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712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712B1
KR100723712B1 KR1020050100053A KR20050100053A KR100723712B1 KR 100723712 B1 KR100723712 B1 KR 100723712B1 KR 1020050100053 A KR1020050100053 A KR 1020050100053A KR 20050100053 A KR20050100053 A KR 20050100053A KR 100723712 B1 KR100723712 B1 KR 10072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tandby mode
input signal
interactive application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113A (ko
Inventor
오동혁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7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하고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에 따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뎁스를 설정한 상태에서,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제1 뎁스를 확인하고 제1 뎁스가 0 뎁스이면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으면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해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반면에, 상기 제1 뎁스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n 뎁스이면 상기 키 매핑정보를 이용한 키 입력신호의 판별없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대기모드,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키 매핑정보, 무선 인터넷 플랫폼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Method of processing the key input on idle mode service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실시예 계층 구조도.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2 실시예 계층 구조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전화번호 리스트 21 : 메시지 리스트
22 : 콘텐츠 23 :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24 :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
25 : 위피 플랫폼 26 : 운영 체제
30: 쉘 애플리케이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할 때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 중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에 따라 원하는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게 시스템 애플리케이션과의 키 처리를 구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란 대기모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를 실행시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동영상, 음악, 게임 등과 같은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탑재되어 있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받은 콘텐츠(Contents)를 배경화면으로 지정하여 통화를 하지 않을 때(일명 대기모드)에 키 조작 등을 통하여 콘텐츠의 내용을 변경시키면서 즐기고 있다(이하,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그 내용이 변경되는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 for Sleep Mode)"이라 함).
이러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87525호(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단말기 제조업체 또는 콘텐츠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대기모드용 배경화면으로 지정하면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구동시켜 대기모드 상에서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전화번호 검색/입력 기능, 호 발/착신 기능,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모드 절환 키 입력신호를 설정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이 모드 절환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중지시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모드로 스위칭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드 절환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이동통신 사용모드로 스위칭해야 되고, 그 시점까지 실행되고 있었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에 종료시켜야 된다.
즉,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할당하였던 디스플레이 관련 시스템 자원, 사운드 관련 시스템 자원 등을 해제해야지만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저장, 자원 할당 해제 및 종료하는 과정에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 제공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은 위피(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이하 "위피 플랫폼"이라 함)라 일컬어지는 미들웨어 형태의 한국형 무선 인터넷 표준 플랫폼을 통하여 다운로드되거나 이 위피 위에서 실행되는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System Application)은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기 탑재시킨 운영 체제(예; "REX OS" 등) 위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신호를 처리, 즉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내용 변경을 위한 키 입력신호인지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전화번호 검색/입력 기능, 호 발/착신 기능,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을 위한 키 입력신호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신호를 위피 플랫폼을 통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신호를 운영 체제를 통하여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그에 상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한 상태에서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키 매핑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키 입력신호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거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뎁스를 설정하는 제2 단계;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제1 뎁스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뎁스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0 뎁스이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 신호가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4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해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뎁스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n 뎁스이면 상기 키 매핑정보를 이용한 키 입력신호의 판별없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n 뎁스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에 종료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된 상기 n 뎁스를 0 뎁스로 바꾸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해제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매핑정보는 특정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과 다르게 설정되고, 특정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특정 키 입력신호가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 되도록 하며, 이후 상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기능 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0 뎁스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도록 등록된 키 매핑정보는 상, 하, 좌, 우의 방향키, 소프트키, ok 키를 포함하고, 상기 0 뎁스에서 상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도록 등록된 키 매핑정보는 숫자키와 "#"키와, "*" 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0 뎁스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도록 등록된 키 매핑정보는 종료키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종료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실행중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시스템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0)와, 운영 체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예; 전화번호 검색 프로그램, 메시지 관리 프로그램 등),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예; 대기모드 시에 게임, 플래시(flash), 동영상 등과 같은 콘텐츠를 재생(구동)시키는 프로그램 등), 콘텐츠(예; 게임 데이터, 플래시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키 매핑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와, 이동통신 단말기 각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일명 배터리)(12)와,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와, 버튼을 통해 키 입력신호(전화번호, 단문 메시지, 콘텐츠 내용 변경 조작신호(일명 이벤트 발생신호) 등)를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14)와, 음성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5)와,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어폰)(16) 및 상기 키 입력부(14)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신호를 운영 체제를 통하여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위피 플랫폼을 통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실시예 계층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의 맨 위 층인 콘텐츠 계층에는 전화번호 리스트(예; 그룹별 전화번호 리스트 등)(20), 메시지 리스트(예; 발/착신 단문 메시지 리스트 등)(21) 및 콘텐츠(예; 동영상, 게임, 플래시 등)(22)가 탑재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솔루션) 계층에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예; 전화번호 검색 프로그램, 메시지 관리 프로그램 등)(23) 및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 하부에는 무선 인터넷 플랫폼 계층, 즉 위피 플랫폼(25)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 및 상기 위피 플랫폼(25) 하부에는 운영 체제(예; REX OS 등)(26)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운영 체제(26) 하부에는 하드웨어 계층, 즉 제어부(예: MSM 등)(17), 키 입력부(14), 마이크(15), 디스플레이부(13) 및 스피커(16)가 탑재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2 실시예 계층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계층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서비스 계층 구조와 같으나,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피 플랫폼(25)의 직접적인 제어를 받지 않고 쉘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 위피 플랫폼(25) 상에 쉘 애플리케이션(30)이 탑재되고, 쉘 애플리케이션(30) 상에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24,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포함)이 탑재된다.
상기 쉘 애플리케이션(30)은 대기모드 진입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대기모드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쉘 애플리케이션(30)은 실행되면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과 위피 플랫폼(25) 사이에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한다. 쉘 애플리케이션(30)은 대기모드 서비스 제공을 제외한 다른 경우(강제적 실행 제외)에는 실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쉘 애플리케이션(30)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은 도 2와 같이 위피 플랫폼(25) 상에서 실행된다.
쉘 애플리케이션(30)은 자신이 관리할 모든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넌-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포함)을 관리하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 등록 기능/해제 기능, 개별 대기화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초기화/저장 기능, 기존 핸드셋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고객 설정 기능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즉, 핫키 등으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접근) 기능, 자체 기능 설정 메뉴 제공 기능 등을 가진다.
여기서, 쉘 애플리케이션(30)은 대기모드용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대기모드 진입시 자동으로 실행될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경우에, 위피 플랫폼(25)에 해당 API를 등록할 필요없이 자체 설정만으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등록이 가능하다.
쉘 애플리케이션(30)은 실행되면 자체 초기 실행결과인 초기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2에서 제1 내지 제3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24a, 24b, 24c)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 계층 구조에서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키 입력부(14)를 조작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즐기거나 사용자가 키 입력부(14)를 조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위피 플랫폼(25)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조회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키 입력신호이면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고,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키 입력신호이면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위피 플랫폼(25)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의 "WITOP" 등과 같이 무선 인터넷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어떠한 모듈도 본 발명에 적용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도 2의 계층 구조와 도 3의 계층 구조는 위피 플랫폼의 제어하에 대기모드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쉘 애플리케이션의 제어하에 대기모드 서비스가 제공되는지의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2를 참조로 한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은 당업자라면 도 3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음이 자명하므로, 도 3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 4는 대기모드시의 본 발명의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이고, 도 5는 대기화면 서비스가 해제되는 경우의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이다.
먼저, 제어부(17)는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시한다(S400).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는 다음의 경우에 서비스가 개시된다.
첫 번째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초 부팅하여 대기모드로 진입하거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예; Caller APPlication, Menu Application, SMS send Application 등)이 종료하여 대기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위피 플랫폼 종료 후 시스템 워크(예; VOD 다운로드 등)없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가 개시된다.
두 번째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실행될 특정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대기모드 서비스 개시를 명령하는 SMS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가 개시된다.
상기 SMS 푸쉬 메시지는 WIPI Common SMS Push 메시지 규격을 따른다 상기 WIPI Common SMS Push 메시지란 대기모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위피 플랫 폼의 데몬 애플리케이션(Daemon Application)에 의해 SMS에 삽입된 특정 TID(Teleservice ID: 서비스 식별자)가 인식되면 위피 플랫폼상에서 해당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WIPI Common SMS Push 메시지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어떤 목적으로 단문메시지를 이용할 것인지를 나타내주는 "UI(User Interface)" 코드와, SMS가 어떤 명령을 수행하는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Message" 코드, "UI" 코드에 따라 어떤 명령을 수행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Command" 코드 및, "Command" 코드에 따른 구체적인 실행 명령이 담긴 "Command-Defined-Date"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는 사용자가 메뉴키를 통해 mplayon(에스케이텔레콤 서비스명)에서 특정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라는 대기화면 서비스 개시 명령을 수신하는 때에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가 개시된다. 상기 mplayon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모바일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한편, 상기 S400 과정에서 전술한 3가지 대기화면 서비스 개시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모드로 설정되고 대기화면 서비스가 개시된다.
3가지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대기화면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대기모드로 진입에 따른 대기화면 서비스)
대기모드로 진입하면, 위피 플랫폼(25)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때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은 0 뎁스 상태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가 초기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S410).
상기 0 뎁스는 상, 하, 좌, 우 방향키, "메뉴"키와 "확인"키(소프트키)"와, OK 키를 키 맵을 등록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소비하고, 나머지 키(예; Numerical key 즉, "0 - 9", "*" 키, "#" 키)들은 시스템의 운영체제(26)에 의해 해당 키에 상응하는 고유 동작을 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렇게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실행되면,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은 위피 플랫폼(25)에 키 매핑정보를 등록시킨다(S41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열대어 키우기" 게임을 대기모드 상태에서 즐기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통하여 게임 리스트를 출력한 후에 "열대어 키우기" 게임을 선택한 다음에 이 게임을 배경화면으로 설정시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을 실행시킨다.
이 때,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은 "OEMC_knlSetKeyMap()" 함수를 호출하여 자신, 특히 콘텐츠(22)에 설정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위피 플랫폼(25)에 등록시킨다.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키 입력부(14)에서 발생되는 모든 키 입력신호가 운영 체제(26) 또는/및 위피 플랫폼(25)을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되나, 본 발명에서는 위피 플랫폼(25)에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의 키 매핑정보를 등록해 두고, 이후에 발생되는 키 입력신호에 대해 위피 플랫폼(25)을 통하여 해당 키 입력신호를 확인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과 관련된 키 입력신호가 위피 플랫폼(25)을 통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의 속성에 따라 키 매핑정보가 설정되는데 이러한 키 매핑정보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의 속성에 따라 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키 매핑정보는 위피 플랫폼(25)에 등록된 이후로 해당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활성화(Foreground) 상태, 즉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유효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위피 플랫폼(25)에 등록된 키 매핑정보가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키 매핑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매핑정보는 0 뎁스의 대기모드시 활용되는데, 키 입력부(14)에서 발생되는 키 입력신호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에 의해 처리되어야 되는 것인지, 즉 콘텐츠(22)의 내용 변경(예; 열대어 상/하/좌/우 이동 등)에 이용되어야 되는 것인지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에 의해 처리되어야 되는 것인지, 즉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 수행(예; 단축 전화번호 호출 등)에 이용되어야 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의 [표 1]은 키 매핑정보를 나타낸다.
키(Key) 플래그(Flag)
SEDN F
Num_1 F
Num_2 F
Fn_1 T
Fn_2 T
End T
Cancel T
* F
# F
.. ..
이러한 키 매핑정보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에 설정되어 있거나 콘텐츠(22)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화면 전진 키, 화면 후진 키와, 게임 실행과 관련된 열대어 상/하/좌우 이동 키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 또는 콘텐츠(22)의 속성에 따라 키 매핑정보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 1]에서 플래그가 "F"로 설정되어 있는 키(예; "SEND", "Num_1" 등)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에 이용되지 않고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에 이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플래그가 "T"로 설정되어 있는 키(예; "Fn_2", "End" 등)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에 이용되지 않고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에 이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OEMC_knlSetKeyMap()" 함수와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EMC_knlSetKeyMap()" 함수의 원형(프로토 타입)은 "M_Int32 OEMC_knlSetKeyMap(M_Int32 MapRange, M_Int32 size, M_Int32* userKeyMap)"로 나타낸다.
상기 "OEMC_knlSetKeyMap()" 함수의 매개변수 중 "MapRange"는 키 맵 설정 옵션으로서, 키 매핑정보가 "MC_KEYMAP_USER" 이외의 나머지 옵션으로 설정되었을 때에는 이전에 설정되었던 키 매핑정보 값 모두가 해제되며, "size"는 사용자가 지정한 키 맵 버퍼의 크기를 나타내며, "userKeyMap"은 사용자가 지정한 키 맵 버퍼를 나타낸다.
다음의 [표 2]는 키 맵 설정 옵션을 나타낸다.
키 매핑 설정 옵션 키 맵에 포함된 키 값 비고
MC_KEYMAP_FREE 키 맵에 설정된 모든 키가 해제됨 size, userKeyMap 무시
MC_KEYMAP_USER 사용자 설정 키 맵, 기존에 설정된 키 값에 추가됨
MC_KEYMAP_CONTROL MC_KEY_SOFT1, MC_KEY_SOFT2, MC_KEY_LEFT, MC_KEY_RIGHT, MC_KEY_UP, MC_KEY_DOWN, MC_KEY_SEND, MC_KEY_END, MC_KEY_CLEAR, MC_KEY_SELECT 이외의 모든 키가 키 맵에 포함됨 size, userKeyMap 무시
MC_KEYMAP_CONTROL_NO_SELECT MC_KEY_SOFT1, MC_KEY_SOFT2, MC_KEY_LEFT, MC_KEY_RIGHT, MC_KEY_UP, MC_KEY_DOWN, MC_KEY_SEND, MC_KEY_END, MC_KEY_CLEAR, 이외의 모든 키가 키 맵에 포함됨 size, userKeyMap 무시
MC_KEYMAP_CONTROL_NO_END MC_KEY_SOFT1, MC_KEY_SOFT2, MC_KEY_LEFT, MC_KEY_RIGHT, MC_KEY_UP, MC_KEY_DOWN, MC_KEY_SEND, MC_KEY_CLEAR, MC_KEY_SELECT 이외의 모든 키가 키 맵에 포함됨 size, userKeyMap 무시
MC_KEYMAP_CONTROL_NO_SELECT_END MC_KEY_SOFT1, MC_KEY_SOFT2, MC_KEY_LEFT, MC_KEY_RIGHT, MC_KEY_UP, MC_KEY_DOWN, MC_KEY_SEND, MC_KEY_CLEAR 이외의 모든 키가 키 맵에 포함됨 size, userKeyMap 무시
이후,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실행되는 동안에 키 입력부(14)에서 특정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검사한다(S412).
상기 키 입력신호 발생 검사 결과(S412), 키 입력부(14)에서 특정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위피 플랫폼(25)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조회하여 키 입력신호를 판별한다(S413).
이 때, 상기 "S413" 과정은 운영 체제(26)와 위피 플랫폼(25)간의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어부(17)가 운영 체제(26)를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 특히 키 입력부(14)에서 키 입력신호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OEMH_pltCheckOEMKeyMap()" 함수를 호출하여 위피 플랫폼(25)에게 해당 키 입력신호를 조회한 결과에 대한 응답 결과("True" 또는 "false")를 반환하도록 한다.
다음은 "OEMH_pltCheckOEMKeyMap()" 함수와 관련된 코드의 일부를 나타낸다.
if (OEMH_pltGetPlatformState() == MH_PLTSTATE_FOREG) {
M_Int32 ret;
switch(in_event) {
case MH_KEY_PRESSEVENT :
If (OEMH_pltCheckOEMKeyMap(keyCode) == 0) {
//키 입력신호를 위피 플랫폼(25)이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위피 플랫폼
//(25)(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을 백그라운드로 천이시킴
//해당 키 입력신호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에서 처리
MH_pltEvent(MH_BACKG_EVENT, ...);
ret = OEMH_pltProcessEvent();
break;
}
default:
MH_pltEvent(in_event, param);
ret = OEMH_pltProcessEvent();
}
if (ret == M_E_PLTEXIT) {
// 위피 플랫폼(25) 종료
} else {
// 위피 플랫폼(25)이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
}
}
상기 키 입력신호 판별 결과, 특정 키 입력신호가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키 입력신호이면 상기 특정 키 입력신호를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으로 전달한다(304). 이 때, 위피 플랫폼(25)에서 반환되는 "True" 신호를 통하여 특정 키 입력신호가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키 입력신호였음을 판별한다(S414).
그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해당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415).
이렇게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키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은 위피 플랫폼(24)에 현재의 상태가 n 뎁스(depth)임을 알리는 API를 등록한다(S42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n 뎁스 등록은 위피 플랫폼(24)의 코어층과 HAL(Handset Adaptation Layer)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 뎁스는 사용자의 모든 키 입력신호를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소비(즉,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첫 번째 경우에 따른 상기 "S422" 이후의 과정은 두 번째 및 세 번째 경우와 중복되므로, 이하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경우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한편, 상기 키 입력신호 판별 결과, 특정 키 입력신호가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키 입력신호가 아니면 상기 특정 키 입력신호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으로 전달하여 처리한다(S500). 여기서 상기 "S500" 과정은 도 5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SMS 푸쉬 메시지, mplayon)
SMS 푸쉬 메시지 또는 mplayon에서의 대기화면 서비스 요구가 수신되면, 대기모드가 설정되고 위피 플랫폼(25)(또는 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해당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실행 결과가 대기화면 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420).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실행되면,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또는 쉘 애플리케이션)은 위피 플랫폼(25)에 키 매핑정보를 등록시킨다(S421). 이때 키 매핑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 및 등록되는 키 정보는 전술한 첫 번째 경우(S411)와 동일하다.
그리고 대기모드용 인터랙비트 애플리케이션(24)은 위피 플랫폼(25) 보다 상세히는, 위피 플랫폼(24)의 HAL 또는/및 코어층에 n 뎁스 설정을 알리는 API를 등록한다(S422).
이렇게 n 뎁스가 등록되고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실행되는 동안에 제어부(17)는 운영체제(26)를 기반으로 하여 키 입력부(14)에서 특정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검사한다(S423).
상기 키 입력신호 발생 검사 결과(S423), 키 입력부(14)에서 특정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운영 체제(26)는 위피 플랫폼(25)와의 질의/응답으로 n 뎁스 등록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또는 쉘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S424). 즉, n 뎁스가 설정된 동안에 모든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키 매핑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없이 바로 실행중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에 전달된다.
이에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는 수신한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이 이벤트 발생 결과는 위피 플랫폼(24)과 운영체제(26)을 거쳐 디스플레이부(13)에 제공되어 대기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S425).
상기 "S423 내지 S425" 과정은 종료키 입력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반복된다.
만약, n 뎁스가 등록된 상태에서 종료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대기모드용 인터리액티브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중인 동작을 중지하고 0 뎁스의 초기화면을 표시한다(S427). 이때 대기모드용 인터리액티브 애플리케이션은 위피 플랫폼(24)에 등록된 n 뎁스 등록을 해제한다.
0 뎁스 초기 화면 상태에서, 다시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S413 과정으로 리턴하고, 반면에 다시 한번 종료키 입력신호가 발생하면(S428), 제어부(17)는 키 맵핑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 결과에 따라 시스템 대기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S429).
여기서, 상기 S429 과정은 0 뎁스의 키 매핑정보에 종료키가 설정되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그 동작이 달라진다.
종료키를 키 매핑정보에 설정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모두 0 뎁스의 초기 대기화면에서 시스템 대기화면으로 바뀌는 것이 동일하나, 다시 대기화면 서비스로 복귀시 속도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해당 서비스의 시나리오에 맞게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0 뎁스의 키 매핑정보에 종료키를 설정하는 경우를 보면, 제어부(17)에서 키 매핑정보를 체크했을 때 위피 플랫폼(24)에서 반환하는 값은 "1"이 되며, 종료키 이벤트를 위피 플랫폼(24)이 받아 활성화(foreground)로 실행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즉,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시스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0 뎁스의 키 매핑정보에 종료키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를 보면, 제어부(17)에서 키 매핑정보를 체크했을 때 위피 플랫폼(24)에서 반환하는 값은 "0"이 되며, 종료키 이벤트를 제어부(17)에서 받아 위피 플랫폼(24)을 비활성화(background) 상태로 변환시키고 시스템 대기화면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한 도 6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키 입력신호에 따라 상태 천이하는 모습을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을 보면, 키 처리에 따라 4가지의 상태 즉, 시스템 대기화면(S1), 0 뎁스의 초기 대기모드(S2), n 뎁스의 대기모드(대기모드 서비스)(S3) 및, 음성통화 연결화면(S4)로 나누어진다.
시스템 대기화면(S1)에서, 초기 대기모드(S2)로의 진입은 키 처리를 필요하지 않는다. 즉,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전술한 첫번째 경우)나, SMS 푸쉬 메시지나 mplayon에 의해 상태가 천이되고, 반대의 경우는 종료키에 의해 복귀된다. 음성통화 연결화면(S4)으로의 진입은 숫자키(특수키 포함)에 의해 천이되고, 반대의 경우는 종료키에 의해 복귀된다.
초기 대기모드(S2)에서, 음성통화 연결화면(S4)으로의 진입은 숫자키(특수키 포함)에 의해 천이되고, 반대의 경우는 종료키에 의해 복귀된다. 그리고 n 뎁스의 대기모드(S3)로의 천이는 소프트키나 방향키 등(숫자키 제외)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천이되고, 반대의 경우는 종료키에 의해 천이된다.
그리고 n 뎁스의 대기화면(S3)은 어떠한 키에 상관없이 대기모드 서비스로 실행중인 해당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두 처리한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하여 키 매핑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키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키 매핑정보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키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3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 입력신호가 0 뎁스의 키 매핑정보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7)는 운영 체제(26)하에 키 입력 신호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에 전달한다(S501).
그러면,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이 실행되면서(S502), 해당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예; 전화번호부 검색 기능, 호 발/착신 기능, 단문 메시지 작성 기능 등)을 수행한다(S503). 이 때,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은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된다(예;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24)이 콘텐츠 내용 변경/조작과 관련된 키 입력신호 발생을 기다리는 아이들 상태로 천이되면서 해당 콘텐츠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음).
그러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이 종료, 즉 시스템 애플리케이션(23)이 종료되면(S504), 상기 백그라운 작업으로 전환되었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foreground)시킨 후에, 상기 "S412" 과정으로 진행하여 키 입력부(14)에서 특정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검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키 매핑정보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하여 키 입력신호를 조회한 결과에 따라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대기모드 시에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신호를 구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 환경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내용 변경/조작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기모드 시에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기능을 위한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더라도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처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실행 환경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0 뎁스와 n 뎁스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n 뎁스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모든 키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빠른 키 입력 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뎁스를 설정하는 제2 단계;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제1 뎁스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뎁스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0 뎁스이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4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해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뎁스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n 뎁스이면 상기 키 매핑정보를 이용한 키 입력신호의 판별없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 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뎁스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에 종료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된 상기 n 뎁스를 0 뎁스로 바꾸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해제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매핑정보는 특정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매핑정보는 특정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타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특정 키 입력신호가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되도록 하며, 이후 상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기능 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0 뎁스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도록 등록된 키 매핑정보는 상, 하, 좌, 우의 방향키, 소프트키, ok 키를 포함하고, 상기 0 뎁스에서 상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도록 등록된 키 매핑정보는 숫자키와 "#"키와, "*"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0 뎁스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도록 등록된 키 매핑정보는 종료키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종료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실행중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시스템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9.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뎁스를 설정 하는 제2 단계;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제1 뎁스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뎁스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0 뎁스이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가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4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키 매핑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해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뎁스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뎁스가 n 뎁스이면 상기 키 매핑정보를 이용한 키 입력신호의 판별없이 상기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제6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100053A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KR10072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53A KR100723712B1 (ko)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53A KR100723712B1 (ko)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13A KR20070044113A (ko) 2007-04-27
KR100723712B1 true KR100723712B1 (ko) 2007-05-30

Family

ID=3817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053A KR100723712B1 (ko)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78B1 (ko) * 2007-10-30 2009-12-1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위젯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13A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704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US8078993B2 (en) Operating multiple views on a computing device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US87866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video communication application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70225022A1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Mobile Telephone Terminal
EP2651176B1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A2626953A1 (en) Displaying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WO2011160339A1 (zh) 应用提供方法及移动终端
KR2008008675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방법
JP6860635B2 (ja) 情報プッシュ先端末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237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키 입력신호처리 방법
CN113727289A (zh) 电子设备及通话方法
KR1007237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100734203B1 (ko) 모바일폰에 연결되는 통합 인터페이싱 정보를 내장한통신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방법
KR1004876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JP4621589B2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6294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CN113542488A (zh) 采用终端设备控制受控终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1006787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KR20220148903A (ko) 등록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3543366A (zh) 移动终端及其通话方法、通话服务器、通话系统
JP534887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30562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멀티태스킹 구동을 통한서비스확장방법
CN111214826A (zh) 一种游戏控制方法、装置及介质
CN115756878A (zh) 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