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676B1 -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 Google Patents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676B1
KR100721676B1 KR1020060033024A KR20060033024A KR100721676B1 KR 100721676 B1 KR100721676 B1 KR 100721676B1 KR 1020060033024 A KR1020060033024 A KR 1020060033024A KR 20060033024 A KR20060033024 A KR 20060033024A KR 100721676 B1 KR100721676 B1 KR 10072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ing
steel pipe
drainage
injection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연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삼보지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지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지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 관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면 준설단계, 잭업 바지선 설치단계, 상기 잭업 바지선에 가이드 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강관 설치 및 이 강관과 준설면 고정단계, 상기 강관의 상부에 케이싱 클램프 설치단계, 상기 케이싱 클램프에 굴착기 장착 및 준설면 굴착 단계, 상기 준설면의 굴착구에 이너케이싱 삽입단계, 상기 이너케이싱 외부에 몰탈주입 단계, 상기 강관의 하단부 절단 단계, 배수터널 굴착단계, 중량구조체 거치와 사석 매립 및 피복석 포설 단계의 제 단계를 통해 암반 또는 사석층으로 이루어진 해저지반에 해상수직구를 시공하는 방법과 관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 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Construction method of submarine vertical waterway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cooling water for industrial facilities utilizing jack up barge and guide frame and inner casing and casing clamp}
도 1은 원자력발전소 냉각수의 순환도.
도 2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상의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강관의 하부에 횡방향의 격판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상의 이너케이싱에 몰탈주입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상의 이너케이싱 상ㆍ하단에 설치된 임시 밀폐막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상의 이너케이싱에 설치된 몰탈주입관을 통해서 굴착구에 몰탈을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잭업 바지선 20. 가이드 프레임
21. 클램프 30. 강관
31. 스틸밴드 40. 케이싱 클램프
50. 굴착기 60. 이너케이싱(inner casing)
60a. 몸체 61. 고정테
62a.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 62b.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
63a.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63b.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64. 몰탈 토출공 65. 격판
65a. 몰탈주입관 고정홈 66. 상부 임시 밀폐막
66a. 워터밸브 66b. 에어밸브
67. 하부 임시 밀폐막 67a. 제 1 워터밸브
67b. 제 1 에어밸브 67a'. 제 2 워터밸브
67b'. 제 2 에어밸브 68. 호스
70. 취ㆍ배수터널 80. 중량구조체
81. 통공 90. 사석
91. 피복석 100. 해저면
101. 준설면 101a. 굴착구
102. 수중 콘크리트 103. 몰탈
본 발명은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수와 배수를 행하기 위한 해상에서의 해저수직구(海底垂直溝) 시공방법 및 그 관련 케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 또는 사석층으로 이루어진 해저지반에 교량기초, 대형건물 기초, 고가도로 기초공사 등에 이용되고 있는 현장타설말뚝공법을 적용하여 해저수직구를 시공하는 방법 및 이에 관련되는 장치인 이너케이싱과 케이싱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시설은 공업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며, 산업시설 중 특히 발전시설은 충분한 수자원의 확보를 위해 통상 임해지역에 건설된다.
상기 발전시설 중 일례로서 원자력 발전시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라늄의 핵분열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의 물을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가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시설이다.
상기 터빈의 가동에 이용되는 증기는 복수기에서 냉각되어 물로 만들어져 다시 증기발생기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냉각수는 해수로서 충분히 냉각용으로 사용되면 온배수(溫排水)가 되어 해상수직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온배수를 심층에서 배출하는 이유는 온배수가 해저면을 통해 방출되면 해수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심층해수와 혼합되어 희석되기때문에 표층해수의 온도상승을 줄여 해양의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심층 취·배수시설은 원자력발전소 외에 화력발전소나 제철소 및 일반 산업시설 등에 주로 적용된다.
종래의 심층 취ㆍ배수시설은 주로 토사층으로 이루어진 해저지반에 시공되었기 때문에 해상수직구를 형성할 때 굴착을 위해 설치되는 수직 강관의 하부를 토사층에 항타하여 강관의 하부가 자연스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고, 강관의 상부는 격자형태의 틀로 이루어진 쟈켓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해저지반이 암반 또는 사석층일 경우에는 상기 수직 강관을 해저지반에 항타할 수 없으므로 수직 강관의 하부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격자형태의 틀로 이루어진 상기 쟈켓이 수직 강관의 상부를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므로 인해 굴착시 수직강관이 굴착기와 함께 회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암반 또는 사석층으로 이루어진 해저지반에 교량기초, 대형건물 기초, 고가도로 기초공사 등에 적용되는 현장타설말뚝공법을 적용하여 해상수직구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해저면 준설단계, 잭업 바지선 설치단계, 상기 잭업 바지선에 가이드 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강관 설치 및 이 강관과 준설면 고정단계, 상기 강관의 상부에 케이싱 클램프 설치단계, 상기 케이싱 클램프에 굴착기 장착 및 준설면 굴착 단계, 상기 준설면의 굴착구에 이너케이싱 삽입단계, 상기 이너케이싱 외부에 몰탈주입 단계, 상기 강관의 하단부 절단 단계, 배수터널 굴착단계, 중량구조체 거치와 사석 매립 및 피복석 포설 단계의 제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은 다음의 제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 1 단계는 해저면 준설단계(100)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취ㆍ배수용 수직구를 형성할 해저면의 적정한 위치에 준설을 실시한다. 이때 준설면(101)은 역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의 단계에서 설명될 강관(30)설치 및 수중 콘크리트(102) 타설 시의 편의와, 마무리 작업시 중 량구조체(80)의 안정성을 위함이다.
제 2 단계는 잭업 바지선(10)의 설치단계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준설면(101)에 강관(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잭업 바지선(10)을 위치 고정한다. 여기서 잭업 바지선(10)을 이용하는 이유는 알려진 바와 같이 해수면의 파고 또는 간만의 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교한 시공을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에서는 랙크 앤 피니언 유압시스템(Rack & Pinion hydraulic system)으로 작동되는 잭업바지선을 이용하였다.
제 3 단계는 잭업 바지선(10)에 가이드 프레임(20) 설치단계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잭업 바지선(10)의 전면에는 그 잭업 바지선(10)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고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골조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은 판상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구조의 강성과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골조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에는 강관(3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 강관(30)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21)가 설치된다.
제 4 단계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에 강관(30) 설치 및 이 강관(30)을 준 설면(101)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에 장착된 클램프(21)를 통해 강관(30)의 상부를 고정하고, 상기 강관(30)의 하부를 상기 준설면(101)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준설면(101)에 수중 콘크리트(102)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수중 콘크리트(102)는 상기 강관(3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는 높이까지만 타설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강관(30)의 하부에 스틸밴드(steel band)(31)를 형성하여 상기 수중 콘크리트(102)와의 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제 5 단계는 상기 강관(30)의 상부에 케이싱 클램프(40)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 클램프(40)는 원통형으로서 상부직경과 하부직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클램프(40)의 하부에는 상기 강관(30)이 삽입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굴착기(50)가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강관(30)의 구경(口徑)에 구애받지 않고 통상의 굴착기(5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제 6 단계는 상기 케이싱 클램프(40)에 굴착기(50) 장착 및 준설면(101) 굴착 단계로서,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착기(50)를 이용하여 상기 준설면(101)을 소정 깊이로 굴착한다.
상기 굴착기(50)는 드릴로드(drill rod) 끝부분에 특수한 롤러비트(roller bit)가 형성되어 있어 이 롤러비트의 360°회전으로 암반을 파쇄하고 파쇄된 굴착토는 드릴로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어 토사운반선에 수집된다.
제 7 단계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준설면(101)의 굴착구(101a)에 이너케이싱(inner casing)(60)을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너케이싱(60)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60a) 상부에 상기 강관(30)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고정테(6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테(61)에는 몰탈주입관 삽입공(62a)(62b)이 형성된다.
상기 몰탈주입관 삽입공(62a)(62b)은 일례로서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a) 4개소,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b) 8개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a)과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b)에 각각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a)과,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을 삽입한다.
상기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a)은 그 몰탈주입관(63a)의 하단으로부터 몰탈(103)이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굴착구(101a)의 바닥면에 거의 닿을 정도로 깊게 삽입된다.
상기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은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몰탈토출공(64)이 형성되어 있어 측방향으로 몰탈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을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b)에 삽입할 때 상기 이너케이싱(60)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은 시계방향으로 그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의 삽입길이가 점차 깊어지는 형태로 삽입하여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주위에 밀도 있게 몰탈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외주연에는 횡방향의 격판(65)을 설치하고 그 격판(65)에 몰탈주입관 고정홈(65a)을 형성하여 상기 각 몰탈주입관(63a)(63b)이 상기 몰탈주입관 고정홈(65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몰탈(103)주입시 상기 몰탈주입관(63a)(63b)의 떨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상면과 하면에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임시 밀폐막(66)(67)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임시 밀폐막(66)에는 워터밸브(66a)와 에어밸브(66b)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임시 밀폐막(67)에는 제 1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 및 제 2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는 상기 하부 임시 밀폐막(67)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는 긴 호스(68)를 통해 상기 이너케이싱(60)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싱(60)을 상기 강관(30)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이너케이싱(60)의 부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임시 밀폐막(66)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밸브(66b)를 개방하고 상기 하부 임시 밀폐막(67)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워터밸브(67a)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이너케이싱(60)을 해수에 장입하여 상기 이너케이싱(60)의 내부에 해수가 가득 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케이싱(60)을 상기 강 관(30) 내부로 삽입한다.
제 8 단계는 상기 이너케이싱(60) 외부에 몰탈(103)주입 단계로서, 도 10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상면과 하면이 모두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a)과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주위에 몰탈(103)을 주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이너케이싱(60)은 굴착구(101a)에 삽입된 채 고정된다.
제 9 단계는 상기 강관(30)의 하단부 절단 단계로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준설면(101)에 수중 콘크리트(102)를 통해 고정된 강관(30)의 하단부를 절단하여 강관(30)을 준설면(101)으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제반 작업을 반복 실시하여 해저면(100)에 다수의 이너케이싱(60)이 나란히 설치되도록 한다.
제 10 단계는 취ㆍ배수터널(70) 굴착단계로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너케이싱(60)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취ㆍ배수터널(70)을 굴착한다.
그 다음,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임시 밀폐막(67)에 장착되어 있는 제 2 워터밸브(67a') 및 에어밸브(67b')를 개방하여 상기 이너케이싱(60) 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을 모두 상기 취ㆍ배수터널(70)로 배수시킨 다음 상기 이너케이싱(60)의 하부와 상기 취ㆍ배수터널(70)이 교차하는 부분에 고착되어 있는 몰탈(103)을 파쇄한다.
이어서, 도 1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탈(103)을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이너케이싱(60)의 하부 임시 밀폐막(67)을 제거하여 상기 취ㆍ배수터널(70)과 상기 이너케이싱(6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취ㆍ배수터널(70)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취ㆍ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취ㆍ배수로가 형성되면 도 1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상부 임시 밀폐막(66)에 장착되어 있는 워터밸브(66a)와 에어밸브(66b)를 개방하여 상기 취ㆍ배수로에 해수가 완전히 채워지도록 한 다음 상기 상부 임시 밀폐막(66)을 제거한다.
제 11 단계는 중량 구조체(80) 거치와 사석(90) 매립 및 피복석(91) 포설 단계로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상면, 즉 준설면(101)의 상면에 중량 구조체(80)를 거치한다. 이때 상기 중량 구조체(80)의 내부에는 통공(8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너케이싱(60)과 연통된다.
이어서, 도 1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량구조체(80)의 주위를 사석(90)으로 매립하고, 그 사석(90)의 상면에는 피복석(91)을 포설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암반 또는 사석층으로 이루어진 해저지반에 발전소 냉각수의 취ㆍ배수용 해상수직구를 신속히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상의 가이드프레임과 클램프를 통해 강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작업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해저면(100) 준설단계, 취ㆍ배수터널(70) 굴착단계, 중량 구조체(80) 거치와 사석(90) 매립 및 피복석(91) 포설 단계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에 있어서,
    준설면(101)에 강관(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잭업 바지선(10)을 위치 고정하는 단계;
    상기 잭업 바지선(10)의 전면에 그 잭업 바지선(10)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고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골조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에 장착된 클램프(21)를 통해 강관(30)의 상부를 고정하고, 상기 강관(30)의 하부를 상기 준설면(101)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준설면(101)에 수중 콘크리트(102)를 타설하여 상기 강관(30)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강관(30)의 상부에 케이싱 클램프(4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 클램프(40)에 굴착기(50)를 장착하여 상기 준설면(101)을 굴착하는 단계;
    상부 임시 밀폐막(66)과 하부 임시 밀폐막(67)이 형성된 이너케이싱(inner casing)(60)을 상기 강관(30)을 통해 상기 준설면(101)의 굴착구(101a)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외부에 몰탈(103)을 주입하는 단계;
    수중 콘크리트(102)에 의해 상기 준설면(101)에 고정된 강관(30)의 하단부를 절단하여 상기 준설면(101)으로부터 강관(30)을 분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져 상기 해상수직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싱(60)을 상기 강관(30)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이너케이싱(60)의 부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 임시 밀폐막(66)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밸브(66b)를 개방하고, 하부 임시 밀폐막(67)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워터밸브(67a)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이너케이싱(60)을 해수에 장입하여 상기 이너케이싱(60)의 내부에 해수가 가득 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케이싱(60)을 상기 강관(30) 내부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3. 원통형의 몸체(60a) 상부에 강관(30)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고정테(6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테(61)에는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a)과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b)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a)과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b)에는 각각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 관(63a)과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이너케이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a)은 그 몰탈주입관(63a)의 하단으로 몰탈(103)이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은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몰탈토출공(64)이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몰탈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이너케이싱.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63b)은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측부 주입용 몰탈주입관 삽입공(62b)에 삽입될 때 그 삽입되는 개수에 따라 삽입 깊이가 점차적으로 깊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이너케이싱.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싱(60)의 외주연에는 횡방향의 격판(65)이 설치되고, 그 격판(65)에는 몰탈주입관 고정홈(6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이너케이싱.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싱(60)에는 상부 임시 밀폐막(66)과 하부 임시 밀폐막(6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임시 밀폐막(66)에는 워터밸브(66a)와 에어밸브(66b)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임시 밀폐막(67)에는 제 1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 및 제 2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는 상기 하부 임시 밀폐막(67)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 2 워터밸브(67a')와 에어밸브(67b')는 긴 호스(68)를 통해 상기 이너케이싱(60)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냉각수의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이너케이싱.
  8. 삭제
KR1020060033024A 2006-04-12 2006-04-12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KR10072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24A KR100721676B1 (ko) 2006-04-12 2006-04-12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24A KR100721676B1 (ko) 2006-04-12 2006-04-12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676B1 true KR100721676B1 (ko) 2007-05-23

Family

ID=382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024A KR100721676B1 (ko) 2006-04-12 2006-04-12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95B1 (ko) 2011-11-23 2012-03-21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해저 굴착 및 수직구 시공 방법
KR101596714B1 (ko) 2015-12-09 2016-02-23 김여철 Rcd 공법을 개선한 공압해머 굴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617A (ja) 1984-07-18 1986-02-08 Penta Ocean Constr Co Ltd 鋼製杭の打込み固定工法
JP2002146811A (ja) * 2000-11-16 2002-05-22 Kajima Corp 水中構造物基礎の施工法
KR20050051622A (ko) * 2005-05-11 2005-06-01 (주)부마건설기계 암반굴삭기의 일체형 파일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617A (ja) 1984-07-18 1986-02-08 Penta Ocean Constr Co Ltd 鋼製杭の打込み固定工法
JP2002146811A (ja) * 2000-11-16 2002-05-22 Kajima Corp 水中構造物基礎の施工法
KR20050051622A (ko) * 2005-05-11 2005-06-01 (주)부마건설기계 암반굴삭기의 일체형 파일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95B1 (ko) 2011-11-23 2012-03-21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해저 굴착 및 수직구 시공 방법
WO2013077595A1 (ko) * 2011-11-23 2013-05-30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해저 굴착 및 수직구 시공 방법
KR101596714B1 (ko) 2015-12-09 2016-02-23 김여철 Rcd 공법을 개선한 공압해머 굴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8534B (zh) 一种高承压水地层深大基坑多梯次减压降水控制方法
CN102561371B (zh) 岛遂结合部钢沉箱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EP08103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laying underground continuous walls
CN100510281C (zh) 超大直径、超埋深度调蓄池的半逆作施工方法
CN102839681A (zh) 深水无覆盖层条件下组合钢管桩围堰及其施工方法
CN111139852A (zh) 一种富水砂卵石地层高渗透超深基坑降水施工方法
KR101256265B1 (ko) 임시 물막이공정이 생략된 교각의 수중설치공법.
CN109339079A (zh) 一种紧邻河流透水地层的基坑止水系统及其施工工艺
CN109944264A (zh) 地源热泵水平埋管系统埋设于基础内部的施工方法
CN114482099A (zh) 钢板桩围堰施工方法
KR20130013287A (ko) 교각의 습식 시공 방법
KR100721676B1 (ko) 잭업바지선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산업시설용 냉각수의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방법 및이너케이싱과 케이싱 클램프
CN209260739U (zh) 一种紧邻河流透水地层的基坑止水系统
CN106368217A (zh) 可拼装趸船水上作业平台及其施工方法
CN206143774U (zh) 可拼装趸船水上作业平台
CN113356247B (zh) 一种大深基防护锁扣钢管桩围堰结构及其施工方法
CN102720202A (zh) 一种地下连续墙的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605422A (zh) 一种木竹黏土围堰的施工方法
CN108086163A (zh) 混凝土沉井高压旋喷防渗围堰施工方法
WO2004113621A1 (ja) 水底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2003138584A (ja) 地下躯体の施工方法
CN114960756B (zh) 一种水下挂网掩蔽式隧道及其建造方法
RU2791119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еотехниче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на акваториях городских рек и каналов
CN107237331A (zh) 一种利用水压力支护的基坑修建方法
CN114000445B (zh) 一种多孔并排穿路暗涵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