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266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266B1
KR100722266B1 KR1020050115691A KR20050115691A KR100722266B1 KR 100722266 B1 KR100722266 B1 KR 100722266B1 KR 1020050115691 A KR1020050115691 A KR 1020050115691A KR 20050115691 A KR20050115691 A KR 20050115691A KR 100722266 B1 KR100722266 B1 KR 10072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trusion
termina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씨비에 연결되는 버튼이 피씨비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피씨비와 상기 버튼 사이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connected to the PC is directly fixed to the PC, the space between the PC and the button is not required,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button coupling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 상태가 도시된 배면도3 is a rear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button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바디 12 : 홀10: body 12: hole

20 : 피씨비 22 : 홈20: PC 22: Home

23 : 전극 23a : 제 1 전극23 electrode 23a first electrode

23b : 제 2 전극 23c : 제 3 전극23b: second electrode 23c: third electrode

30 : 버튼 32 : 돌기30: button 32: projection

32a : 제 1 돌기 32b : 제 2 돌기32a: first projection 32b: second projection

32c : 제 3 돌기 33 : 하우징32c: third projection 33: housing

34 : 버튼부 34a : 상향 버튼부34: button portion 34a: up button portion

34b : 하향 버튼부 35 : 레버34b: down button part 35: lever

36 : 지지부 37, 38 : 암부36: support part 37, 38: arm part

37a, 38a : 접촉부 122 : 돌기37a, 38a: contact portion 122: protrusion

222 : 돌기 224 : 홈222: protrusion 224: groov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씨비에 버튼이 직접 고정됨으로서 조립이 간편하고 부피를 최소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minimizes volume by directly fixing a button to a PC.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미도시) 등이 설치된 메인바디와, 표시장치인 엘씨디 등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바디(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keypad (not shown) and the like, and a display body 1 provided with an LCD, such as a display device, which is hinged and rotated by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측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사이드버튼(3)이 설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사이드 버튼(3)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조작하거나 볼륨을 조절한다. Here, a side button 3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user manipulates a menu or adjusts a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ide button 3.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button coupling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이드버튼(3)과, 상기 사이드버튼(3)이 삽입 설치되는 상기 메인바디(4)와, 상기 메인바디(4) 내부에 위치되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 5)와, 상기 택트스위치(5)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피씨비'라 한다, 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ide button 3, the main body 4 into which the side button 3 is inserted, and a tac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4. And a tact switch 5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6 on which the tact switch 5 is mounted.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드버튼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side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상기 사이드버튼(3)을 누르면, 상기 사이드버튼(3)은 상기 메인바디(4)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택트스위치(5)와 접촉되고, 상기 사이드버튼(3)이 상기 택트스위치(5)를 소정 거리 이상 밀 경우, 상기 택트스위치(5)는 내부에서 전류가 소통되도록 회로를 연결시키며, 상기 택트스위치에 의해 회로가 연결될 경우, 상기 사이드버튼(3)의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에 전달된다. 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side button 3, the side button 3 is moved into the main body 4 to be in contact with the tact switch 5, the side button 3 is the tact switch ( When pushing 5)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act switch 5 connects a circuit so that current flows therein, and when the circuit is connected by the tact switch, the signal of the side button 3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livered to micom.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이드버튼(3)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해 상기 택트스위치(5)와 상기 사이드버튼(3)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 가 형성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predetermined distance must be formed between the tact switch 5 and the side button 3 in order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side button 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is increased.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이드버튼(3)이 이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5)와 접촉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버튼(3)이 적게 이동되거나 정확히 눌려지지 않는 경우, 택트스위치(5)의 클릭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method in which the side button 3 is moved and is in contact with the tact switch 5, so that when the side button 3 is less moved or not pressed correctly, the tact switch 5 ) Is not correctly clicked.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피씨비(6)에 상기 택트스위치(5)를 설치하기 위해 납땜 등의 별도 조립 공정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택트스위치(5) 만큼의 별도 공간이 메인바디(4)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quires a separate assembly process such as soldering in order to install the tact switch 5 on the PC 6, thereby increasing the cost and time for manufactu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pace as much as the tact switch 5 should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버튼의 설치 시 바디의 설치부피를 최소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minimizes the installation volume of the body when the button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버튼의 설치 시 조립이 간편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easy to assemble when the button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버튼의 조작 시 신호전달이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easy to transmit a signal when the button is operat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이컴이 실장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에 끼움 고정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the PC is mounted; The fitting is fixed to the PC,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tton for transmitting a user's signal to the microcomputer.

여기서 상기 버튼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의 홈에는 전극이 형성된된다. Here, the button is formed with a projection, the groove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fitted, the projec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groove of the PC is formed with an electrode.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피씨비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원기둥, 원추형 또는 장방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CB and fixed, and formed of any one of a cylinder, a cone or a rectangle.

한편,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버튼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utton is a side button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바디의 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피씨비의 홈에 끼움 조립되는 복수개의 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돌기들을 연결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ody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the button includes a housing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hole of the body;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PC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ve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ing the projections by the user's operation.

특히, 상기 돌기는 제 1, 2, 3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 2 돌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 또는 제 3 돌기와 접촉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3 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is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and the lev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 상태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다. 3 is a rear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terminal,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utt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butto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와, 상기 바디(10)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컴(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피씨비(20)와, 상기 피씨비(20)에 조립되되 상기 바디(10) 외부로 일부 돌출되는 버튼(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or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PC 20 installed in the body 10 and a microcomputer (not shown), etc., Assembled in the PC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tton 30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상기 바디(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고, 상기 버튼(30)은 상기 바디(10)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10) 내부에 설치된 피씨비(20)와 조립된다. The body 10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utton 30 is assembled with the PC 20 installed inside the body 10 through the body 10.

그래서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버튼(30)이 설치되는 홀(12)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30)은 상기 바디(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버튼이다. Thus, the body 10 has a hole 12 in which the button 30 is install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button 30 is a side button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body 10.

상기 피씨비(2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마이컴 등이 칩이 실장되고, 상기 피씨비(20)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30)이 조립되는 홈(22)이 형성되며, 상기 홈(22)은 복수개 형성된다. The PCB 20 has a chip mounted with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groove 22 in which the button 30 is assembl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CB 20, and the groove 22 is A plurality is formed.

여기서 상기 홈(22)은 상기 바디(10)의 홀(12)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홀 (12)을 통해 삽입되는 버튼(30)과 끼움 조립된다. Here, the groove 22 is positioned inside the hole 12 of the body 10 and fitted with the button 30 inserted through the hole 12.

그리고 상기 홈(22)의 표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마이컴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전극(2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 electrode 23 is formed on a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2 to transmit a signal to the microcomputer.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30)은 상기 바디(10)의 홀(12)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33)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피씨비(20)의 홈(22)에 끼움 조립되는 복수개의 돌기(32)와, 상기 하우징(33)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돌기(32)들을 연결시키는 레버(35)로 구성된다. 4 to 6, the button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3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hole 12 of the body 10, and the housing 33.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grooves 22 of the PC 20 and assembled in the housing 33 to connect the protrusions 32 by a user's manipulation. The lever 35 is comprised.

상기 하우징(33)은 상기 바디(10)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부(34)가 형성된다 The housing 33 has a button portion 34 protruding outside the body 10 is formed.

특히 상기 하우징(33)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34)를 누른 후 변형되었다가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회복된다. In particular, the housing 33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deformed after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34,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user's manipulation force is removed.

더불어 상기 하우징(33)은 상기 돌기(32)가 형성된 측이 상기 버튼부(34)보다 더 넓게 형성된 지지부(3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34)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상기 홀(12) 바깥쪽으로 삽입됨으로서 상기 지지부(36)가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housing 33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36 having a side where the protrusion 32 is formed wider than the button portion 34, and the button portion 34 is formed inside the body 10. The support 36 is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by being inserted out of the hole 12.

그리고 상기 돌기(32)는 상기 피씨비(10)의 전극(23)과 전류가 소통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32)들을 연결시키는 레버(35) 역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32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current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electrode 23 of the PCB 10, and the lever 35 connecting the protrusions 32 is also formed of a metal materi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부(34)는 상향 버튼부(34a)와, 하향 버튼부(34b)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32)는 제 1, 2, 3 돌기(32a)(32b)(32c)로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utton portion 34 is composed of an up button portion 34a and a down button portion 34b, and the protrusions 32 are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32a, 32b and 32c. It is composed of

여기서 상기 제 1, 3 돌기(32a)(32c)는 상기 하우징(33)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일단(32a')(32c')이 상기 하우징(33) 내부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제 1, 3 돌기(32a)(32c)의 일단(32a')(32c')은 상기 하우징(33)의 사출 시 상기 일단(32a')(32c')이 상기 하우징(33)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and third protrusions 32a and 32c are installed through the housing 33, but one end 32a 'or 32c'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33. Particularly, one end 32a 'or 32c' of the first and third protrusions 32a and 32c may have one end 32a 'and 32c' inside the housing 33 when the housing 33 is ejected.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and fixed.

또한 상기 제 2 돌기(32b)도 상기 하우징(33)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하우징(33)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35)는 상기 제 2 돌기(32b)의 일단과 일체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32b is also installed through the housing 33, one end of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33, and the lever 35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b. do.

상기 레버(35)는 상기 제 2 돌기(32b)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돌기(32a) 또는 상기 제 3 돌기(32c)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암부(37)(38)와, 상기 암부(37)(38)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3 돌기(32a)(32c)와 접촉되는 접촉부(37a)(38a)로 구성된다. The lever 35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otrusion 32b and extends toward the first protrusion 32a or the third protrusion 32c to be formed on the arm portions 37 and 38 and the arm portion 37. And a contact portion 37a, 38a formed at an end of the c) 38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s 32a, 32c.

여기서 상기 레버(35)는 초기 위치 시 상기 제 1, 3 돌기(32a)(32c)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34a)(34b)를 누를 경우 상기 버튼부(34a)(34b)에 밀려 상기 접촉부(37a)(38a)와 상기 제 1 또는 3 돌기(32a)(32c)와 접촉된다. Here, the lever 35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third protrusions 32a and 32c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an initial position,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s 34a and 34b, the button portion 34a is provided. The contact portion 37a, 38a and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s 32a, 32c are pushed by the 34b.

특히 상기 레버(35)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접촉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초기 위치로의 복귀도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the lever 35 is not only the contact is made by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but also the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그리고 상기 암부(37)(38)는 상기 제 1 또는 제 3 돌기(32a)(32c)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만곡(彎曲)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37a)(38a)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버튼부(34a)(34b) 내측면에 밀착된다. The arm portions 37 and 38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s 32a and 32c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tact portions 37a and 38a are made of elastic material. I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s 34a and 34b.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버튼의 작동과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사용자가 상기 버튼(30)의 상향 버튼부(34a)를 누른 경우, 상기 버튼(30) 하우징(33) 내부에 위치된 접촉부(37a)는 사용자가 누른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돌기(32a) 측으로 휘어진 후 상기 제 1 돌기(32a)와 접촉된다. 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portion 34a of the button 30, the contact portion 37a located inside the housing 33 of the button 30 receives the operating force pressed by the user and receives the first protrusion ( It is bent to the side 32a)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32a.

그리고 상기 제 1 돌기(32a)와 상기 레버(35)의 접촉부(37a)가 접촉되면, 상기 피씨비(20)에 형성된 제 1, 2 전극(23a)(23b)은 상기 레버(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When the first protrusion 32a and the contact portion 37a of the lever 3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3a and 23b formed on the PC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lever 35. Is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극(23a)(23b)을 통해 입력된 전류는 상기 레버(35)를 통해 제 2 전극(23b) 또는 제 1 전극(23a)으로 흐르면서 회로를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상기 상향 버튼부(34a)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어 메뉴의 커서 또는 볼륨 등을 조절한다. Here, the current input through the first or second electrodes 23a and 23b flows through the lever 35 to the second electrode 23b or the first electrode 23a and connects a circuit, thereby moving. The microcomput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s that the up button 34a is pressed, and adjusts the cursor or the volume of the menu in response thereto.

한편, 상기 상향 버튼부(34a)가 눌려진 경우, 상기 하향 버튼부(34b)와 상기 제 3 돌기(32c)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바, 전류가 소통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 button 34a is pressed, the down button 34b and the third protrusion 32c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current does not communicat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상향 버튼부(34a)에 가한 조작력을 제거한 경우, 상기 상향 버튼부(34a) 및 상기 레버(35)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고, 상기 제 1, 2 전극(23a)(23b)에 흐르던 전류의 소통을 차단한다. When the user removes the operation force applied to the upward button portion 34a, the upward button portion 34a and the lever 35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3a and 23b are removed. Block the communication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한편, 상기 하향 버튼부(34b)의 작동 및 작용은 위치를 제외하고 상기 상향 버튼부(34a)의 작동 및 작용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down button 34b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up button 34a except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돌기(122)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s 122 in the first embodiment.

여기서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돌기(1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20)에 삽입되는 돌기(122)의 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8, the protrusion 1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122 inserted into the PC 20, and the inside of the PC 20. It is inserted into and fixed.

그래서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돌기(122)가 상기 피씨비(20)에 고정되면, 상기 장방형 단면의 돌기에 의해 상기 버튼(30)과 상기 피씨비(2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Thus, when the protrusion 122 is fixed to the PC 2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utton 30 and the PC 20 are firmly coupled by the projection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한편, 상기 돌기(122)가 삽입되는 피씨비(20)에는 상기 돌기(122)와 접촉되는 내부 또는 외부에 도금이 이루어져 상기 돌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Meanwhile, the PCB 20 into which the protrusion 122 is inserted is plated inside or outside of the PCB 122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2.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ssembl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돌기(222)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222 in the first embodiment.

여기서 상기 제 3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20)에 삽입되는 돌기(222)의 형상이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Here, 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shape of the projection 222 inserted into the PC 20 is formed in a tapered conical shape,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C 20.

그리고 상기 돌기(222)와 대향된 피씨비(20)의 일면에는 상기 원추형의 돌기(222)가 삽입되는 원추형의 홈(224)이 형성된다. A conical groove 224 into which the conical protrusion 222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C 20 opposite to the protrusion 222.

특히 상기 돌기(222)와 상기 홈(224)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돌기(222)의 부피는 상기 홈(224)이 형성하는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protrusion 222 and the groove 224 to be firmly coupled, the volume of the protrusion 222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volume formed by the groove 224.

또한, 상기 돌기(222)와 상기 홈(224)의 결합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돌기(222)의 테이퍼 경사각이 상기 홈(224)의 테이퍼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taper inclination angle of the protrusion 222 is formed larger than the taper inclination angle of the groove 224 so that the coupling of the protrusion 222 and the groove 224 is made in the interference fit method.

한편, 상기 돌기(222)가 삽입되는 피씨비(20)에는 상기 돌기(222)와 접촉되는 내부 또는 외부에 도금이 이루어져 상기 돌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Meanwhile, the PCB 20 into which the protrusion 222 is inserted is plated inside or outside of the PCB 22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2.

이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Application i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씨비에 연결되는 버튼이 피씨비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피씨비와 상기 버튼 사이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connected to the PC is directly fixed to the PC, the space between the PC and the button is not required,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버튼이 피씨비에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납땜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품의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oldering process, since the button is fitted to the PC, and as a result, the process is simplified,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버튼이 피씨비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할 경우, 버튼의 이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릭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is directly fixed to the PC, when the user clicks the button, the movement of the button is not only prevented, but also has the effect that the click is accurat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씨비에 고정되는 버튼의 돌기가 원기둥, 장방형 또는 원추형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rojection of the button fixed to the PC is formed in a cylinder, a rectangle, or a cone and the like and the coupling with the PC is fir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버튼과 접촉되는 피씨비의 접촉부분에 도금 등의 방법을 통해 직접 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씨비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des are directly form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PCB in contact with the button through plating or the like, the production of the PCB is easy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simplified.

Claims (8)

마이컴이 실장되는 피씨비와;PCB on which the microcomputer is mounted; 상기 피씨비에 끼움 고정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는 버튼과;A button fitted to the PC to transmit a signal of the user to the microcomputer; 외형을 이루는 바디를 더 포함하고, It further comprises an appearance body, 상기 버튼은, 상기 바디의 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피씨비의 홈에 끼움 조립되는 복수개의 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돌기들을 연결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button,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ody;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PCB; And a leve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necting the protrusions by a user's manipulation. 마이컴이 실장되는 피씨비와;PCB on which the microcomputer is mounted; 상기 피씨비에 끼움 고정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는 버튼을 포함하고,It is fitted to the PC and fixed to include a button for transmitting a user's signal to the microcomputer,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버튼인 이동통신 단말기.The butt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de button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버튼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button is a projection is formed, the PC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s fitted into the projec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돌기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의 홈에는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projec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is formed in the groove of the PC.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돌기는 상기 피씨비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projec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is fixed into the PC.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돌기는 원기둥, 원추형 또는 장방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projec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a cylinder, a cone or a rectang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butt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butto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돌기는 제 1, 2, 3 돌기로 구성되고,The protrusions are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상기 레버는 상기 제 2 돌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 또는 제 3 돌기와 접촉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3 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ev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r third protrusion.
KR1020050115691A 2005-11-30 2005-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2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91A KR100722266B1 (en) 2005-11-30 2005-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91A KR100722266B1 (en) 2005-11-30 2005-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266B1 true KR100722266B1 (en) 2007-05-28

Family

ID=3827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691A KR100722266B1 (en) 2005-11-30 2005-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26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67A (en) * 1998-04-27 2000-01-18 Kamidera Takafumi Continuous manufacturing device for precoat decorative metal 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67A (en) * 1998-04-27 2000-01-18 Kamidera Takafumi Continuous manufacturing device for precoat decorative metal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3226B1 (en) Audio receptacle connector
US7164091B2 (en) Circuit board associated electrical switch
US8241057B2 (en) FPC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FPC to PCB and FPC-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7014481B2 (en) Card connector
KR20200080647A (en) Receptacle connector
KR101620043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key of mobile terminal
JP2001155824A (en) Electric connector
KR10072226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814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less receiver
JP3611754B2 (en) Antenna structure
US20080102658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 multitude of terminals
JP4530887B2 (en) connector
US5308941A (en) Roller contact assembly
KR10077492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side button
KR200333729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antenna for wireless telephone
KR100653781B1 (en) FBCB&#39;s Mounting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200338284Y1 (en) Mini earphone socket
KR200218541Y1 (en) A mobile switch for input a signal of a handphone
KR20060008780A (en) Tact switch structure with touch terminal
KR100497386B1 (en) Operation button assembly
KR20170079569A (en) Tact Switch on the Board
US20090209139A1 (en) Electric connector
KR200161359Y1 (en) Tact-switch structure
KR20060040365A (en) Structure of side key integrat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64994Y1 (en) Structure of multi-function key of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