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512B1 -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512B1
KR100722512B1 KR20050101470A KR20050101470A KR100722512B1 KR 100722512 B1 KR100722512 B1 KR 100722512B1 KR 20050101470 A KR20050101470 A KR 20050101470A KR 20050101470 A KR20050101470 A KR 20050101470A KR 100722512 B1 KR100722512 B1 KR 10072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imeline information
user
ring back
back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039A (ko
Inventor
김환규
윤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05010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5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5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구간을 나타내는 소정의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개별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을 저장 및 유지하는 음원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 음원 구간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타임라인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일정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사용자들이 직접 설정한 타임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음원을 재생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원 관리 및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통화 연결음, 컬러링, 음원, 음원 구간

Description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PERSONALIZED RING BACK TON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컴퓨터를 통해 타임라인을 설정 받기 위한 타임라인 설정 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임라인을 설정 받기 위한 타임라인 설정 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음원 구간 선택부 202: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
203: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204: 음원 저장부
205: 음원 재생부 206: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
207: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
본 발명은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구간을 나타내는 소정의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개별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가지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 중 하나인 일명 '컬러링'이라 불리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는 이동 통신 사용자 대부분이 사용하는 서비스가 되었다. RBT(Ring Back Tone: 통화 연결음) 서비스라고도 불리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란, 이동 전화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 때 '투투'하는 통화 연결음 대신 최신가요나 재미있는 음성으로 통화 연결음을 바꿔주는 서비스로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등장하게 된 이유 중의 하나로서, 발신번호 표시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전화를 받는 사람들이 걸려온 번호를 확인하고 통화를 할 것인지 고민하는 시간이 생김으로 인해 발신자의 통화대기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벨소리가 울리고, 휴대폰을 찾아서 번호를 확인하는 시간이 대략 15-17초 정도 된다. 이 시간은 발신자가 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충분히 간단한 멘트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이러한 통화연결 시간에 일괄적인 통화 연결음보다 개인 취향에 맞는 음악이나 멘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시작된 것이다.
현재 국내 이동 통신업체 모두 각각 '컬러링', '필링' 및 '투링'이라는 서비스명으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동 통신 업체들은 해외 통신업체와 적극적인 제휴를 통해 통화 연결음 서비스의 해외 시장 진출에도 나서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업체뿐 아니라 최근에는 유선 전화 서비스 업체들도 유선 전화기를 통한 통화 대기음 변경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종래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자가 인기 있는 음악의 일정 부분을 서버에 업로드 해 놓으면, 사용자가 웹 상에서 콘텐츠 제공자가 업로드 해 놓은 음악의 일정 부분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통화 연결음 서비스의 특성상 전곡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구간만을 통화 연결음으로 서비스하는데, 콘텐츠 제공자는 한 곡당 보통 2개 내지 3개의 인기 있는 구간만을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한다. 이처럼 통화 연결음 서비스 사용자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지만 종래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식으로는 다양해진 사용자의 취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고,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저장해야 할 음원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의 일정 구간이 있는지 스스로 찾아서 모두 들어봐야 하고, 한 곡당 제공하는 구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곡당 제공하는 구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똑같은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쉽게 싫증내게 된다.
콘텐츠 제공자들 또한 사용자들의 취향을 분석해서 여러 가지 곡들 중에서 가장 적절한 구간만을 잘라내서 편집한 후 일일이 서버에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렇게 되면 갈수록 다양해지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힘들어지고, 음원 저장공간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음악에서도 어떤 사용자들은 처음 인트로 구간을 선호하고, 다른 사용자들은 클라이막스 구간을 선호하며, 그리고 또 다른 사용자들은 엔딩 구간을 더 좋아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음원에서조차 사용자들이 원하는 구간은 모두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수많은 음원에서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구간은 무수히 많아질 것이며 종래의 기술로 모두 서비스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급속히 증가하는 통화 연결음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종래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고 더욱 간편하면서 효율적인 통화 연결음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을 좀더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개별 사용자들의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 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원하는 음악의 특정 구간을 직접 선택하고 설정함으로써 개인화된 다양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음을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원의 구간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음원 관리의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구간을 등록시킬 때, 타임라인 정보 DB에 기 저장된 비슷한 음원 구간이 있는지 비교하여, 비슷한 음원 구간이 있을 경우 기 저장된 음원 구간을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원 구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구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통화 연결음을 추천하거나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들간에 음원 구간을 공유하거나, 더 나아가 통화 연결음 마케팅에도 활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음원 구간을 직접 선택하여 등록할 때, 반복 기능, 리믹스 기능,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 기능과 같은 다양한 음원 편집 옵션을 부가하여 더욱 세련된 통화 연결음을 서비스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을 저장 및 유지하는 음원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 음원 구간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타임라인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일정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음원을 음원 저장부에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타임라인 정보에 음원의 일정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음원'은 단순히 가요, 팝, 클래식 등과 같은 음악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효과 음향 및 다양한 음성도 포함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유선 케이블 및 전선로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방법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발신 교환기(101), HLR(102), IVR(103),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 및 착신 교환기(105)를 포함한다.
발신 교환기(101) 및 착신 교환기(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 및 발신신호 처리, 통화로 설정과 복구, 회선 교환 관리,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HLR(Home Location Register: 가입자 위치등록기)(102)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시, 위치 등록 시 및 이동 단말기로 착신 시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교환기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자동 응답 시스템)(103)은 통신망을 통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목적에 따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자동응답시스템), VMS(Voice Mail System: 음성사서함) 및 무인자동교환 등으로 구축하여 사용 가능한 음성 처리 시스템으로, 수 많은 고객의 문의전화, 예약, 상담 및 조회, 정보서비스 등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고, 전화업 무의 전산화를 이루는데 유용한 지능형 자동응답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IVR(103)은 발신 신호 수신 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음원을 자동응답시스템에 의해 발신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음원의 타임라인 정보를 설정받아서 저장하며, 발신 신호 수신 시 해당 음원 구간을 통화 연결음 서비스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의 구성 및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체적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면 해당 지역의 기지국을 통해 교환기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교환기는 HLR(102)을 통해 해당 발신자 정보를 얻는다. 그 후, 발신자가 있는 해당 지역의 교환기로 신호가 전달되고 두 사람의 단말기 간의 신호가 연결이 되면 통화가 시작된다. 이때, 수신자가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했고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구간인 타임라인 정보를 설정하였다면 HLR(102)이 이를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수신자의 교환기에 신호가 전달되는 것과 동시에 통화 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 수신자가 설정한 타임라인 정보를 근거로 해당 음원 부분을 IVR(103)을 통해서 발신자에게 들려주게 된다. 발신자는 음악을 듣다가 수신자가 휴대폰을 열어 통화를 하는 순간 음악은 멈추고 통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네트워크는 종래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네트워크와 기본 프로세스는 유사하나, 종래처럼 편집 음원을 모두 저장 하고 있다가 IVR(103)을 통해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지 않고,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음원 구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타임라인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요청 시 해당 음원에 접근하여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효율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되면, 콘텐츠 제공자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수 많은 음원을 일일이 편집해서 서버에 업로드 해 놓을 필요없이 음원 전곡을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업로드해 놓기만 하면 된다.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위해 기존의 교환기에서는 IVR(103)장비로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통화 연결음 가입자 규모에 맞춰 IVR(103)장비를 늘리고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기타 음원 제공자들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을 제공 받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타임라인 정보를 설정받아서 저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의 타임라인을 설정할 때, 컴퓨터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서도 인터넷에 접속하여 쉽게 설정 가능하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먼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고 상기 음악을 들어본 후 전체 음원 재생시간 중에서 원하는 구간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만 입력하면 된다. 더욱 간편하게는 음원을 듣는 도중에 키패드 입력만으로 시작점과 끝점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은 음원 구간 선택부(201),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202), 타임라인 정보 DB(203), 음원 저장부(204), 음원 재생부(205),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206), 및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207)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들을 상술하기로 한다.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4)은 크게 타임라인을 설정받는 부분, 저장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 및 부가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음원 구간 선택부(201), 및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202)가 상기 타임라인을 설정 받는 부분에 해당하고, 타임라인 정보 DB(203), 음원 저장부(204), 및 음원 재생부(205)가 상기 저장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해당하며,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206) 및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207)가 부가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 된다.
음원 구간 선택부(201)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음원 구간 선택부(201)를 통해서 음원 구간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원 구간을 선택할 경우,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는 이통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먼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게 된다. 그 후, 음악 전곡을 들어보면서 원하는 부분이 나올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서 음원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을 선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을 설정할 시에 원하는 음악의 복수의 음원 구간을 모두 들어봐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고 그만큼 패킷 요금제에 따른 무선인터넷 사용요금이 큰 부담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구간 설정을 위한 음원 구간 선택부(201)를 사용한다면, 쉽고 빠르게 음원 구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달리, 사용자는 음원의 재생시간을 참조하여, 원하는 음원 구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만을 입력하면 쉽게 통화 연결음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음악 재생 시간은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미리 원하는 음악의 음원 구간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확인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음원을 들어볼 필요 없이 바로 음원 구간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음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원 구간 선택 시에, 반복 기능, 리믹스 기능,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 기능과 같은 다양한 음원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더욱 세련된 자신만의 통화 연결음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반복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음원 구간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상기 반복 재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구간을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고, 리믹스 재생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리믹스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음원의 다양한 구간들을 조합하여 메들리 형태로 설정하거나, 복수의 음원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밖에도, 사용자가 직접 재생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보다 다양한 음원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은 통화 연결음의 재생 및 종료 시에 음원의 볼륨을 천천히 크게 하고 천천히 작게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종래의 통화 연결음은 재생 및 종료 시에 음원이 바로 재생되고 끊기기 때문에 발신자가 통화 연결음을 들을 때 조금은 불편함이 있다. 상기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기능을 이용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신자가 보다 듣기 편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볼륨조절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통화 연결음의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종래에는 통화 연결음의 볼륨이 항상 일정하여 통화 연결음의 소리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아서 발신자에게 불편함이 있다. 상기 볼륨조절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자마다 다른 통화 환경에 적합하게 통화 연결음의 볼륨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음원 편집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결국, 더 많은 통화 연결음 서비스 가입자를 유도하고, 부가서비스를 통한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음원 편집 기능을 서비스하는 구체적인 일례로,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간단한 음원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상기 다양한 부가 기능을 첨가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편집된 음원 구간 정보는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하기 쉽게 EDL(Edit decision list: 편집 결정 리스트)과 같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EDL이란, 일련의 편집을 나타내주는 편집 리스트로서 클립, 효과, 트랜지션 등에 관한 정보를 모아 놓은 것이다. 즉, 상기 EDL에는 각 클립의 시간상의 위치, 시작점, 끝점, 및 다른 클립과의 관계 등에 관한 정보들이 들어 있으며, 상기 EDL은 여러 편집 시스템간에 호환을 위해서 XML형태로 편집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유용하다.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202)에서는 음원 구간 선택부(201)를 통해서 선택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202)에서는 음원 구간 선택부(201)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음원 종류 및 음원 구간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에 기타 사용자 정보들을 추가하여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타임라인 정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통화 연결음 유형, 음원 식별 데이터, 및 음원 구간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할 때는 확장성이 좋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 마크업 언어)과 같은 형태의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임라인 정보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상기 타임라인 정보는 음원에 접근하여 개별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할 수 있는 참조 정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타임라인의 조합은 수 백만 개라고 하여도 메모리에는 훨씬 적은 레벨의 용량이므로 파일 시스템이 아닌 메모리에서 관리한다. 그러므로, 타임라인 정보는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컬러링 서비스의 처리 속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타임라인 정보 DB(203)에서는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202)를 통해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개별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타임라인 정보는 해당 음원 구간의 실제 음원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음원 구간에 관한 간단한 정보들만을 담고 있으므로, 불과 몇 바이트에 불과하고 이는 단지 몇 곡 분량의 음원 용량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음원을 저장할 수 있는 저 장장치와 별도로 타임라인 정보 DB(203)를 구축하더라고 저장용량의 큰 부담 없이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음원 저장부(204)는 복수의 음원을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음원 저장부(204)에 저장되는 음원들은 상기 타임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접근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PCM(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또는 ADPCM(Adaptive Differential PCM: 적응형 차동 펄스 부호 변조)과 같은 오디오 포맷 형태는 원하는 위치로 바로 접근하여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음원 저장부(204)에 저장하는 음원 형태로 가장 적합하다.
종래에는 음원과 소정의 편집 툴을 이용하여 사업자나 사용자가 적당한 음원 구간을 편집하여 음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여 통화 연결음으로 서비스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방법은 모든 음악의 음원을 편집하여 다시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 음악 파일이 개인에게 유출될 여지가 생겨서 저작권 관리에 어려움이 생기며, 음원 관리 또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저장부(204)에 저장된 음원의 해당 구간을 재생하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음원 저장부(204)에서 음원 관리 및 저작권 관리에도 훨씬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음원 재생부(205)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타임라인 정보 DB(203)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타임라 인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저장부(204)에 저장된 음원의 해당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한다.
즉, 음원 재생부(205)는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상기 사용자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한 후, 타임라인 정보 DB(203)에서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의 음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 연결음에 해당하는 노래를 찾는다. 그 후, 실제 음원을 음원 저장부(204)상에서 열고 타임라인 정보의 타임라인을 기초로 해당하는 노래의 원하는 위치에 바로 접근하여 재생한다.
음원 재생부(205)에서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해서 해당 음원을 재생하기까지의 과정은 메모리 연산이므로 기존 시스템보다 속도 및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는 극히 미약할 것이다. 그러므로, 통화 연결음 서비스 과정은 종래에 비해 몇 단계를 더 거치지만 서비스 속도는 기존 서비스에 비해서 크게 느려지지 않는다.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206)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원 구간을 선택받고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할 때에, 타임라인 정보 DB(203)에 기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들과 비교해서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 만약,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검색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라인 정보를 등록시키지 않고 타임라인 정보 DB(203)에 기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를 재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에 대하여 비슷한 타임라인 정보를 중복하여 저장하는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일례로, 수백 명의 사용자들이 타임라인 설정 시에, 같은 음악에서 단 1~2초 차이가 나는 음원 구간을 선택하였다면, 상기 음원 구간에 따른 수백 개의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저장 공간의 큰 낭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수백 개의 타임라인 정보는 기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에 새로운 사용자 정보 데이터만을 추가하여 하나의 타임라인 정보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20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저장 공간의 낭비를 막고 음원 구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장 용량에서 손실되는 성능 요소가 줄어들고, 선택된 통화 대기음 해당하는 음원을 찾아서 타임라인 구간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 바로 접근하여 음원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개인화 처리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207)에서는 타임라인 정보 DB(203)에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들을 참조하여 사용자 연령, 음원 장르 및 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타임라인 정보들을 분석한다.
즉,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207)는 유사도 분석(Affinity Analysis) 및 공동화 필터링(Collaboration Filtering)과 같은 소정의 추론 엔진을 통해서 사용자 연령 및 나이대별 통화 연결음 이용 패턴, 개별 사용자별 선호 통화 연결음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된 타임라인 정보는 통화 연결음 트렌드 예측, 통화 연결음 추천 및 고객 마케팅 서비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기준 중에서 사용자 연령을 기준으로 타임라인 정보 들을 분석하면, 사용자 연령별로 어떤 통화 연결음을 선호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분석에 따라, 선호하는 음원을 더 추가하거나 선호하지 않는 음원을 삭제하여 음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기준 중에서 음원 장르를 중심으로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207)를 통해서 몇몇 사용자들이 비슷한 장르의 음악을 좋아하면서 설정한 음원 구간까지 비슷하다는 것이 분석되면, 상기 사용자들은 취향이 비슷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그룹에서 최근에 설정한 통화 연결음 중에서 설정 횟수가 많은 몇몇 음악들을 상기 그룹 내 다른 사용자들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연결음 그룹내의 다른 사용자들이 설정한 타임라인 정보들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타임라인 설정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중에서 음원의 가수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가수를 분석할 수 있고, 이는 가수의 콘서트나 음반 등을 이용한 개별적인 마케팅에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의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자주 설정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가수의 콘서트 소식이나 음반 발매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보다 개인화된 마케팅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301), 통화 연결음 유형(302), 음원 식별 데이터(303), 및 음원 구간 데이터(304)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301)는 사용자 ID, 이름, 나이 및 성별과 같은 개인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통화 연결음이 사용자 별로 제대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인덱스 역할을 한다.
통화 연결음 유형(302)은 기본 통화 연결음, 사용자별 연결음, 시간대별 연결음과 같은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의 기본 설정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화 연결음 유형은 사용자로부터 최초 음원 구간을 설정받을 때에 함께 설정받게 된다.
음원 식별 데이터(303)는 사용자가 통화 연결음으로 선택한 음악의 장르, 가수 및 발매일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상기 음원 정보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위한 음악 검색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207)를 통한 사용자들의 타임라인 정보 분석에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음원 구간 데이터(30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라인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즉, 음원 구간 데이터(304)에는 통화 연결음으로 사용할 음원 구간의 시작점 및 끝점과 사용자가 설정한 반복, 리믹스,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과 같은 다양한 음원 편집 정보들이 포함된다.
음원 구간 데이터(304)에 있어서 또 달리, 상기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음원 구간 데이터(304)에는 음원 구간의 시작점 및 끝점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반복, 리믹스,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과 같은 음원 편집 기능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음원 편집 기능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사용자 가 음원 편집 기능을 사용한 경우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음원 편집에 대한 정보를 독출해 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원 편집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 낭비될 수 있는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급증할 경우 별도의 서버로 구성해서 서비스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401)에서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복수의 음원을 음원 저장부에 저장 및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먼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복수의 음원 전곡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유지하게 된다.
단계(402)에서는 사용자에게 음원 및 타임라인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가 웹(Web) 및 왑(Wap)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서 원하는 음원 구간을 선택하여 타임라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계(403)에서는 사용자에게 직접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다. 사용자가 음원 구간을 선택하는 방법은 음원의 재생시간을 참조하여 원하는 음원 구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입력하거나, 음원 재생중에 시작점 및 끝점을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단계(403)를 통해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정해진 몇 개의 음악 구간 중에서 통화 연결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의 원하는 어떤 구간이라도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더욱 다양하고 개인화 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 후, 단계(404)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타임라인 정보는 사용자 정보, 음원 정보 및 음원 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할 때에 사용자별로 다양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단계(405)에서는 단계(404)를 통해 생성된 새로운 타임라인 정보를 타임라인 정보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를 모두 저장하는 낭비를 막고, 타임라인 정보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단계(405)에서는 타임라인 정보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와 비교하여 소정의 기준 내에서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있는지 검색하게 된다. 단계(405)에서의 타임라인 정보 비교 결과 유사한 타임라인이 검색되면, 단계(406)에서 타임라인 정보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를 그대로 재사용한다. 재사용하는 방법은 기 저장되어 있는 타임라인 정보에 유사한 구간의 음원을 선택한 새로운 사용자의 정보를 추가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타임라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405)에서의 타임라인 정보 비교 결과 유사한 타임라인이 검색되지 않으면, 단계(407)에서 새로운 타임라인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게 된다. 타임라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별도로 구축하게 된다. 타임라인 정보에는 실제 음원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새로운 타임라인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407)는 적은 저장용량과 간단한 데이터베이스만으로 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단계(401)부터 단계(407)까지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을 위한 음원 및 타임라인 정보가 저장 및 유지되고, 이 후 제 3자로부터 타임라인 정보를 설정한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오면(단계(408)), 단계(409)에서 상기 타임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한다. 즉, 단계(409)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라인 정보에 포함된 음원과 음원 구간을 독출하여, 해당 음원에 접근하여 바로 음원을 재생하게 된다.
단계(401)부터 단계(408)까지의 방법을 통한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종래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비교해 봤을 때,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지만 큰 저장용량 감소나 서비스 속도의 저하 없이도 사용자에게 훨씬 다양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통해 타임라인을 설정 받기 위한 타임라인 설정 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임라인 설정 툴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원과 함께 사용자가 타임라인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웹을 통해서 타임라인을 설정할 때, 음원을 직접 들어보면서 재생 시각을 확인하고 원하 는 구간의 시작시각과 종료시각을 입력하여 타임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달리, 마우스 입력에 의해 원하는 구간을 직접 선택하여 타임라인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복 기능, 리믹스 기능,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 기능과 같은 다양한 음원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음원을 편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임라인을 설정 받기 위한 타임라인 설정 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타임라인 설정 툴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원과 함께 사용자가 타임라인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다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타임라인 설정은 음원 재생 중에 키패드 입력을 통해 설정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타임라인 설정 및 부가기능을 이용한 음원 편집이 모두 끝나면 최종 타임라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타임라인 정보의 간략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원하 는 음악의 특정 구간을 직접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 연결음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잇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음을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음원의 구간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원 관리 및 소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구간을 등록시킬 때, 타임라인 정보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슷한 음원 구간이 있는지 비교하여, 비슷한 음원 구간이 있을 경우 기 저장되어 있는 음원 구간을 재사용 함으로써 음원 구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구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통화 연결음을 추천할 수 있고,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들간에 음원 구간을 공개하는 부가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더 나아가 통화 연결음 마케팅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음 반복 기능, 리믹스 기능,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 기능과 같은 다양한 음원 편집 옵션을 제공하여 더욱 세련된 통화 연결음을 서비스할 수 있다.

Claims (8)

  1.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음원을 저장 및 유지하는 음원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 음원 구간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구간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타임라인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와 상기 타임라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하는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타임라인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일정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라인 정보 비교부는 상기 비교 결과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정보는 음원 식별 데이터 또는 음원 구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구간 선택부는 반복 기능, 리믹스 기능,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및 볼륨조절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연령, 음원 장르 및 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타임라인 정보를 분석하는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정보 분석부는 상기 분석된 타임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음 트렌드 예측, 통화 연결음 추천 및 고객 마케팅 서비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음원을 음원 저장부에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할 음원 구간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음원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구간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유사한 타임라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타임라인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착신 신호 수신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타임라인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타임라인 정보에 따라 음원의 일정 구간을 통화 연결음으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50101470A 2005-10-26 2005-10-26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2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1470A KR100722512B1 (ko) 2005-10-26 2005-10-26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1470A KR100722512B1 (ko) 2005-10-26 2005-10-26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039A KR20070045039A (ko) 2007-05-02
KR100722512B1 true KR100722512B1 (ko) 2007-05-28

Family

ID=3827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1470A KR100722512B1 (ko) 2005-10-26 2005-10-26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74B1 (ko) * 2007-01-15 2007-12-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해외 로밍 가입자의 컬러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04844B1 (ko) * 2014-12-05 2021-01-19 주식회사 케이티 연락처 기반 통화 연결음 설정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135A (ko) * 2003-07-14 2003-08-25 (주)유토포스 오디오신호의 변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통신망을 이용한 오디오 서비스 방법
KR20050020848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퓨쳐위즈 벨소리와 콜러링을 업로드하는 엠피쓰리 복합형이동통신장치 및 업로드 방법
KR20050119041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엠포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135A (ko) * 2003-07-14 2003-08-25 (주)유토포스 오디오신호의 변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통신망을 이용한 오디오 서비스 방법
KR20050020848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퓨쳐위즈 벨소리와 콜러링을 업로드하는 엠피쓰리 복합형이동통신장치 및 업로드 방법
KR20050119041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엠포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039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106B2 (en) Tele-karaoke
US92181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US95963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played at a point selected by user
US200702885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oring content definition within a media file
US20080107102A1 (en) Phonecasting systems and methods
KR100722512B1 (ko) 개인화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1515946A (zh) 信息传输方法及系统
KR100805631B1 (ko) 온라인 음악 동기 재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350505B1 (ko)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서 음악 파일 편집 방법
KR100432938B1 (ko) 개인별로 구분된 음성 사서함 배경 음악 구성 방법 및 장치
CN102833394A (zh) 生成自己铃声的手机及其铃声生成方法
JP2002169570A (ja) オーダーメイドのメドレー楽曲を提供する音楽サーバー
JP2003084775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2264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통화 연결음 미리 듣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3840A (ko) 휴대단말기의 음원 단축버튼 확인장치 및 방법
JP4514510B2 (ja) 音楽メール出力方法、音楽メール出力システム、及び楽曲提供装置
KR20100091743A (ko)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벨소리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6819A (ko) 모바일 단말 뮤직 플레이어의 최적 음향재생장치 및 그방법
KR20010091629A (ko) 휴대용단말기 착신음 변경 프로그램 서비스방법
JPH04304500A (ja) 音声情報再生制御方式
KR20050090552A (ko) 블로그 페이지에 설정된 음원과 연동하는 부가 서비스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35516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녹음 서비스 제공 방법
KR19990053181A (ko) 부가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피씨용 음성 편집 방법
KR20080019665A (ko)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12148A (ko) 휴대폰 벨소리 및 통화연결음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