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85B1 -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 Google Patents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85B1
KR100724685B1 KR1020060010645A KR20060010645A KR100724685B1 KR 100724685 B1 KR100724685 B1 KR 100724685B1 KR 1020060010645 A KR1020060010645 A KR 1020060010645A KR 20060010645 A KR20060010645 A KR 20060010645A KR 100724685 B1 KR100724685 B1 KR 10072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article
power input
checking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영
Original Assignee
최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남영 filed Critical 최남영
Priority to KR102006001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몸체의 상부에 박스커버가 덮여지도록 구성된 박스에 있어서,상기 박스몸체는 전선의 일측에 접속된 전원입력부가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전선의 타측에 연결잭이 접속되어지고, 상기 박스커버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노출홈이 형성되어지며 물품의 작동을 볼 수 있는 확인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이 박스로 포장된 상태에서 박스를 개봉하지 않고 그 내부 물품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박스를 개봉 후 물품의 부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생산자 또는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분쟁 소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박스몸체, 박스커버, 전선, 전원입력부, 연결잭, 노출홈, 확인부

Description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THE BOX FOR THE CONFIRMATION OF OPERATION OF A PRODUC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와 그 내용물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에 있어 내용물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의 요부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박스 10:박스몸체
11:전선 13:연결잭
20:박스커버 21:노출홈
22:확인부
본 발명은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품이 박스로 포장된 상태에서 포장된 박스를 개봉하지 않고 그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물품의 작동 상태를 판매자와 소비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구입 후 부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분쟁 소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자로 부터 생산된 물품은 이를 보관, 운반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물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어떠한 물품이 들어있는지를 홍보 또는 광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박스는 통상 소정 두께 및 넓이를 갖는 골판지의 가장자리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접어 박스몸체를 제조하고, 같은 방법으로 박스커버를 제조하여 박스몸체에 박스커버가 덮여지도록 되어 있으며, 박스몸체와 박스커버의 내측면으로 제공되는 공간에 물품을 넣어 포장하고, 운반도중 내부에서 물품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품과 박스의 내부 공간 사이에 별도의 쿠션재가 개재되어진 불투명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며 박스몸체와 박스커버가 투명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또한, 박스몸체와 박스커버 사이에는 별도의 봉인스티커를 붙여 보관과 운반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판매자나 소비자가 임의로 개봉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박스를 이용하여 전기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기물품 또는 전자물품이나 기타의 물품을 포장하여 판매하는 과정에서 박스내에 포장된 물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알 수 없고, 물품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확인하려면 포장된 박스를 개봉하여야만 그 작동상태를 알 수 있게 됨에 따라 박스를 개봉 후 물품이 작동되지 않게 되면 반품이 되지 않음에 따라 생산자는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물품을 제조하여 판매자에게 제공했다 하고, 소비자는 생산자가 처음부터 작동되지 않는 물품을 제조하여 판매자에게 공급했다는 식의 소비자와 판매자 또는 판매자와 생산자 사이에 분쟁의 소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물품이 박스로 포장된 상태에서 박스를 개봉하지 않고 그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물품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구입 후 부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생산자 또는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분쟁 소지를 줄일 수 있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스몸체의 상부에 박스커버가 덮여지도록 구성된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는 전선(11)의 일측에 접속된 전원입력부가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전선(11)의 타측에 연결잭(13)이 접속되어지고, 상기 박스커버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노출홈(21)이 형성되어지며 물품의 작동을 볼 수 있는 확인부(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인부(22)는 박스커버의 내면에 연질형태를 갖는 차단막(23)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23)은 손가락이나 볼펜으로 가압되어지는 가압부(231)가 일측에 형성되어지며 그 타측이 투명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부는 원통단자(121)의 내부에 축단자(122)가 절연체(123)에 의하여 절연되어지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부는 핀단자 헤드(124)의 외주연부에 소정 깊이를 갖는 전선접속부(125)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인부(22)는 내부에 발광소자(24)를 구비하여 빛이 외부로 비쳐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부(22)는 내부에 스피커(25)를 구비하여 소정의 발생음이 외부로 들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어지는 박스몸체(10)와 박스커버(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박스몸체(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골판지의 가장자리를 접어 사각함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골판지의 가장자리가 접혀진 전면에는 전원입력부(12)가 노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입력부(12)는 미도시한 AC/DC 변환기의 출력잭(50)에 접속되어지는 것으로 절연체(123)에 의하여 원통단자(121)의 내부에 축단자(122)가 절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원통단자(121)와 축단자(122)에는 소정 길이를 갖 는 전선(11)의 일측단이 접속되어 박스몸체(10)의 내부로 위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로 위치한 전선(11)의 타측단에는 물품(40)의 전원입력단자(42)에 결합되어지는 별도의 연결잭(13)이 접속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부(12)는 절연체(123)에 의하여 원통단자(121)와 축단자(122)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원통단자(121)의 일측으로 외주연부에 소정 깊이의 전선접속부(125)가 형성된 핀단자 헤드(124)를 구비하여 외부로 부터 전원이 연결잭(13)으로 인가되어질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핀단자 헤드(124)는 외부로 노출되어 AC/DC 변환기의 출력측에 접속되어진 절연튜브(51)가 벗겨진 전선이 감겨지게 되며, 핀단자 헤드(124)의 내측은 박스몸체(10)의 전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인출되어지도록 하고, 내부로 인출된 부분은 소정 길이를 갖는 전선(11')이 원통단자(121)와 축단자(122) 또는 이들에 연결된 전선(11)에 각각 접속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박스커버(20)는 박스몸체(10)를 뒤집어 놓은 형태로 박스몸체(10)의 상부에 씌워지는 것으로 상기 전원입력부(12)가 형성된 위치에 대향되는 부분에 하단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 노출홈(21)이 형성되어 박스커버(20)를 박스몸체(10)에 열고 닫는 과정에서 박스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또는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전원입력부(1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박스커버(20)는 물품(40)의 스위치(41)가 놓여질 위치에 대향되는 부분에 물품(40)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확인부(22)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확인부(22)는 소정 길이인 장공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하부폼재(31)와 상부폼재(32)를 갖는 유동방지구(30)에 의하여 안전하게 보관되어지는 물품(40)의 작동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물품(40)의 스위치(4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로 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확인부(22)가 형성된 박스커버(20)의 내면에 연질형태를 갖는 차단막(23)이 부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23)은 그 일부 또는 일측이 손가락이나 볼펜 등으로 눌러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231)가 형성되어 가압부(231)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품(40)의 스위치(41)를 ON/OFF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압부(231)의 위치는 물품(40)의 구비되는 스위치(4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확인부(22)의 형태에 따라 차단막(23)이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졌을 경우, 물품(40)의 스위치(41)가 차단막(23)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면 그 곳을 가압부로 하고, 차단막(23)의 양측 하부에 위치하면 그 곳을 가압부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23)에 형성되어지는 가압부(231)를 제외한 나머지인 타측은 투명하도록 하여 물품(40)의 전면 또는 상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압부(231)를 눌러 물품(40)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작동되어지는 물품(40)을 외부에서 보거나 음향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231)를 누름에 의하여 작동되어지는 물품(40)의 동작 여부를 확인부(22)를 통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다양한 물품의 특성에 따라 램프가 점멸되는 물품일 경우, 확인부(22)를 물품의 램프가 위치된 곳으로 그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물품의 특성이 음향일 경우, 물품의 음향이 발생되는 스피커가 위치한 곳으로 확인부(22)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확인부(22)가 형성된 박스커버(20)의 내면에 단순히 그 내부를 볼 수 있는 차단막(23)이 부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것 이외에 차단막(23)이 형성된 확인부(22)의 내부에 발광소자(24)를 구비할 경우, 물품의 작동상태를 점등 또는 점멸되는 빛을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고, 차단막(23)이 형성된 확인부(22)의 내부에 스피커(25)를 구비할 경우, 물품의 작동상태를 스피커(25)에서 발생되는 발생음을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의 특성이 점멸되어지는 물품일 경우, 물품의 출력측 단자에 발광소자(24)의 입력측 단자가 별도로 접속되어지도록 하고, 그 특성이 음향이 출력되는 물품일 경우, 출력측 단자(이어폰 단자)에 미리 스피커(25)의 단자가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A)를 박스몸체(10)와 박스커버(20)가 구분되어 분리된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분리된 박스 이외에 박스몸체와 박스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박스에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박스(A)에 포장된 물품(40)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먼저, 박스(A)를 책상이나 기타 평평한 곳에 올려 놓은 후 AC/DC 변환기의 출력잭(50)을 전원입력부(12)에 꽂음과 동시에 변환기의 전원은 원 통단자(121)와 축단자(122) 및 전선(11) 그리고 연결잭(13)을 통해 물품(40)으로 인가되어지게 된다.
다음, 박스커버(20)에 형성된 확인부(22)의 일측 즉, 물품(40)의 스위치(41)나 미도시한 동작버튼을 손가락이나 볼펜의 끝으로 누르게 됨과 동시에 차단막(23)의 가압부(231)가 눌려지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41)가 눌려지게 됨에 따라 물품(40)이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박스몸체(10)와 박스커버(20)의 내측에 위치한 각각 하부폼재(31)와 상부폼재(32)가 물품(40)을 받치고 있음에 따라 스위치(41)가 용이하게 눌려지게 된다.
다음, 물품(40)이 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 물품이 카세트 플레이어일 경우, 카세트 플레이어가 회전되는 것이 차단막(23)을 통해 외부로 보여지게 되며, 엠피쓰리 일 경우, 엠피쓰리의 동작상태가 씨디 플레이어일 경우, 씨디 플레이어가 작동되는 상태가 보여지게 됨으로써 박스몸체(10)와 박스커버(20)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품(40)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의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C/DC 변환기의 출력잭(50)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품(40)의 전원입력단자(42)와 결합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지고, 이러한 출력잭(50)이 없을 경우, 절연튜브(51)가 벗겨진 부위를 핀단자 헤드(124)에 형성된 전선접속부(125)에 감거나 접촉시키면 전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물품(40)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막(23)이 형성된 확인부(22)의 내부에 발광소자(24)를 구비할 경우, 물품의 동작상태를 점등 또는 점멸하는 빛을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 게 되고, 차단막(23)이 형성된 확인부(22)의 내부에 스피커(25)를 구비할 경우, 물품의 동작상태를 스피커(25)에서 발생되는 발생음을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된 박스를 개봉하지 않고 그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물품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구입 후 물품의 부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생산자 또는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분쟁 소지를 획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박스몸체의 상부에 박스커버가 덮여지도록 구성된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는 전선(11)의 일측에 접속된 전원입력부가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전선(11)의 타측에 연결잭(13)이 접속되어지고, 상기 박스커버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노출홈(21)이 형성되어지며 물품의 작동을 볼 수 있는 확인부(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22)는 박스커버의 내면에 연질형태를 갖는 차단막(23)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3)은 손가락이나 볼펜 등 으로 가압되어지는 가압부(231)가 일측에 형성되어지며 그 타측이 투명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는 원통단자(121)의 내부에 축단자(122)가 절연체(123)에 의하여 절연되어지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는 핀단자 헤드(124)의 외주연부에 소정 깊이를 갖는 전선접속부(125)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22)는 내부에 발광소자(24)를 구비하여 빛이 외부로 비쳐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22)는 내부에 스피커(25)를 구비하여 소정의 발생음이 외부로 들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KR1020060010645A 2006-02-03 2006-02-03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KR10072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645A KR100724685B1 (ko) 2006-02-03 2006-02-03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645A KR100724685B1 (ko) 2006-02-03 2006-02-03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685B1 true KR100724685B1 (ko) 2007-06-08

Family

ID=3835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645A KR100724685B1 (ko) 2006-02-03 2006-02-03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6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28A (ja) * 1996-02-22 1997-09-02 Maeda Corp 緊急用品収納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28A (ja) * 1996-02-22 1997-09-02 Maeda Corp 緊急用品収納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4537A1 (en) Interactive merchandising packaging
KR20130051071A (ko) 포장 상자
US20060144753A1 (en) Packing box for packaging and display
US20060042135A1 (en) Sound device for enhancing gift packages, and method and system for marketing such device
CN108349644A (zh) 用于消费品的包装
KR100724685B1 (ko) 물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US8757385B2 (en) Packaging for electrical equipment
JP4175947B2 (ja) 電気的な蓄電池のためのパッケージ
KR200461658Y1 (ko) 포장용 상자
KR100641353B1 (ko) 제품의 작동확인용 박스
TWI624410B (zh) 包裝盒
US9340342B2 (en) Product packaging having magnetic activated test mode
KR100779218B1 (ko) 커버박스를 채용한 포장용 박스
JP3972437B2 (ja) 包装体
CN208746650U (zh) 一种包装盒
KR100355622B1 (ko) 멜로디가 발생하는 비닐봉투
CN214932430U (zh) 唱片式玩具包装结构
KR101298696B1 (ko) 포장용 상자
US7037122B1 (en) CPU socket module and protective cap thereof
CN209852766U (zh) 一种产品包装内托和产品包装盒
CN100425514C (zh) 环保包装盒
JP2006069592A (ja) 梱包箱
KR200217893Y1 (ko) 음성 및 멜로디발생기능을 가지는 콤팩트디스크(cd) 케이스
JPH11263387A (ja) 電子部品の包装装置
JP6742924B2 (ja) 半円筒型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