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03B1 -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03B1
KR100724903B1 KR1019990056120A KR19990056120A KR100724903B1 KR 100724903 B1 KR100724903 B1 KR 100724903B1 KR 1019990056120 A KR1019990056120 A KR 1019990056120A KR 19990056120 A KR19990056120 A KR 19990056120A KR 100724903 B1 KR100724903 B1 KR 10072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ain
control
multiple access
division mult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054A (ko
Inventor
오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이득 조절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이득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동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제어전압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자동이득조절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에 공급되는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을 변경시키기 위한 전압 조절부와, 상기 구동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압조절부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값을 변화시켜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에 공급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 조절에 사용된다.
부호분할 다중접속, VDDM, 이득 조절, MSM, BBA, AGC

Description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LEPHONE S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전압조절부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득 조절범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는 이득 조절을 위해 자동이득증폭기(AGC : AUTOMATIC GAIN CONTROL : 이하 "자동이득증폭기"라 함)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이득증폭기의 이득 조절은 제어부(MSM : MOBILE SYSTEM MODEM)에서 출력되는 "TX_AGC_ADJ"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TX_AGC_ADJ"의 신호에 의해 자동이득증폭기에 공급되는 제어전압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TX_AGC_ADJ"에 의해 자동이득증폭기의 이득 조절 범위는 일정 범위로 정해져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득이 정해진다. 그러나 보드(BBA 또는 RF 보드 등)의 차이에 따른 이득 손실을 보상해주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이득 조절범위를 변경시켜주어야 하지만 종래와 같이 단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의 조절만으로는 이득 조절 범위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된 이득 조절 범위를 넘어서서 이득을 보상해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었을 시에는 이득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득을 조절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동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제어전압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자동이득조절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에 공급되는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을 변경시키기 위한 전압 조절부와, 상기 구동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압조절부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값을 변화시켜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에 공급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전압조절부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득조절 레인지 선택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자동이득조절부(1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VDDM)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어전압(TX_AGC_ADJ)을 발생하여 자동이득조절부(130)에 구비된 자동이득증폭기(131)를 조절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자동이득조절부(130)의 이득 조절은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전압(TX_AGC_ADJ)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자동이득조절부(130)는 구동전압(VDDM)에 의해 이득범위가 가변되어 동작되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TX_AGC_ADJ)에 의해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전압조절부(11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이득조절부(13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전압을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동작을 하기에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VDDM)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압조절부(110)에서 전압값이 변화되어 자동이득조절부(130)에 공급된다. 자동이득조절부(130) 전체에 공급되는 전압값이 변화함으로써 제어전압(TX_AGC_ADJ)이 변하지 않아도 이득의 조절범위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어전압(TX_AGC_ADJ)이 2.0V이고 자동이득조절부(13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DDM)이 2.4V일 때 최대 이득이 -4dBm이라면, 구동전압(VDDM) 2.7V를 자동이득조절부(130)에 공급하면 최대 이득이 약 -14dBm으로 10dB의 차가 나게 된다. 즉, 자동이득조절부(130)의 조절범위가 변경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조절부(110)의 회로 구성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 2 역다중화부(112)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역다중화시켜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가 제 1 역다중화부(111)의 제어신호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VDDM)이 선택신호(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제 1 역다중화부(111) 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저항 R1~R8중의 하나 또는 일부가 선택되어 자동이득조절부(130)로 공급된다. 따라서 자동이득조절부(130)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이 변화되게 되고 전체적으로 이득 조절범위가 변경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이득조절부의 구동전압을 조절하여줌으로써, 이득 조절범위를 변경시켜 보드의 차이에 의한 이득 손실을 보상해줄 수 있다.

Claims (3)

  1.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범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동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제어전압에 의해 입력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자동이득조절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에 공급되는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값을 변경시키는 전압조절부와,
    상기 구동전압 및 제어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압조절부에 공급하여,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에 공급되는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전압의 출력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부 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병렬 저항을 구비하며,
    상기 병렬 저항의 연결선택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의 전압값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엠에스엠(MS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56120A 1999-12-09 1999-12-09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KR10072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120A KR100724903B1 (ko) 1999-12-09 1999-12-09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120A KR100724903B1 (ko) 1999-12-09 1999-12-09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54A KR20010055054A (ko) 2001-07-02
KR100724903B1 true KR100724903B1 (ko) 2007-06-04

Family

ID=1962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120A KR100724903B1 (ko) 1999-12-09 1999-12-09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9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177A (ko) * 1997-12-29 1999-07-15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177A (ko) * 1997-12-29 1999-07-15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54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6331B1 (en) A method for making a power amplifier support multi-power, a radio frequency module and a testing method
CA225751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ared optical pump power sources
US8676054B2 (en) Optical transmission receiv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59565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7616702B2 (e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EP0876004B1 (en) Transmitter gain controller
CA2342101C (en) Optical amplifiers and optical transmission path
KR100724903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이득 조절 장치
US80734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er output lev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H11177444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EP1630965B1 (en) Power amplifying circuit in mobile terminal
KR100651920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KR101123593B1 (ko) 무선통신 신호의 증폭 장치 및 방법
US20020140511A1 (en) Current sense automatic level control system with pre-bias
JPH09116359A (ja) 電力増幅回路
JPH1041769A (ja) 送信機用自動利得制御回路
KR100454019B1 (ko) 모니터의화면밝기자동제어회로
SU1338000A1 (ru) Квадратурный уси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гулировкой усилени
KR20000001305A (ko) 전원전압 변동에 따른 왜곡 보상장치 및 방법
KR0176649B1 (ko) 전류비를 이용한 전류 증폭 제어 회로
KR100263830B1 (ko) 송신을 위한 중간 주파수 회로의 전력 절약 방법
JP3041149B2 (ja) パワー制御装置
KR100377083B1 (ko) 파워컨트롤회로
KR1006045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18908B1 (ko) 무선단말기의출력전력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