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937B1 - 씽크대용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씽크대용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937B1
KR100720937B1 KR1020060018101A KR20060018101A KR100720937B1 KR 100720937 B1 KR100720937 B1 KR 100720937B1 KR 1020060018101 A KR1020060018101 A KR 1020060018101A KR 20060018101 A KR20060018101 A KR 20060018101A KR 100720937 B1 KR100720937 B1 KR 10072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nk
driving
fixed fram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군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군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군,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군
Priority to KR102006001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6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씽크대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이 씽크대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간에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 및 혼합수의 인출을 위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혼합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구동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차단부재가 연동되어 수돗물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씽크대용 절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정면 양측에 삽입홀(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0)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배면 중앙에 구동마그네트(52)를 갖는 안착대(5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구동대(50)와,
상기 구동대(50)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대(5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정면 및 배면 양쪽에 베어링(6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배면 양측에 지지대(62)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62)의 선단부가 고정프레임(10)이 삽입홀(11)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고정대(60)와,
차단부재(20)의 연결관(21) 전방 중앙에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마그네트(52) 사이에 연장 결합되어 구동대(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는 구동마그네트(52)의 자력에 의해 노즐(22)의 개폐 및 노즐(22)의 연속적인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단속부재(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간단한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절수구조로 기존의 씽크대에 간편히 설치하여 수돗물이 낭비됨이 없이 필요한 량의 수돗물만을 용이하게 인출 하거나 지속적인 수돗물 공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구동대의 일방향 이동으로써 종래와 같이 페달 등을 힘들여 계속 밟고 있거나 구동대를 복부로 계속 밀게되는 동작을 배제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절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씽크대용 절수장치{A water saving apparatus for sink}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를 나타낸 씽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씽크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전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프레임 11 : 삽입홀
20 : 차단부재 21 : 연결관
22 : 노즐 30 : 단속부재
31 : 지지바아 32 : 축핀
33 : 고무밸브 34 : 연동마그네트
40a : 인입관 40b : 배출관
50 : 구동대 51 : 안착대
52 : 구동마그네트 60 : 고정대
61 : 베어링 62 : 지지대
70a,70b : 부착용마그네트
본 발명은 씽크대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의 간단한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절수구조로 기존의 씽크대에 간편히 설치하여 수돗물이 낭비됨이 없이 필요한 량의 수돗물만을 용이하게 인출 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인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식기 및 요리기구 등을 세척할 때에는 우선 세척 대상물을 씽크대의 세척조에 넣은 다음 세척 대상물에 수돗물이 충분하게 뿌려지면 상기 수도밸브를 잠근 후 세척액을 이용하여 상기 세척 대상물을 닦은 후에 다시 수도밸브를 개방하여 마지막으로 수돗물로 세척 대상물에 묻어있는 세척액을 완전히 씻어내는 것이 보편적일 세척과정일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세척 대상물에 물을 묻히거나 세척액을 수돗물로 닦아내기 위해 수도밸브를 직접 손으로 여러번 조작하게 되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통상 세척 대상물을 헹구는 과정에서 수도밸브를 개방하여 수돗물이 계속 인출되는 상태로 세척 대상물의 헹굼을 실시함에 따라 불필요한 수돗물의 낭비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마루바닥에 설치된 페달 또는 평판에 발을 올려 놓으면 이것이 스위치 역할을 하면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수도밸브가 개방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절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전기적인 제어방식의 한계로 인해 잦은 고장과 각종 기구적인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역할을 하는 페달 또는 평판에 반드시 사용자의 한쪽발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 불안정안 조작자세와 아울러 전기적인 콘트롤 방식의 복잡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종래 씽크대용 절수장치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특허등록 제528316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제안한 씽크대용 절수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면 일측에 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지지대 및 타측에 지지대가 고정된 고정프레임을 씽크대의 전면 상부에 부착하여 상기 롤러지지대와 지지대가 설치된 고정프레임의 중간에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 및 혼합수의 인출을 위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인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혼합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차단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차단부재의 저부에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을 위한 개폐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내부 일측에 고정대가 부착된 구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구동프레임의 고정대와 지지대의 사이에 로울러에 지지된 상태로 개폐부재와 연동 가능하게 신축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공되는 본 출원인의 씽크대용 절수장치는 구조적으로 신체의 간단한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절수구조로써 기존의 씽크대에 간편히 설치하여 수돗물이 낭비됨이 없이 필요한 량의 수돗물만을 용이하게 인출 사용하는데에는 전혀 부족함이 없으나 수돗물을 연속적으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프레임을 복 부로 계속 누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일부 소비자가 호소하고 있고 또한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개폐판를 작동하는데에 있어서도 수압에 영향을 덜 받은 상태에서 보다 정확히 작동될 수 있도록 또 다시 개량 제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의 간단한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절수구조로 기존의 씽크대에 간편히 설치하여 수돗물이 낭비됨이 없이 필요한 량의 수돗물만을 용이하게 인출 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인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이 씽크대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간에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 및 혼합수의 인출을 위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혼합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구동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차단부재가 연동되어 수돗물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씽크대용 절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정면 양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배면 중앙에 구동마그네트를 갖는 안착대가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구동대와,
상기 구동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정면 및 배면 양쪽에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배면 양측에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선단부가 고정프레임이 삽입홀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고정대와,
차단부재의 연결관 전방 중앙에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마그네트 사이에 연장 결합되어 구동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는 구동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노즐의 개폐 및 노즐의 연속적인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단속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씽크대용 절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삭제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이 씽크대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간에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 및 혼합수의 인출을 위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혼합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구동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차단부재가 연동되어 수돗물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씽크대용 절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정면 양측에 삽입홀(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0)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배면 중앙에 구동마그네트(52)를 갖는 안착대(5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구동대(50)와,
상기 구동대(50)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대(5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정면 및 배면 양쪽에 베어링(6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배면 양측에 지지대(62)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62)의 선단부가 고정프레임(10)이 삽입홀(11)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고정대(60)와,
차단부재(20)의 연결관(21) 전방 중앙에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마그네트(52) 사이에 연장 결합되어 구동대(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는 구동마그네트(52)의 자력에 의해 노즐(22)의 개폐 및 노즐(22)의 연속적인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단속부재(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도면부호중 미설명 부호 (80)은 씽크대, (81)은 온냉밸브, (82)는 급수밸브를 나타낸다.
상기 단속부재(3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로 상기 개방부위가 차단부재(20)의 연결관(21)에 체결 고정되며 한쪽에 노즐(22)의 개폐를 위한 고무밸브(33)가 결합됨과 동시에 반대편에 구동마그네트(52)의 자력에 반응하는 연동마그네트(34)가 결합된 지지바아(31)가 내측에 평면상 세로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아(31)의 중앙이 축핀(32)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삽입홀(11)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대(60)를 피스나 기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고정프레임(10)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지지대(62)의 선단에 부착용마그네트(70b)를 설치하되, 상기 부착용마그네트(70b)와 일치되는 고정프레임(10)의 배면 양측에 부착용마그네트(70a)를 대응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동대(50)의 좌우 이동폭은 신체의 복부를 이용하여 조작하는데에 무리가 없도록 100~200㎜ 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를 나타낸 씽크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씽크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전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상기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신체의 간단한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절수구조로 기존의 씽크대에 간편히 설치하여 수돗물이 낭비됨이 없이 필요한 량의 수돗물만을 용이하게 인출 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인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고정프레임(10)이 씽크대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 중간에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40a) 및 혼합수의 인출을 위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40b)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관(40a)과 배출관(40b)의 사이에 혼합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차단부재(20)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 결합된 구동대(50)의 이동에 의해 차단부재(20)가 연동되어 수돗물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기본적인 씽크대용 절수장치 구조는 그대로 유지한다.
다만, 본 발명은 구동대(50)를 전후방 이동식이 아닌 좌우 슬라이딩 이동타입으로 개량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10)을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정면 양측에 삽입홀(1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는 정면 및 배면 양쪽에 베어링(6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고정프레임(10)이 삽입홀(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프레임(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대(62)의 후단부가 배면 양측에 고정된 고정대(60)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대(60)의 둘레에 구동대(50)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20)의 연결관(21) 중앙 하방에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연장 결합되는 단속부재(30)는 전방이 상기 구동마그네트(52) 사이에 위치되며 구동대(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는 구동마그네트(52)의 자력에 의해 노즐(22)의 개폐는 물론 노즐(22)의 연속적인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통상의 씽크대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돗물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복부를 구동대(50)의 전면에 가볍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구동대(50)가 베어링(61)에 지지된 상태로 몸의 이동에 따라 부드럽게 이동된다.
상기 구동대(5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대(50)의 배면에 설치된 두 개의 구동마그네트(52)도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단속부재(30) 내측의 지지바아(31) 저부에 결합된 연동마그네트(34)가 구동마그네트(52)의 이동에 의한 자력에 의해 지지바아(31)의 저부가 축핀(32)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바아(31)가 회동하게 되면 지지바아(31)의 고무밸브(33)에 의해 막혀 있던 노즐(22)의 입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노즐(22)을 통해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40a)의 수돗물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40b)을 통해 유출되어 상기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돗물의 인출을 위해 구동대(50)의 구동방식을 좌우 슬라이딩 이동타입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복부를 구동대(50)에서 분리하더라도 수돗물이 연속적으로 나오게 되어 복잡한 구성요소들 의 적용으로써 상기 노즐(22)의 개방상태를 유지하지 아니하더라도 구동마그네트(52)와 단속부재(30)에 내설되는 연동마그네트(34)의 자력만으로 노즐(22)의 개방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지속적인 수돗물 공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구동대(50)의 일방향 이동으로써 종래와 같이 페달 등을 힘들여 계속 밟고 있거나 구동대(50)를 복부로 계속 밀게되는 동작을 배제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절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신체의 간단한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절수구조로 기존의 씽크대에 간편히 설치하여 수돗물이 낭비됨이 없이 필요한 량의 수돗물만을 용이하게 인출 하거나 지속적인 수돗물 공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구동대의 일방향 이동으로써 종래와 같이 페달 등을 힘들여 계속 밟고 있거나 구동대를 복부로 계속 밀게되는 동작을 배제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절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고정프레임이 씽크대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간에 씽크대의 냉/온수 혼합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인입관 및 혼합수의 인출을 위해 수도밸브의 배출구와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혼합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구동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차단부재가 연동되어 수돗물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씽크대용 절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정면 양측에 삽입홀(11)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0)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단면의 형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배면 중앙에 구동마그네트(52)를 갖는 안착대(5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구동대(50)와,
    상기 구동대(50)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대(5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정면 및 배면 양쪽에 베어링(6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배면 양측에 지지대(62)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62)의 선단부가 고정프레임(10)이 삽입홀(11)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고정대(60)와,
    차단부재(20)의 연결관(21) 전방 중앙에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마그네트(52) 사이에 연장 결합되어 구동대(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는 구동마그네트(52)의 자력에 의해 노즐(22)의 개폐 및 노즐(22)의 연속적인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단속부재(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3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로 상기 개방부위가 차단부재(20)의 연결관(21)에 체결 고정되며 한쪽에 노즐(22)의 개폐를 위한 고무밸브(33)가 결합됨과 동시에 반대편에 구동마그네트(52)의 자력에 반응하는 연동마그네트(34)가 결합된 지지바아(31)가 내측에 평면상 세로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아(31)의 중앙이 축핀(32)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삽입홀(11)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대(60)를 피스나 기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고정프레임(10)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지지대(62)의 선단에 부착용마그네트(70b)를 설치하되, 상기 부착용마그네트(70b)와 일치되는 고정프레임(10)의 배면 양측에 부착용마그네트(70a)를 대응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절수장치.
KR1020060018101A 2006-02-24 2006-02-24 씽크대용 절수장치 KR10072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01A KR100720937B1 (ko) 2006-02-24 2006-02-24 씽크대용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01A KR100720937B1 (ko) 2006-02-24 2006-02-24 씽크대용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937B1 true KR100720937B1 (ko) 2007-05-23

Family

ID=3827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01A KR100720937B1 (ko) 2006-02-24 2006-02-24 씽크대용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54B1 (ko) 2007-12-27 2010-02-25 이상군 씽크대의 절수장치
KR20210158519A (ko) 2020-06-24 2021-12-31 이상군 싱크대 절수장치
KR20220049146A (ko) * 2020-10-14 2022-04-21 이상군 싱크대용 절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10-2002-76549, 등록특허 10-528316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54B1 (ko) 2007-12-27 2010-02-25 이상군 씽크대의 절수장치
KR20210158519A (ko) 2020-06-24 2021-12-31 이상군 싱크대 절수장치
KR102382180B1 (ko) * 2020-06-24 2022-04-01 이상군 싱크대 절수장치
KR20220049146A (ko) * 2020-10-14 2022-04-21 이상군 싱크대용 절수장치
KR102421613B1 (ko) * 2020-10-14 2022-07-18 이상군 싱크대용 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0160A (ja) 便後洗浄及び便座消毒に使われる水洗便器
KR100720937B1 (ko) 씽크대용 절수장치
CN102660987B (zh) 一种卫浴洁具的感应冲水装置
KR100528316B1 (ko) 씽크대용 절수장치
KR100944554B1 (ko) 씽크대의 절수장치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WO2022021749A1 (zh) 洗涤剂盒和衣物处理设备
KR20110011505U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KR101257204B1 (ko) 자동 작동 변기
JP4924799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170000693U (ko) 수전
KR101518861B1 (ko) 착탈식 조작부를 구비하는 좌변기용 변좌
KR200443073Y1 (ko) 좌욕기용 교환욕조
CN114059305B (zh) 洗涤剂盒和衣物处理设备
JP2006043123A (ja)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
CN110652258A (zh) 一种地板清洗装置
WO2022021748A1 (zh) 衣物处理设备的投放装置和衣物处理设备
CN220876973U (zh) 冲牙器
WO2022021632A1 (zh) 洗涤剂盒和衣物处理设备
CN216723656U (zh) 一种可自动清洗泡茶桌
KR20120076262A (ko) 비데 세척노즐의 수평이동장치
CN213204351U (zh) 一种洁身器及具有该洁身器的马桶
CN216475413U (zh) 一种带自洁功能的座便器清洗装置
KR100903129B1 (ko) 스팀 행주기, 그것의 거치대 및 이들로 이루어진 스팀행주장치
JP4744850B2 (ja) 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