트와, 상기 접시머리 볼트에 끼워져서 상기 접시머리 볼트의 하향 경사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압착되어 억지끼움되는 우레탄 또는 고무 소재의 끼움링과;상기 제 1지지부재 하면에 상단이 접합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을 둘러싸서 상기 제 1지지부재의 종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U"자형 가이드부재와;상기 제 2지지부재의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선단이 개구된 채로 상기 교량 상판 끝단에 매설되는 지지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8353A KR100726379B1 (ko) | 2006-02-24 | 2006-02-24 |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8353A KR100726379B1 (ko) | 2006-02-24 | 2006-02-24 |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6379B1 true KR100726379B1 (ko) | 2007-06-08 |
Family
ID=3835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8353A KR100726379B1 (ko) | 2006-02-24 | 2006-02-24 |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637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5484A (ko) * | 2014-06-19 | 2015-12-30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
KR101614529B1 (ko) * | 2015-07-09 | 2016-04-21 | 김재영 | 난간 지지 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
WO2020229487A1 (fr) * | 2019-05-13 | 2020-11-19 | Soletanche Freyssinet | Joint de dilatation carrossab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565Y1 (ko) | 2004-09-23 | 2004-12-09 |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200384246Y1 (ko) | 2005-02-17 | 2005-05-12 |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 하중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지지장치 |
KR200398518Y1 (ko) | 2005-07-28 | 2005-10-12 | 주식회사 케이.알 | 교량상판 이음용 핑거플레이트의 고정구조 |
-
2006
- 2006-02-24 KR KR1020060018353A patent/KR1007263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565Y1 (ko) | 2004-09-23 | 2004-12-09 |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200384246Y1 (ko) | 2005-02-17 | 2005-05-12 |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 하중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지지장치 |
KR200398518Y1 (ko) | 2005-07-28 | 2005-10-12 | 주식회사 케이.알 | 교량상판 이음용 핑거플레이트의 고정구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5484A (ko) * | 2014-06-19 | 2015-12-30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
KR101652769B1 (ko) * | 2014-06-19 | 2016-09-02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
KR101614529B1 (ko) * | 2015-07-09 | 2016-04-21 | 김재영 | 난간 지지 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
WO2020229487A1 (fr) * | 2019-05-13 | 2020-11-19 | Soletanche Freyssinet | Joint de dilatation carrossable |
FR3096060A1 (fr) * | 2019-05-13 | 2020-11-20 | Soletanche Freyssinet | Joint de dilatation carross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9940B1 (ko) | 접속 영역용 레일 체결 장치 | |
KR100726379B1 (ko) | 교량용 알루미늄 신축이음장치 | |
JP6326592B2 (ja) | せん断荷重誘導用外箱を備えたレール締結装置 | |
KR950032902A (ko) | 사다리형 침목 및 레일트랙 | |
KR100658535B1 (ko) | 신축이음장치 | |
KR200384246Y1 (ko) | 하중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지지장치 | |
KR101336030B1 (ko) | 레일의 신축 이음매 장치 | |
US6581848B1 (en) | Sleeper frame for a rail system for rail-mounted vehicles, especially for a ballasted track | |
KR101397131B1 (ko)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77908Y1 (ko)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131628B1 (ko) | 교량 궤도상 신축이음매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
KR100602217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0448485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084668B1 (ko) |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 |
KR20060092307A (ko) | 하중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지지장치 | |
KR100440503B1 (ko) |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 장치 | |
CN214613571U (zh) | 伸缩缝结构 | |
CN216663785U (zh) | 一种桥梁接缝防护装置 | |
KR200397207Y1 (ko) | 신축이음장치 | |
WO2006064216A1 (en) | Rail bearer joint | |
KR100906686B1 (ko) |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경사식 신축이음매장치 | |
CN85205326U (zh) | 桥梁和公路接缝的橡胶伸缩装置 | |
KR200262393Y1 (ko) |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단부 캡 | |
CN111615573A (zh) | 用于在轨道固定点中布置在基底和轨道车辆轨道之间的中间板以及轨道固定系统 | |
KR101739247B1 (ko) |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의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