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474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474B1
KR100722474B1 KR1020050110222A KR20050110222A KR100722474B1 KR 100722474 B1 KR100722474 B1 KR 100722474B1 KR 1020050110222 A KR1020050110222 A KR 1020050110222A KR 20050110222 A KR20050110222 A KR 20050110222A KR 100722474 B1 KR100722474 B1 KR 100722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home auto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510A (ko
Inventor
권용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4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입력하여 자동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단말기에 저장하여 두고 단말기에서 시간을 확인하여 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홈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오토메이션 제어를 위해 홈 서버에 접속할 필요 없이 단말기 자체적으로 스케줄 내역의 열람과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 Method For Managing Home Automation Schedule With Mobile Terminal And There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설정된 스케줄이 있으면 이를 홈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입력하여 자동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홈 오토메이션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홈 서버에 접속하여 가전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에서는 특정 시각에 특정 가전기기들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케줄링 기능이 중요한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에서는 홈 서버에 접속하여 스케줄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즉, 홈 서버 자체에 내장된 스케줄링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링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홈 서버 자체의 스케줄링 기능에 의존할 경우 스케줄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홈 서버에 접속하여 스케줄 내역을 열람해야 하므로 이동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용요금이 부과되어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고 접속을 위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에서 홈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없이 스케줄을 설정하고 열람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스케줄 설정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되어 저장된 스케줄에 따르는 홈 오토메이션 수행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스케줄 확인단계; 및 상기 스케줄 확인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수행 시간이 되었다면 해당하는 홈 오토메이션 수행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열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취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취소하는 경우 스케줄을 하나씩 취소하거나 여러 개의 스케줄을 한꺼번에 선택하여 선택된 스케줄을 모두 취소하거나 전체 스케줄을 모두 취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 확인단계에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수행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주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 등의 명령을 수행하고 주기적으로 설정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그 시간에 스케줄이 있으면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통해 홈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케줄을 설정하거나 스케줄을 열람하거나 스케줄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그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를 하는 경우 이를 위한 메뉴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스케줄 설정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그 스케줄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에 따른 가전기기들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제어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단말기에 저장하여 두고 단말기에서 시간을 확인하여 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홈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부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기적으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열람하는 부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홈 오토메이션 제어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메뉴에는 스케줄 설정, 스케줄 확인, 스케줄 취소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는 메뉴의 메인화면으로 들어가면 110과 같이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설정의 메뉴들이 표시된다. 110에는 "1.스케줄 설정", "2.스케줄 열람", "3.스케줄 취소" 등의 메뉴가 있다. 이러한 초기 메뉴 상태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메뉴에 해당하는 번호의 버튼을 누르거나 커서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를 하이라이트 시킨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그 메뉴로 들어간다. 예를 들어, "2.스케줄 열람" 메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2'번 버튼을 누르거나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켜 "2.스케줄 열람"을 하이라이트 시킨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110 화면의 "1.스케줄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120과 같은 화면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다. 120을 보면, 화면 상단에 현재의 메뉴가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고 그 밑에 위에서부터 날짜, 시각, 기기, 동작을 입력하는 칸이 있다. 이 칸에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의 날짜, 시각, 기기, 동작 등을 입력하는 방법은 커서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해당하는 영역이 하이라이트된 경우 확인 버튼을 눌러 각 영역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하는 메뉴로 들어가 값을 입력하는 것이다. 날짜, 시각, 기기, 동작 등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하는 메뉴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여러 개의 값이 표시된 보기 중 해당하는 값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값을 모두 설정한 후에는 커서를 최하단의 "입력완료"로 옮긴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스케줄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스케줄을 열람하려면 110 화면에서 "2.스케줄 열람"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130과 같은 화면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다. 130을 보면 화면 상단에 현재의 메뉴가 스케줄을 열람하는 것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고 그 밑에 설정되어 있는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이 시간순서로 표시된다. 스케줄이 많아서 한 화면에 모든 스케줄을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우측 측면에 스크롤 바를 두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모든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열람할 수 있다. 130에도 우측에 스크롤 바가 도시되어 있다. 130에는 2007년 11월 20일 13시 10분에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 2007년 11월 20일 13시 20분에 보일러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 2007년 11월 20일 13시 30분에 조명을 켜라는 스케줄 등이 설정되어 있다고 표시되어 있다.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을 취소하려면 110 화면에서 "3.스케줄 취소"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140과 같은 화면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이 표시된다. 140을 보면 화면 상단에 현재의 메뉴가 스케줄을 취소하는 것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고 그 밑에 설정되어 있는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이 시간순서로 표시된다. 한 화면에 모든 스케줄을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우측 측면에 스크롤 바를 두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모든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140에도 우측에 스크롤 바가 도시되어 있다. 140에는 상기 130에서와 같이 2007년 11월 20일 13시 10분에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 2007년 11월 20일 13시 20분에 보일러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 2007년 11월 20일 13시 30분에 조명을 켜라는 스케줄 등이 설정되어 있다고 표시되어 있다. 스케줄을 취소하려면 취소할 스케줄을 커서로 선택하고 하이라이트 시킨 후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해당 하는 스케줄의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스케줄을 열람하는 메뉴와 취소하는 메뉴를 별도로 구현하였으나 스케줄을 열람하는 메뉴로 들어가서 스케줄을 열람하면서 확인한 스케줄 중에서 취소할 스케줄을 선택하여 취소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을 취소하는 경우 스케줄을 하나씩 취소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스케줄을 한꺼번에 선택하여 선택된 스케줄을 모두 취소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전체 스케줄을 모두 취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소프트웨어 상으로 구현가능하다.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기적으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주기적으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스케줄을 확인하는 주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하여 둔 기본 주기가 있으며 사용자가 그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주기를 짧게 하면 보다 정확한 홈 오토메이션 실행이 가능해지나 스케줄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의 낭비가 생기며, 주기를 길게 하면 홈 오토메이션 실행의 정확도는 떨어지나 스케줄 확인으로 인한 자원 낭비는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가 3분이고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2007년 11원 20일 13시 10분에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이 있다고 하자. 그리고, 주기는 13시 00분부터 시작된다고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3분 간격으로 즉, 13시 03분, 13 시 06분, 13시 09분, 13시 12분, 13시 15분에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한다. 그러면 13시 10분으로 설정된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은 13시 12분에서야 확인하게 된다. 즉, 2분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다. 이와 달리 주기를 2분으로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2분 간격으로 즉, 13시 02분, 13시 04분, 13시 06분, 13시 08분, 13시 10분, 13시 12분, 13시 14분, 13시 16분에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한다. 그러면 13시 10분으로 설정된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라는 스케줄은 13시 10분에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하여 오차가 없게 된다. 그러나 같은 시간 동안 많은 수의 확인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전력손실 등 자원의 낭비가 초래된다. 정확도, 자원 중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를 고려하여 스케줄 확인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홈오토메이션 제어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하다가 설정된 스케줄이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설정된 스케줄이 있으면 이를 홈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도 2와 같다.
초기화 과정으로 스케줄을 확인할 주기를 설정한다(S210). 주기를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주기가 적용된다. 주기를 설정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S220). 확인결과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다시 주기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20)를 반복한다.
상기 S220 단계의 확인결과 설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다면 그 시각 또는 그 시각 이전에 실행되도록 설정된 스케줄이 있는지 확인한다(S230). 상기 그 시각 이전의 스케줄은 전 주기에서는 아직 스케줄에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행하지 않은 스케줄을 의미한다. 상기 주기를 3분으로 하고 스케줄이 13시 10분으로 설정된 예에서 이전 주기경과시각인 13시 09분에는 스케줄 시각이 되지 않아 실행하지 않은 13시 10분의 스케줄을 다음 주기경과시각인 13시 12분에 실행한다는 것이다.
상기 S230 단계의 판단결과 설정된 스케줄이 없다면 상기 S220 단계로 돌아가 다시 한 주기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S230 단계에서 설정된 스케줄이 있다면 홈 서버로 그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한다(S240). 이 제어명령을 수신한 홈 서버에서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홈 서버에 명령을 전송한 후에는 상기 S220 단계로 돌아가 다시 한 주기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10)는 제어부(311), 사용자 인터페이스(312), 디스플레이부(313), 메모리(314),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범위에서만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에 포함된다.
또한, 도 3에는 홈 서버(32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310)로부터 홈 오토메이션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이상에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 등의 명령을 수행하고 주기적으로 설정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그 시간에 스케줄이 있으면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5)를 통해 홈 서버(3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는 이동통신 단말기(310)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를 하는 경우 그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3)는 이동통신 단말기(3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표시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를 하는 경우 상기 도 1과 같은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모리(314)는 이동통신 단말기(31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케줄 설정이 있는 경우 그 스케줄을 저장하고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5)는 이동통신 단말기(310)에서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10)에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에 따라 가전기기들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제어명령을 홈 서버(3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10)에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홈 서버(320)에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10) 사용자가 스케줄을 설정하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로 홈 오토메이션을 설정하는 메뉴로 진입한다. 홈 오토메이션을 설정하는 메뉴에 진입한 후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2)에 포함된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도 1을 통해 설명한 과정으로 스케줄을 입력한다. 입력된 스케줄은 제어부(311)를 거쳐 메모리(314)에 저장된다.
제어부(311)에서는 주기적으로 메모리(314)에 저장되어 있는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확인한다. 확인하던 중 그 시간에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이 있다면 이 스케줄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켜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5)를 통해 홈 서버(320)로 전송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개별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출원서에 설명된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들에 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모든 변형된 형태와 수정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오토메이션 제어를 위해 홈 서버에 접속할 필요 없이 단말기 자체적으로 스케줄 내역의 열람과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스케줄 설정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되어 저장된 스케줄에 따르는 홈 오토메이션 수행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스케줄 확인단계; 및
    상기 스케줄 확인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수행 시간이 되었다면 해당하는 홈 오토메이션 수행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열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취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을 취소하는 경우 스케줄을 하나씩 취소하거나 여러 개의 스케줄을 한꺼번에 선택하여 선택된 스케줄을 모두 취소하거나 전체 스케줄을 모두 취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확인단계에서 상기 스케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수행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주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
  6.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 등의 명령을 수행하고 주기적으로 설정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그 시간에 스케줄이 있으면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통해 홈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케줄을 설정하거나 스케줄을 열람하거나 스케줄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그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케줄 설정, 스케줄 열람, 스케줄 취소를 하는 경우 이를 위한 메뉴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스케줄 설정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그 스케줄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에 따른 가전기기들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제어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110222A 2005-11-17 2005-11-1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2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22A KR100722474B1 (ko) 2005-11-17 2005-11-1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22A KR100722474B1 (ko) 2005-11-17 2005-11-1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10A KR20070052510A (ko) 2007-05-22
KR100722474B1 true KR100722474B1 (ko) 2007-05-28

Family

ID=3827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22A KR100722474B1 (ko) 2005-11-17 2005-11-1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85B1 (ko) * 2013-12-16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912A (ko) * 2000-12-01 2002-06-08 구자홍 이동 단말기의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5975A (ko) * 2002-11-26 2004-06-05 주식회사 코리아홈넷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912A (ko) * 2000-12-01 2002-06-08 구자홍 이동 단말기의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5975A (ko) * 2002-11-26 2004-06-05 주식회사 코리아홈넷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10A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3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appliance control functionality to a smart device
CN102571914B (zh) 具有自动设置的通用远程控制
EP3358787A1 (en) Network system of a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US7173513B2 (en) Electrical appliance with communication interface
US90761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US9471053B2 (en) Notification method,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information exchange network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mobile terminal
JP5810727B2 (ja) データ管理装置、非接触記憶媒体、これらを搭載する電子機器、機器使用支援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4175438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34592A (zh) 智能电视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WO2020062495A1 (zh) 一种家庭智能控制终端
CN101995410A (zh) 图像处理设备及图像处理方法
JP6323331B2 (ja) 情報端末、情報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CN108959064A (zh) 自动化测试的弹窗处理方法及装置
KR1007224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방법및 홈 오토메이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6181486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5472134B (zh) 一种解除蓝牙配对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198519A (zh) 信息输出方法、信息输出装置以及记录介质
JP202001792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9965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unlocking of portable terminal
KR101857363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센서 흐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078A (ko)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KR102352926B1 (ko)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30083503A (ko)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JP2007108054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検査装置
KR101751067B1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