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049B1 -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049B1
KR100723049B1 KR1020050066761A KR20050066761A KR100723049B1 KR 100723049 B1 KR100723049 B1 KR 100723049B1 KR 1020050066761 A KR1020050066761 A KR 1020050066761A KR 20050066761 A KR20050066761 A KR 20050066761A KR 100723049 B1 KR100723049 B1 KR 10072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creen
horizontal
vertic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987A (ko
Inventor
박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6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0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의 광센서에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여 한 번에 4 개 지점의 검출값을 구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에 투사되는 RGB 패턴의 위치를 정수화하는 제1단계, RGB 패턴을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하여 스크린의 기계적 센터를 중심으로 정수화된 위치 범위 내에서 RGB 패턴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RGB 패턴의 위치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한 후, 검출값 중 가장 높은 제1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의 수직 편향 데이터와 수평 편향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에서 산출된 수직 편향 데이터와 수평 편향 데이터를 기본값으로 RGB 패턴을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하고 정수화된 위치 범위 내에서 RGB 패턴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RGB 패턴의 위치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한 후, 검출값 중 가장 높은 제2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편향 DC 값을 보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토 컨버전스, 프로젝션 TV, 패턴, 광센서

Description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Method for adjusting auto-convergence of CRT projection TV}
도 1 과 도 2 는 종래의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패턴 모양 및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1차 수평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은 도 5 의 광센서 에러 체크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1차 수직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2차 수평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2차 수직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린 30 : 마이컴
40 : 컨버전스 제어부 50 : 패턴 발생부
60 : 신호 제어부 70 : CRT 드라이버
S1,S2,S3,S4: 광센서
본 발명은 CRT 프로젝션 TV의 컨버전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광센서에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여 한 번에 4 개 지점의 검출값을 구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아날로그 수상기인 14인치와 같은 소형 모델에서 출발하여 현재 60인치 이상의 프로젝션 TV까지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있다.
프로젝션 TV는 R,G,B 의 색상을 각각의 브라운관을 사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여 상이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로써, 이러한 프로젝션 TV의 감성 품질은 W/U(White Uniformity), B/U(Bright Uniformity), 컨버전스(Convergence), 포커스(Focus), 왜곡(Distortion) 등 여러 가지 항목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컨버전스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R, G, B 세 빔이 한 점에 정확하게 모여야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미스 컨버전스가 되면 흰 선 옆에 R색, G색, B색 등의 비정상적인 타색을 띤 선이 보이게 되어 화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흰색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R, G, B의 각 브라운관에서 투사하는 빔을 한 곳에 모이도록 해주어야 한다. 여기서, R, G, B의 빔을 한 곳에 모아주는 것을 오토 컨버전스라 한다.
이러한 오토 컨버전스 조정은 특정한 패턴을 화면에 발생시키고, 이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컨버전스의 틀어진 정보를 파악한 후, 이를 보정하는 것을 기본적인 개념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스크린의 중앙에 십자패턴을 형성하고, G색을 기준으로 R과 B의 패턴을 이동, 백색의 십자패턴의 되도록 조정한다.
이는 R, G, B 의 투사되는 각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보는 각도 및 취향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결과가 나오고, 또한 사용자가 항상 스크린의 중앙에서 컨버전스를 조정해 주어야 하였다. 게다가, 장소 및 방향에 따른 지자계의 변화는 R색, 및 B색 뿐만 아니라 G색에도 영향을 미치는 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는 G색에 대한 보상을 해 줄 방법이 없다. 또한, G색이 기준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백색의 십자 패턴을 만들어도 스크린의 외곽부에서는 심한 왜곡이 나올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나타낸 도 1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의 십자 패턴 이외에 상하좌우에 외곽부 보정용 바패턴을 추가하여 크기 및 직진성(linearity)을 조정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의 보는 각도와 기준 G색의 왜곡에 대한 보상은 여전히 요구되었고, 도 1 의 (b)와 같이 스크린(1)의 상하좌우의 중앙에 기구적 센터(2)를 설치하고, 스크린(1) 전체를 가로지르는 십자 패턴을 조정하는 모드를 추가하여 G색을 상기 기구적 센터(2)를 기준으로 보상해준 후, (a)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한 문제는 여전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각과 취향에 따른 기준의 변화 및 작업이 복잡하게 되어 컨버전스 조정의 쉬운 접근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 는 종래의 다른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 의 (a)에서처럼 사각형의 패턴을 스크린(1) 외곽의 8개 지점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8개 지점의 변형값을 수집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였으나, 이는 전 패턴을 동시에 띄우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도 2 의 (b)와 같이 8개 지점에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여 한번에 8개 지점의 변형값을 수집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것은 모든 위치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패턴과 실제 이동과 관계되는 편향과의 편차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린의 광센서에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여 한 번에 4 개 지점의 검출값을 구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휘도에 따른 전압값에 기초하여 편향 DC 값을 산출하여 상기 편향 DC 값을 통해 오토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에 투사되는 RGB 패턴의 위치를 정수화하는 제1단계, 상기 RGB 패턴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방향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RGB 패턴을 상기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의 기계적 센터를 중심으로 상기 정수화된 위치 범위 내에서 상기 RGB 패턴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RGB 패턴의 위치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값 중 가장 높은 제1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의 수직 편향 데이터와 수평 편향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산출된 수직 편향 데이터와 수평 편향 데이터를 기본값으로 상기 RGB 패턴을 상기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하고 상기 정수화된 위치 범위 내에서 상기 RGB 패턴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RGB 패턴의 위치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값 중 가장 높은 제2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편향 DC 값을 보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은 광센서에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제2단계의 상기 RGB 패턴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중 수평방향으로 먼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2단계는 RGB 패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제1수평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 보다 크도록 RGB 패턴을 수직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자가 진단 및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반복 이동된 RGB 패턴을 통해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에 에러가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단계는 RGB 패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1수직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보다 크도록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자가진단 및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수평방향으로 반복 이동된 RGB 패턴을 통해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에 에러가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단계는 RGB 패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2수평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단계는 RGB 패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2수직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3단계는 일정 횟수 이상 반복하여 제2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정하고, 상기한 일정 횟수는 3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2수직 설정값, 및 제1,2수평 설정값은 CRT TV의 동작 시간에 따 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은 광센서에 대응되게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패턴 모양 및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장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CRT 드라이버(70)와 이 CRT 드라이버(70)에 전송될 영상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 CRT 드라이버(70)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10), 지자계에 의한 컨버전스 편향을 제어하는 컨버전스 제어부(40)을 구비한다.
또한, 패턴을 발생시키는 패턴 발생부(50)와,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패턴의 휘도를 감지하고 이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검출하는 광센서(S1,S2,S3,S4), 및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마이컴(30)은 패턴 발생부(50)를 제어하여 스크린(10)에 패턴을 형성하고, 광센서(S1,S2,S3,S4)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전압값을 통해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며 이를 통해 컨버전스 제어부(40)를 제어함으로써 오토 컨버전스를 수행한다.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0)의 각 광센서(S1,S2,S3,S4)에 수직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방향 패턴을 형성하는데,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이 각 광센서(S1,S2,S3,S4)에 대응되게 동시에 독립적으로 투사되어 이들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에 따라 네 개의 광센서(S1,S2,S3,S4)를 통해 한번에 네 개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직방향 패턴이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네 지점의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수평방향 패턴을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네 지점의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 패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직방향 패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를 통해 정확한 오토 컨버전스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마이컴(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 패턴과 수직방향 패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각 위치에서의 전압값을 구하여 이 전압값 중 가장 큰 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패턴 위치 정보인 편향 DC값 즉, 편향 데이터에 따라 컨버전스 제어부(40)에 반영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게 된다.
특히, 기구적 센터에 설치된 광센서(S1,S2,S3,S4)와 스크린(10)의 상태와의 관계를 통해 패턴의 위치가 정수화되는데, 패턴은 이 정수화된 패턴 위치에 따라서 그 위치가 이동된다.
상기한 전압값은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지 비교되는데, 이는 광센서 에러를 체크하는 과정으로서, 상기한 설정값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여 프로젝션 TV의 노후로 인한 빔량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장치를 이용한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도 5 내지 도 9 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1차 수평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광센서 에러 체크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1차 수직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2차 수평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2차 수직방향 컨버전스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은 R,G,B 각각의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을 1차와 2차로 나누어 각각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데, 이는 좀 더 정확한 컨버전스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1차는 상기한 수직방향 패턴을 수평방향으로, 수평방향 패턴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수평 편향 데이터와 제1 수직 편향 데이터를 구하는 것이고, 2차는 상기 1차 얻어진 데이터 즉, 제1 수평 편향 데이터와 제1 수직 편향 데이터를 기준값으로 하여 다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다시 이동시켜 그 정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1. 1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
1-1. 수직방향 패턴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기준 데이터를 로딩시켜 RH 패턴을 형성(S10)하고, 코스(coarse) DC값을 변경(S12)하여 정수화된 패턴 위치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정수화된 패턴 위치에서 일 예로 -30~30까지 총 30 개 지점에 걸쳐 위치 이동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광센서(S1,S2,S3,S4)가 전압값을 검출(S14)하고, 여기서 검출된 전압값은 마이컴(30)으로 입력된다.
마이컴(30)은 상기한 입력값 중 광센서(S1,S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1수평 설정값(x)과 비교(S16)하여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큰 지를 확인한다.
이 경우, 광센서(S1,S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 중 어느 하나가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센서 에러 체크 과정을 수행한다.
광센서 에러 체크 과정은 패턴이 스크린(10)의 상향 또는 하향으로 지나치게 치우쳐져 패턴 검출이 불가능할 경우, 패턴의 위치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켜 제1수평 설정값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우선 전압값 중 어느 광센서(S1,S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상기한 제1수평 설정값보다 작은 지를 판단(S200)한 후, 해당 광센서(S1 또는 S3)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이상이 되도록 패턴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위치 이동(S202)시킨다.
예를 들어, 광센서(S1)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작은 경우에는 패턴이 하향으로 많이 치우쳐져 형성된 경우이므로 광센서(S1)의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크도록 패턴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광센서(S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작은 경우에는 패턴이 상향으로 많이 치우쳐져 형성된 경우이므로 광센서(S3)의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 이상이 되도록 패턴을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패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전압값은 단계(S202)에 나타난 바와 같이, V(N)DC= V(n-1)±5V 만큼씩 이동시킨다. 즉, 현재 위치의 패턴 위치에 해당하는 편향 데이터에서 5V 의 전압을 감산 또는 가산하여 인가함으로써 이 전압에 해당하는 만큼 편향된 패턴이 형성된다.
참고로, 여기서 제시된 5V는 하나의 실시예로 제시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압이 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패턴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광센서(S1,S3)로부터 전압값을 각각 검출하여 이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이상이 되는 지를 판단(S206)한다.
이 경우, 광센서(S1,S3)로부터 입력된 각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보다 작으면, 상기한 과정을 예를 들어 3번까지 반복(S208)하고 이와 과정을 통해서도 제1수평 설정값(x)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토 컨버전스 조정과정을 종료(S210)하고, 스크린 상하 광센서(S1,S2)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에러 2 를 디스플레이(S212) 하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한 RH 패턴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큰 경우에는 RH DC값을 가변(S12)하여 RH 패턴의 위치를 수평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RH 패턴의 위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역시 광센서(S1,S2,S3,S4)를 통해 전압값을 검출(S14)하고, 광센서(S1,S3)의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보다 큰 지를 확인(S16)한다.
여기서, 광센서(S1,S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큰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S17)하고,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위치 이동 과정을 계속 거치면서 전압값을 계속 검출함과 더불어 에러 체크 과정을 수행(S12~S16, S200~S212)한다.
이에 따라, RH 패턴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면, 상기한 전압값 중 가장 큰 제1최대 전압값을 선정하여 이 제1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 즉, RH 패턴 제1수평 위치 데이터를 산출(S18)한다.
이와 같이, RH 패턴 제1수평 위치 데이터가 선정되면, RH 패턴을 오프(S20)시키고, 다음으로 GH 패턴 및 BH 패턴에 대한 GH 패턴 제1수평 위치 데이터 및 BH 패턴 제1수평 위치 데이터를 산출한다.
이는 상기한 RH 패턴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RH 및 BH 패턴을 형성(S22,S34)하고, DC값을 변경(S24,S36)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각 위치에서의 광센서(S1,S2,S3,S4)를 통해 전압값을 검출(S26,S38)한다.
이 경우, 광센서(S1,S3)에서의 전압값과 제1수평 설정값(x)을 비교하여 광센서(S1,S3)의 전압값이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큰 지를 확인(S28,S40)하는 데, 만약,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작은 경우에는 역시 도 6 에 도시된 에러 체크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제1수평 설정값(x) 보다 큰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S29,S41)하고,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위치 이동 과정을 계속 거치면서 전압값을 계속 검출(S24~S28, S34~S40)함과 더불어 에러 체크 과정을 수행(S200~S212)한다.
이와 같이, GH, 및 BH 패턴의 수평 이동이 종료하고, 각 위치에서의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면, GH, 및 BH 패턴의 전압값 중 가장 큰 제1최대 전압값을 선정하여 이 제1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GH 패턴 제1수평 위치 데이터와 BH 패턴 제1수평 위치 데이터를 산출(S30,S42)하고, GH, 및 BH 패턴을 오프(S32,S44)한다.
이를 통해, RH, GH, 및 BH 패턴의 제1 수평 위치 데이터가 각각 산출되면, 마이컴(30)은 이 RH, GH, 및 BH 패턴의 제1수평 위치 데이터를 반영(S46)하여 이 최대 전압값의 해당 패턴 위치 데이터에 해당하는 수평 편향 기준값을 기준값으로 변경(S48)하여 2차 수평방향 오토 컨버전스를 수행한다.
1-2. 수평방향 패턴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1차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통한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은 먼저, RV 패턴을 형성(S50)하고, RV 패턴의 DC 값을 변경(S52)하면서, RV 패턴의 위치를 이 동시킨다.
이와 같이, RV 패턴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광센서(S1,S2,S3,S4)는 상기한 RV 패턴에 대한 전압값을 출력하여 검출(S54)한다.
여기서, 마이컴(30)은 광센서(S2,S4)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y) 보다 큰 지를 확인(S56)하는 데, 광센서(S2,S4)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y) 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58)하고, 스크린(10)의 좌우 광센서(S2,S4)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에러 1 을 디스플레이(S60)한다.
한편, 광센서(S2,S4)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y) 보다 큰 경우에는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S57)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위치를 계속 이동시키면서 전압값을 계속 검출하는 반면에, 광센서(S2,S4)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엔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58)하고, 스크린(10)의 좌우 광센서(S2,S4)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에러 1 을 디스플레이(S60)한다.
이에 따라, RV 패턴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면, 상기한 전압값 중 가장 큰 제1최대 전압값을 구하고, 이 제1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제1수직 위치 데이터를 선정(S62)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RV 패턴의 수직 이동이 완료되면, RV 패턴을 오프(S64)시키고, 다음으로 GV 패턴 및 BV 패턴에 대한 GV 패턴 제1수직 위치 데이터 및 BV 패턴 제1수직 위치 데이터를 선정한다.
이는 상기한 RV 패턴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GV 및 BV 패턴을 형성(S66,S82)하고, DC값을 변경(S68,S84)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각 위치에서의 광센서(S1,S2,S3,S4)를 통해 전압값을 검출(S70,S86)한다.
이 경우, 광센서(S2,S4)에서의 전압값과 제1수직 설정값(y)을 비교하여 광센서(S2,S4)의 전압값이 제1수직 설정값(y) 보다 큰 지를 확인(S72,S86)하는 데, 만약, 제1수직 설정값(y) 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74,S90)하고, 스크린(10)의 좌우 광센서(S2,S4)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에러 1 을 디스플레이(S76,S92)한다.
반면에, 제1수직 설정값(y) 보다 큰 경우에는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S73,S89)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위치 이동 과정을 계속 거치면서 전압값을 계속 검출(S68~S72, S84~S88)하거나, 오토 컨버전스 과정을 종료(S74,S90)하고, 에러 1 을 디스플레이(S76,S92)한다.
이를 통해, RV, GV, 및 BV 패턴의 제1 수직 위치 데이터가 각각 산출되면, 마이컴(30)은 이 RV, GV, 및 BV 패턴의 제1수직 위치 데이터에 따른 수직 편향 기준값를 편향 기준값으로 변경(S100)하여 이를 차후의 2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의 기준 데이터로 반영(S102)함으로써, 2차 수평방향 오토 컨버전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RV, GV, BV 패턴의 수직방향 패턴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수직방향 패턴의 수직 편향 기준값을 구하면, 역시 RV, GV, BV 패턴의 수평방향 패턴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수직 편향 기 준값을 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의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통한 수평 편향 데이터와 수직 편향 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1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1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통해 산출된 상기 수평 편향 기준값과 수직 편향 기준값을 반영하여 더욱 정확한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수행한다.
2. 2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
2차 컨버전스 조정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통해 산출된 상기한 수평 편향 기준값과 수직 편향 기준값을 반영하여 더욱 정확한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수평 편향 데이터와 수직 편향 데이터가 산출되면, 이들을 통해서 정수화된 해당 패턴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이 패턴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위치 범위에서 2차 오토 컨버전스를 다시 수행한다.
2-1. 수직방향 패턴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차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통해 얻은 수평 편향 기준값을 로딩(S104)시켜 우선 RH 패턴을 형성(S106)함과 더불어, 해당 위치에서 일정한 위치 범위 예를 들어, -10에서 +10까지의 위치 범위에서 RH DC값을 변경(S108)한다.
이와 같이, RH DC값이 변경됨으로써, 광센서(S1,S2,S3,S4)로부터 전압값이 검출(S110)되고, 이 검출된 전압값 중 광센서(S1,S3)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제2수평 설정값(x')을 비교하여 광센서(S1,S3)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x') 보다 큰 지를 확인(S112)한다.
이 경우, 광센서(S1,S3)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x') 보다 작으면,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114)하고, 스크린(10)의 상하 광센서(S1,S2)에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는 에러 2 를 디스플레이(S116)한다.
한편, 광센서(S1,S3)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x') 보다 크면,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 전압값의 검출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S113)하여 전압값 검출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한 과정(S108~S112)을 수행하여 각 위치에서의 전압값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광센서(S1,S3)에서 전압값이 모두 검출되면, 각 전압값을 비교하여 전압값 중 가장 큰 제2최대 전압값의 위치를 선정(S118)하고, 이러한 과정이 일정 회수 예를 들어 3회 수행되었는 지를 판단(S120)한다. 여기서, 제2최대 전압값 위치 선정이 3회 이상 수행되지 않았으면, 상기한 과정(S108~S113)을 계속 수행하고, 3회 수행되면, 검출된 제2최대 전압값의 위치 정보에 따라 RH DC 데이터를 선정(S122)한 후, RH 패턴을 오프(S124)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RH 패턴에 대한 제2최대 전압값에 대한 RH DC 데이터가 선정되면, 다음으로 GH, 및 BH 패턴에 대한 GH, 및 BH DC 데이터를 선정하는 데, 이는 RH 패턴의 제2최대 전압값 위치 선정과정과 동일한 것으로서, GH 및 BH 패턴을 형성(S126,S146)하고 이 패턴의 DC값을 변경(S128,S148)하여 패턴의 위치를 변 경한다.
이와 함께, 광센서(S1,S3)로부터 각 위치에서의 전압값을 검출(S130,S150)하여 이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x') 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x') 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136,S154)한 후, 에러 2 를 디스플레이(S134,S156)한다.
한편,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x')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 전압값 검출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S133,S153)하여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의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도록 상기한 과정(S128~133,S148~S153)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면, 각 전압값을 비교하여 제2최대 전압값의 위치 데이터를 선정(S138,S158)하고, 이러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최값에 대한 GH, BH DC 데이터 선정(S142,S162)한 다음, GH, 및 BH 패턴을 오프(S144,S164)시킨다.
2-2. 수평방향 패턴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차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통해 얻은 수직 편향 기준값으로 변경(S166)하여 우선 RV 패턴을 형성(S168)함과 더불어, 해당 위치에서 일정한 위치 범위 예를 들어, -10에서 +10까지의 위치 범위에서 RV DC값을 변경(S170)한다.
이와 같이, RV DC값이 변경됨으로써, 광센서(S1,S2,S3,S4)로부터 전압값이 검출(S172)되고, 이 검출된 전압값 중 광센서(S2,S4)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제2수직 설정값(y')을 비교하여 광센서(S2,S4)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직 설정값(y') 보다 큰 지를 확인(S174)한다.
이 경우, 광센서(S2,S4)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평 설정값(y') 보다 작으면,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176)하고, 스크린(10)의 상하 광센서(S2,S4)에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는 에러 1 를 디스플레이(S178)한다.
한편, 광센서(S2,S4)에서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직 설정값(y') 보다 크면,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 전압값의 검출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S175)하여 전압값 검출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한 과정(S170~S174)을 수행하여 각 위치에서의 전압값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광센서(S2,S4)에서 전압값이 모두 검출되면, 각 전압값을 비교하여 전압값 중 가장 큰 제2최대 전압값의 위치를 선정(S180)하고, 이러한 과정이 일정 회수 예를 들어 3회 수행되었는 지를 판단(S182)한다. 여기서, 최대 전압값 위치 선정이 3회 이상 수행되지 않았으면, 상기한 과정(S170~S175)을 계속 수행하고, 3회 수행되면, 검출된 제2최대 전압값 위치 정보에 따라 RV DC 데이터를 선정(S184)한 후, RV 패턴을 오프(S186)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RV 패턴에 대한 제2최대 전압값 위치 선정과정이 종료하면, 다음으로 GV, BV 패턴에 대한 제2최대 전압값 위치 선정과정을 수행하는 데, 이는 RV 패턴의 제2최대 전압값 위치 선정과정과 동일한 것으로서, GV 및 BV 패턴을 형성(S188,S208)하고 이 패턴의 DC값을 변경(S190,S210)하여 패턴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와 함께, 광센서(S2,S4)로부터 각 위치에서의 전압값을 검출(S192,S212)하여 이 전압값이 제2수직 설정값(y') 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직 설정값(y') 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종료(S196,S216)한 후, 에러 2 를 디스플레이(S1198,S218)한다.
한편, 검출된 전압값이 제2수직 설정값(y')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 전압값 검출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S195,S215)하여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의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도록 상기한 과정(S190~S194,S210~S214)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위치 범위에서 전압값 검출이 완료되면, 각 전압값을 비교하여 제2최대 전압값 위치를 선정(S200,S220)하고, 이러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제2최대 전압값에 대한 GV, BV 데이터를 선정(S204,S224)한 다음, GV, 및 BV 패턴을 오프(S206,S226)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은 1차와 2차로 나누어지는데, 1차는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은 RGB의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을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의 수평 편향 데이터와 수직 편향 데이터를 각각 산출하고, 2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은 1차 오토 컨버전스 조정 과정을 통해 산출된 수평 편향 데이터와 수직 편향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하여 더욱 정확한 RGB 의 편향 DC 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RGB의 DC 값이 산출되면, 이 RGB의 편향 DC 값을 통해 선형성(Linearity)과, 크기(Size), 및 경사도(Tilt)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컨버전스 제어부(40)에 반영하여 컨버전스 제어부(40)가 신호 제어부(60)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오토 컨버전스를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2수평 설정값 및 제1,2수직 설정값을 프로젝션 TV에 발생할 수 있는 편차와 CRT 드라이버(70)의 노후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원인으로 인한 빔량 감소시 전압값이 떨어질 경우에도 오토 컨버전스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의 광센서에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여 한 번에 4 개 지점의 검출값을 구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총 24개의 데이터를 6회의 측정으로 완료할 수 있어 루틴별 시간별 단축을 가져올 수 있고 빠른 시간에 더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광센서에 에러 발생했을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2단계의 반복 횟수 조정으로 사용자에 따라 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패턴 감지 기준이 되는 설정값을 변경하여 CRT 프로젝션 TV 세트와 노후로 인한 빔량 감소로 전압값이 떨어질 경우에도 오토 컨버전스 실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7)

  1.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휘도에 따른 전압값에 기초하여 편향 DC 값을 산출하여 상기 편향 DC 값을 통해 오토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에 투사되는 RGB 패턴의 위치를 정수화하는 제1단계;
    상기 RGB 패턴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방향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RGB 패턴을 상기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의 기계적 센터를 중심으로 상기 정수화된 위치 범위 내에서 상기 RGB 패턴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RGB 패턴의 위치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값 중 가장 높은 제1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의 수직 편향 데이터와 수평 편향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산출된 수직 편향 데이터와 수평 편향 데이터를 기본값으로 상기 RGB 패턴을 상기 스크린의 상하좌우에 동시에 투사하고 상기 정수화된 위치 범위 내에서 상기 RGB 패턴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RGB 패턴의 위치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값 중 가장 높은 제2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편향 DC 값을 보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은 상기 광센서에 대응되게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상기 RGB 패턴은 상기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중 상기 수평방향으로 먼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RGB 패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제1수평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상기 제1수평 설정값 보다 크도록 상기 RGB 패턴을 수직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자가 진단 및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반복 이동된 RGB 패턴을 통해 상기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상기 제1수평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에 에러가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RGB 패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1수직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상기 제1수직 설정값보다 크도록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자가진단 및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반복 이동된 RGB 패턴을 통해 상기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상기 제1수직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에 에러가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RGB 패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2수평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상하에 설치된 광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RGB 패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2수직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좌우에 설치된 광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일정 횟수 이상 반복하여 상기 제2최대 전압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횟수는 3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 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3.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 설정값은 CRT TV의 동작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패턴과 수평방향 패턴은 상기 광센서에 대응되게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5.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설정값은 CRT TV의 동작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 설정값은 CRT TV의 동작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 설정값은 RT TV의 동작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프로젝션 TV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KR1020050066761A 2005-07-22 2005-07-22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KR10072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61A KR100723049B1 (ko) 2005-07-22 2005-07-22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61A KR100723049B1 (ko) 2005-07-22 2005-07-22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987A KR20070011987A (ko) 2007-01-25
KR100723049B1 true KR100723049B1 (ko) 2007-05-30

Family

ID=3801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761A KR100723049B1 (ko) 2005-07-22 2005-07-22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0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64A (ko) * 2001-08-09 200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패턴의 각도보상을 수행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컨버젼스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64A (ko) * 2001-08-09 200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패턴의 각도보상을 수행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컨버젼스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987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011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projector,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061551B2 (e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ngular error of reference pattern
JP2005518732A (ja) 背面投射型テレビ受信機においてラスターを自動的に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50225684A1 (en) Center convergenece optimization in a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KR100723049B1 (ko)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 방법
US6707509B2 (en) Method for adjusting convergence in a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US7456908B2 (en) Method of performing convergence calibration for a display
EP0852447A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convergence in a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JP4474144B2 (ja) 画像投影装置
KR100731535B1 (ko) Crt 프로젝션 tⅴ의 오토 컨버전스 오류 방지 방법
KR20070012008A (ko) Crt 프로젝션 tⅴ의 포커스 조정 방법
KR100671889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자동 컨버전스 조정방법
KR20070011988A (ko) 프로젝션 tⅴ의 자동 영점 조정 방법
JP2005124105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色補正方法
KR100598950B1 (ko) 자동 컨버전스 조정방법
KR100548229B1 (ko) 컨버전스 보상 기능을 갖는 프로젝션 tv 및 그의 보상방법
JP2805793B2 (ja) コンバーゼンス測定装置
JPH0856366A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H10164607A (ja) デ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自動調整装置
KR19980026700A (ko) 씨알티의 디지탈 컨버젼스 조정회로
JPH10117358A (ja) 表示装置
KR20040090511A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장치
KR20030096902A (ko) 프로젝션 tv의 자동 컨버젼스 보정 장치 및 방법
JPH05103333A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2000050319A (ja) コンバーゼンス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