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252B1 - 휴대용 윈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252B1
KR100722252B1 KR1020060006045A KR20060006045A KR100722252B1 KR 100722252 B1 KR100722252 B1 KR 100722252B1 KR 1020060006045 A KR1020060006045 A KR 1020060006045A KR 20060006045 A KR20060006045 A KR 20060006045A KR 100722252 B1 KR100722252 B1 KR 10072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frame
gasoline engine
hydraulic oil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흡 윤
전성진
Original Assignee
흡 윤
전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흡 윤, 전성진 filed Critical 흡 윤
Priority to KR102006000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이며 경량화 하였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별도의 외부 전원이 없이도 강력한 인양력을 발휘할 수 있어 송전탑 공사에 적합한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윈치는, 리코일 방식 시동장치에 의해 시동되는 공냉식의 가솔린 엔진과; 상기 가솔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와; 상기 가솔린 엔진의 구동축에 연결된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될 작동유를 저장한 작동유 탱크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를 전달하는 유압 파이프와; 상기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의 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 밸브와; 상기 유압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감아들이는 권취 드럼과; 멜빵과 등받이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일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솔린 엔진, 연료 탱크, 유압 펌프, 작동유 탱크, 유압 모터, 권취 드럼이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윈치, 송전탑, 가솔린 엔진

Description

휴대용 윈치{Portable Winch}
도 1은 종래의 송전탑 건설방법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조작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윈치가 송전탑의 철제 빔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윈치가 송전탑의 철제 빔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
도 8은 종래의 송전탑 건설시 사용되는 윈치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휴대용 윈치 100 : 프레임 110 : 멜빵
120 : 등받이 150 : 제 1 프레임
160 : 제 2 프레임 200 : 가솔린 엔진
210 : 시동장치 300 : 연료 탱크
400 : 유압 펌프 500 : 작동유 탱크
600 : 유압모터 700 : 권취드럼
800 : 조작밸브 900 : 고정수단
920 : 제 1고정수단 940 ; 제 2 고정수단
950 : 철제 빔
본 발명은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이며 경량화 하였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별도의 외부 전원이 없이도 강력한 인양력을 발휘할 수 있어 송전탑 공사에 적합한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는 권양기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원통형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아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를 말한다.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릴 때, 윈치가 지상에 있으면 통상 도르래를 사용하기도 하며, 또는 윈치를 높은 곳에 설치하여 지상의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윈치의 작동은 수동 또는 동력을 이용하게 되는데, 수동을 사용하는 일례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352178호의 윈치를 들 수 있으며, 동력을 이용 하는 경우로는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에 사용되는 윈치 등이 있다.
도 8과 같은 통상의 휴대용 윈치는 대부분 수동을 이용하여 조작 체인(20)을 끌어당기며 인양체인(30)에 의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데, 인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양력이 한정될 뿐 만 아니라 조작 체인(20)의 길이가 거의 인양높이의 2배 이상으로 되어야 하므로 인양높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윈치를 높은 곳에 설치하여 이를 조작할 때는 조작체인(20)과 인양체인(30)이 서로 얽히기 때문에 체인이 얽히지 않도록 정렬해주는 보조인력이 필요하며, 또한 중량물을 인양하는 경우 조작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작업자가 윈치의 직하방 근처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중량물이 사고로 낙하하게 되면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창고나 공장 내의 호이스트에 사용되는 윈치는 그 크기가 커서 이동이 곤란하며, 전동 모터를 그 구동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의 공급이 필수적이어서 높은 산에 설치되는 송전탑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기 힘들며, 윈치의 조작을 위해 유선 리모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에 곤란한 점이 많다.
또한 높은 산에 철골 구조물로 설치되는 송전탑 공사 등에 있어서는, 기존의 임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새로이 임로를 개설하기 위해 자연을 훼손하는 문제점 등이 있어 환경단체들의 반대가 심하기 때문에 공사장소로 각종 자재나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주로 헬리콥터를 사용하게 되며, 자재를 조립하기 위해 인양하 는데도 헬리콥터를 사용하게 되어 그 작업이 매우 위험하며 종종 언론에 이에 따른 사고들이 보도되고 있다.
기존의 임로가 있는 경우에도 임로의 폭이 좁아 자주식 크레인이 진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송전탑의 기초 부분 이외에는 지반이 약한 경우가 많아 크레인을 고정시켜 자재를 인양할 때 크레인의 아우터 리거가 지반속에 함침되어 크레인이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실정이다.
송전탑의 경우에는 철골구조물의 조립이 완료된 후 피뢰침과 애자 및 금구류 등을 송전탑의 상단에 설치하고, 또한 도르레 등을 사용하여 전선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을 작업위치까지 운반하는 것은 큰 문제로 남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작업을 위해 헬리콥터나, 송전탑의 상단까지 붐이 확장될 수 있는 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은 그 사용료가 지나치게 고가이며, 또한 조립이 완료된 철골 구조물인 송전탑과 충돌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부품을 인력으로 운반하거나 상단에 도르레를 가설하여 이용하고 있는데, 작업자의 수가 많이 필요하고 또한 작업자가 높은 송전탑을 자주 오르내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송전탑의 상단부로 자재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윈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량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가능하며, 높은 곳에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휴대용 윈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도 윈치를 작동할 수 있으며 각종 자재를 들어올릴 수 있는 고출력의 휴대용 윈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윈치는,
리코일 방식 시동장치에 의해 시동되는 공냉식의 가솔린 엔진과;
상기 가솔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와;
상기 가솔린 엔진의 구동축에 연결된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될 작동유를 저장한 작동유 탱크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를 전달하는 유압 파이프와;
상기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의 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 밸브와;
상기 유압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감아들이는 권취 드럼과;
멜빵과 등받이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일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솔린 엔진, 연료 탱크, 유압 펌프, 작동유 탱크, 유압 모터, 권취 드럼이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은 제 1, 2 프레임으로 나뉘며, 제 1 프레임에는 가솔린 엔진, 연료 탱크, 유압 펌프, 작동유 탱크가 설치되고,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유압 모터와 권취 드럼이 설치되며, 제 2 프레임에는 제 2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 모터와 권취 드럼 사이에는 감속기 또는 래칫을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밸브는 탠덤 센터(tandem center)방식의 3방향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 송전탑 공사를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헬기 또는 임로를 통행가능한 육상운송수단을 통하여 철제 빔을 건설현장으로 운반한 후, 헬기 또는 크레인으로 철재 빔을 조립 위치까지 들어올려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철골 빔을 조립하여 철골구조를 만든 이후에는 피뢰침, 애자, 각종 금구류 등과 같은 자재를 송전탑의 꼭대기까지 운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이러한 운반을 위하여 헬기나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업이 위험하거나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경비가 들기 때문에, 건설현장 및 조립위치까지 간편하게 운반하여 자재를 들어올릴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임(100)은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2와 같이 멜빵(110)과 등받이(12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100)에는 가솔린 엔진(200), 연료 탱크(300), 유압 펌프(400), 작동유 탱크(500), 유압 모터(600), 권취 드럼(700)이 도3과 같이 탑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휴대용 윈치(10)를 짊어지고 건설중인 송전탑에 올라가서 이를 설치하여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작동유 탱크(500)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프레임(100)에 이를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휴대용 윈치(10)의 주변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솔린 엔진은 도 3의 리코일 방식 시동장치(210)에 의해 시동되는 공냉식의 것으로, 시동장치의 손잡이(220)를 당기면 시동장치(210)가 가솔린 엔진(200)을 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솔린 엔진(200)은 프레임(100)에 탑재된 연료 탱크(30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다.
상기 가솔린 엔진(20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유압 펌프(400)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유압 펌프(400)에서 발생된 유압은 조작 밸브(800)를 통해 유압 모터(600)의 정·역방향 회전 및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작을 위하여 조작밸브(800)는 도 4와 같이 스풀이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810)과 작동간(820) 및유압 연결구(8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윈치에 적용되는 유압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조작 밸브(800)는 중립위치에서 작동유를 작동유 탱크(500)으로 보내는 한편 유압 모터(600)의 유로를 차단하며, 작동간(820)의 조작에 따라 유압 모터(6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탠덤 센터(tandem center)방식의 3방향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간(820)의 조작에 따라 작동유의 공급을 조절하여 유압 모터(6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 유압 부품 간의 작동유 전달은 유압 호스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유압 모터(600)의 회전력은 기어(620)에 의해 권취 드럼(700)으로 전달되는데, 유압 모터(600)의 축에 직접 권취 드럼(7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권취 드럼(700)에는 인양에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유압 모터(60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유압 모터(600)의 축에 감속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권취 드럼(700)의 회전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래칫(RATCHET, 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권취 드럼의 예상치 못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휴대용 윈치는 도 6과 같이 프레임 (100)에 설치된 고정수단(900)에 의해 건설중인 송전탑의 철제 빔(950)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900)은 후크(HOOK)를 채택하였지만, 샤클(SHACKLES) 등을 고정수단으로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과 같이 멜빵(110)과 등받이(120)와 제 1 고정수단(920)를 구비한 제1 프레임(150)에 가솔린 엔진(200), 연료 탱크(300), 유압 펌프(400), 작동유 탱크(500)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 모터(400)와 권취 드럼(700)은 제 2 프레임(160)에 설치하며 제 2 프레임(160)에는 제 2 고정수단(940)을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제 1, 2 고정수단(920,940)은 상기 고정수단(900)과 동일한 것이다.
이 경우 휴대용 윈치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자는 제2 프레임(160)의 제 2 고정수단(940)을 제 1 프레임(150)과 결합시켜 설치 위치까지 운반한 후, 제 2 프레임(160)을 제 1프레임(150)에서 분리하고 제 1, 2 프레임을 각각 송전탑의 철제 빔(95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작동유 탱크(500)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제 1 프레임(100)에 이를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휴대용 윈치(10)의 주변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윈치는 권취드럼, 작동유 탱크, 유압모터 등과 같은 부품이 체결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시 분리하여 운반할 수도 있 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멜빵과 등받이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쉽게 휴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송전탑의 철제 빔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의 공급이 없는 산간벽지에서 간편하게 윈치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이나 헬기의 도움 없이도 송전탑의 자재를 송전탑의 꼭대기까지 용이하게 옮길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윈치를 작동시키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 위치하여 윈치를 조작하므로 윈치 조작시 인양물의 낙하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자재의 이송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송전탑 공사에 사용되는 기자재를 송전탑의 상단부로 이송하기 위한 휴대용 윈치에 있어서,
    리코일 방식 시동장치에 의해 시동되는 공냉식의 가솔린 엔진(200)과,
    상기 가솔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300)와,
    상기 가솔린 엔진(200)의 구동축에 연결된 유압 펌프(400)를 탑재하고,
    멜빵(110)과 등받이(120)를 구비한 제 1 프레임(150)과;
    상기 유압 펌프(400)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600)와,
    상기 유압 모터(600)의 회전력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감아 들이는 권취 드럼(700)과,
    상기 제 1 프레임(150)과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철제 빔(950)에 설치할 수 있는 제 2 고정수단(940)을 구비한 제 2 프레임(160)과;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될 작동유를 저장한 작동유 탱크(500)와;
    상기 유압 펌프(400)와 유압 모터(600) 간에 작동유의 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 밸브(800)와;
    ;
    상기 유압 펌프(400)와 유압 모터(600)와 작동유 탱크(500) 및 조작 밸브(800)가 이루는 유압회로를 통해 작동유를 전달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할 수 있는 유압 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프레임(150)과 제 2 프레임(160)과 작동유 탱크(500)는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윈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5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50)을 송전탑의 철제 빔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제 1 고정수단(9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윈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모터(400)와 권취 드럼(700) 사이에는 감속기 또는 래칫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윈치.
KR1020060006045A 2006-01-20 2006-01-20 휴대용 윈치 KR10072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045A KR100722252B1 (ko) 2006-01-20 2006-01-20 휴대용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045A KR100722252B1 (ko) 2006-01-20 2006-01-20 휴대용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252B1 true KR100722252B1 (ko) 2007-05-29

Family

ID=3827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045A KR100722252B1 (ko) 2006-01-20 2006-01-20 휴대용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703B1 (ko) 2011-05-20 2012-05-22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착용형 인장기
KR20210019719A (ko) 2019-08-13 2021-02-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관측을 위한 이동형 윈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278A (en) * 1991-12-23 1995-12-12 Cleveland; Joe H. Backpack mounted device for moving loa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278A (en) * 1991-12-23 1995-12-12 Cleveland; Joe H. Backpack mounted device for moving loa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703B1 (ko) 2011-05-20 2012-05-22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착용형 인장기
KR20210019719A (ko) 2019-08-13 2021-02-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관측을 위한 이동형 윈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8839B2 (en) Pipelayer machine with symmetrical winches
US77358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a wind turbine
US8939299B2 (en) Method for handling and/or servicing components of a wind turbine and a gripp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A2997664C (en) Wind turbine blade removal and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TWI811404B (zh) 用於起重機之起吊滑車
KR100722252B1 (ko) 휴대용 윈치
JP2015139391A (ja) 油圧集材機
EP3507158A1 (en) Cableway system for forestry,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905143B2 (en) Method for handling a wind turbine component with a control arrangement
CN102389911B (zh) 用于安装钢丝绳的设备和工程车辆
EP3649070A1 (en) A system for levelling a load
CN210236964U (zh) 一种装配式内隔墙板快捷安装工具
RU172969U1 (ru) Подъемный самоходный агрегат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лебедки
CN207999218U (zh) 一种桅杆装置及旋挖钻机
CA2919767C (en) Luffing cross member
KR20210019719A (ko) 해양관측을 위한 이동형 윈치
CN220011964U (zh) 一种便携式饲料卷扬机
KR20210031307A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CN211078230U (zh) 一种电机试验用拖吊装置
US20180013278A1 (en) Hydraulic cable tensioning machine
CN220866927U (zh) 门式起重机的门架和门式起重机
CN218759768U (zh) 加压起拔装置及旋挖钻机
KR102213470B1 (ko) 수중터널을 계류하는 계류선의 정착 및 인장력 조절 장치
RU2676586C1 (ru) Рабочи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орган экскаватора
JPS63307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