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203B1 -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203B1
KR100722203B1 KR1020060008319A KR20060008319A KR100722203B1 KR 100722203 B1 KR100722203 B1 KR 100722203B1 KR 1020060008319 A KR1020060008319 A KR 1020060008319A KR 20060008319 A KR20060008319 A KR 20060008319A KR 100722203 B1 KR100722203 B1 KR 10072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swing
along
guide slo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0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폐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스윙 힌지 모듈은 메인파트, 회동파트, 제1이동부재 및 제2이동부재, 제1코일스프링 및 제2코일스프링, 전환레버,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스윙 힌지 모듈이 구비된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에 대해 스윙부가 개방될시에는 반자동 방식으로 한번에 180° 스윙될 수 있고, 본체부에 대해 스윙부가 폐쇄될에는 반자동 방식으로 90°씩 두번에 걸쳐 스윙될 수 있다.
메인파트, 회동파트, 이동부재, 코일스프링, 전환레버, 토션스프링

Description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SWING HINGE MODULE AND PO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도 1 및 도 2는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각각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요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로서, 개방시 작동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로서, 닫힘시 작동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부 120 : 스윙부
200 : 스윙 힌지 모듈 210 : 메인파트
211 : 제1하우징 212 : 제2하우징
213 : 가이드슬롯 214 : 직선가이드리브
215 : 원형가이드리브 217 : 원형홀
218 : 보조안내슬롯 220 : 회동파트
221 : 힌지캠 222 : 트리거부
222a : 원호접촉부 311 : 제1이동부재
312 : 제2이동부재 411 : 제1코일스프링
412 : 제2코일스프링 413 : 토션스프링
510 : 전환레버 511 : 캠부
512 : 직선부 513 : 원호부
514 : 가이드돌기 610 : 가이드부재
611 : 전환돌기 612 : 안내돌기
본 발명은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폐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영화나 동영상 등의 와이드 영상을 왜곡 현상 없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플립형 개인휴대단말기,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최근 휴대용 단말기 중에는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체부에 스윙부가 상대 스윙(swing)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각각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그 두께 방향을 따른 축선을 갖도록 상대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와 스윙부(20)에 사이에는 두 부분이 서로 탄성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 힌지 모듈(도시하지 않음)의 각 일부분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부에 각종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스윙부(20)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 및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전화를 걸거나 각종 정보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스윙부(20)를 본체부(1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스윙시킨 후, 스윙부(20)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며 본체부(10)의 전면에 구비된 키패드를 조작하여 사용하게 되고, 사용한 후에는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스윙부(20)를 스윙시켜 닫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윙부(20)의 스윙동작은 스윙 힌지 모듈을 통해 반자동 방식으로 180°씩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부(10)에 대한 스윙부(20)의 스윙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180°씩 동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윙부(20)의 디스플레이부가 스윙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영화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를 사용할 시 영상이 왜곡되고 화면의 구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윙부(20)에 일정한 가로×세로 비율로 고정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1)의 설치 구조상 영화 및 동영상 등의 와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디스플레이부(21)의 가로×세로 비율과 와이드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이 일치하지 않아 영상이 왜곡되어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에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크기나 표시범위 등의 제약이 따르게 되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와이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대한 스윙부(20)의 스윙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90°씩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구조(도시하지 않음)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본체부에 대한 스윙부의 개폐 스윙동작이 항상 90°씩 두번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그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영화나 동영상 등의 와이드 영상을 왜곡 현상 없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윙 힌지 모듈은 메인파트,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힌지캠을 일체로 구비하여 메인파트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을 따른 축선을 갖도록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파트, 힌지캠의 둘레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힌지캠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부재, 제1이동부재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제1이동부재에 접근되 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재,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이동부재가 힌지캠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부가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 중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코일스프링, 회동파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2이동부재의 외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회동파트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제2코일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레버, 일단은 회동파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파트에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회동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가 일정 이상 회동될 시 전환레버가 가압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트리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파트에는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전환레버에는 가이드슬롯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캠부는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직선부와 원호부를 갖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코일스프링은 제1코일스프링을 사이에 두개 또는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 이동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메인파트에는 직선가이드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캠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메인파트에 형성되는 원형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트리거부에는 원형가이드리브의 둘레면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원호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 션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메인파트에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파트에는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안내슬롯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슬롯의 폭보다 적어도 큰 직경을 갖도록 안내슬롯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원형홀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에는 원형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슬롯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원형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안내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환돌기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안내슬롯과 대응되게 메인파트의 다른 일측에는 보조안내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측에는 보조안내슬롯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요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로서, 개방시 작동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로 서, 닫힘시 작동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이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110), 스윙부(120), 메인파트(210), 회동파트(220), 제1이동부재(311), 제2이동부재(312), 제1코일스프링(411), 제2코일스프링(412), 전환레버(510) 및 토션스프링(4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도시하지 않음)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부에 각종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스윙부(120)는 그 전면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 및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22)를 구비하여 본체부(110)의 전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와 스윙부(120) 중 어느 일측에는 스윙 힌지 모듈(200)의 메인파트(210)가 결합되고 본체부(110)와 스윙부(120) 중 다른 일측에는 회동파트(220)가 결합되는 바, 이하에서는 본체부(110)에 메인파트(210)가 결합되고 스윙부 (120)에 회동파트(220)가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파트(2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211)과 제2하우징(2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1하우징(211)이 본체부(110)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회동파트(220)는 스윙부(120)에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메인파트(210)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축선을 갖도록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그 배면 중앙부에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갖는 힌지캠(22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311)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캠(221)의 둘레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힌지캠(22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이동부재(312)는 제1이동부재(31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이동부재(31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1이동부재(311)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제1이동부재(31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코일스프링(411)은 제1이동부재(311)와 제2이동부재(312)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이동부재(311)가 힌지캠(221)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힌지캠(221)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코일스프링(412)은 제1이동부재(311)와 제2이동부재(312)의 사이에 배치되되, 제2코일스프링(412)의 일단부는 제1이동부재(311)와 제2이동부재(312)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1이동부재(311)와 제2이동부재(312) 중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바, 이하에서는 제2코일스프링(412)이 그 일단부가 제1이동부재(311)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이동부재(312)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코일스프링(412)은 제1코일스프링(411)을 사이에 두고 두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환레버(510)는 회동파트(2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2이동부재(312)의 외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부(511)를 구비함과 아울러 회동파트(220)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제2코일스프링(412)이 압축될 수 있도록 제2이동부재(312)를 이동시킨다.
상기 회동파트(220)가 회동됨에 따라 전환레버(5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회동파트(220)의 배면에는 회동파트(220)가 일정 이상 회동될 시 전환레버(510)의 양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트리거부(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부(511)는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직선부(512)와 원호부(513)를 갖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환레버(510)의 캠부(511)와 접촉되는 제2이동부재(312)의 접촉면(312a)은 캠부(511)의 원호부(513)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환레버(510)가 메인파트(210)에 대해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파트(210)의 제1하우징(211)에는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2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환레버(510)에는 이 가이드슬롯(213)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가 이드돌기(5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413)의 일단은 회동파트(2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파트(210)에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413)의 그 타단은 메인파트(210)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10)를 통해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메인파트(210)의 제1하우징(211)에는 회동파트(22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안내슬롯(216)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슬롯(216)의 폭보다 적어도 큰 직경을 갖도록 안내슬롯(216)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원형홀(2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610)에는 원형홀(217)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슬롯(216)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원형홀(217)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안내슬롯(21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환돌기(61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슬롯(216)과 대응되게 메인파트(210)의 제2하우징(212)에는 보조안내슬롯(2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610)의 다른 일측에는 보조안내슬롯(218)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돌기(61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보조안내슬롯(218)과 안내돌기(612)는 전술한 안내슬롯(216)과 전환돌기(611)와 함께 가이드부재(610)가 메인파트(2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메인파트(210)의 제1하우징(211)에는 제1이동부재(311) 및 제2이동부재(31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 이동부재(311,312)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직선가이드리브(2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가이드리브(214)는 "l"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ㄴ" 및 "ㄷ" 등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파트(210)의 제1하우징(211)에는 힌지캠(221)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가이드리브(2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리거부(222)에는 원형가이드리브(215)의 둘레면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원호접촉부(222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트리거부(222)의 원호접촉부(222a)가 원형가이드리브(215)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회동파트(220)와 함께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원형가이드리브(215)는 직선가이드리브(21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413)은 제1코일스프링(411)보다 큰 스프링 상수값(k)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코일스프링(412)은 토션스프링(413)보다 큰 스프링 상수값(k)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 및 이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9 및 도 11에서는 스윙 힌지 모듈(200)의 동작구조를 명학하게 표시하기 위해 메인파트(210)의 제2하우징(212)을 제거한 후 회동파트(220)에 해당되는 주요 부위를 단면 처리하였으며, 도 10 및 도 12에서는 메인파트(210)의 제1 하우징(211) 내부의 주요 부위를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스윙부(120)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인 (a),(a')에서 회동파트(220)가 메인파트(2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구간 회동하게 되면, (b),(b')와 같이 힌지캠(221)에 의해 제1이동부재(311)가 힌지캠(22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코일스프링(411)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토션스프링(413)의 일단은 회동파트(220)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토션스프링(413)의 타단과 연결된 가이드부재(610)는 전환돌기(611)가 원형홀(217)의 내부에서 안내슬롯(216)과 어긋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며 회전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413)이 압축되며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이때 상기 제2코일스프링(412)에 의한 탄성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 후 메인파트(210)에 대한 회동파트(220)의 회동이 (c),(c') 및 (d),(d')와 같이 토션스프링(413)의 임계점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가이드부재(610)의 전환돌기(611)가 원형홀(217)에서부터 빠져나와 안내슬롯(216)을 따라 이동을 시작하게 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413)이 복원되며 이 복원력에 의해 회동파트(220)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413)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파트(220)가 일정 이상 회동하게 되면 (e),(e')와 같이 회동파트(220)에 일체로 형성된 트리거부(222)가 전환레버(510)의 일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f),(f')와 같이 전환레버(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며 캠부(511)의 원호부(513)에 접촉되어 있던 제2이동부재(312)가 캠부(511)의 직선부(512)에 접촉되며 제1이동부재(31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1이동부재(311)와 제2이동부재(312)의 사이에 배치된 각 코일스프링(411,412)이 압축되며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 압축되었던 각 코일스프링(411,412)이 일정구간 복원됨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회동파트(220)의 남은 회동이 이루어지며 (g),(g')와 같이 회동파트(220)가 배치됨으로써 본체부(110)에 대한 스윙부(120)의 180°스윙 개방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윙부(120)의 닫힘시에는 스윙부(120)가 90°씩 두번에 걸쳐 스윙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스윙부(120)가 180° 스윙되어 개방된 상태인 (A),(A')에서 회동파트(220)가 메인파트(2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일정구간 회동하게 되면, 힌지캠(221)에 의해 제1이동부재(311)가 힌지캠(221)의 중심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코일스프링(411) 및 제2코일스프링(412)을 압축하게 된다.
그 후 각 코일스프링(411,412)이 복원됨에 따라 이 복원력에 의해 회동파트(220)가 일정 구간 회동되며 (B),(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는 바, 이때는 본체부(110)에 대해 스윙부(120)가 90° 스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 가이드부재(610)의 전환돌기(611)는 원형홀(217)에 구속된다.
아울러 (A),(A')에서 (B),(B')로 회동파트(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시 토션스프링(413)의 일단은 회동파트(220)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토션스프링(413)의 타단과 연결된 가이드부재(610)는 안내슬롯(21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413)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B),(B')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파트(220)가 메인파트(2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일정구간 더 회동하게 되면 (C)(C')와 같이 회동파트(220)에 일체로 형성된 트리거부(222)가 전환레버(510)의 타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D)(D')와 같이 전환레버(51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며 캠부(511)의 직선부(512)에 접촉되어 있던 제2이동부재(312)가 캠부(511)의 원호부(513)에 접촉되며 제1이동부재(311)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가이드부재(610)의 전환돌기(611)는 원형홀(217)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413)이 압축되며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후 메인파트(210)에 대한 회동파트(220)의 시계 방향 회동이 토션스프링(413)의 임계점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토션스프링(413)이 복원되며 이 복원력에 의해 회동파트(220)가 회동되며 (E),(E')와 같이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도 13과 같이, 본체부(110)에 대해 스윙부(120)가 개방될시에는 반자동 방식으로 한번에 180° 스윙될 수 있게 하고, 본체부(110)에 대해 스윙부(120)가 폐쇄될에는 반자동 방식으로 90°씩 두번에 걸쳐 스윙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본체부에 대해 스윙부가 개방될시에는 반자동 방식으로 한번에 180° 스윙될 수 있게 하고, 본체부에 대해 스윙부가 폐쇄될에는 반자동 방식으로 90°씩 두번에 걸쳐 스윙될 수 있게 함으로써, 개폐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택적으로 와이드 화면 모드가 구현될 수 있게 하며 영화나 동영상 등의 와이드 영상을 왜곡 현상 없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4)

  1. 메인파트;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힌지캠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메인파트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을 따른 축선을 갖도록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파트;
    상기 힌지캠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힌지캠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부재;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제1이동부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재;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가 상기 힌지캠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 중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코일스프링;
    상기 회동파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파트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코일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레버; 및
    일단은 상기 회동파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파트에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윙 힌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가 일정 이상 회동될 시 상기 전환레버가 가압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트리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환레버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직선부와 원호부를 갖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에 접촉되는 제2이동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원호부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두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이동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파트에 형성되는 직선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캠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메인파트에 형성되는 원형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에는 상기 원형가이드리브의 둘레면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원호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파트에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안내슬롯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슬롯의 폭보다 적어도 큰 직경을 갖도록 안내슬롯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원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안내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돌기는 상기 원형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상기 원형홀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안내슬롯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져 상기 폭이 일치된 경우에 한해 상기 안내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슬롯과 대응되게 상기 메인파트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안내슬롯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안내슬롯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스프링보다 큰 스프링 상수값(k)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스프링은 상기 토션스프링보다 큰 스프링 상수값(k)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힌지 모듈.
  14. 본체부;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스윙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스윙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파트;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스윙부 중 다른 일측에 결합되되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힌지캠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메인파트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을 따른 축선을 갖도록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파트;
    상기 힌지캠의 둘레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힌지캠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부재;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제1이동부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재;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가 상기 힌지캠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 중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코일스프링;
    상기 회동파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파트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코일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레버; 및
    일단은 상기 회동파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파트에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가 일정 이상 회동될 시 상기 전환레버가 가압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트리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환레버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직선부와 원호부를 갖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에 접촉되는 제2이동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원호부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두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이동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파트에 형성되는 직선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캠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메인파트에 형성되는 원형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에는 상기 원형가이드리브의 둘레면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원호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파트에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파트에는 상기 회동파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안내슬롯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슬롯의 폭보다 적어도 큰 직경을 갖도록 안내슬롯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원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안내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돌기는 상기 원형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상기 원형홀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안내슬롯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져 상기 폭이 일치된 경우에 한해 상기 안내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스프링보다 큰 스프링 상수값(k)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스프링은 상기 토션스프링보다 큰 스프링 상수값(k)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20060008319A 2006-01-26 2006-01-26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72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19A KR100722203B1 (ko) 2006-01-26 2006-01-26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19A KR100722203B1 (ko) 2006-01-26 2006-01-26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203B1 true KR100722203B1 (ko) 2007-05-29

Family

ID=3827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319A KR100722203B1 (ko) 2006-01-26 2006-01-26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2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10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엠투시스 스윙 방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10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엠투시스 스윙 방식 개폐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61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2869B1 (ko) 단말기
KR100781996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KR10051816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7492892B2 (en) 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device
KR100941953B1 (ko)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US7869846B2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22203B1 (ko)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90028952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03352B1 (ko) 돌출식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5076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67836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89766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8007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396210Y1 (ko) 회전가능한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205597Y1 (ko) 자동 폴더의 슬라이딩 방식 입력장치
KR200390743Y1 (ko)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한 폴더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10244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