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44B1 -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44B1
KR100724644B1 KR1020060054948A KR20060054948A KR100724644B1 KR 100724644 B1 KR100724644 B1 KR 100724644B1 KR 1020060054948 A KR1020060054948 A KR 1020060054948A KR 20060054948 A KR20060054948 A KR 20060054948A KR 100724644 B1 KR100724644 B1 KR 10072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peater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644B1/ko
Priority to US11/804,090 priority patent/US20070294724A1/en
Priority to EP07108917A priority patent/EP1871026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0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maps, charts or atl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갭필러 정보 저장부; 전자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중계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부제어부; 상기 부제어부에서 검출된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로부터 그 중계기의 위치좌표를 읽어오고, 상기 전자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를 검색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위치에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중계기로부터 식별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주변 지역정보를 제공한다.
갭필러, 디엠비(DMB),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지역정보

Description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LOCAL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전달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포맷의 예,
도 4는 도 2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 갭필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
도 5는 도 2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지역 정보 알림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도 6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 지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
도 8은 도 6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지역 정보 알림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성 방송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지역정보 알림기능을 수행하는 DMB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하고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휴대폰,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등)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초기에는 무선으로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점차 문자 전송, 이미지 전송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의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문자, 음성,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 비스란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휴대폰,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등)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예컨대, 지역정보 등)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을 사용하였다.
망 기반 방식은 기존의 휴대폰에 새로운 모듈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폰 개발에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선 기지국의 셀(cell) 크기나 위치 결정 방식에 따라서 위치 오차가 대략 500m ~ 수 km에 이를 정도로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은 비교적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고가의 GPS 수신기를 장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 위치와 관련된 부가정보(예컨대, 지역정보 등)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 고가의 GPS 수신기를 장착하거나 위치 오차를 감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치 확인을 위한 고가의 장 비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도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위치에 근거한 지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갭필러 정보 저장부; 전자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중계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부제어부; 상기 부제어부에서 검출된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로부터 그 중계기의 위치좌표를 읽어오고, 상기 전자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를 검색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위치에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는 갭필러 식별번호 저장필드; 해당 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위치좌표 저장필드;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이름을 저장하는 위치이름 저장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도 저장부는 지도상에 포함된 도로들을 분할하여 표시한 링크별로 주행거리, 평균주행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제어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중계기 식별정보 저장 필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위치좌표별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지역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로부터 중계기의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에 대한 지역정보를 읽어오고, 그 지역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는 지역정보 식별번호 저장필드; 특정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위치좌표 저장필드;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이름을 저장하는 위치이름 저장필드; 및 상기 위치좌표 주변의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주변지역정보 저장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휴대전화기 또는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지역정보 알림 방법은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중계기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중계기 식별정보 검출과정;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중계기 설치위치 검출과정; 기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 터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를 검색하는 지도검색과정; 및 상기 검색된 위치에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 검출과정은 미리 저장된 중계기 식별정보 저장 필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필드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기 저장된 위치좌표별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된 위치좌표에 대응된 지역정보를 읽어 와서 그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특히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한편 대용량의 디지털 멀티미디어(예컨대, 동영상, 뮤직비디오 등)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탑재기술이 발달하고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디엠비(DMB) 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위성 DMB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성 DMB 시스템은 방송국(100), 디지털 방송 위성(200), 중계기(Gap Filler)(300) 및 DMB 수신기(400)를 포함한다.
방송국(100)은 동영상, 뮤직비디오, 드라마 등 각종 방송 신호(14 GHz)를 생성하여 디지털 방송 위성(200)으로 송출한다.
디지털 방송 위성(200)은 방송국(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14 GHz)를 수신하여 지상으로 2.6 GHz 대역 또는 14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송신한다.
중계기(Gap Filler)(300)는 디지털 방송 위성(200)으로부터 14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2.6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중계기(Gap Filler)(300)는 디지털 방송 위성(200)으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예컨대, 파일럿 채널)의 특정 영역에 중계기 식별정보(Gap Filler ID, 이하 '갭필러 아이디(GFID)'라 칭함)를 삽입한 후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는 갭필러 마다 고유한 정보로서 모든 중계기가 다른 값을 가진다.
DMB 수신기(400)는 디지털 방송 위성(200) 또는 중계기(300)로부터 2.6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DMB 수신기(400)는 중계기(30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DMB 수신기(400)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DMB 수신기(400)는 자신의 위치좌표를 검출한 후 전자 지도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거나, 기 저장된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위치좌표에 대응된 지역정보를 읽어 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DMB 수신기(400)는 휴대전화기 또는 개인용 휴대단말기(PDA) 등 이동통신단말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DMB 수신기(40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400)는 키패드(410),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420),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 주제어부(440), 부제어부(450), RF 튜너(460), 스피커부(470) 및 지도 정보 저장부(480)를 포함한다.
키패드(410)는 DMB 수신기(4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UI command)를 입력받아 주제어부(440)로 전달한다.
LCD(420)는 주제어부(440)의 제어를 받아 DMB 수신기(4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특히 LCD(420)는 주제어부(440)의 제어를 받아 RF 튜너(460)를 통해 수신된 DBM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LCD(420)는 주제어부(440)의 제어를 받아 지도 정보 저장부(480)에 저장된 지도를 표시하고, 그 지도상에 DMB 수신기(400)의 현재위치를 표시한다.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 및 위치명을 저장/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는 갭필러 아이디별로 대응된 위치정보(예컨대, 위치좌표 및 위치 명 등)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 구조의 예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 구조의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주제어부(440)는 DMB 수신기(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주제어부(440)는 키패드(4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UI Command) 또는 기 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MB 수신기(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주제어부(440)는 키패드(4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요청정보에 의거하여 부제어부(45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 또한 주제어부(440)는 부제어부(450)로부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전달받고,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이용하여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를 검색한다. 그 결과 주제어부(440)는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로부터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읽어온다. 그리고 그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 저장부(480)를 검색하여 그 위치좌표에 대응된 전자지도 상에서의 위치정보를 읽어온다. 그리고 그 전자지도 및 그 전자지도 상에서의 DMB 수신기(400)의 위치를 LCD(420)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위해 주제어부(440)는 MSM 6550 칩으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음성메시지로 생성하여 스피커부(47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제어부(450)(일명, DMB 칩)는 주제어부(440)로부터 전달된 DMB 전원 제어 신호(DMB PWR-ON)에 응답하여 동작 개시되며, DMB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F 튜너(460)를 온(on)시킨다. 이를 위해 부제어부(450)는 RF 튜너(460)에게 RF 전원 제어신호(RF PWR-ON)를 전달한다. 그리고 부제어부(450)는 RF 튜너(460)로부터 DMB 데이터를 포함하는 I/Q 신호가 전달되면 그 I/Q 신호로부터 갭필러 아이디(GFID)를 검출하여 주제어부(440)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제어부(450)는 RF 튜너(460)를 통해 수신된 파일롯 채널로부터 상기 파일롯 채널을 송신한 중계기 식별정보(즉, 갭필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이를 주제어부(440)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제어부(440)가 갭필러 아이디(GFID)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부제어부(450)는 파일롯 채널 중 갭필러 아이디(GFID) 필드(즉, 갭필러 아이디(GFID)의 저장위치)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RF 튜너(460)는 부제어부(450)로부터 전달된 RF 튜너 전원 제어신호(RF PWR-ON)에 응답하여 동작 개시되어 DMB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부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지도정보 저장부(480)는 전자 지도 데이터를 저장/관리한다. 예를 들어 지도 정보 저장부(480)는 지도상에 포함된 도로들을 분할하여 표시한 링크별로 주행거리, 평균주행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 데이터를 저장/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역 정보 알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갭필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이다. 특히 도 3은 한 프레임의 DMB 데이터(500)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MB 데이터(500)는 32비트의 파일롯 심볼(PS)과 32비트의 위성 방송 제어 데이터(D1 ~ D51)가 교번하여 배치 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 때 파일롯 심볼은 데이터가 모두 '1'이고, 위성 방송 제어 데이터 중 'D1'는 유니트 워드를 나타내고, 'D2'는 프레임 카운터를 나타내고, 'D3 ~ D50'은 방송채널에 대한 제어 데이터이고, 'D51'은 예비(reserve) 제어 데이터 공간으로 데이터가 실려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DMB 데이터(500)는 상기 구분된 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각종 제어 정보 및 채널 정보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중계기는 상기 데이터 영역들 중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영역에 갭필러 아이디(GFID)를 저장하여 DMB 수신기로 전달한다. 통상적으로 중계기는 상기와 같은 DMB 데이터(500)의 데이터 영역 중 'D3(510)'의 상위 4바이트(bytes)를 이용하여 갭필러 아이디(GFID)를 부가한다. 또한 중계기는 데이터가 실려 있지 않은'D51'영역을 이용하여 갭필러 아이디(GFID)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2의 부제어부(450)는 이와 같이 DMB 데이터(500)로부터 갭필러 아이디(GFID)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가 DMB 데이터(500)의 어느 영역에 저장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영역에서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 갭필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 구조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는 갭필러 ID 필드(431)/위치 이름 필드(433)/위치정보 필드(435)를 포함한다.
갭필러 ID 필드(431)는 갭필러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위치이름 저장필 드(433)는 해당 위치에 대한 위치 이름을 저장하고, 위치좌표 저장필드(435)는 해당 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한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지역 정보 알림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RF 튜너(460)를 통해 파일롯 채널을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S105) 부제어부(450)는 그 DMB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파일롯 채널을 송신한 중계기 식별정보(즉, 갭필러 아이디(GFID))를 검출한다(S110). 그리고 그 검출 결과를 주제어부(4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주제어부(440)는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이용하여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에 대응된 위치정보를 검출한다(S115). 갭필러 정보 관리 DB(430)는 갭필러 각각이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므로, 상기 과정(S115)에서 주제어부(440)는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이용하여 해당 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제어부(440)는 그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지도정보 저장부(480)를 검색하여(S120) 그 위치좌표에 대응된 전자지도 상에서의 위치정보를 읽어온다. 그리고 그 전자지도 및 그 전자지도 상에서의 DMB 수신기(400)의 위치를 LCD(420)를 통해 출력한다(S125). 즉 지도 상에 DMB 수신기(4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주제어부(44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음성메시지로 생성한 후 스피커부(47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일련의 과정들(S105 내지 S125)은 반복 수행되다가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130)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600)는 키패드(610),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620),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 주제어부(640), 부제어부(650), RF 튜너(660), 스피커부(670) 및 지역정보 관리 DB(680)를 포함한다.
키패드(610)는 DMB 수신기(6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UI command)를 입력받아 주제어부(640)로 전달한다.
LCD(620)는 주제어부(640)의 제어를 받아 DMB 수신기(6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특히 LCD(620)는 주제어부(640)의 제어를 받아 RF 튜너(660)를 통해 수신된 DBM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LCD(620)는 주제어부(640)의 제어를 받아 DMB 수신기(600)의 현재위치에 대응된 지역정보(예컨대, 지리정보, 주변 교통정보 등)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 및 위치 명을 저장/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는 갭필러 아이디별로 대응된 위치정보(예컨대, 위치좌표 및 위치 명 등)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 구조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유사하다. 따라서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주제어부(640)는 DMB 수신기(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주제어 부(640)는 키패드(6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UI Command) 또는 기 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MB 수신기(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주제어부(640)는 키패드(6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요청정보에 의거하여 부제어부(65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 또한 주제어부(640)는 부제어부(650)로부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전달받고,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이용하여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를 검색한다. 그 결과 주제어부(640)는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로부터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에 대응된 위치좌표를 읽어온다.
그리고 그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지역정보 관리 DB(680)를 검색한다. 그리고 지역정보 관리 DB(680)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에 대한 지역정보(예컨대, 지리정보, 주변 교통정보 등)를 읽어온다. 그리고 그 지역정보를 LCD(620)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위해 주제어부(640)는 MSM 6550 칩으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음성메시지로 생성하여 스피커부(67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제어부(650)(일명, DMB 칩)는 주제어부(640)로부터 전달된 DMB 전원 제어신호(DMB PWR-ON)에 응답하여 동작 개시되며, DMB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F 튜너(660)를 온(on)시킨다. 이를 위해 부제어부(650)는 RF 튜너(660)에게 RF 전원 제어신호(RF PWR-ON)를 전달한다. 그리고 부제어부(650)는 RF 튜너(660)로부터 DMB 데이터를 포함하는 I/Q 신호가 전달되면 그 I/Q 신호로부터 갭필러 아이디(GFID)를 검출하여 주제어부(640)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제어부(650)는 RF 튜너(660)를 통해 수신된 파일롯 채널로부터 상기 파일롯 채널을 송신한 중계기 식별 정보(즉, 갭필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이를 주제어부(640)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제어부(640)가 갭필러 아이디(GFID)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부제어부(650)는 파일롯 채널 중 갭필러 아이디(GFID) 필드(즉, 갭필러 아이디(GFID)의 저장위치)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RF 튜너(660)는 부제어부(650)로부터 전달된 RF 튜너 전원 제어신호(RF PWR-ON)에 응답하여 동작 개시되어 DMB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부제어부(650)로 전달한다.
지역정보 관리 DB(680)는 위치좌표별 지역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좌표 주변의 지리정보(건물명 등), 주변 교통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역정보 관리 DB(680) 구조의 예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정보 관리 DB(680) 구조의 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 지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역정보관리 DB(680)는 지역정보 식별번호 저장필드(ID)(681), 특정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위치좌표 저장필드(683),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이름을 저장하는 위치이름 저장필드(685) 및 상기 위치좌표 주변의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주변지역정보 저장필드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6에 예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지역 정보 알림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역정보 알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RF 튜너(660)를 통해 파일롯 채널을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 면(S205) 부제어부(650)는 그 DMB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파일롯 채널을 송신한 중계기 식별정보(즉, 갭필러 아이디(GFID))를 검출한다(S610). 그리고 그 검출 결과를 주제어부(6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주제어부(640)는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이용하여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에 대응된 위치정보를 검출한다(S215). 갭필러 정보 관리 DB(630)는 갭필러 각각이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므로, 상기 과정(S215)에서 주제어부(640)는 상기 갭필러 아이디(GFID)를 이용하여 해당 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제어부(640)는 그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지역정보 관리 DB(680)를 검색한다(S220). 또한 상기 검색(S220) 결과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지역정보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S225)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지역정보가 있는 경우 그 지역 정보를 제공한다(S230). 즉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지역정보를 LCD(62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주제어부(640)는 상기 지역정보를 음성메시지로 생성한 후 스피커부(67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DMB 데이터를 수신 중인 경우 고가의 GPS 수신기를 별도로 부가하지 않고도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그를 이용한 지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역정보 알림 기능이 구비된 DMB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위치 확인을 위한 고가의 장비(예컨대, GPS 수신기 등)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도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위치에 근거한 지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갭필러 정보 저장부;
    전자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중계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부제어부;
    상기 부제어부에서 검출된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로부터 그 중계기의 위치좌표를 읽어오고, 상기 전자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를 검색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위치에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는
    갭필러 식별번호 저장필드;
    해당 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위치좌표 저장필드;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이름을 저장하는 위치이름 저장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저장부는
    지도 상에 포함된 도로들을 분할하여 표시한 링크별로 주행거리, 평균주행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제어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중계기 식별정보 저장 필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휴대전화기 또는 피.디.에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갭필러 정보 저장부;
    위치좌표 별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지역정보 저장부;
    중계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부제어부;
    상기 부제어부에서 검출된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로부터 그 중계기의 위치좌표를 읽어오고,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에 대한 지역정보를 읽어오는 주제어부; 및
    상기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러 정보 저장부는
    갭필러 식별번호 저장필드;
    해당 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위치좌표 저장필드;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이름을 저장하는 위치이름 저장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는
    지역정보 식별번호 저장필드;
    특정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위치좌표 저장필드;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이름을 저장하는 위치이름 저장필드; 및
    상기 위치좌표 주변의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주변지역정보 저장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제어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중계기 식별정보 저장 필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휴대전화기 또는 피.디.에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11. 지역정보 알림 방법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중계기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중계기 식별정보 검출과정;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중계기 설치위치 검출과정;
    기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된 위치를 검색하는 지도검색과정; 및
    상기 검색된 위치에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정보 알림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 검출과정은
    미리 저장된 중계기 식별정보 저장 필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위치정보 알림 방법.
  13. 지역정보 알림 방법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별로 그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저장하는 과정;
    상기 중계기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과정;
    기 저장된 위치좌표별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된 위치좌표에 대응된 지역정보를 읽어오는 과정; 및
    상기 읽어온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정보 알림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 검출과정은
    미리 저장된 중계기 식별정보 저장 필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위치정보 알림 방법.
KR1020060054948A 2006-06-19 2006-06-19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KR10072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948A KR100724644B1 (ko) 2006-06-19 2006-06-19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US11/804,090 US20070294724A1 (en) 2006-06-19 2007-05-17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local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07108917A EP1871026A2 (en) 2006-06-19 2007-05-25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local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948A KR100724644B1 (ko) 2006-06-19 2006-06-19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644B1 true KR100724644B1 (ko) 2007-06-04

Family

ID=3835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948A KR100724644B1 (ko) 2006-06-19 2006-06-19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94724A1 (ko)
EP (1) EP1871026A2 (ko)
KR (1) KR100724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563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측위 정확도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0627B2 (en) * 2000-11-15 2012-03-20 Pacific Data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ush-to-email communic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5448A1 (en) 2000-11-16 2002-08-22 Messay Amerga Posi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detection and compensation for repeaters
KR20020072340A (ko) 2001-03-09 2002-09-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단말기위치 추적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5766A (ko) 2001-06-15 2002-12-28 (주)프리샛 코리아 디에이비 신호를 이용한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KR20030077110A (ko) 2002-03-25 2003-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망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추적 방법
KR20040004826A (ko) 2002-07-05 2004-01-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파일럿 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국의위치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87071A (ko) 2003-04-04 2004-10-13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방송위성과 지상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및 단말기 위치 추적만을 위한 더미 파일럿 중계기
KR100536187B1 (ko) * 2004-09-17 2005-12-16 (주)래디안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5931A (ko) 2004-07-14 2006-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dmb단말기
KR20060118790A (ko) 2005-05-17 2006-11-24 (주)엑스톤 중계기 용량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4485B1 (en) * 1998-12-23 2004-06-22 American Calcar Inc. Technique for effectively providing maintenance and information to vehicles
US20030069693A1 (en) * 2001-01-16 2003-04-10 Snapp Douglas N. Geographic pointing device
US7035647B2 (en) * 2002-02-07 2006-04-25 Openwave Systems Inc. Efficient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units
JP2003018073A (ja) * 2001-06-29 2003-01-1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基地局の運用制御方法及び移動基地局
JP3919654B2 (ja) * 2002-11-29 2007-05-30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5448A1 (en) 2000-11-16 2002-08-22 Messay Amerga Posi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detection and compensation for repeaters
KR20020072340A (ko) 2001-03-09 2002-09-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단말기위치 추적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5766A (ko) 2001-06-15 2002-12-28 (주)프리샛 코리아 디에이비 신호를 이용한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KR20030077110A (ko) 2002-03-25 2003-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망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추적 방법
KR20040004826A (ko) 2002-07-05 2004-01-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파일럿 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국의위치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87071A (ko) 2003-04-04 2004-10-13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방송위성과 지상 중계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및 단말기 위치 추적만을 위한 더미 파일럿 중계기
KR20060005931A (ko) 2004-07-14 2006-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mb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dmb단말기
KR100536187B1 (ko) * 2004-09-17 2005-12-16 (주)래디안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8790A (ko) 2005-05-17 2006-11-24 (주)엑스톤 중계기 용량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563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측위 정확도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17981B1 (ko) 2010-08-12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측위 정확도 표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94724A1 (en) 2007-12-20
EP1871026A2 (en)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6642B1 (en) Low energy beacon encoding
US8204686B2 (en) Scheduling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and navigation terminal
US8072354B2 (en) Mobile vehicl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50261002A1 (en) Tracking method and system to be implemented using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90017800A1 (en) Fm transmitter control
KR2012008803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기 검색 방법 및 장치
CN101877818A (zh) 定位业务辅助数据更新通知的方法及系统
US20070293243A1 (en) Flexible A-GPS locator
US201301023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data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20070084982A (ko)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724644B1 (ko) 지역 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알림 방법
JP2007088820A (ja) 携帯電話機
US20080010010A1 (en) Navigation system
US20070006265A1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guide service using EPG data and broadcasting receiver therefor
US201101598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ion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9080595A (ja) 緊急地震速報配信システム、緊急地震速報受信装置及び緊急地震速報受信装置への現在位置登録方法
KR100724639B1 (ko) 위치등록 및 알림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와, 그 등록 및 알림 방법
JP5087045B2 (ja) ワンセグ放送システム、中継装置、チャネルリスト配信サーバおよび受信方法
CN108093365B (zh) 一种地理标志信息发送方法及装置
KR20050078076A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JP200325940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0771993B1 (ko) 위치정보 알림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및 그 방법
JP2007150664A (ja) 移動受信端末の受信状況報知システム
KR1011078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랜 정보 검색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03833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기지국 위치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