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386B1 -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386B1
KR100722386B1 KR1020050130089A KR20050130089A KR100722386B1 KR 100722386 B1 KR100722386 B1 KR 100722386B1 KR 1020050130089 A KR1020050130089 A KR 1020050130089A KR 20050130089 A KR20050130089 A KR 20050130089A KR 100722386 B1 KR100722386 B1 KR 10072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hadow mask
rolled steel
less
cold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희
김교성
이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3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은 중량 %로 C: 0.004% 이하, Mn: 0.03~0.35%, Al: 0.01~0.1%, N: 0.004% 이하, S: 0.012% 이하, Ti: [N]×(48÷14)+[C]×(48÷12)~0.08%,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진다.
음극선관, 섀도우마스크, 탈탄소둔, 냉간압하율, 보자력, Ti첨가AK재, 극저탄소강

Description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COLD ROLLED STEEL SHEET FOR A SHADOW MASK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1차 냉간 압연 후 회복 소둔을 실시한 강판의 미세 조직 사진이다.
도 2는 2차 냉간 압연을 실시한 강판의 미세 조직 사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간 압연 후 강판의 항복 강도를 높여 에칭 공정 시 변형을 최소화하고, 섀도우 마스크 성형전의 항복 강도를 낮추어서 형상 동결성을 향상시킨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에 설치되는 섀도우 마스크는 색선별 기능을 갖는 부품으로서 포토에칭(photo etching) 방법으로 냉연 강판에 매우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탈탄 소둔을 실시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은 고순도 강을 사용하는데 섀도우 마스크의 프레스 성형을 실시할 때 발생하는 불량은 강의 탄소 함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섀도우 마스크의 프레스 성형 전 탄소 함량의 증가에 따라 소재의 항복 강도(yield strength)가 증가하여 섀도우 마스크의 형상 동결성을 나쁘게 한다. 또한, 고용 탄소의 존재에 의해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 strain)이 발생하여 불균일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토 에칭에 의해 가공된 구멍의 크기와 형상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 특허 4,210,843호, 미국 특허 4,609,412호, 미국 특허 4,235,752호에 제안된 방법이 있다.
먼저, 미국 특허 4,210,843호에서는 탄소 함량이 0.004~0.01중량% 이하인 극저탄소강에 Nb 단독 첨가 또는 Nb와 Ti을 복합 첨가하는 IF(Interstitial-Free)강을 사용함으로써 소재의 항복점 연신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법에 의하면 강의 탄소 함량이 높아 고가의 합금 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해야 한다. 또한, 첨가된 원소에 의해 재결정 온도가 상승하고, 석출물에 의한 결정립 성장 억제효과가 발생하여 자기적 특성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4,609,412호에서는 섀도우 마스크의 탈자 특성 (demagnetization characteristics)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 함량을 0.004 중량% 이하로 제한하고, 이의 제조를 위해 제강 단계에서 탄소 함량을 0.008 중량% 이하로 제조한 다음 중간 탈탄 소둔에 의해 탄소함량이 0.005 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중간 탈탄 소둔을 위해 OCA(open coil annealing)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그 처리시간이 수 일 정도로 매우 긴 문제점이 있다. 또 한, 냉연 제품 상태에서 탄소 함량을 0.004중량% 또는 0.005 중량% 이하로 제한하는데, 이 경우 냉연판을 적층하여 소둔할 경우 중간 위치에 적층된 제품에서는 항복점 연신율이 발생하여 롤러 레벨러(roller leveler)를 통과시켜야만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4,325,752에서는 초기 탄소 함량을 0.01중량% 이하로 제한하고 최종 탈탄 소둔을 650~850℃의 범위에서 실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소재의 탄소 함량을 낮추는 것을 탈탄 소둔에만 의존하므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 적층된 소재에서는 성형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성형 전에 롤러 레벨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54-102224의 경우 중량%로 C: 0.02% 이하, Mn: 0.1~0.6%, Al: 0.01~0.1%, Ti과 Nb의 1종 또는 2종: 0.2% 이하(단 1≤Ti/(4C)+Nb/(7.8C)), 잔부 Fe로 구성된 섀도우 마스크용 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를 열연강판으로 만든 뒤, 1회 이상의 냉간 압연과 소둔을 실시하여 소정의 판두께로 하고, 다시 한번 재결정 연화 소둔을 실시하고 조질 압연하고, 뒤이어 포토에칭 처리를 한 뒤, 소둔 및 레벨링 처리를 생략하고 프레스 성형함에 의하여 섀도우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Ti과 Nb의 C와의 결합만을 고려한 파라미터를 사용함에 의해 불가피한 불순물로 존재하는 N과 S와의 Ti결합이 Ti과 C와의 결합에 우선함에 의하여 발생 가능한 고용 C의 존재를 간과하고 있다. 또한, 냉연과 소둔을 통하여 최종 제품 두께까지 제조한 후, 다시 한번 재결정 소둔을 실시함에 의하여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조질 압연만 수행함에 의하여 얻어진 낮은 항복응력에 기인하여, 포토에칭시 결정립계와 입내간의 부식 특성 차이에 기인하는 에칭 불균일의 문제가 발생하며, 작업성 및 실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의 조성 및 제조 공정 조건을 한정함으로써 별도의 탈탄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은 중량 %로 C: 0.004% 이하, Mn: 0.03~0.35%, Al: 0.01~0.1%, N: 0.004% 이하, S: 0.012% 이하, Ti: [N]×(48÷14)+[C]×(48÷12)~0.08%,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진다.
이때, 항복 강도는 540MPa 이상이며, 미세 조직은 냉간 압연 조직으로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중량 %로C: 0.004% 이하, Mn: 0.03~0.35%, Al: 0.01~0.1%, N: 0.004% 이하, S: 0.012% 이하, Ti: [N]×(48÷14)+[C]×(48÷12)~0.08%,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진 강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열연 강판을 1차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냉연 강판을 Ac1 온도 이하에서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 및 냉연 강판을 35~70%의 압하율로 2차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열연 강판을 450∼72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은 중량 %로 C: 0.004% 이하, Mn: 0.03~0.35%, Al: 0.01~0.1%, N: 0.004% 이하, S: 0.012% 이하, Ti: [N]×(48÷14)+[C]×(48÷12)~0.08%,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 원소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의 수치 한정 이유를 설명하도록 한다.
탄소(C)의 함량은 0.004% 이하로 한다. 마스크 성형 전 수행되는 탈탄 소둔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서는 탄소가 티타늄(Ti)에 의하여 제거(scavenging)되어 고용 탄소가 아닌 티타늄(Ti)계 탄화물로 존재하여야 한다.
그런데 탄소(C)의 함량이 0.004%를 넘는 경우에는 다량의 티타늄(Ti)계 탄화물의 석출물이 존재하여 최종 제품의 항복 강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마스크 성형시 형상 동결성이 저해된다. 따라서 탄소(C)의 함량은 0.0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탄소(C)의 함량이 적을수록 항복 강도가 낮아지므로 그 하한은 정하지 않는다.
망간(Mn)은 강의 제조 공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황(S)과 철(Fe)이 결합한 황화철(FeS)의 형성에 의한 적열취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런데 망간(Mn)의 함량이 0.03% 미만인 경우, 상기한 적열취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망간(Mn)의 함량이 0.35%를 넘는 경우, 강의 강도가 증가되므로 프레스 성형 시 형상 동결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망간(Mn)의 함량은 0.03~0.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은 강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여 응고시 비금속 개재물의 형성을 방지하고, 강 중에 존재하는 질소를 질화알루미늄(AlN)으로 고정함으로써 질소에 의한 항복점 연신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그런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 상기한 첨가 목적을 이룰 수 없다. 또한, 알루미늄(Al)의 함량이 0.1%를 넘는 경우, 강의 강도가 증가되고, 흑화막 처리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Al)의 함량은 0.01~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는 첨가되는 티타늄(Ti)에 의하여 질화티타늄(TiN)으로 석출되어 기지(matrix)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질소(N)의 함량이 0.004%를 넘으면, 티타늄(Ti)의 첨가량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라 질화티타늄(TiN) 석출물의 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최종 제품의 항복 강도가 증가하여 마스크 성형 시 형상 동결성이 저해된다. 따라서 질소(N)의 함량은 0.0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질소(N)의 함량이 적을수록 항복 강도가 낮아지므로 그 하한을 정하지 않는다.
황(S)의 함량이 0.012%를 넘는 경우, 황화망간(MnS) 또는 황화티타늄(TiS)의 형태로 석출이 이루어져 석출물의 양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황(S)의 함량은 0.01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Ti)은 가공성을 저해하는 탄소(C)와 질소(N) 등의 침입형 고용 원소들을 석출시킬 수 있는 양이 첨가되어야 한다. 고용 탄소(C)와 질소(N)는 섀도우 마스크 가공시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일으켜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고, 항복 강도를 상승시켜 형상 동결성을 저해한다.
그런데 티타늄(Ti)의 함량이 Ti: [N]×(48÷14)+[C]×(48÷12)% 미만인 경우, 탄소(C)와 질소(N)를 탄화티타늄(TiC)과 질화티타늄(TiN)의 형태로 기지에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 또한, 티타늄(Ti)의 함량이 0.08%를 넘는 경우, 고용 티타늄(Ti)의 양이 증가함에 따른 제강 원단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티타늄(Ti)의 함량은 Ti: [N]×(48÷14)+[C]×(48÷12)~0.0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섀도우 마스크의 포토에칭시 공경 가공 중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은 540MPa 이상의 항복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의 조직에 재결정립이 일부 존재하는 경우, 공경 가공 시 에칭 불균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마스크 성형 전의 소둔시 재결정 구동력의 미세 조직간 차이로 인해 소둔 후 재질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섀도우 마스크 성형시에 공경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의 조직은 재결정립이 존재하지 않고, 압연 조직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한 조성의 탄소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슬라브 재가열하고 열간 압연한다. 이때,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 변태 온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450∼720℃의 범위에서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제조한다. 450℃ 미만에서는 열연 권취 작업이 어렵고, 권취 온도가 720℃를 넘는 경우에는 산세 곤란한 산화막이 열연강판에 형성된다. 따라서 열연 권취 온도는 450~720℃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열연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한 후, 산세 및 1차 냉간 압연을 행하고, 재결정 온도 이상 Ac1 이하에서 소둔 열처리를 행하며, 이를 35~70%의 압하율로 2차 냉간 압연한다. Ac1 변태 온도를 넘는 온도에서 소둔하는 경우, 가공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Ac1 변태 온도 범위에서 소둔 열처리한다.
포토에칭시 공경 가공을 위한 소재의 항복 강도는 540MPa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항복 강도를 얻기 위해 2차 냉간 압연의 압하율은 35%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압하율이 70%를 넘는 경우에는 최종 소둔 즉, 마스크 성형 전 소둔 후의 결정립이 미세하게 되어 자기적 특성이 나빠지고, 항복 강도가 증가하여 형상 동결성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2차 냉간 압하율은 35~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진공 유도용해에 의해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강괴를 두께 60mm, 폭 175mm로 제조하고 1200℃에서 1시간 재가열을 실시한 후 열연 두께 2.2mm가 되도록 열간 압연을 하였다. 이때,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는 Ar3 변태 온도이상으로 하였다.
이때, 실험예들과 비교예 1 내지 7은 상기에서 정의한 화학 성분 조성 조건을 만족하는 A, B, C, D 및 E의 강종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8 및 9는 황(S)이 상기 정의한 화학 성분 조건의 상한을 초과하는 F 강종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10 내지 13은 티타늄(Ti)이 하한보다 적게 첨가된 G 및 H 강종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5076455501-pat00001
다음으로, 각각의 실험예들 및 비교예들에 대하여 560℃ 또는 680℃로 미리 가열된 로에 1시간 유지 후 로냉시키는 열연권취의 모사를 행하였다.
다음으로, 압하율을 86%로 하여 압연 후 두께가 0.3mm가 되도록 1차 냉간 압연을 실시하였고, 적외선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재결정 온도 이하와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620℃, 780℃에서 소둔 열처리를 행하였다.
다음으로 냉연 강판을 2차 냉간 압연하였다. 다만, 비교예 6 및 7은 1차 냉연 및 회복 소둔만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실험예들과 비교예들은 2차 냉간 압하율을 30~80%로 2차 냉간 압연을 완료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중 일부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으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Figure 112005076455501-pat00002
섀도우 마스크의 포토에칭시 공경 가공을 위해서는 소재의 인장 강도가 높아야 한다. 따라서 포토에칭 공정에서는 재결정이 완료되지 않은 강도가 높은 강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인장 강도가 높은 강판은 1차 냉간 압연, 1차 소둔 및 2차 냉간 압연 공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2차 냉연을 생략하고 1차 소둔시 재결정 완료 온도 이하에서 회복 소둔을 실시하여 회복 소둔 없이 소둔한 소재에 비하여 높은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1차 소둔 후 회복 소둔을 실시한 강판의 미세 조직 사진이고, 도 2는 2차 냉간 압연을 완료한 강판의 미세 조직 사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냉연 공정을 생략하고 회복 소둔을 실시한 경우 포토 에칭 전 소재의 미세 조직이 불균일하고, 일부 재결정이 이루어진 전위(dislocation)가 존재하지 않는 재결정립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재결정립이 소재에 주어지는 응력에 먼저 변형됨에 따라 항복 강도가 낮으므로 공경 에칭시 에칭 불균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성형 전의 소둔시 재결정 구동력의 미세 조직간 차이로 인해 소둔 후 재질 편차가 발생하여 섀도우 마스크 성형시에 공경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재결정립이 존재하는 냉연 강판은 섀도우 마스크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냉간 압연을 완료한 강판의 경우, 그 미세 조직이 균일하고 재결정립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의 공경 에칭시 에칭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섀도우 마스크의 성형시 공경의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될 수 있다.
표 2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비교예 6 및 7의 경우, 섀도우 마스크의 포토에칭시 공경 가공을 위해 필요한 540Mpa 이상의 항복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한편, 상기의 실험예에서 섀도우 마스크 성형 시 성형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섀도우 마스크 성형 전의 소둔 공정에서 재결정이 완료되도록 700℃에서 10분간 소둔을 행하고, 인장 시험을 통하여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항복점 연신율도 함께 조사를 하여 섀도우 마스크 성형시 스트레쳐 스트레인의 발생을 간접 평가하였다. 또한, 자기적 성질은 링 형태의 시료를 제작하여 소재의 평균적 자기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표 3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Figure 112005076455501-pat00003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황(S)이 상한을 초과한 F의 조성을 갖는 비교예 8 및 9의 경우, 황화망간(MnS) 이나 황화티타늄(TiS)의 형태로 황(S)이 석출함에 따라 소둔 후, 즉 섀도우 마스크의 성형 전 강의 강도가 높아 졌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 공정 시 형상 동결성이 나빠진다.
또한, 티타늄(Ti)이 하한보다 적게 첨가된 G 및 H 조성을 갖는 비교예 10 내지 13의 경우, 고용 탄소가 존재하여 소둔 후 즉, 섀도우 마스크 성형 전 항복 강도가 높고 항복점 연신이 나타났다. 따라서 마스크 성형 시 형상 동결성 불량 및 스트레쳐 스트레인이 발생하게 되므로 섀도우 마스크 소재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 섀도우 마스크 성형 전 탈탄 소둔을 거쳐야 섀도우 마스크 소재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정의한 화학 성분 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들의 소재는 탈탄 소둔 공정이 없이 건전한 물성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화학 조성 범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2차 냉간 압하율이 상기 제시한 35~70%인 경우, 560℃ 및 680℃ 두 가지 권취 온도 모두에 대하여 섀도우 마스크 성형 전 소둔 열처리 후에 127MPa 이하의 항복 강도를 가졌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 성형 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2차 냉간 압하율이 상기 제시한 범위보다 높은 80%인 비교예 2, 4, 5 및 9의 경우, 화학 조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항복 강도가 127Mpa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이때 섀도우 마스크 성형 시 형상 동결성이 불량하여 성형 불량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시한 압하율 보다 낮은 30%의 2차 냉연율이 적용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섀도우 마스크의 성형 전에 실시되는 소둔 조건(700℃, 10분)의 열처리에 의하여 완전하게 재결정되지 못하여 총 연신율이 낮다. 또한, 보자력(Hc)값이 1.7을 넘는 낮은 자기적 성질을 보여준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용 소재로 적합하지 않다.
이상 실험예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시한 화학 조성을 만족하고, 2차 냉간 압하율 등의 조건을 만족함에 의하여 기계적 자기적 성질이 우수한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이 제공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고용 탄소를 석출의 형태로 기지에서 제거함에 의하여 마스크 성형 전 소둔시 탈탄 조업이 필요 없어 공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성형 시 스트레쳐 스트레인이 발생하지 않으며, 화학 성분과 2차 냉간 압하율을 최적으로 제어함에 의하여 항복 강도를 낮추어서 형상 동결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중량 %로 C: 0.004% 이하, Mn: 0.03~0.35%, Al: 0.01~0.1%, N: 0.004% 이하, S: 0.012% 이하, Ti: [N]×(48÷14)+[C]×(48÷12)~0.08%,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미세 조직이 냉간 압연 조직으로만 구성되는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4. 중량 %로C: 0.004% 이하, Mn: 0.03~0.35%, Al: 0.01~0.1%, N: 0.004% 이하, S: 0.012% 이하, Ti: [N]×(48÷14)+[C]×(48÷12)~0.08%,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진 강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 강판을 1차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냉연 강판을 Ac1 온도 이하에서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 강판을 35~70%의 압하율로 2차 냉간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 강판을 450∼72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50130089A 2005-12-26 2005-12-26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089A KR100722386B1 (ko) 2005-12-26 2005-12-26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089A KR100722386B1 (ko) 2005-12-26 2005-12-26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386B1 true KR100722386B1 (ko) 2007-05-28

Family

ID=3827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089A KR100722386B1 (ko) 2005-12-26 2005-12-26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3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621A (ko) * 1998-12-18 2000-07-05 이구택 적층소둔할 수 있는 섀도우마스크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621A (ko) * 1998-12-18 2000-07-05 이구택 적층소둔할 수 있는 섀도우마스크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120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46941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970007205B1 (ko) 새도우 마스크용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20110130974A (ko) 변형시효 충격 특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00㎫급 후판 제조방법
JPH0941088A (ja) 高靱性低温用鋼板の製造方法
JPH0941036A (ja) 高靱性低温用鋼板の製造方法
JPWO2020218329A1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0722386B1 (ko) 섀도우 마스크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18312A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5297B1 (ko) 법랑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68593A (ko) 고강도 등방성 강,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강판
KR102405173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3194120B2 (ja) 連続焼鈍によるコイル内材質均一性に優れた非時効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185332B1 (ko) 열연 롤피로 결함이 개선된 고성형성 연질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52601B1 (ko) 적층소둔할 수 있는 섀도우마스크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516870B1 (ko)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6933A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5133B1 (ko) 두께 방향 재질편차 감소를 위한 극저탄소 열연 강판 제조방법
KR100400867B1 (ko) 소성변형비이방성계수가작고가공성이우수한저탄소냉연강판및그제조방법
KR100504369B1 (ko) 소성변형비 이방성계수가 낮은 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344663B1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67887A (ko) 섀도우 마스크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8043B1 (ko) 자기차폐성 및 가공성이 뛰어난 브라운관의 인너실드용 고투자율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5581B1 (ko) 균일한 소성변형 특성을 갖는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7609A (ko) 소성변형비 이방성계수가 낮은 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