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538B1 -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538B1
KR100720538B1 KR1020000054661A KR20000054661A KR100720538B1 KR 100720538 B1 KR100720538 B1 KR 100720538B1 KR 1020000054661 A KR1020000054661 A KR 1020000054661A KR 20000054661 A KR20000054661 A KR 20000054661A KR 100720538 B1 KR100720538 B1 KR 10072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ssword
login
information
u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923A (ko
Inventor
이재석
이교원
김희배
박봉석
이상준
김대기
남상철
홍순철
설형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5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그인 수행을 위한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신원 파악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ID에 대한 선택 범위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된 상태에서 여타 사이트로의 접속을 원할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자동적인 로그인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의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종 분류별 정보가 다수의 대항목으로 각각 구축되고, 상기 분류에 따른 각 사용자의 ID 및 상기 ID에 대한 패스워드가 상기 각 대항목에 대한 소항목으로 각각 구축되어 이루어진 DB;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위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될 경우 상기 DB를 검색하여 상기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허용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서버: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 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방법은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에 대한 선택을 요청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각 요청사항에 대한 입력이 완료 되었을 경우 각종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DB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분류에 속한 각 ID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해당 분류에 해당 ID가 소속되어 있을 경우 이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해당 분류에 해당 ID가 소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재차적인 로그인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패스워드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에 따른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이의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ID 및 이의 패스워드와 동일할 경우 로그인을 허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이의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ID 및 이의 패스워드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로그인을 불허함과 동시에 재차적인 로그인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되는 과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 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영 방법은 로그인을 위한 정보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완료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ID를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여타 사용자의 ID와 비교하여 동일 ID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일 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ID 및 이의 패스워드를 DB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각 사이트의 각 URL 정보 및 상기 각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대응하여 입력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각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로그인 정보 저장용 DB상에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분류별 항목을 입력하는 프레임 내에 상기 가입되어 있는 사이트의 URL을 입력받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각 프레임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은 후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해당 DB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입력한 URL에 대한 정보 및 이 URL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단계; 상기 URL에 따른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로 접속하여 상기 취득한 해당 URL에 대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에서 제시하는 각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프레임으로 전송하여 그 입력을 자동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과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분류별 ID 제공

Description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operation method of service system for login and system for the same}
도 1 은 일반적인 서비스 시스템의 로그인 정보 설정을 위한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2 는 일반적인 서비스 시스템의 로그인 수행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운영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로그인 정보 설정을 위한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로그인 수행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수행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정보 설정을 위 한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9 는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수행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10 은 여타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한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그인 정보 저장용 DB 200. 서버
본 발명은 특정 사이트(site)의 로그인 설정을 위한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분류에 따른 로그인의 설정이 보다 명확히 구분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업체는 각 사용자(개인, 기업, 정부 등)에게 각각의 컨텐츠(cotents)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업체에서는 상기 각 사용자에게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과 같은 로그인 정보를 설정케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이 방지되고, 여타 사용자와의 통신(주로, 이메일 등)을 위한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해당 사이트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해서는 주 로, 회원 가입시 기 부여받은 개인의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로그인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업체의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자원이나 데이타와 같은 정보의 교환 등에 사용될 경우 전술한 ID나 패스워드는 그 보안상 더욱 필요한 항목이 되었다.
이 때, 상기와 같은 ID는 각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이름이고, 패스워드는 상기 ID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파일이나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암호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각 로그인 정보의 설정 과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개인의 ID를 부여 받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사이트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내역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기를 원하는 ID의 요청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ID를 입력하여 그 신청을 원하게 되면 상기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는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DB에 저장된 여타 사용자의 ID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의 과정에서 해당 DB에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ID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요청 ID에 대한 사용불가를 통보함과 더불어 다른 ID로의 설정을 요청하고, 해당 DB에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요청 ID에 대한 사용 가 능을 통보함과 더불어 상기 ID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로써 코드화한 후 해당 DB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로그인 정보의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로그인을 위한 화면상의 해당 프레임에 상기 과정에서 부여받은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의 허용을 요청한다.
이에 해당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는 상기 입력된 ID를 해당 DB로부터 확인함과 더불어 해당 ID에 대한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이상없을 경우 로그인의 허용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은 해당 사이트로의 로그인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ID가 해당 사이트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이 사용하고 있을 경우 여타 ID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각 사이트별로 서로 다른 ID를 다수 보유하게 됨에 따라 해당 사이트로의 로그인시 해당 ID에 대한 혼동이 우려될 뿐 아니라 빈번한 해당 ID의 분실에 따른 재신청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특히, 상기 사이트가 사업에 따른 교류를 위해 운영되는 사이트일 경우 해당 사이트 내에서 통신하게 되는 상대방의 소속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상호간의 교류를 위한 거리감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전부터 잘 알고 있던 상대방과의 통신시에는 이의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간의 정보를 충분히 취득하지 못한 상태임으로써 친밀도 를 향상시키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상당한 수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를 해당 DB로부터 검색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이트에 가입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의 ID와 비교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로그인의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된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어느 한 사이트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 여타 사이트로의 접속을 위해서는 상기 접속하고자 하는 해당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한 화면으로 우선 연결하고, 이후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로그인 정보입력을 위한 프레임에 해당 정보를 각각 입력해야 하는등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신원 파악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ID에 대한 선택 범위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된 상태에서 여타 사이트로의 접속을 원할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자동적인 로그인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의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각종 분류별 정보가 다수의 대항목으로 각각 구축되고, 상기 분류에 따른 각 사용자의 ID 및 상기 ID에 대한 패스워드가 상기 각 대항목에 대한 소항목으로 각각 구축되어 이루어진 DB;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위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될 경우 상기 DB를 검색하여 상기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허용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서버: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 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에 대한 선택을 요청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각 요청사항에 대한 입력이 완료 되었을 경우 각종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DB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분류에 속한 각 ID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해당 분류에 해당 ID가 소속되어 있을 경우 이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해당 분류에 해당 ID가 소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재차적인 로그인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패스워드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에 따른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이의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ID 및 이의 패스워드와 동일할 경우 로그인을 허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되는 과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이의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ID 및 이의 패스워드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로그인을 불허함과 동시에 재차적인 로그인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 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의 또 다른 운영 방법에 따르면 로그인을 위한 정보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완료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ID를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여타 사용자의 ID와 비교하여 동일 ID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일 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ID 및 이의 패스워드를 DB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각 사이트의 각 URL 정보 및 상기 각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대응하여 입력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각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로그인 정보 저장용 DB상에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분류별 항목을 입력하는 프레임 내에 상기 가입되어 있는 사이트의 URL을 입력받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각 프레임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은 후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해당 DB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입력한 URL에 대한 정보 및 이 URL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단계; 상기 URL에 따른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로 접속하여 상기 취득한 해당 URL에 대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에서 제시하는 각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프레임으로 전송하여 그 입력을 자동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이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로그인 수행을 위해 구축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각종 분류별 정보가 다수의 대항목으로 각각 구축되고, 상기 분류에 따른 각 사용자의 ID 및 상기 ID에 대한 패스워드가 상기 각 대항목에 대한 소항목으로 각각 구축되어 이루어진 로그인 정보 저장용 DB(Data Base)(100)와,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위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될 경우 상기 DB를 검색하여 상기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허용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서버(Server)(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중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로그인 설정을 위한 운영 과정을 도시한 도 4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하기를 희망할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인정보(신상 내역) 및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에 대한 선택을 요청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길 원하는 ID 및 이 ID에 대한 패스워드의 설정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ID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별 항목 내에 해당되는 여타 사용자의 ID와 비교하여 동일 ID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동일 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ID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별 항목 내의 소항목에 저장함으로써 그 과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사용자의 로그인 설정이 완료되어 상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하는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에 대한 선택을 요청함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이의 과정에 의해 각 요청사항에 대한 정보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 서버는 각종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DB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분류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분류의 소항목으로 설정되어 있는 각 사용자의 ID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해당 분류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가 그 소항목으로 소속되어 있을 경우 이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ID에 대한 패스워드와 비교함여 로그인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확인이 완료될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운영 과정을 완료한다.
이 과정에서 로그인을 원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ID가 해당 분류의 소항목에 소속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ID가 해당 분류의 소항목에는 소속되어 있다고는 하나 이 ID에 대한 패스워드가 기 설정되어 있던 패스워드와 다를 경우 로그인의 거부를 수행함과 더불어 재차적인 로그인 수행을 요청한다.
한편, 전술한 각 과정에서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은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community)에 대한 분류별 항목, 이름/별명/특정 명칭(지명, 상품명 등등) 등과 같은 특징적인 사항에 대한 항목이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체라 함은 사용자가 소속된 업체 혹은 해당 업체의 부서, 동호회, 여타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사이트명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목이 있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항목별 분류에 따라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을 각각의 실시예로써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시한 도 6은 상기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이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업체일 경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로그인의 수행 과정에 대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즉, 사용자가 서비스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는 사용자의 소속 업체에 대한 코드값, 해당 ID 및 상기 ID에 대한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상기 소속 업체에 대한 코드값은 해당 서비스 시스템과 기 협의된 상태로써 분류되어 있거나, 혹은 최초 가입자가 상기 소속 업체의 항목에 대한 설정을 해당 서버에 요청할 경우 상기 서버가 부여하는 값이며, 일반적인 숫자, 문자, 혹은 숫자와 문자가 혼용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소속 업체에 대한 코드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풀다운메뉴(Pull-Down Menu)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사이트에 기 설정되어 있는 각 업체에 대한 코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그 사용에 대한 편리함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사이트로부터 요청된 각 내역을 입력하게 되면 이의 완료를 확인한 서버는 각종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DB에 접속하고, 상기 DB에 저장된 각 업체의 코드값에 대한 대항목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소속 업체의 코드값에 부합되는 항목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된 코드값의 업체에 속한 소항목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와 DB상에 저장되어 있는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로그인의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혹은 상기 ID에 대한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버는 로그인의 거부를 수행함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다시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한 각 내역이 해당 DB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와 일치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은 여타 사용자가 메일 등을 전송하고자 할 때 해당 전송 대상자를 보다 정확히 지정할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즉,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ID가 해당 사이트에 다수 가입되어 있더라도 상기 ID가 속한 소속 업체의 코드값을 이용하여 찾기를 원하는 해당 사용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다수 ID의 존재로 인한 혼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이 사용자가 소속된 업체가 아닌 여타 사이트의 URL일 경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로그인의 설정 과정 역시 기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시스템 운영 과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단지 사용자의 분류가 소속 업체가 아닌 사이트의 URL이라는 점이 틀리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한 초기 화면에서 입력하는 ID 및 패스워드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해당 URL의 사이트에 가입된 ID 및 패스워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로그인을 위해 입력하는 ID 및 패스워드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도 해당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우선, 도시한 도 7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위한 시스템의 운영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위한 시스템의 운영 구조는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이 여타 사이트의 서비스 시스템과 연계되어 구동된다.
또한, 도시한 도 8의 순서도에서는 사용자가 여타 사이트로의 로그인 설정을 요청할 경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에 대한 본 발명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가 여타 사이트로의 로그인 설정을 요청할 경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URL과 이 URL에 등록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요청 내역에 대한 각 사항을 입력한 후 확인을 선택하면 이의 작업 완료를 확인한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URL을 가지는 사이트로 그 접속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URL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재입력을 요청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해당 URL을 가지는 사이트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이트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가 정확한지를 확인한다.
이의 과정은 해당 URL의 로그인을 위한 정보 입력란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하여 해당 ID 및 패스워드가 정확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URL을 가지는 사이트와 기 협약을 맺은 과정(해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DB를 직접 검색)을 통해 확인하거나 혹은 여타의 방법으로 확인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URL, ID, 패스워드가 정확히 입력되었음을 확인하면 이 입력된 내용은 해당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DB(100)에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추가하여 저장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각 내역중 어느 하나라도 잘못이 있을 경우 이의 오류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재입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물론, 전술한 사항의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기 가입되어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굳이 이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사항의 정보 입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사용자가 여타 사이트에서 로그인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설정된 사항을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DB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한 도 9의 순서도는 전술한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필요에 의해 여타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은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하는 URL,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ID 및 이 ID에 대한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요청 내역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입력하면, 이 입력 완료를 확인한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URL에 해당되는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로 그 접속을 수행함과 동시에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DB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URL에 대한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취득한다.
이후, 상기 접속된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에서 상기 DB로부터 취득한 해당 ID 및 패스워드를 해당 내역의 입력을 위한 프레임으로 각각 전송하여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수행하고, 이의 결과는 사용자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사이트의 내용은 전체 화면으로 제공하거나 혹은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하는 사이트의 기본적인 프레임은 남겨둔 상태에서 소정의 프레임을 할당하여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사이트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한정은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자가 가고자하는 URL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해당 URL, 상기 URL에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를 미리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여타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한 도 10의 순서도에 나타낸 과정과 같다.
즉, URL, ID,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프레임중에서 상기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프레임에 상기 URL에 등록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은 기 전술한 본 발명 제2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해당 사이트의 로그인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가 해당 URL에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임을 확인할 경우 서버는 기 전술한 제2실시예의 과정을 통해 해당 URL의 사이트에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가 해당 URL의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임을 확인할 경우 해당 URL의 로그인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으로 접속하여 각 정보 입력 프레임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과정에 의해 해당 URL을 가지는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재입력을 요청함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 및 상기한 과정은 사용자가 각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만 기억하면 상기 사이트의 로그인이 가능하게 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작업 도중 여타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굳이 전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을 이름/별명/특정 명칭(지명, 상품명 등등) 등과 같은 특징적인 사항에 대한 항목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에 대한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가 요청하는 ID가 해당 사이트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이 사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동일 사용자의 분류내에 소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요청 ID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 대한 ID 선택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트가 사업에 따른 교류를 위해 운영되는 사이트일 경우 해당 사이트 내에서 통신하게 되는 상대방의 소속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으로써 상호간의 교류를 위한 거리감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자신에 대한 특징을 보다 확연히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된 상태에서 여타 사이트로의 접속을 원할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자동적인 로그인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각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의 감소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각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만 기억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각 사이트의 로그인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각종 분류별 정보가 다수의 대항목으로 각각 구축되고, 상기 분류에 따른 각 사용자의 ID 및 상기 ID에 대한 패스워드가 상기 각 대항목에 대한 소항목으로 각각 구축되어 이루어진 DB;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위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될 경우 상기 DB를 검색하여 상기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허용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서버: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2.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에 대한 선택을 요청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각 요청사항에 대한 입력이 완료 되었을 경우 각종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DB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분류에 속한 각 ID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해당 분류에 해당 ID가 소속되어 있을 경우 이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패스워드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에 따른 패스워드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이의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ID 및 이의 패스워드와 동일할 경우 로그인을 허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한 정보 설정을 수행할 경우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인정보를 요청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분류별 항목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완료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ID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별 항목 내에 해당되는 여타 사용자의 ID와 비교하여 동일 ID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일 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ID를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별 항목 내의 소항목에 저장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별 항목은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community)에 대한 분류별 항목, 이름, 별명, 특정 명칭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한 분류별 항목은
    사용자가 소속된 업체 혹은 부서, 동호회, 여타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한 분류별 항목을 입력하는 프레임 내에 URL을 입력하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각 프레임 내에는 상기 URL에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서비스의 요청을 수행할 경우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는 해당 URL에 대한 사이트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URL로의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URL에서 제시하는 로그인 정보 입력란에 각각 대입함으로써 별도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로그인을 위한 정보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완료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ID를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여타 사용자의 ID와 비교하여 동일 ID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일 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ID 및 이의 패스워드를 DB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각 사이트의 각 URL 정보 및 상기 각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대응하여 입력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각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로그인 정보 저장용 DB상에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분류별 항목을 입력하는 프레임 내에 상기 가입되어 있는 사이트의 URL을 입력받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각 프레임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은 후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해당 DB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입력한 URL에 대한 정보 및 이 URL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단계;
    상기 URL에 따른 사이트의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로 접속하여 상기 취득한 해당 URL에 대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에서 제시하는 각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프레임으로 전송하여 그 입력을 자동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이의 패스워드가 해당 DB에 저장된 ID 및 이의 패스워드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로그인을 불허함과 동시에 재차적인 로그인을 위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별 항목은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community)에 대한 분류별 항목, 이름, 별명, 특정 명칭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한 분류별 항목은
    사용자가 소속된 업체 혹은 부서, 동호회, 여타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2. 제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한 분류별 항목을 입력하는 프레임 내에 URL을 입력하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각 프레임 내에는 상기 URL에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서비스의 요청을 수행할 경우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는 해당 URL에 대한 사이트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URL로의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URL에서 제시하는 로그인 정보 입력란에 각각 대입함으로써 별도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한 분류별 항목을 입력하는 프레임 내에 URL을 입력하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각 프레임 내에는 상기 URL에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서비스의 요청을 수행할 경우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는 해당 URL에 대한 사이트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URL로의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URL에서 제시하는 로그인 정보 입력란에 각각 대입함으로써 별도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KR1020000054661A 2000-09-18 2000-09-18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KR10072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661A KR100720538B1 (ko) 2000-09-18 2000-09-18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661A KR100720538B1 (ko) 2000-09-18 2000-09-18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923A KR20020021923A (ko) 2002-03-23
KR100720538B1 true KR100720538B1 (ko) 2007-05-22

Family

ID=1968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661A KR100720538B1 (ko) 2000-09-18 2000-09-18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5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218A (ko) * 2000-02-10 2000-06-05 서민철 자동인터넷회원등록
KR20000030413A (ko) * 2000-02-28 2000-06-05 이철훈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사이트에 자유롭게로그온 및 자동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 인증방법 및인증사이트
KR20000030150A (ko) * 2000-01-21 2000-06-05 원종성 색채 아이디 시스템
KR20000050146A (ko) * 2000-05-18 2000-08-05 홍기완 로그인 메뉴창을 이용한 기업 이미지 광고방법
KR100317481B1 (ko) * 1999-11-05 2001-12-24 김근태 서로 다른 두개의 인터넷 서비스의 회원을 연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481B1 (ko) * 1999-11-05 2001-12-24 김근태 서로 다른 두개의 인터넷 서비스의 회원을 연합하는 방법
KR20000030150A (ko) * 2000-01-21 2000-06-05 원종성 색채 아이디 시스템
KR20000030218A (ko) * 2000-02-10 2000-06-05 서민철 자동인터넷회원등록
KR20000030413A (ko) * 2000-02-28 2000-06-05 이철훈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사이트에 자유롭게로그온 및 자동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 인증방법 및인증사이트
KR20000050146A (ko) * 2000-05-18 2000-08-05 홍기완 로그인 메뉴창을 이용한 기업 이미지 광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923A (ko) 200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637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accessing internet resources
EP1238348B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efficiently accessing internet resources
US8275870B2 (en) Internet identity graph and social grap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495212B2 (en) Internet identity graph and social grap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4428785B (zh) 使用图标的关键字的图标密码设定装置以及图标密码设定方法
US20060248160A1 (en) Facilitation of online discussion
US6829601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200100253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session on plural media
CN111541546B (zh) 多平台登陆方法、装置、设备及可读介质
CN111277637A (zh) 会话群组的合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30311905A1 (en) Internet identity graph and social grap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2175301A (ja) 地図情報検索装置および方法
CN107517180B (zh) 登录方法和装置
EP1542141A1 (en) Drawings data management
CN113326488A (zh) 一种个人信息保护系统以及方法
JP2009054054A (ja) 共通属性情報検索装置、共通属性情報検索方法、及び共通属性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100720538B1 (ko)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실현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JP2002169918A (ja) マッチング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104423A (zh) 一种多用户使用相同特征登录的方法及系统
JP3439688B2 (ja) データベースサーバ及び情報入力システム
JPH06326733A (ja) 電子メール送信方式
JP2001092782A (ja) 情報ネットワーク
KR20010063406A (ko) 한번의 로그인으로 복수의 인터넷 사이트들에 로그인하는방법 및 그 장치
KR100752744B1 (ko) 디지털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27124A (ja) キャリア情報検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