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171B1 -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 - Google Patents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171B1
KR100724171B1 KR1020027010492A KR20027010492A KR100724171B1 KR 100724171 B1 KR100724171 B1 KR 100724171B1 KR 1020027010492 A KR1020027010492 A KR 1020027010492A KR 20027010492 A KR20027010492 A KR 20027010492A KR 100724171 B1 KR100724171 B1 KR 10072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tape
attached
plastic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176A (ko
Inventor
이브라힘 심해이
Original Assignee
이브라힘 심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707,758 external-priority patent/US6461041B1/en
Application filed by 이브라힘 심해이 filed Critical 이브라힘 심해이
Publication of KR2002009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플라스틱티셔츠백은 백의 측면거싯 및 바닥부에 봉합선(14)을 갖는 압출된 플라스틱 튜브형태를 포함한다. 거싯과 봉합선(14)의 내측접힘부의 교차점(24)이 백의 바닥부의 가장 약한 영역이다. 보강테이프(30)는 양쪽의 약해지는 영역에 걸쳐 연장되며 백에 부하가 걸릴 때 상기 영역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한다.

Description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GUSSETTED PLASTIC BAG}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인용참조되고 있는 2000년 2월 15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09/504,427호의 일부계속출원(continuation-in-part)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백(plastic bag) 및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통상적으로 티셔츠백(T-shirt bag)이라 불리우는 거싯으로 보강된 백(gussetted bag)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및 그 이외의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백은 티셔츠백으로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티셔츠백은 거싯보강되고, 봉합되며(sealed), 백의 측면상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백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되는 튜브형의 플라스틱필름으로 만들어진다.
티셔츠백용 손잡이는 거싯으로 보강된 측면영역에 형성된다. 그 결과로, 백에 부하가 걸리고 손잡이로 들려질 때, 바닥봉합부 및 거싯접힘부의 교차점(junction) 있는 영역으로 반대방향의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백에 부하가 걸리고 손잡이로 들려질 때, 그들 교차점에서 가장 찢어지기 쉽다.
과부하가 걸린 백은 거싯바닥봉합교차점이 터지지 않으면, 손잡이에서 찢어지기 쉽다. 손잡이는 그 넓이를 넓게 하면 강화될 수 있으나 손잡이의 폭은 거싯 의 폭으로 제한되며, 거싯이 넓을 수록 거싯과 바닥봉합의 교차점은 더 약해진다.
이들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플라스틱필름의 두께를 넓히거나 플라스틱의 질을 개선시키면, 비례적으로 강화되는 반면, 교차점은 백에서 가장 약한 영역이 될 것이다. 또한, 이들 해결책은 원재료의 양 또는 질을 높이기 때문에 비용의 추가를 가져오게 된다.
더욱이, 튜브형의 필름이 거싯될 때, 백의 측면에 있는 거싯으로 보강된 영역의 두께는 중심에서 거싯으로 보강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의 2배이다. 백의 바닥에서 봉합부를 형성하는 봉합수단은 거싯으로 보강된 영역에서 4개의 층 모두를 함께 용접하기 위하여 충분한 열을 제공해야 한다. 상기 열은 백의 거싯으로 보강되지 않은 중심영역에서 요구되는 것보다는 더 많이 열이 요구된다. 거싯으로 보강되지 않은 부분에 가해진 과도한 열은 특히 거싯접힘부와 바닥봉합부와의 교차점의 영역을 약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접근법은 봉합공정의 속도를 낮춤으로써 봉합시간을 늘이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변화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을 뿐더러, 생산속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최종제품에 대한 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비교가능한 구조의 종래기술의 백보다 더욱 강하며, 제조시 본질적으로 더 많은 경비가 들지 않는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싯접힘부와 봉합선과의 교차점이 백의 가장 약한 영역이 되지 않도록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특별한 목적은 제조단가를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종래의 티셔츠백을 강화하는 경제적인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플라스틱필름의 두께에 대하여 손잡이가 더 넓은 티셔츠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테이프가 거싯접힘부와 바닥봉합부간의 교차점을 포함하거나 그와 인접한 영역에 걸쳐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의 바닥에 접착된다. 2개의 테이프가 백의 대향측면에 붙여지거나 단일 플라스틱테이프가 봉합부에 걸쳐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과는 봉합부/거싯교차점에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테이프로 옮겨, 더이상 백이 2개의 교차점의 영역에서 먼저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설명을 목적으로 종래기술의 티셔츠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a는 2A-2A 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 2b는 도 1의 2B-2B 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가득 담긴 종래의 티셔츠백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득 담긴 티셔츠백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셔츠백의 정면도; 및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득 담긴 티셔츠백의 정면도.
도 7은 백의 양측에 보강테이프를 부착하는 기계의 측면도;
도 7a는 도 7에 도시된 테이프부착장치의 확대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계의 평면도;
도 9는 밑바닥에 테이프가 붙여지는 방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질적으로 동일한 상부테이프를 붙이는 기구;
도 10은 백의 반대측면에 2개의 테이프를 접착하는 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백의 바닥부위에 단일 테이프를 접는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부분도;
도 12는 접기직전의 도 11에 도시된 장치의 측단면도;
도 13은 백의 바닥에지부위에서 접혀지고 난 후, 도 11 및 12의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5는 비접착식 테이프가 채택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설명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티셔츠백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백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압출된 튜브형태(tubular form)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 후, 내측접힘부(10) 및 각각의 측면에 2개의 외측접힘부(12)를 형성하면서 튜브는 부분적으로 거싯으로 보강된다. 그 다음, 외측판(11 및 13)을 포함하는 평탄화되고 거싯으로 보강된 웨브(web)는 바닥봉합부(14) 및 상부봉합부(16)를 형성하도록 용접장치로 보내진다. 그 후, 봉합된 웨브는 개별백이 웨브로부터 절단되는 다이절단장치를 거치게 된다. 그러면, 백이 (예를 들어, 50개의 백 더미로) 쌓이게 되고 백의 각 더미는 백에서 컷아웃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다. 컷아웃영역(18)을 성형함으로써, 2개의 손잡이(20)는 백의 거싯으로 보강된 측면부에 형성된다.
거싯으로 보강된 백은 2개의 외측영역(22A)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4겹의 필름을 포함하며, 중심영역(22B)은 2겹만을 포함한다. 열봉합단계중에, 영역(22A)에서 4개의 층 모두를 함께 용접하도록 백의 바닥부에 충분한 열이 가해져야 한다. 실제로는, 2겹만이 있는 영역(22B)에 더 적은 열을 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결과로, 봉합부를(14)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열을 영역(22A)에 가하면, 영역(22B)에는 과도한 열이 생성된다. 이 과도한 열 때문에, 봉합부(14)는 중심영역(22B)에서 가장 약하게 된다.
웨브가 봉합장치를 거쳐 이동되면서 봉합부(14)는 거싯으로 보강된 웨브와의 접촉하도록 이동되는 봉합바(sealing bar)에 의하여 형성된다. 봉합부의 형성은 바의 온도, 웨브상에서의 바의 체류시간(dwell time) 및 바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좌우된다. 플라스틱층이 두꺼울수록, 봉합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열 및/또는 압력이 요구된다. 봉합바의 온도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높은 열이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압력의 증가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물론, 제조공정을 느리게 하는 체류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웨브의 두께가 15 미크론인 경우, 350°F로 가열된 봉합바는 압력 45psi에서 0.8초의 체류시간을 가지는 것이 가장 좋다. 웨브의 두께가 30 미크론으로 증가하는 경우, 봉합바의 온도가 450°F로 증가하고 압력이 최하 46psi로 증가된다면, 동일한 체류시간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부하가 걸리고 손잡이(20)로 들려진 후의 종래의 티셔츠백을 예시한다. 백의 내용물은 화살표 F로 나타낸 중력으로 인한 힘을 발생시킬 것이다. 손잡이가 교차점(24)에서 백의 바닥부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백안의 내용물의 무게는 일차적으로 교차점에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같은 힘 f1 및 f2을 생성한다. 따라서, 이들 교차점이 백안의 무게가 과도할 경우에 가장 파손되기(즉, 찢어지기) 쉬운 바로 백의 영역이다.
거싯이 더 깊어짐에 따라, 교차점이 파손되는 경향은 커진다. 백이 완전히 거싯으로 보강되었을 때 즉, 내측접힘부(10)와 봉합선(14)의 교차점이 봉합선의 중심에서 만날 때, 교차점의 영역이 가장 약하다. 한편, 손잡이를 더 넓게 하려면 더 깊은 거싯이 바람직하다. 더 넓은 손잡이가 더 무거운 무게를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소비자의 관점에서도 더 편하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필름의 두께 또는 플라스틱의 품질을 높임으로써 티셔츠백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이들 모두는 백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백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교차점(24)을 분리시키려는 힘을 흡수하는 보강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탁월한 결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30)는 봉합부(14)를 따라 백의 바닥부에 접착되어 교차점(24)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점(30A)에서 점(30B)까지 연장된 테이프(30)가 도시된다. 테이프의 길이는 매우 중요하지는 않으나 교차점간의 거리보다 길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테이프(30)가 길수록 보강이 더 잘 된다. 놀랍 게도, 필름두께에 있어서의 비교할 수 있는 테이프가 백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즉, 2개의 미크론 테이프를 붙인 15 미크론백은 실질적으로 교차점에서 동일한 두께를 제공하는 30 미크론백보다 교차점(24)에서 손상이 덜 될 것이다.
단일 테이프(30)가 백의 바닥부위로 접혀질 수 있지만 별도의 테이프가 백의 각측면에 붙여질 수도 있으며, 보강교차점(24)에 관하여 동일한 결과가 달성될 것임을 알 수 있다. 교차점영역만이 예를 들어 ½인치제곱인 별도의 테이프로 붙여진 경우에 다소의 이득을 얻게 된다. 압력감응접착제가 도포된 폴리프로필렌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백이 만들어진 그 재료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압력감응접착제 대신에,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접착제코팅이 채용될 수도 있고 테이프 그 자체가 백에 용접되거나 봉합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또한, 테이프의 치수가 매우 중요하지는 않다. 테이프는 봉합부 상하로 2㎜ 정도 펼쳐질 수 있다. 단일 테이프가 바닥부위로 접히는 경우, 테이프는 백의 양측면상에서 봉합부 위로 2㎜ 펼쳐질 수 있도록 충분히 넓어야 한다.
판(11) 또는 판(13) 중 하나에 붙여진 단일 테이프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보강하지 않은 백의 내측접힘부(10)가 (봉합선(14)의 교차점(24)에서 서로 접착된) 외측판(11 및 13)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당겨지는 경우에, 외측판은 점(24)에서 동시에 찢어지기 시작할 것이다. 보강테이프가 판(11) 또는 판(3) 중 하나에만 붙여져도 양쪽 판이 찢어지는 경향은 실질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자면, 테이프의 치수는 매우 중요 하지는 않으며 교차점의 양쪽위로 연장되고, 1/4인치로부터 ½인치까지의 넓이의 범위플 가진 테이프로 좋은 결과가 얻어졌다.
티셔츠백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공정과 기계가 있다. 개별백이 웨브로부터 절단되고 쌓이는 상술한 공정에서, 종래의 테이핑기계가 쌓기 직전에 1 또는 2개의 테이프를 각 백의 바닥봉합부에 접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대신에, 단일의 접힌 테이프가 부착될 수도 있다.
예시하는 실시예에서, 봉합부(14 및 16)는 백의 에지로부터 대략 3㎜ 떨어진 곳에서 형성된다. 어떤 공정에서는, 봉합이 백의 에지에서 형성될 경우, 가열된 칼로 백이 절단됨과 동시에 봉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및 또 다른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사실상, 본 발명은 심지어 백이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거싯으로 보강된 후,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이 봉해지는 어떠한 곳에서도 유용성을 가질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티셔츠백이 천공된(perforated) 분리선에 의하여 분리되는 개별백으로 된 롤(roll)로 제공된다. 백은 후속되는 분리선을 찢음으로써 하나씩 분배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강테이프는 천공부의 바로 위(앞)에, 바람직하게는 백의 각측면에 별도의 테입으로 부착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조공정시 백의 대향측면들에 2개의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기계의 개략도이다.
전형적인 티셔츠제조공정에서, 거싯으로 보강된 튜브는 그 최상부 및 바닥부(봉합부(16 및 14))에서 봉합되고 블랭크(40)를 형성하도록 절단된다(도 9참조). 블랭크의 한 묶음(batch)이 쌓인 후(예를 들어, 한 더미는 50개),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다이절단된다. 본 발명은 제조주기 중에 테이프가 다른 시기에 부착되는 공정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더라도, 보강테이프(30)는 쌓기 및 다이절단작업 이전에 백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플라스틱필름스트립(42 및 44)은 두 대의 테이프성형기(46, 48)를 통하여 보내진다. 각각의 테이프성형기(46, 48)는 스트립(42, 44)내에서 소정 치수의 다수의 보강테이프(30)를 형성한다. 스트립(42, 44)에 의하여 보유되지만 테이프부착장치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성형기(46, 48)는 라벨제조와 유사할 수 있고 스코어링(scoring)에 의하여 연속적인 테입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스트립(42)내에서 개별테이프(30)의 외주를 한정하는 점선으로 나타내 있다.
스코어링된 스트립(42, 44)은 각각 상부 및 하부테이프부착장치(52, 54)를 통하여 일련의 롤러(50)를 거쳐 각각 이동된다.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테이프(30)는 트레이(56)내에서 지지된 티셔츠블랭크의 양측면에 부착된다. 이제, 보강테이프(30)가 있는 스트립(42, 44)이 제거된 후, 롤러(58)를 돌아 보내지고 롤(60 및 62)로 감긴다.
테이프의 실제 부착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도 9는 바닥테이프붙임장치(54)만을 예시하며, 상부장치는 그 거울이미지로 되어 있다.
스트립(42, 44)이 장치(52, 54)를 통과하기 때문에, 하부봉합부(14)가 컷아 웃영역(64)내에 놓여 테이프에 접근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트레이(56)는 티셔츠블랭크(40)를 정렬하는 정합립(registration lip) 및 컷아웃테이프부착영역(64)을 포함한다. 각 테이프부착장치는 압력헤드(70)가 그 안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수직트랙(68)을 포함한다. 압력헤드(70)의 영역은 개별테이프(30)의 영역에 일치하고 왕복로드(72)의 끝단에 연결된다. 스트립(42, 44)의 이동은, 예를 들어 트레이(56)내에서 적절히 정합된 블랭크(40)의 광센싱에 응답하여 블랭크(40) 및 압력헤드(70)의 이동과 동기화된다. 블랭크가 적절히 위치되었을 때에는, 압력헤드(70)는 두 장치(52 및 54) 모두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42 및 44)으로부터 개별테이프(30)를 밀어붙이고 바닥봉합부(14)를 따라 가압하에 그것들을 봉합한다. 스코어링된 테이프를 제거한 후, 테이프(30)가 백에 부착되는 때까지 헤드에 들러붙기 쉽게 하기 위하여 헤드(70)는 정전기적으로 대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30)는 압력감응접착제 또는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접착제에 의하여 백에 붙여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라면, 장치(52 및 54)내의 압력헤드(70)는 가열될 것이다.
테이프(30)가 블랭크(40)의 대향측면들에 부착되고 난 후, 블랭크는 제거되고 손잡이의 연속적인 절단을 위하여 쌓인다. 상기 장치는 트레이(56)내에서 블랭크(40)를 위치시키고, 테이프가 부착된 후에 블랭크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종래 장치와는 다를 바가 없으므로 상세히 서술하지 아니한다.
도 11, 12 및 13은 블랭크(40)의 바닥부 주위에 단일 테이프를 접을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 테이프(30)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단일 스트립(42)으로 부터 부분적으로 다이절단된다. 상기 장치는 피봇가능한 커넥터(84)에 의하여 중심의 지지로드(82)로 그 내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2개의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80)는 유사한 피봇가능한 교차점(88)에 의하여 한 쌍의 액츄에이터바(86)로 연결된다. 티셔츠블랭크(40)가 지지트레이(56)내에 정확히 위치될 때, 상기 기구는 도 11의 위치에서 도 12의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다이절단되는 스트립으로부터 테이프(30)가 분리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지지로드(82)는 정지하지만 외측 액츄에이터바(86)는 헤드(80)를 커넥터(84)를 중심으로 피봇시키도록 블랭크(40)를 향하여 계속 이동한다. 상기 작용은 스크로크의 끝단에서 티셔츠블랭크(40)의 바닥부위에 테이프(30)를 접게 하며 테이프를 백에 부착시키도록 압력을 가한다. 그 후, 상기 기구는 다음의 티셔츠블랭크가 트레이(56)내에 적절히 위치되고 난 후,도 11에 도시된 초기위치, 즉 다음 티셔츠블랭크(40)에 다음 테이프(30)를 붙이기 위한 위치로 되돌아 온다.
놀랍게도, 한쪽 또는 양쪽 판(11 및 13)에 붙여진 테이프(30)는 상당한 보강을 제공하기 위하여 봉합선(14)을 중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선의 약간 위 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선의 약간 아래에 위치된 테이프(30)는 실질적인 보강을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테이프는 봉합선의 대략 1㎜ 위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선(14)이 형성될 때, 비접착식 플라스틱스트립(90)이 봉합선(14)을 따라 열로 백에 접착된다. 플라스틱스트립(90)은 백을 만든 물질과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의 길이는 교차점(24)간의 거리보다 좀 더 길어야 한다. 폭은 봉합선의 폭을 포괄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립의 두께는 티셔츠백이 제조된 플라스틱필름의 두께보다 대략 2배이다. 하지만, 상기 두께가 판(11 및 13)의 두께의 대략 절반인 경우에도, 그 결과는 만족스럽다. 또한, 백의 두께의 절반인 (예를 들어, 15 미크론인) 스트립(90)에 의하여 보강된 티셔츠백의 교차점(24)은 두께가 두배인 (즉, 30 미크론) 동일한 플라스틱필름으로 만들어진 티셔츠백의 교차점보다 더 강하다. 또한, 스트립이 백의 내부, 예를 들어 한쪽 또는 양쪽 판(11 및 13) 모두와 거싯접힘부 사이에 놓일 경우,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는다.
별도의 테이프(30) 또는 스트립(90)의 효과는 녹이고 봉합하는 데 이용가능한 플라스틱재를 증가시켜 봉합부의 강도를 증가시킨 봉합선(14)에서 백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성취되는 효과보다는 더 크다.
더욱이, 도 1을 참조하면, 표준 티셔츠백에는 영역(22A)에 4개층의 필름이 있고, 영역(22B)의 영역에 2개층의 필름이 있다. 따라서 이들 두 영역의 두께비는 4 대 2이다. 스트립(90)은 개별 겹의 두께의 2배이고, 거싯으로 보강된 영역(22A)의 두께는 6개 층과 같아지는 한편, 영역(22B)의 두께는 4개층의 두께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두께비는 6 대 4이다. 즉, 적절한 보강스트립이 있는 거싯으로 보강된 영역(22A)은 거싯으로 보강되지 않은 영역(22B)의 두께보다 1.5배인 반면, 보강스트립이 없는 거싯으로 보강된 부분은 거싯되지 않은 부분(22B)의 두께보다 2배이다. 상기 두께비를 개선하면 (즉, 줄이면) 교차점(24)의 강도가 향상된다.

Claims (24)

  1. 내측접힘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측면거싯을 구비한 튜브형 플라스틱필름, 상기 내측접힘부를 교차하는 백의 바닥부의 봉합선 및 거싯으로 보강된 부분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에 있어서,
    백의 바닥부에 부착되는 바닥부에 부착되는 상기 플라스틱필름으로 분리된 보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봉합선에 인접한 상기 내측접힘부의 각각에 걸쳐 연장되는 개선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수단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백에 부착되어 있지 않아 이에 따라 백에 부하가 걸렸을 때, 상기 보강수단이 상기 내측접힘부와 봉합선과의 교차점이 파손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백의 대향측면들에 부착되는 별도의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백의 바닥위에 접혀지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쳐츠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백의 한쪽에만 부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압력감응접착제코팅을 포함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열로 백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봉합선을 따라 열로 백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플라스틱필름 두께의 대략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교차점의 각각에 걸쳐 부착되는 별도의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0. 내측접힘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측면거싯을 구비한 튜브형 플라스틱필름, 상기 내측접힘부를 교차하는 백의 바닥부의 봉합선 및 거싯으로 보강된 부분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에 있어서,
    백의 바닥부에 부착되는 플라스틱튜브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접힘부와 상기 봉합선과의 양쪽 교차점에 걸쳐 연장되는 개선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수단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백에 부착되어 있지 않아 이에 따라 백에 부하가 걸렸을 때, 상기 테이프가 상기 내측접힘부와 봉합선과의 교차점이 파손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1. 제10항에 있어서,
    별도의 테이프가 상기 백의 대향측면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백의 바닥부위에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백의 한쪽에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압력감응접착제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열로 백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봉합선을 따라 열로 백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17. 튜브형의 플라스틱 웨브를 거싯으로 보강하는 단계, 거싯으로 보강된 튜브형의 웨브를 따라 봉합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백의 거싯으로 보강된 영역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테이프를 봉합선위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백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보강테이프는 백의 각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단일 테이프가 봉합된 백의 끝단부위에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거싯으로 보강된 튜브형의 웨브는 테이프를 부착시키기 전에 양쪽 끝단부에서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보강웨브는 봉합선이 형성되는 때에 봉합선을 따라 백에 열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보강테이프가 백의 한쪽 끝단부에 부착되고 난 후, 티셔츠백을 형성하도록 손잡이가 백의 반대쪽 끝단부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내측접힘부와 봉합선과의 교차점의 실질적으로 상부에서 백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24. 제10항에 있어서,
    보강테이프는 내측접힘부와 봉합선과의 교차점의 실질적으로 상부에서 백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티셔츠백.
KR1020027010492A 2000-02-15 2001-02-15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 KR100724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442700A 2000-02-15 2000-02-15
US09/504,427 2000-02-15
US09/707,758 2000-11-07
US09/707,758 US6461041B1 (en) 2000-02-15 2000-11-07 Gussetted plastic 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76A KR20020097176A (ko) 2002-12-31
KR100724171B1 true KR100724171B1 (ko) 2007-05-31

Family

ID=6941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492A KR100724171B1 (ko) 2000-02-15 2001-02-15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1B1 (ko) * 2007-10-12 2008-08-13 이경호 플라스틱 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782A (ko) * 1990-01-18 1991-08-31 정석영 난방장치의 실내온도 조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782A (ko) * 1990-01-18 1991-08-31 정석영 난방장치의 실내온도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76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035C (en) Gussetted plastic bag
US5611627A (en) Easy open thermoplastic bag
US5683340A (en) Method of making easy open thermoplastic bag
JPH0755708B2 (ja) 液状内容物用包装容器
US4811418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lastic bags with welded side seams
CA1249471A (en) Methods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e
US4726169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sacks from synthetic thermoplastic material
AU2003279682B2 (en) An opening arrangement, a package, as well as a method of providing a package with an opening arrangement
US4571235A (en) Methods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e
CA2470341C (en) Method of opening for bags of supple polymeric material subject to interlayer cling
KR100724171B1 (ko) 거싯으로 보강된 플라스틱백
ZA200206030B (en) Gussetted plastic bag.
WO2003031281A1 (en) Bag
EP0217982B1 (en) A thermoplastic bag, method and system for its manufacture
EP1017560A1 (en) Bottom sack
JPH0664073A (ja) 商品包装袋の製造方法
CA1245090A (en) Method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
EP0215163B1 (en) Methods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
NL1026499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hersluitbare verpakkingen.
MXPA00002426A (es) Bolsa de plastico con fondo plano.
AU2002343274A1 (en) Bag
GB2205812A (en) Making sacks
NZ264733A (en) Bag openable from either end: one end temporarily closed by strip of adhesive tape when bag is filled
JPH0858770A (ja) 液体紙容器用角筒状スリ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