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160B1 -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160B1
KR100724160B1 KR1020050075530A KR20050075530A KR100724160B1 KR 100724160 B1 KR100724160 B1 KR 100724160B1 KR 1020050075530 A KR1020050075530 A KR 1020050075530A KR 20050075530 A KR20050075530 A KR 20050075530A KR 100724160 B1 KR100724160 B1 KR 10072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ed
water
water repellent
shoe
repell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354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케이씨 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 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 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16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8Bathing shoes ; Aquatic sports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신발 모양의 발수용부; 및 이 발 수용부 바닥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발수용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물갈퀴부를 구비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에 의하면, 수영을 하거나 잠수 등의 물속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물갈퀴를 이용함으로써 수영능력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속 밖에서는 통상의 신발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필요에 따라 물갈퀴를 탈부착하는 경우, 용이하게 탈부착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수상 안전요원 등과 같이 평상시는 물 밖에서 자유롭게 보행을 하다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물속으로 들어가 인명의 구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사용자가 물갈퀴부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육지에서의 보행시 그 편리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신발, 물갈퀴, 오리발

Description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Shoes with webfoot}
도 1은 종래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을 신고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참고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에서 물갈퀴부를 제거하고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110,210...발수용부
112...발수용부 바닥 113...제1결합고리부
115...돌기고정부 116...밴드조절부
117...미끄럼방지돌기 120,220..물갈퀴부
121...제1결합돌출부, 122...고정돌기부
212...제2결합돌출부 221...제2결합고리부
본 발명은 물갈퀴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속에서의 수영능력이나 수중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갈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물갈퀴는 사람이 수중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전진 및 방향 전환을 도와주는 것으로서, 수영하거나 잠수 활동을 할 때 발에 착용하여 발동작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수영 보조 장비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물갈퀴는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고, 물갈퀴 부분이 육지에서의 보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육상에서는 거의 착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수영장 등에서는 안전을 이유로 육상에서 그 착용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물갈퀴는 수중활동을 할 때만 사용하고 보행할 때에는 벗어서 들고다녀야 한다. 그런데, 바닷가나 강가 등에서 수영을 즐길 때 날카로운 돌 또는 유리병의 파편들과 같은 유리조각이 있어 맨발로 다니게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공개2000-0009856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도 1에는 종래 물갈퀴를 구비한 신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평상 보행시에는 신발(10) 전단에 돌출된 물갈퀴부(20)를 절첩 구속하여 보행하고, 수영하고자 할 때에는 절첩 구속된 물갈퀴부(20)를 전개하여 오리발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물갈퀴를 구비한 신발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중에서 활동하다가 육상에서 보행을 하고자 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수시로 물갈퀴부(20)를 절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물갈퀴부(20)의 절첩을 위한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그 제조원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중 활동과 육상 보행을 별도의 부가적인 동작 없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제조원가가 저렴한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신발 모양의 발수용부; 및 상기 발수용부의 바닥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발수용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물갈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물갈퀴부는 상기 발수용부와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수용부는 그 일측에 상기 제1결합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결합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발수용부는 그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출부를 구 비하며, 상기 물갈퀴부는 상기 발수용부와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2결합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결합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결합고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갈퀴부는 그 저면 일측로부터 하향 돌출된 반구형의 고정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수용부는 그 전면에 상기 고정돌기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부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된 돌기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용부 및 물갈퀴부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수용부 및 물갈퀴부는 고무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수용부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발수용부 내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밴드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수용부의 바닥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100)은 발수용부(110)와, 물갈퀴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발수용부(110)에는 통상의 신발과 같이 사용자의 발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물갈퀴부(120)는 수영을 하거나 잠수 활동을 할 때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물갈퀴부(120)는 발수용부의 바닥(112)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발수용부(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물갈퀴부(120)는 사용자의 발등 상부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상향으로 기울어진다. 여기서 상기 물갈퀴부(120)가 발수용부 바닥(112)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할 때 사용자의 발가락 및 발등 부분과 물갈퀴부(120)가 서로 간섭되어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영을 하거나 물속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물갈퀴부(120)를 이용하여 수영능력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 밖에서는 통상의 신발과 같이 자유롭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물갈퀴를 탈부착시키거나 하는 등의 별도의 부가적인 작업이 없이도 물속과 물 밖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수상 안전요원 등과 같이 평상시는 물 밖에서 자유롭게 보행을 하다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물속으로 들어가 인명의 구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갈퀴부(120)를 발수용부(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물갈퀴부(120)는 발수용부(110)와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출부(121)를 구비하며, 발수용부(110)는 그 일측에 제1결합돌출부(121)에 대응하여 제1결합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결합고리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갈퀴부(120)를 부착하고도 자유롭게 보행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물갈퀴부(120) 탈착시킨 상태에서 좀 더 자유롭게 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물갈퀴부(120)는 그 저면 일측로부터 하향 돌출된 반구형의 고정돌기부(122)를 구비하며, 발수용부(110)는 그 전면(111)에 상기 고정돌기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122)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된 돌기고정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갈퀴부(120)는 발수용부(110)에 고정된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발수용부(110) 및 물갈퀴부(120)는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딱딱한 재질로 형성된 종래의 물갈퀴와는 달리,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물갈퀴부(120)를 구비함으로써 물 밖에서는 사용자가 보행할 때 그 편리함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발수용부(110)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대응하여 발수용부(110) 내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밴드조절부(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밴드조절부(116)의 밴드를 조절하여 자신의 발 크기에 맞도록 발수용부(110) 내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수용부(110)의 바닥(112)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117)는 수영장 등과 같이 물에 노출되어 미끄러운 곳에서 사용자가 보행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200)은 발수용부(210)와, 물갈퀴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물갈퀴부(220)를 발수용부(2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발수용부(210)는 그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출부(212)를 구비하며, 물갈퀴부(220)는 발수용부(210)와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제2결합돌출부(212)에 대응하여 제2결합돌출부(212)가 수용될 수 있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결합고리부(2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갈퀴부(220)를 부착하고 보행할 수 있으나, 보다 편리하게 물갈퀴부(220)를 발수용부(2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자유롭게 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 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갈퀴를 구비한 신발에 의하면, 수영을 하거나 물속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물갈퀴부를 이용함으로써 수영능력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속 밖에서는 통상의 신발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물갈퀴를 탈부착시키거나, 별도의 부가적인 작업이 없이도 물속과 물 밖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수상 안전요원 등과 같이 평상시는 물 밖에서 자유롭게 보행을 하다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물속으로 들어가 인명의 구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사용자가 물갈퀴부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육지에서의 보행시 그 편리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신발 모양의 발수용부; 및
    상기 발수용부의 바닥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발수용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물갈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는 상기 발수용부와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수용부는 그 일측에 상기 제1결합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결합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용부는 그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물갈퀴부는 상기 발수용부와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2결합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결합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결합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는 그 저면 일측로부터 하향 돌출된 반구형의 고정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수용부는 그 전면에 상기 고정돌기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부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된 돌기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용부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발수용부 내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밴드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용부의 바닥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KR1020050075530A 2005-08-18 2005-08-18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KR10072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530A KR100724160B1 (ko) 2005-08-18 2005-08-18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530A KR100724160B1 (ko) 2005-08-18 2005-08-18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354A KR20070021354A (ko) 2007-02-23
KR100724160B1 true KR100724160B1 (ko) 2007-06-04

Family

ID=4365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530A KR100724160B1 (ko) 2005-08-18 2005-08-18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14B1 (ko) * 2011-04-12 2013-03-11 김동현 수영 연습용 발판
GB2570455B (en) 2018-01-24 2020-03-25 James Couzyn Rhys Modular fin with common rail system
KR102053292B1 (ko) * 2018-01-26 2019-12-06 김승일 오리발을 구비한 아쿠아슈즈
KR102007892B1 (ko) * 2018-09-06 2019-08-06 조국 오리발 겸용 신발
KR102084736B1 (ko) * 2018-12-10 2020-03-04 (주)동진포리텍 기능성 신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2U (ja) * 1993-07-25 1995-02-10 文雄 中村 水掻きひれを収納する履物
JP3007435U (ja) * 1994-08-02 1995-02-14 株式会社モビーデイック ダイビングシューズ
KR19990016935U (ko) * 1997-10-31 1999-05-25 이영현 여름샌달에 착탈식 오리발
KR20000009856U (ko) * 1998-11-12 2000-06-05 가봉섭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US6182377B1 (en) * 1999-10-13 2001-02-06 Mark Toensing Dive bo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2U (ja) * 1993-07-25 1995-02-10 文雄 中村 水掻きひれを収納する履物
JP3007435U (ja) * 1994-08-02 1995-02-14 株式会社モビーデイック ダイビングシューズ
KR19990016935U (ko) * 1997-10-31 1999-05-25 이영현 여름샌달에 착탈식 오리발
KR20000009856U (ko) * 1998-11-12 2000-06-05 가봉섭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US6182377B1 (en) * 1999-10-13 2001-02-06 Mark Toensing Dive bo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354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60B1 (ko)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US20100075554A1 (en) Swim fins
US8678870B2 (en) Retractable swim fins
CN112888334B (zh) 与鞋同穿的脚蹼
JP2002079994A (ja) 折畳可能なダイビングフィン
US6182377B1 (en) Dive boot
US5795204A (en) Combination water shoe and swim fin
KR100724159B1 (ko)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KR101223095B1 (ko) 탈부착식 밑창이 구비된 낚시화
US10478672B1 (en) Walkable water shoe with incorporated swim fin appendage
KR20030009647A (ko) 수영 보조용 신발
KR200398877Y1 (ko) 물놀이용 신발
KR100357288B1 (ko) 해수욕 신발
KR200325177Y1 (ko) 물놀이용 신발
KR101730540B1 (ko) 신발 체결용 오리발
KR200370175Y1 (ko) 각반을 겸비한 신발.
CN111296991A (zh) 多用途水鞋
KR200346309Y1 (ko) 미끄럼 방지 신발
KR200313770Y1 (ko) 신발
KR200342261Y1 (ko) 물갈퀴신발
KR200188577Y1 (ko) 물놀이용 양말
KR880001073Y1 (ko) 해수욕용 샌들
WO2022224010A1 (en) Footwear for beach
KR880001072Y1 (ko) 해수욕용 샌들
KR200207341Y1 (ko) 수중장비용 물갈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