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311B1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Google Patents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2311B1 KR100722311B1 KR1020050105752A KR20050105752A KR100722311B1 KR 100722311 B1 KR100722311 B1 KR 100722311B1 KR 1020050105752 A KR1020050105752 A KR 1020050105752A KR 20050105752 A KR20050105752 A KR 20050105752A KR 100722311 B1 KR100722311 B1 KR 100722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hamber
- hole
- rubber elastic
- partition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16—Resilient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pports relative to the motor or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입력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격시켜 배치된 제 1 지지금구와 제 2 지지금구를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무탄성체로 연결시켜 이루어진 구조의 자동차용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제 2 지지금구로 지지되고, 진동입력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칸막이금구를 마련하여, 그 칸막이금구를 끼워서, 진동입력시에 상기 고무탄성체의 탄성변형에 근거하여 내압변동이 생길 수 있는 수압실을 제 1의 지지체 측에, 적어도 일부가 다이아프램으로 구획형성된 용적가변의 평형실을 그 수압실과는 반대측에, 각각 형성하고, 이들 수압실과 평형실과에 소정의 비압축성유체를 봉입함과 동시에, 이들 수압실과 평형실과를 서로 연통시키는 오리피스통로를 상기 칸막이금구에 마련하여 이루어진 구조의 유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압실(38)내에는 부착볼트(19)에 의해 상기 제 1지지금구(10)의 밑면에 우산형금구(54)가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 1지지금구(10)와 협력하여 환상의 협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금구(36)의 중앙부에는 둘레에 오목링부(55)가 형성된 관통구멍(5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56)에 대하여 외주부에 부착링(58)이 일체 가류접착되어 있는 고무탄성막(60)이 배설되고, 이 부착링(58)이 상기 관통구멍(56)의 오목링부(55)에 상하로 일정 틈새를 두고 끼워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unt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astic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are arranged with a rubber elastic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A partition bracket,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and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vibration input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partition bracket is inserted to provide a hydraulic pressure chamber in which pressure resistance fluctuation can occur based 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rubber elastic body during vibration input. On the side of the support body of 1, a variable volume balance chamber at least partly partitioned by a diaphragm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hydraulic chamber, and a predetermined incompressible fluid is sealed in these hydraulic chambers and the balancing chamber, A fluid-enclosed mount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orifice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balance chamber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bracket, In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38, an umbrella-shaped tool 54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recess 10 by an attachment bolt 19, and is annular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support recess 10. A constriction portion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56 having a concave ring portion 5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fitting 36, and an attachment ring 5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56. This integrally vulcanized rubber elastic film 60 is disposed, and the attachment ring 58 is fitted to the concave ring portion 55 of the through hole 56 at a predetermined gap up and down.
수압실, 평형실, 칸막이금구, 지지금구, 고무탄성막 Hydraulic chamber, equilibrium chamber, partition bracket, jigegu, rubber elastic membran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봉입된 액체의 유동에 근거하여 소정의 방진효과를 얻도록 한 유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enclosed mounting apparatus which achieves a predetermined dustproof effect based on the flow of liquid enclosed therein.
종래부터, 진동전달계를 구성하는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의 전달을 제어하는 마운트장치로서, 진동입력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격시켜 배치된 제 1의 지지체와 제 2의 지지체를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무탄성체로 연결시켜 이루어진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고,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mounting apparatus interposed between members constituting a vibr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comprising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disposed therebetwee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ibration input direction. Background Art A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rubber elastomers is known, and is widely used as an engine mount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또한, 근년에서는 자동차의 방진성능에 대한 요구특성의 고도화에 대처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마운트장치의 내부에 상기 제 2의 지지체로 지지되고, 진동입력방향에 약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칸막이부재를 마련하여, 그 칸막이부재를 끼워서, 진동입력시에 상기 고무탄성체의 탄성변형에 근거하여 내압변동이 생길 수 있는 수압실을 제 1의 지지체 측에, 적어도 일부가 가소성막으로 구획형성된 용적가변의 평형실을 그 수압실과는 반대측에, 각각 형성하고, 이들 수압실과 평형실과 에 소정의 비압축성유체를 봉입함과 동시에, 이들 수압실과 평형실과를 서로 연통시키는 오리피스통로를 마련하여 이루어진 구조의 소위 유체봉입식 마운트장치가 제안되고 있다.Moreover, in recent year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advancement of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dustproof performance of automobiles, and a partition member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and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vibration input direction is provided inside such a mounting apparatus. By inserting the partition member, a pressure-varying equilibrium chamb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ydraulic chamber, in which pressure-resistant fluctuation can occur based 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rubber elastic body at the time of vibration input, is formed into a plastic film at least partially.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ydraulic chamber, and a predetermined incompressible fluid is enclosed in the hydraulic chamber and the equilibrium chamber, and an orifice passag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hydraulic chamber and the equilibrium chamber. An apparatus has been proposed.
즉, 상기 유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는 오리피스 통로 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근거하여 고무탄성체의 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우수한 방진작용이 발휘된다.In other words, in the above-mentioned fluid-enclosed mounting apparatus, an excellent dust-proof action cannot be obtained only by the rubber elastic body based on the resonance action of the fluid flowing in the orifice passage.
이와 같은 마운트 장치에 요구되는 방진특성은 입력진동의 종류에 의해 상이하고, 복수 종류의 진동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진동에 따라 상이한 방진특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The anti-vibration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such a mounting apparatu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input vibration, and when a plurality of types of vibrations are input, different anti-vibration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input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고속주행시, 심한진동시, 그리고 아이들시에 입력되는 진동들을 감쇄시킬 수 있는 컴팩트하고, 적은 부품수로 구비된 자동차용 엔진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gine mount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compact, low component number capable of attenuating vibrations input during high-speed driving, severe vibration, and idle. It is don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진동입력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격시켜 배치된 제 1 지지금구와 제 2 지지금구를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무탄성체로 연결시켜 이루어진 구조의 자동차용 엔진마운트로서, 내부에 상기 제 2 지지금구로 지지되고, 진동입력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칸막이금구를 마련하여, 그 칸막이금구를 끼워서, 진동입력시에 상기 고무탄성체의 탄성변형에 근거하여 내압변동이 생길 수 있는 수압실을 제 1의 지지체 측에, 적어도 일부가 다이아프램으로 구 획형성된 용적가변의 평형실을 그 수압실과는 반대측에, 각각 형성하고, 이들 수압실과 평형실과에 소정의 비압축성유체를 봉입함과 동시에, 이들 수압실과 평형실과를 서로 연통시키는 오리피스통로를 상기 칸막이금구에 마련하여 이루어진 구조의 유체봉입식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압실내에는 부착볼트에 의해 상기 제 1지지금구의 밑면에 우산형금구가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 1지지금구와 협력하여 환상의 협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금구의 중앙부에는 둘레에 오목링부가 형성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에 대하여 외주부에 부착링이 일체 가류접착되어 있는 고무탄성막이 배설되고, 이 부착링이 상기 관통구멍의 오목링부에 상하로 일정 틈새를 두고 끼워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unt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are arranged with a rubber elastic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ibration input direction. A partition bracket,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hole and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vibration input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partition bracket is inserted so that internal pressure fluctuation may occur based 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rubber elastic body during vibration input. A hydraulic chamber having a volume variable balance chamber having at least a portion defined by a diaphrag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ydraulic chamber, respectively, and a predetermined incompressible fluid is sealed in the hydraulic chamber and the balancing chamber. At the same time, a fluid-enclosed moun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orific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hydraulic chamber and the balancing chamber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bracket. In the apparatus, an umbrella-shaped tool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stop by an attachment bolt in the hydraulic chamber, and an annular narrowing part is form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support stop,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bracket is provided. In the periphery, a through-hole formed with a concave ring is formed, and a rubber-elastic film in which the attaching ring is integrally vulcanized and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s disposed on the periphery thereof. It is supposed to be fitted in place.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spect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우선,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라 구조된 자동차용 엔진마운트의 일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10 및 12는 각각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로서의 제1지지금구 및 제2지지금구로서, 소정 거리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1지지금구(10)와 제2지지금구(12)와의 사이에는 고무탄성체(14)가 개장되어 있고, 그 고무탄성체(14)에 상기 양 지지금구(10, 12)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엔진마운트에 있어서는 차체와 엔진유니트와의 사이에 개장된 것에 의해, 이 엔진유니트를 차체에 대하여 방진지지하도록 되어 있다.First,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n engine mount for a vehicl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figure, 10 and 12 are the 1st support tool and the 2nd support tool which respectively serve as a 1st support body and a 2nd support body, and are arrange | positioned facing apart at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 rubb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지지금구(10)는 대략 원추대형상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고, 그 대직경측 단면에는 스톱퍼플레이트(17)에 관통 및 맞닿음 가능하게 부착부(16)가 축방향바깥방향으로 돌출하여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지지금구(10)의 내부에는, 부착볼트(19)가 축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제2지지금구(12)는 개구둘레가장자리부에 외플랜지부(22)를 구비한 유저절두원추형상의 바닥금구(24)와, 원통형상의 통금구(26)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통금구(26)가 축방향 일단면에서, 바닥금구(24)의 외플랜지부(22)에 대하여 중첩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체로서 대략 유저절두원추형상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금구(24)의 바닥벽부에는 복수개의 통공(30)이 내외로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브래킷(32)이 상기 통금구(26)의 외주면에 돌출하여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Further, the
그리고, 이 제1지지금구(10)와 제2지지금구(12)와는 제1지지금구(10)의 소직경측단면을 향하여 제2지지금구(12)가 개구하는 상태에서 동일 축심 상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대향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들 제1지지금구(10)와 제2지지금구(12)와의 사이에서, 상기 고무탄성체(14)가 개장되어 있다. 이 고무탄성체(14)는 대략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고, 이 소경측 단면에 대하여 제1지지금구(10)의 외주면이, 또한 대경측 단면에 대하여 제2지지금구(12)의 내주면이 각각 일체가류접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들 제1 및 제2지지금구(10, 12) 사이에 개장되어 있고, 이들 제1지지금구와 제2지지금구(12)와가 상기 고무탄성체(14)에 일체적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n, the
또한, 상기 제1지지금구(10)와 제2지지금구(12)와의 사이에는, 제2지지금구(12)의 바닥부측에 위치하여 두꺼운 원판형상의 다이아프램(34)이 배설되어 있어서, 이 다이아프램(34)에 의해 제1지지금구(10)와 제2지지금구(12)와의 사이가 이분되게 되며, 이에 의해 제1지지금구(10)측에는 밀폐실(B)이 그리고 제2지지금구(12)측에는 통공(30)을 통하여 외부에 연통된 공간(35)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a thick disk-
또한, 이 다이아프램(34)과 제1지지금구(10)와의 사이에 형성된 밀폐실(B) 내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칸막이금구(36)가, 그 외주부를 상기 제2지지금구(12)를 구성하는 통금구(26)의 링형상부(37)에 끼우는 것에 의해, 제1지지금구(10)와 제2지지금구(12)와의 대향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확경된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칸막이금구(36)에 의해, 상기 밀폐실(B)내가 이 칸막이금구(36)를 끼워서 제1지지금구(10)측에 위치하는 수압실(38)과 다이아프램(34)측(제2지지금구(12)측)에 위치하는 평형실(40)과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수압실(38)은 제1 및 제2지지금구(10, 12) 사이로의 진동입력 시에, 고무탄성체(14)의 탄성변형에 근거하여 용적변화에 의해서 내압변동이 생기는 것으로 되는 한편, 평형실(40)에 있어서는 다이아프램(34)의 탄성변형에 의해 용적변화가 충분하게 허용되는 것에 의해, 그 내압 변동이 회피되는 것으로 된다.In the sealed chamber B formed between the
상기 수압실(38) 및 평형실(40) 내에는 각각 소정의 비압축성유체가 봉입되어 있다. In the
또한, 상기 칸막이금구(36)에는 그 외주부분에서, 둘레방향으로 소정 길이 뻗은 오리피스통로(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리피스통로(48)의 단부가 수압실(38)내에 그리고 타쪽의 단부가 평형실(40) 내에 각각 연통하여서, 그 양 실(38, 40) 사이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지지금구(10, 12) 사이로의 진동입력 시에 야기되어 수압실(38)과 평형실(40)과의 사이의 큰 내압차에 근거하여, 이 오리피스통로(48)를 통하여 유체의 유동이 생기도록 되어 있고, 오리피스통로(48) 내를 유동하게 되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근거하여, 소정의 방진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통로(48)내를 유동하게 하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의해 비포장주행시, 시동시 등에 있어서의 고 감쇄 효과가 발휘되도록 츄닝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tuned so that the high damping effect at the time of unpacking driving, starting, etc. is exhibited by the resonance action of the fluid which makes the
또한, 상기 수압실(38)내에는 상기 부착볼트(19)에 의해 상기 제 1지지금구(10)의 밑면에 우산형금구(54)가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 우산형금구(54)는 엔진마운트의 장착시 제1 및 제2지지금구(10, 12) 사이에 엔진마운트 중량이 미치게 되어, 이들 양 지지금구(10, 12)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소정 치수 변위되게 될 때, 그 우산형금구(54)가 수압실(38) 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수압실(38) 내가 그 우산형 금구(54)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금구(10)측과 칸막이금구(36)측과에 위치하는 2개의 분할실로 구획됨과 동시에, 이 양 분할실을 서로 연통하는 환상의 협착부(70)가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the
그리고, 이 우산형금구(54)가 제1 및 제2 지지금구(10, 12) 사이로의 진동입력시에, 수압실(38)내를 변위되게 되어 있고, 이 수압실(38) 내에서, 우산형금구(54)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양측 분할실 사이에서의 상기 협착부를 통하여 유체 의 유동이 생기게 되어 있고, 이 협착부(70) 내를 유동하게 되어 있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근거하여, 소정의 방진효과가 발휘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협착부내를 유통하게 되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의해 고속주행시에서의 방진효과가 발휘되도록 츄닝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칸막이금구(36)의 중앙부에는 둘레에 오목링부(55)가 형성된 관통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56)에 대하여 외주부에 부착링(58)이 일체 가류접착되어 있는 두꺼운 원판형상의 고무탄성막(60)이 배설되고, 이 부착링(58)이 상기 관통구멍(56)의 오목링부(55)에 상하로 일정 틈새를 두고 끼워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In addition, a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무탄성막(60)의 부착링(58)은 수압실(38)과 평형실(40)간의 내압차가 큰 경우에, 상기 오목링부(55)내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오목링부(55)의 밑면과 유밀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관통구멍(56)을 통한 수압실(38)과 평형실(40)과의 유통을 저지하면서, 상기 오리피스통로(48)를 경유한 수압실(38)과 평형실(40)과의 유통을 허용하고, 수압실(38)과 평형실(40)간의 내압차가 작은 경우에, 상기 오목링부(55)의 중앙레벨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구멍(56) 및 상기 오리피스통로(48)를 통한 수압실(38)과 평형실(40)과의 유통을 허용한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따라서, 수압실(38)과 평형실(40)과의 사이의 작은 내압차에 근거하여, 이 오리피스통로(48) 및 상기 관통구멍(56)을 통하여 유체의 유동이 생기도록 되어 있고, 오리피스통로(48) 및 관통구멍(56) 내를 유동하게 되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근거하여, 소정의 방진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된다.Therefore, based on the small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통로(48) 및 관통구멍(56) 내를 유동하게 하는 유체의 공진작용에 의해 차량의 아이들링시에 있어서의 고 감쇄 효과가 발휘되도록 츄닝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tuned so that the high damping effect at the time of idling of a vehicle is exhibited by the resonance action of the fluid which flows in the
상술의 구조로 된 엔진마운트에 있어서는 그 제1지지금구(10)가 차량의 엔진유니트측에 부착되는 한편, 제2지지금구(12)가 상기 브래킷(32)을 개재시켜 차체 프레임측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이들 사이에 개장된 것으로 되어 있다.In the engine mou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본 실시예의 엔진마운트에 있어서는 아이들링시의 진동을 방진시킬 수 있는 고무탄성막(60)이 상기 칸막이금구(36)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링시의 진동방진기구로 인한 엔진마운트의 대형화가 극히 유효하게 억제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술과 같이 우수한 방진성능을 가지는 엔진마운트가 콤팩트하게 되고, 적은 부품점수와 간단한 구조를 갖고서,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engine mount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ubb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752A KR100722311B1 (en) | 2005-11-05 | 2005-11-05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752A KR100722311B1 (en) | 2005-11-05 | 2005-11-05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1401U Division KR200406711Y1 (en) | 2005-11-05 | 2005-11-05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8551A KR20070048551A (en) | 2007-05-09 |
KR100722311B1 true KR100722311B1 (en) | 2007-05-28 |
Family
ID=3827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752A KR100722311B1 (en) | 2005-11-05 | 2005-11-05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231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486B1 (en) * | 2007-07-31 | 201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ydraulic engine mount |
KR101251492B1 (en) * | 2007-10-19 | 201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ydraulic engine mount |
KR100911391B1 (en) * | 2007-12-12 | 2009-08-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ydraulic engine mounting unit |
JP6393200B2 (en) * | 2015-01-23 | 2018-09-19 | 山下ゴム株式会社 | Vibration isolator and shock absorb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9190A (en) * | 2001-10-24 | 2003-05-14 | Goodyear Tire & Rubber Co:The | Liquid pressure buffer damping mount |
KR20040042589A (en) * | 2002-11-15 | 2004-05-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ydraulic mounting insulator |
-
2005
- 2005-11-05 KR KR1020050105752A patent/KR1007223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9190A (en) * | 2001-10-24 | 2003-05-14 | Goodyear Tire & Rubber Co:The | Liquid pressure buffer damping mount |
KR20040042589A (en) * | 2002-11-15 | 2004-05-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ydraulic mounting insul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8551A (en) | 2007-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6210B2 (en) | Fluid-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 |
US8308147B2 (en) | Vibration damper | |
JP5557837B2 (en) | Vibration isolator | |
JP2002031184A (en) | Fluid enclosure type vibration control device | |
CN108474436B (en) | Hydraulic support with vacuum valve | |
JP2000186739A (en) | Fluid seal type vibration control device | |
JP4939997B2 (en) | Vibration isolator | |
JPH04119649U (en) | Fluid-filled mounting device | |
KR100722311B1 (en)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
JP7346189B2 (en) | Vibration isolator | |
JP2003139189A (en) | Fluid sealing type vibration isolation device | |
JP7145165B2 (en) | Anti-vibration device | |
JP2010031988A (en) | Fluid-sealed vibration control device | |
KR200406711Y1 (en) | engine mount in which fluid is enclosed | |
JP2884804B2 (en) | Fluid-filled mounting device | |
JP2005233243A (en) | Fluid-filled engine mount | |
JP5061132B2 (en) | Fluid filled vibration isolator | |
JP5899039B2 (en) | Fluid filled vibration isolator | |
JP5027093B2 (en) | Fluid filled vibration isolator | |
JP2004347124A (en) | Fluid-sealed vibration isolator | |
KR101167290B1 (en) | engin mount | |
WO2023203844A1 (en) | Antivibration device | |
JP2012087887A (en) | Vibration damping device | |
JP2657550B2 (en) | Fluid-filled mounting device | |
JPH0349317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