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663B1 -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5663B1 KR100725663B1 KR1020040096489A KR20040096489A KR100725663B1 KR 100725663 B1 KR100725663 B1 KR 100725663B1 KR 1020040096489 A KR1020040096489 A KR 1020040096489A KR 20040096489 A KR20040096489 A KR 20040096489A KR 100725663 B1 KR100725663 B1 KR 1007256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ngitude
- latitude
- feature
- identifier
- latt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32 spati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위도의 초(〃)단위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구성하여 식별자만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위도의 초(〃)단위의 격자로 격자망을 구성한 후, 해당 경도와 위도로 격자식별자를 구성하여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격자망은 위거 24.7m 내지 25.7m, 경거 30.8 내지 30.9m로서 752 내지 791㎡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격자식별자는 격자의 좌하단점 경위도로 표시되고, 위도+경도로 표시되며, 위도+경도로 표현 시 우리 나라는 경도 124°-131°사이에 섬을 포함한 모든 육지가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경도의 12와 13은 생략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행정구역 명칭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의 변경, 좌표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의 대용량의 단점을 보완하여 지형지물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소용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GIS, 격자식별자, 위치표시, 경위도, 위치필드
Description
도 1은 지형지물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데이스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도로관리시스템에서 주키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1/5,000 도엽코드 부여 방법의 설명도.
도 4는 1/2,500 도엽코드 부여 방법의 설명도.
도 5는 1/1,000 도엽코드 부여 방법의 설명도.
도 6은 도엽코드 부여 및 도곽크기의 일 예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위 격자식별자의 부여 방법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주키 부여에 대한 일 예도.
본 발명은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위도의 초(″)단 위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하고 식별자(ID)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ㆍ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ㆍ분석ㆍ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 정보 시스템으로, 크게 토지 정보시스템, 도시 정보시스템, 도면 자동화, 시설물 관리 분야로 나누어지지만, 토지, 자원, 환경, 도시, 해양, 수산, 군사, 교통, 통신, 상하수도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이 GIS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 둘째 자료 데이터 구축, 셋째 자료 관리 과정, 넷째 자료 분석 및 조작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통계보고서ㆍ지도ㆍ도표 등을 작성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있어야 한다.
GIS가 갖추어지면 다양한 공간 분석이 가능하고, 그래픽 정보나 관련 데이터 베이스 등 각종 지형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도구와 조작도구를 이용해 방대한 공간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특수한 사용자를 위한 전용 매크로 언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밖에 사용자의 요구에 즉시 부응할 수 있는 도면 검색 시스템을 통해 도면과 속성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종 정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도면의 반영구적 사용과 수작업 관리로 인한 인위적인 오차 배제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GIS의 지리정보체계에서 건물, 도로, 철도, 하천 등과 같은 지형 지물은 각 관리기관의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각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에 각 지형지물을 대표하는 객체식별자(OID : Object Identifier)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 내부에서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더불어 지형지물은 위치의 정보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위치필드를 추가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필드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을 표현하게 된다.
도 1은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지형지물의 종류에 따라 주기(Primary-Key) 즉, ID 및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건물관리 시스템에서 주키인 ID를 부여하는 방법은 현재 우리 나라의 건물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기관은 건설교통부로, 각 지자체의 구청과 군청에서 관리구역내의 건물에 대하여 등록 및 허가를 받도록 되어 있으나, 우리 나라 전체적으로 건물에 일련번호 즉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키를 입력하는 방식은 중앙기관에서 입력 방식을 명령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건물에 대하여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대분류(10)-중분류(1)-소분류(8) ( EX : 2817070600-1-01850004)
코드해석 : (인천 남구 주안동 - 단독주택 - 185-4번지)
상기에서 대분류 10자리수는 법정코드분류표에 의한 것이며, 중분류는 건물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소분류는 ****-**** 번지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위와 같은 코드는 건축행정정보시스템(Architectur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현 AIS Vr.6.0)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로관리 시스템에서 주키를 부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로대장전산화 시스템(National Highwa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NAHMIS)에서는 국도유지관리사무소번호-노선번호-구조물도-세그먼트(500m 간격)의 형식에 맞추어서 순차적인 방식으로 주키를 부여하며,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철도에 주키를 부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철도는 철도의 노선코드와 역코드로 구분되며, 건설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코드를 부여한다. 즉, 경부선(01)부터 우암선(87)까지의 두 자리 숫자로 표현하며, 역은 철도의 시점에서부터 그 역까지의 거리를 숫자로 표현하며, 일 예로, 경부선의 부산역 : 01(경부선)-3763(376.3km)를 들 수 있다.
또한, 하천에 주키를 부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천은 수자원관리 종합정보관리시스템에서 전국은 6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본류를 기준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다. 번호는 하천코드 구성 권역 및 수계별 번호(2자리)와 하천등급(1자리), 하천번호(4자리)로 구성된다.
하천 = 수계[2] + 등급[1] + 하천번호[4]
다음은 유역에 주키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유역은 대권역, 중권역, 표준유역으로 구분하여 하천상류에서 하류로 일련번호를 부여(Downstream Order)하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유역 = 대권역[2] + 중권역[2] + 표준유역[2]
이와 같이 종래는 여러 관리기관의 성격에 맞도록 주키(ID)를 부여하고 그 위치에 대한 필드를 추가하여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현하였으며, 종래 이러한 지형지물의 위치 표현은 행정구역 명칭을 이용하거나 또는 수치지도 좌표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좌표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행정구역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은 행정구역의 변경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좌표를 이용한 방법은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점의 위치로 공간 객체의 영역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어떤 영역을 표시할 경우 적어도 3개 이상의 좌표를 알아야만 그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일 예로, 좌표를 이용하여 수계, 유역, 교통 죤(Zone) 등의 영역을 표현하기 위해 경위도 좌표를 사용하면 (경도×3개 이상 + 위도×3개 이상)의 좌표가 필요하므로 경도 124°-132°와 위도 33°-44°사이에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 39개 이상의 숫자로 그 영역을 표시할 수 있음에 따라 용량이 커져 공간 객체의 영역을 표현하기에는 유용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형지물의 위치 표현 시 경위도의 초단위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구성함으로써 식별자만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행정구역 명칭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의 변경 및 좌표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의 대용량화 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은, 경위도의 초(″)단위의 격자로 격자망을 구성한 후, 해당 경도와 위도로 격자식별자를 구성하여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격자망은 위거 24.7m 내지 25.7m, 경거 30.8 내지 30.9m로서 752 내지 791㎡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격자식별자는 격자의 좌하단점 경위도로 표시되고, 위도+ 경도로 표시되며, 위도 + 경도로 표현 시 우리 나라는 경도 124°-131° 사이에 섬을 포함한 모든 육지가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경도의 12와 13은 생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국을 경위도의 초(〃)단위 격자 즉, 초단위 격자망으로 분할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격자식별자(일명 국가영역식별자 : National Area Identifier(NAID))를 구성하는 것으로, 초단위 격자식별자는 격자의 좌하단점 경위도로 표시한다.
초단위 격자망이란 경위도 좌표계에서 경도와 위도를 각각 1초(〃)단위로 표 시한 격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대략 위거 24.7m 내지 25.7m, 경거 30.8 내지 30.9m로서 752 내지 791㎡의 면적을 가지게 된다.
초단위 격자망을 구성하는 방법은 수치지도 표준코드 부여체계와 경위도 좌표를 이용하며, 식별자를 부여하는 대상은 우리나라 육지에 해당하는 부분 즉, 섬 지역을 포함한 모든 육지 지역에 식별자를 부여한다.
부여된 식별자는 경도 1초(〃) × 위도 1초(〃)로 직사각형 모양의 영역을 표현하며 전국을 경위도의 값에 의해 공간객체를 표시하므로 중복이 없는 유일한 식별자가 된다.
수치지도 표준코드 부여 체계에 대해 살펴보면, 수치지도는 1/25,000, 1/5,000, 1/1,000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단위를 경도 4등분, 위도 4등분하여 16개 구역으로 분할하여 1/50,000을 제작하고, 1/50,000을 2×2(4등분)하여 1/25,000을 제작하고, 1/50,000을 10×10(100등분)하여 1/5,000을 제작하며, 1/50,000을 5×5(25등분)하여 1/10,000을 제작하고, 이를 다시 10×10(100등분)하여 1/1,000을 제작한다. 1/500은 1/1,000을 4등분하여 제작한다.
모든 수치지도 표준코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부여된다.
먼저, 도(°)단위 도엽코드는 위도 두자리와 경도에서 앞의 두자리(12 또는 13)를 삭제한 한자리를 조합하여 그 도곽의 코드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위도 36°, 경도 127°일 경우에는 "367"로 표시한다. 다음, 1/50,000 도엽코드는 경위도를 1°간격으로 분할한 지역에 대하여 다시 15′씩 16등분하여 하단 위도 두자리 숫자와 좌측경도의 끝자리 숫자를 합성한 뒤 해당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 기는 15′×15′이다. 그리고 1/25,000 도엽코드는 1/50,000 도엽을 4등분하여 1/50,000 도엽코드 끝에 1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는 7′30″× 7′30″이다.
또한, 1/10,000 도엽코드는 1/50,000 도엽을 25등분하여 1/50,000 도엽코드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는 3′×3′이다. 다음, 1/5,000 도엽코드는 1/50,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50,000 도엽코드 끝에 3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는 1′30″× 1′30″이며, 도 3은 1/5,000 도엽코드 부여 방법의 설명도이다.
그리고 1/2,500 도엽코드는 1/25,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25,000 도엽코드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는 45″× 45″이며, 도 4는 1/2,500 도엽코드 부여 방법의 설명도이다. 또한, 1/1,000 도엽코드는 1/10,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10,000 도엽코드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는 18″× 18″이며, 도 5는 1/1,000 도엽코드 부여 방법의 설명도이다. 1/500 도엽코드는 1/1,000 도엽을 4등분하여 1/1,000 도엽코드 끝에 1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는 9″× 9″이다.
도 6은 위도 36°, 경도 127°(367) 도엽코드 부여 및 도곽크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엽코드로 변형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보 공급자가 제공한 코드를 사용자가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경위도를 직접 표시해주는 경위도의 초단위 격자망을 구성하는 것이다. 표준코드를 경위도로 표시하는 방법은 도(°)단위 도엽코드에서 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1/50,000 도곽이 도단위 원점(분, 초가 '00'인 지점)과의 사이에 있는 도곽의 개수에 15′을 곱하고, 100등분한 1/5,000 도곽은 1/50,000 도곽 원점과의 사이에 있는 도곽의 개수에 1′30″를 곱하고 초단위 격자망의 도엽코드를 초(″)값으로 더해서 경위도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우리 나라는 위도 33°- 44°와 경도 124°-131°사이에 섬을 포함한 모든 육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초단위 격자식별자의 표시방법은 위도+경도로 표시하며, 경도의 12와 13은 생략하고 식별자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위도 36°14′59″와 경도 127°31′27″의 초단위 격자식별자는 "36145973127"과 같이 총 11개의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지형지물은 형태에 따라 점, 선, 면으로 표현된다. 측량기준점과 같은 점(Point)은 점을 포함하는 격자로 위치를 표시하고(도 7a), 도로, 철도, 하천과 같은 노선(Line)은 시작점을 포함하는 격자로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하며(도 7b), 건물과 같은 다각형(Polygon)은 지형지물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격자로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한다(도 7c).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국을 경위도의 초단위 격자로 구성하여 이에 코드를 부여하여 식별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당 식별자만으로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정보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8의 표와 같이 지형지물에 별도의 위치정보를 부여하지 않고도 주키 즉, 식별자인 ID가 경위도의 초단위 격자식별자이므로 이 식별자만으로도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정보의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은, 초단위 격자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건물, 도로, 철도 등 모든 지형지물에 위치를 주키(ID)로 사용하여 종래 객체식별자와 위치필드를 구성해야함에 따른 중복을 피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 DB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필드를 줄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행정구역 명칭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의 변경, 좌표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의 대용량의 단점을 보완하여 지형지물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소용량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하는 고정적인 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타 기관에서 정보를 참조 또는 이용할 경우에 자체 시스템에 맞도록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도 주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지형지물의 유일식별자(Unique Feature Identifier : UFID)를 부여할 때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 경위도의 초(″)단위의 격자로 격자망을 구성한 후, 상기 격자망이 속하는 경도와 위도로 격자식별자를 구성하여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에 있어서,상기 지형지물이 라인으로 표현되는 지형지물인 경우, 상기 지형지물의 시작점을 포함하는 격자로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망은위거 24.7m 내지 25.7m, 경거 30.8 내지 30.9m로서 760.76m2 내지 794.13m2의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식별자는상기 격자의 좌하단점 경위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식별자는상기 위도+ 경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식별자는상기 위도 + 경도로 표현 시 우리 나라는 경도 124°-131°사이에 섬을 포함 한 모든 육지가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경도의 12와 13은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지물이 다수의 격자로 표현되는 다각형인 경우, 상기 지형지물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격자로 지형지물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객체 위치 표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489A KR100725663B1 (ko) | 2004-11-23 | 2004-11-23 |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489A KR100725663B1 (ko) | 2004-11-23 | 2004-11-23 |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666A KR20060057666A (ko) | 2006-05-26 |
KR100725663B1 true KR100725663B1 (ko) | 2007-06-08 |
Family
ID=3715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6489A KR100725663B1 (ko) | 2004-11-23 | 2004-11-23 |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56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4316B1 (ko) * | 2021-11-08 | 2022-05-04 |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563236B1 (ko) * | 2022-12-23 | 2023-08-03 | (주)올포랜드 | 지리 격자 식별 정보를 활용한 3차원 객체의 통합 id 관리 방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4618A (ko) * | 1999-03-23 | 2001-02-26 |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 지리위치 정보 및 지리 정보 시스템들에 대한 관련레퍼런스들을 자동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020005306A (ko) * | 2000-07-10 | 2002-01-17 | 이상지 | 사용자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
-
2004
- 2004-11-23 KR KR1020040096489A patent/KR1007256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4618A (ko) * | 1999-03-23 | 2001-02-26 |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 지리위치 정보 및 지리 정보 시스템들에 대한 관련레퍼런스들을 자동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020005306A (ko) * | 2000-07-10 | 2002-01-17 | 이상지 | 사용자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666A (ko) | 200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ickinson | The west European city | |
KR101686848B1 (ko) | 평가지표의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 |
KR101686849B1 (ko) |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 |
KR101686846B1 (ko) |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 |
Parrot et al. | Urban GIS applications | |
CN105912659A (zh) | 一种地图生成方法及电子设备 | |
KR101686845B1 (ko) | 평가대상지 추출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 |
KR101686847B1 (ko) |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 |
Medina et al.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based pavement management system: a case study | |
KR100725663B1 (ko) |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 |
Schweiger | Current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transit planning | |
Krunić et al. | Model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ojvodina's population by using dasymetric method | |
Simkowitz | Transportation applic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
Mou et al. | Spatial analysis of the integration core of Comilla City corporation area and the impact of the by-pass road-A space syntax analysis | |
Bielecka et al. |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greenery in Warsaw. A quantitative approach | |
Akpomrere et al. | Bus rapid transit (BRT) and railway transport system in Lago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roach | |
CN103970867A (zh) | 一种基于多源数据矩阵化的社会化报警服务位置的编码方法 | |
Nenortaite et al. | Free Public Geodata Services-Theoretical Studies of Approach in Lithuania and Poland | |
Vela Castillo et al. | The Use of Orthogonal Grids in the Design of US Military Bases in Spain | |
Graettinger et al. | Display and analysis of crash data | |
Mali et al. | Geoinformatics application for urban utilities information system: A case study of Pune City, Maharashtra, India | |
Ibraheem et al. | Developing a comprehensive digital library using Airpor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GIS) | |
Taromi | A multi-objective land development optimization model | |
Komp | Aerial photo interpretation in Managua | |
Zhao et al. | Research on Thematic Data Processing and Database Construction of Sequence Dia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