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311B1 -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311B1
KR100720311B1 KR1020060047933A KR20060047933A KR100720311B1 KR 100720311 B1 KR100720311 B1 KR 100720311B1 KR 1020060047933 A KR1020060047933 A KR 1020060047933A KR 20060047933 A KR20060047933 A KR 20060047933A KR 100720311 B1 KR100720311 B1 KR 10072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cker
fan filter
filter unit
odor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이상일
이현규
송재홍
최대수
허용도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웍
Priority to KR102006004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LCD)디스플레이, 컬러 필터(C/F), 셀(CELL)등의 높은 청정이 요구되는 부품들이 내장된 카세트를 임시 보관하는 스토커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인체 유해한 가스들을 제거하기 위한 스토커 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스토크 내부의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차압을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하며, 스토커의 하단부에는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케미컬 필터가 내장된 팬 필터 유니트가 설치되고, 스토커의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차압센서, 습도센서, 풍속센서 및 온도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스토커의 내부를 고압으로 유지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스토커에 저장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유해가스분해제거를 효율적으로 이루는 작용효과가 있다.
차압유지, 스토커, 유해가스제거

Description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A Cleanness System of high efficiency LCD storehouse with multi-func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내부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팬 필터 유니트(FFU)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FFU(Fan Filter Unit)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17 ; 팬 필터 유니트 13 ; 로봇
14, 19 ; 댐퍼 15, 20 ; 먼지제거용 필터
16, 21 ; 팬 필터 유니트 18 ; LCD 수납선반
22, 23 ; 유해가스제거 필터 24 ; 고성능 먼지제거 필터
25 ; 압력(차압)센서 26 ; 유해가스감지센서
27 ; 온도센서 29 ; 습도센서
31 ; 팬 필터 유니트 몸체 32 ; 탑 플레이트
33 ; 팬 34 ; 필터
본 발명은 TFT(박막트랜지스터)로 제작된 액정(LCD)디스플레이, 컬러 필터(C/F), 셀(CELL)등의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부품들이 내장된 카세트를 임시 보관하는 스토커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인체 유해한 가스들을 분해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스토커 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FT-LCD 및 반도체의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이들 부품들을 사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경우에 생산 제품의 품질 및 수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적당한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토커는 TFT와 C/F(Color Filter) 및 셀 등의 공정 중에 사용되는 카세트를 임시 보관하거나 혹은 저장하는 곳으로 TFT와 반도체 부품 및 셀 등이 미세한 먼지나 오염 입자에 의해서 제품의 제조 시에 쉽게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으로 스토커 내부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토커 내부에 보관되는 TFT-LCD 패널의 제조는 픽셀 단위의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형성하는 TFT 어레이 공정과,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RGB(Red, Green, Blue)어레이를 형성하는 상기 C/F 공정과, TFT 기판과 C/F 기판 사이에서 액정 셀을 형성하는 액정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 중에 먼지 및 오염입자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수율 및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거나 상기 제품제조 시에 발 생하는 인체 유해한 가스 및 악취가 발생하여 작업자들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TFT(박막트랜지스터)로 제작된 액정(LCD)디스플레이, 컬러 필터(C/F), 셀(CELL)등이 보관되어 있는 스토커 내부를 높은 청정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압력을 다소 높게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하며, 스토커의 하단부에는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케미컬 필터가 내장된 팬 필터 유니트가 설치된 스토커를 제공하여 스토커 내부를 고압으로 유지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스토커에 저장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유해가스분해제거를 효율적으로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토커의 내부의 압력, 유해가스,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센서, 유해가스 검출센서, 습도센서, 풍속센서 및 온도센서와 연동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커 하단부 일측에 유해가스 분해제거용 케미컬필터를 팬 필터 유니트와 인접하게 설치하여 유해가스를 분해 제거하여 사용자들에게 깨끗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토커의 천정 및 벽면에 팬 필터의 유니트를 설 치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팬 필터의 풍속을 제어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항상 높게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높은 청정도를 유지하고, 스토커 내부의 부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문을 열 경우에도 팬 필터의 유니트의 풍속을 높게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과 흡열을 이용한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사용들이 원하는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관된 부품의 특성이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필터 유니트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인버터 가변 제어방식을 채용하여 선형 제어 및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부여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이 적으면서 진동이 적은 팬 필터 유니트를 제공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필터 유니트를 제어함에 있어서 존별, 그룹별로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팬 필터 유니트의 현재의 상태를 확인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고, 제어명령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스템의 신뢰도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TFT(박막트랜지스터)로 제작된 액정(LCD)디스플레이, 컬러 필터(C/F), 셀(CELL)등의 높은 청정이 요구되는 부품들이 내장된 카세트를 임시 보관 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수율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인체 유해한 가스들을 분해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도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배기 팬 필터 유니트(Ex_FFU)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FFU(Fan Filter Unit) 제어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청정시스템은 스토커의 천정과 벽면에 팬 필터 유니트를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를 스토커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스토커의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다소 높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하단부에는 유해가스 분해용 케미컬필터를 내장시킨 팬 필터 유니트를 설치하여 스토커의 내부에 저장된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들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치의 내부 일측에는 온도, 습도, 유해가스 및 압력센서 등을 설치하고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중앙감시제어시스템(MMS, Main Master System)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사용자들이 입력 설정한 압력, 온도, 습도 및 유해가스 등의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팬 필터 유니트의 제어기는 단상 유도전동기를 PWM 컨버터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소프트 스타트 및 공조 부하에 따른 선형제어를 적용하여 고 효율, 저소음 및 저진동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팬 필터 유니트의 제어 또는 스토커의 실내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수단은 유무선 랜 네트워크, RS-485통신네트워크, RF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의 통상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들과 항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 규격의 통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성수단들을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 청정 시스템의 내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 청정 시스템은 TFT(박막트랜지스터)로 제작되는 액정(LCD)디스플레이, 컬러 필터(C/F), 셀(CELL)등이 보관되는 스토커의 내부를 높은 청정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압력을 다소 높게 유지하여 스토커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연동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팬 필터 유니트를 천정 및 벽면 일측에 설치하여 팬 필터 유니트를 일정 속도로 제어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천정에는 고성능 먼지 제거용 필터(24)가 상기 천정에 설치되는 팬 필터 유니트(11)의 전단에 위치하여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커의 천정 및 벽에 설치되어 팬 필터 유니트(11,12,17)로부터 입력된 공기는 스토커의 내부의 공기와 서로 혼합되고 혼합된 공기에는 스토커에 저장된 부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유해한 가스 및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스토커의 하단부에는 스토커 내부에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및 악취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케미컬 필터(22,23)를 팬 필터 유니트(16,21)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케미컬 필터(22,23)와 인접하여 위치한 팬 필터 유니트(16,21)는 스토커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미컬 필터로 배출시킴으로써 스토커 내부에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가스 및 악취를 신속하게 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커의 천정에 설치되는 팬필터 유니트(11) 또는 스토커의 천정 및 벽에 설치된 팬필터 유니트에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고성능 필터(24)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스토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팬 필터 유니트(16,21)의 전단에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분해 제거하기 위한 유해가스 분해 제거용 케미컬 필터(22,23)가 부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커의 전단에 설치되는 케미컬 필터(22,23)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분해 제거하기 위한 활성카본섬유에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에 철, 구리, 아연, 은, 크롬, 란타늄, 세륨, 네오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에 질산염, 황산염 또는 염화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수용액을 일정량 도포하여 건조하거나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에 철, 구리, 아연, 은, 크롬, 란타늄, 세륨, 네오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에 질산염, 황산염 또는 염화염을 첨가하 여 제조한 수용액에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및 규조토 중 어느 하나를 담체로 선택하여 함침시켜 꺼내어 400℃이상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합성수지계열의 다공성 물질인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미컬 필터(22,23)는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에 철, 구리, 아연, 은, 크롬, 란타늄, 세륨, 네오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에 질산염, 황산염 또는 염화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수용액에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및 규조토 중 어느 하나의 담체를 선택하여 소정의 알갱이 상태 제조하여 함침시켜 상기 금속 성분을 흡착시킨 후 꺼내어 건조기에 넣어서 건조하며, 건조시킨 소정 크기의 알갱이를 K2CO3 또는 KOH 수용액으로 금속성분에 붙어있는 산기(Cl-)를 중화하고, 알카리 성분을 세척한 후 건조하여 제조하거나 건조 후 400℃이상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유해가스분해 촉매제가 담지된 담체를 소정 크기의 알갱이로 제조하는 단계와, 합성수지계열의 다공성 물질인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된 접착제를 일정점도로 유지시켜 겔화하도록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유해가스분해 촉매제가 담지된 소정 크기의 담체 속으로 상기 겔화된 접착제가 부착된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을 통과시켜 유해가스분해 촉매제가 담지된 담체를 접착시키고 접착되지 않은 담체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유해가스분해 촉매제가 담지된 담체가 접착된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 상의 겔화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다.
상기 벽에 설치된 팬 필터 유니트(12,17)의 하단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댐퍼(1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 필터 유니트와 케미컬 필터(22, 23)와 연동하여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종류의 가스 및 악취가 분해 제거된 공기와 상기 댐퍼(14)를 통해서 나온 공기를 한 번 더 정화하여 제거하기 위한 미세 먼지 제거용 필터(24) 또는 미세 먼지 제거용 필터 및 유해가스 분해제거용 케미컬 필터(22, 23)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커의 내부온도는 팬 필터 유니트, 이동하는 로봇(13) 및 부품이 저장된 카세트 및 LCD 소자 등에서 발생하는 부하 열로 인하여 온도가 다소 상승할 수 있으며, 스토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은 스토커 내부에 설치된 온도 및 습도센서(27,28)와 팬 필터 유니트 일측에 설치된 발열 및 흡열에 의한 난방 및 냉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열전소자를 부착 고정하고 이들을 서로 연동시켜 사용자들이 원하는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스토커의 외부에 설치된 냉난방기와 스토커 내부에 설치된 항온항습 장치와 연동시켜 스토커의 내부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대기 전도 방식이 서로 다른 비스무트(Bi)와 텔루르(Te) 등의 반도체 금속을 접합하여 전류를 흘리면 효율이 우수한 흡열 및 발열이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비스무트(Bi)와 텔루르(Te) 금속을 접합시킨 열전소자에 전류를 일정 방향으로 공급하면, 접합된 금속의 일측에서는 흡열하고 다른 일측에서는 발열하게 되며,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반대로 할 경우에는 일측에서는 발열하고 다른 일측에서는 흡열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방향 및 전류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으며, 상기 열전소자가 흡열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냉각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스토커 내부 및 외부의 일측에는 차압센서(25)를 설치하여 스토커의 내부 압력을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다소 높게 유지되도록 스토커의 천장 및 벽에 고정 설치된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스토커의 필요한 부품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부품을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하여 스토커의 문을 열 경우에도 스토커의 내부 압력이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상기 센서와 연동시켜 자동으로 높게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토커의 내부 일측에는 스토커에 저장된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또는 악취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26)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농도를 스토커의 외부의 일측에 설치된 표시패널이나 중앙감시제어시스템(MMS, Main Master System) 모니터 상에 표시하거나, 스토커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팬 필터 유니트와 유해가스 센서와 연동시켜 유해가스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여 팬 필터 유니트 전면에 설치된 상기 유해가스 분해제거용 케미컬필터로 유해가스를 흡입 배출시켜 스토커 내부의 인체 유해한 가스들을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해가스 센서는 유해가스를 분해 제거하기 위하여 팬 필터 유니트를 가동하여도 유해가스가 제거되지 않을 경우에 유해가스 분해제거용 케미컬필터의 성능이 떨어졌음을 상기 표시패널 또는 중앙감시제어시스템 모니터 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팬 필터 유니트 제어기는 단상 AC 유도전동모터로 모터에 공급되는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에 의한 인버터 가변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구비하여 낮은 소음 및 낮은 진동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전체 부하 영역에서 선형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방열판에 의한 자연 공랭식 구조이며, 과전류 및 과열 보호회로를 구비하고, 동작기능 및 최종 설정값을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설정값 및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수단과 설정코드 표시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양한 센서들과 연동시켜 설정된 값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기는 스토커 청정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EMS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중앙감시제어시스템(MMS, Main Master System)과는 RS-485통신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감시제어시스템은 통상의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이 지원되며, 윈도우 2000, NT, XP 등이 지원되고, 그래픽 모니터링 기능 및 제어기능을 구비하고 도면에 기초한 기류, 온도, 습도, 압력 및 유해가스 등의 감시 및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존별 제어, 그룹별 제어, 개별운전 및 정지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이 필요한 경우에 원하는 화면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EMS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중앙감시제어시스템(MMS)은 사용들이 화면에 서 필요한 제어모드 또는 기능을 그래픽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과 시스템 관리 기능 및 출력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팬 필터 유니트와 중앙감시제어시스템사이의 통신 방식은 RS-485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나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간의 통신에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감시제어시스템은 스토커에 설치된 전체 팬 필터 유니트의 상태를 스캔하는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제어를 위한 신호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토커 및 다수의 스토커에 설치된 다수의 팬 필터 유니트를 존별 및 그룹별로 계층화구조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소프트웨어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와 팬 필터 유니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기에는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엘이디와, 입출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엘이디와,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엘이디를 구비하며, RS-485통신포트를 구비하고 중앙감시제어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포트들과 다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TFT(박막트랜지스터)로 제작된 액정(LCD)디스플레이, 컬러 필터(C/F), 셀(CELL)등의 높은 청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압력을 다소 높게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하며, 스토커의 하단 부에는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케미컬 필터가 내장된 팬필터 유니트가 설치된 스토커를 제공함으로써 스토커의 내부를 고압(양압)으로 유지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스토커에 저장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유해가스분해제거를 효율적으로 이루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스토커의 내부의 압력, 유해가스,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차압센서, 유해가스 검출센서, 습도센서, 풍속센서 및 온도센서와 연동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커 하단부 일측에 유해가스 분해제거용 케미컬 필터를 팬 필터 유니트와 인접하게 설치하여 유해가스를 분해 제거하여 사용자들에게 깨끗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스토커의 천정 및 벽면에 팬 필터의 유니트를 설치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팬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항상 높게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방지하여 보다 높은 청정도를 유지하고, 스토커 내부의 부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문을 열 경우에도 팬 필터의 유니트의 풍속을 높게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발열과 흡열을 이용한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스토커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사용들이 원하는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 성하여 보관된 부품의 특성이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팬 필터 유니트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인버터 가변 제어방식을 채용하여 선형 제어 및 전류제어에 의한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부여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이 적으면서 진동이 적은 팬 필터 유니트를 제공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팬 필터 유니트를 제어함에 있어서 존별, 그룹별로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팬 필터 유니트의 현재의 상태를 확인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고, 제어명령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스템의 신뢰도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Claims (7)

  1. 스토커 내부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토커 청정시스템에 있어서,
    청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천정 및 벽에 설치된 다수의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압력을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는 수단과,
    스토커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분해 제거하기 위하여 유해가스 및 악취를 분해하는 촉매제가 접착된 케미컬 필터와,
    상기 스토커의 내측 및 외측 일측에는 차압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팬 필터 유니터와 연동하여 스토커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스토커의 내부에 유해가스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스토커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표시해주는 스토커 외부 일측에 설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스토커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케미컬 필터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 필터 유니트와,
    상기 팬 필터 유니트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전류 제어에 의한 소프트스타트 수단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엘씨디 스토커 청정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케미컬 필터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분해 제거하기 위한 활성카본섬유에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에 철, 구리, 아연, 은, 크롬, 란타늄, 세륨, 네오듐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물질을 선택하여 질산염, 황산염 및 염화염 중 하나를 선택 첨가하여 제조한 수용액을 일정량 도포하여 건조하거나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에 철, 구리, 아연, 은, 크롬, 란타늄, 세륨, 네오듐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물질을 선택하여 질산염, 황산염 및 염화염 중에 하나를 선택 첨가하여 제조한 수용액에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및 규조토 중 어느 하나의 담체를 선택하여 함침시켜 상기 금속 물질을 흡착시킨 후 꺼내어 400℃이상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합성수지계열의 다공성 물질인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다기능 엘씨디 스토커 청정시스템.
  3. 삭제
  4. 스토커 내부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토커 청정시스템에 있어서,
    청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천정 및 벽에 설치된 다수의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압력을 외부의 공기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스토커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저장 중인 부품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분해 제거하기 위하여 유해가스 및 악취를 분해하는 촉매제가 접착된 케미컬 필터와,
    상기 스토커의 내측 및 외측 일측에는 차압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팬 필터 유니터와 연동하여 스토커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팬 필터 유니트의 풍속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스토커의 내부에 유해가스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스토커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표시해주는 스토커 외부 일측에 설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스토커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스토커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케미컬 필터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 필터 유니트와,
    상기 팬 필터 유니트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전류 제어에 의한 소프트스타트 수단과,
    상기 팬 필터 유니트와 RS-485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스토커에 설치된 전체 팬 필터 유니트의 상태를 점검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고 신호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토커 및 다수의 스토커에 설치된 다수의 팬 필터 유니트를 존별 및 그룹별로 계층화한 구조로 제어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중앙감시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엘씨디 스토커 청정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의 천정 및 벽에 위치하는 팬 필터 유니트 일측에 열전소자를 부착 설치하고, 스토커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와 연동시켜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스토커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다기능 엘씨디 스토커 청정시스템.
  7. 삭제
KR1020060047933A 2006-05-29 2006-05-29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KR10072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933A KR100720311B1 (ko) 2006-05-29 2006-05-29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933A KR100720311B1 (ko) 2006-05-29 2006-05-29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311B1 true KR100720311B1 (ko) 2007-05-21

Family

ID=3827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933A KR100720311B1 (ko) 2006-05-29 2006-05-29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3643B2 (en) 2009-08-13 2014-04-01 Samsung Display Co., Ltd. Stocker
CN114484815A (zh) * 2021-12-20 2022-05-13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tft-lcd光电玻璃成型间环境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69A (ko) * 2001-07-27 2003-0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디스플레이에 대한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JP2004099223A (ja) * 2002-09-09 2004-04-02 Renesas Technology Corp 製品保管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69A (ko) * 2001-07-27 2003-0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디스플레이에 대한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JP2004099223A (ja) * 2002-09-09 2004-04-02 Renesas Technology Corp 製品保管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3643B2 (en) 2009-08-13 2014-04-01 Samsung Display Co., Ltd. Stocker
CN114484815A (zh) * 2021-12-20 2022-05-13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tft-lcd光电玻璃成型间环境控制系统及方法
CN114484815B (zh) * 2021-12-20 2023-12-26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tft-lcd光电玻璃成型间环境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130B2 (ja) 空気濾過および空気浄化装置
US20150056909A1 (en) System for Managing a Cleanroom Environment
CN103776134B (zh) 室内空气质量智能控制系统
US11493216B2 (en) Air filter system and HVAC system
JP2011027354A (ja) 空質環境制御システム
KR100720311B1 (ko) 다기능 lcd 스토커의 청정시스템
CN103267321A (zh) 手术室空气净化系统
US9388996B2 (en) Air curtain HVAC system
KR101680887B1 (ko) 공기 청정기
CN101105313A (zh) 智能(微电脑控制)窗体空气清新净化装置
CN116324288A (zh) 光催化剂过滤器和包括其的电子装置
CN105157166A (zh) 一种空气净化方法、控制器、空气净化器及空调
CN206145942U (zh) 一种可自清洁的空气净化器和窗户、交通工具、房屋
CN106091332A (zh) 太阳能辅助供电的空气净化装置
CN202521764U (zh) 具恒温恒湿的空气清净装置
CN205593090U (zh) 一种适用于非密闭空间的净化系统
CN2397983Y (zh) 一种空气过滤器
CN204693670U (zh) 一种带风源切换机构的室内用新风空气净化器
KR102035616B1 (ko) 산업 및 농업용 ict 원심식 가습기, 그리고 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18071957A (ja) 空家用換気装置
CN102179112A (zh) 一种洁净生产线
CN207422458U (zh) 一种附带超声驱蚊虫灯饰的空气净化器
JP3817009B2 (ja) 光触媒式鮮度保持装置
JP2006145183A (ja) 高機能光触媒を用いた空調装置
JP2006292225A (ja) 冷凍・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