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972B1 -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972B1
KR100719972B1 KR1020050078929A KR20050078929A KR100719972B1 KR 100719972 B1 KR100719972 B1 KR 100719972B1 KR 1020050078929 A KR1020050078929 A KR 1020050078929A KR 20050078929 A KR20050078929 A KR 20050078929A KR 100719972 B1 KR100719972 B1 KR 100719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distance
mov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127A (ko
Inventor
최경섭
원창연
박상률
김해식
김정훈
김동희
Original Assignee
햄펙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햄펙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햄펙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8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이 개시된다. 관성항법부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이동거리가 소정의 이동허용거리를 초과하면 이동거리초과를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는 장치식별정보를 송출하며, 관성항법부로부터 이동거리초과를 통지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장치식별정보의 송출동작을 중단하거나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제한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출한다.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통신부에 제공하며, 외부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내부에 장착된 내부전원을 관성항법부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발생장치의 이동여부를 확인하여 위치에 따라 선택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Apparatus for generating radio frequency having a function of veryfing location and method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관성항법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신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성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전파발신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파발생장치는 일정한 통신영역내로 진입한 단말장치로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방송하는 장치이다. 전파발생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도로상에 설치되어 자신의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 무선랜의 종단장치인 엑세스 포인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자신의 통신영역내로 진입한 단말장치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며, 이를 위해 전파발생장치와 단말장치 상호간에 필요한 프로토콜이 별도로 정의된다. 전파발생장치에 적용가능한 무선통신방식으로는 Bluetooth, W-LAN, Zigbee,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전파발생장치들은 자신의 통신영역내로 진입한 단말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단말장치의 제어,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파발생장치들은 기본적으로 특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을 뿐이며 자신의 위치변경여부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이 제안되거나 구현된 사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는, 자체에 고유하게 부여된 장치식별정보를 송출하는 전파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이동거리가 소정의 이동허용거리를 초과하면 이동거리초과를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관성항법부;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 상기 장치식별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장치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제공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관성항법부로부터 상기 이동거리초과를 통지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장치식별정보의 송출동작을 중단하거나 상기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제한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장치가 상기 전파발생장치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을 변경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관성항법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며,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파발생장치에 구비된 내부전원을 상기 관성항법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은, 자체에 고유하게 부여된 장치식별정보를 송출하는 전파발생장치에서의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 상기 장치식별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장치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제공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이동거리가 소정의 이동허용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장치식별정보의 송출동작을 중단하거나 상기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제한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장치가 상기 전파발생장치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100)는 관성항법부(110), 통신부(120), 및 전원부(130)를 구비한다.
관성항법부(110)는 관성센서를 이용하여 전파발생장치(100)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전파발생장치(100)의 이동거리, 제어신호, 및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통신부(120)로 전송한다. 관성항법부(110)와 통신부(120)는 UART포트를 통해 통신한다.
관성항법부의 상세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성항법부(110)는 관성센서(210)와 마이크로컴퓨터(220)로 구성되며, 마이크로컴퓨터(220)는 A/D변환부(222), RAM(224), 플래쉬메모리(226) 및 CPU(228)를 구비한다.
관성항법부(110)에 구비된 관성센서(210)는 가속도 성분이 존재할 경우와 등속운동을 수행할 경우를 구분하여 전파발생장치(100)가 이동한 거리를 계산한다. 관성센서(210)에 의해 계산된 전파발생장치(100)의 이동거리는 x, y, 및 z방향별로 아날로그값의 형태로 출력되며, A/D변환부(222)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A/D변환부(222)에 의해 변환된 이동거리는 RAM(224)에 저장되며, 주기적으로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된다.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되는 전파발생장치(100)의 이동거리는 누적값이다. CPU(228)는 관성항법부(110)의 동작으로 제어한다. CPU(228)는 하며, 일정시간(예를 들면, 10분)동안 전파발생장치(100)의 움직임이 없거나 이동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를 삭제하여 초기화시킨다. 또한, CPU(228)는 관성센서(210)로부터 입력되는 이동거리가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되어 있는 전파발신장치(100)의 이동가능거리를 초과하면 제어/외부인터페이스부(140)로 거리이탈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전파발생장치(100)의 초기값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관성항법부(110)의 마이크로컴퓨터(220)는 전파발생장치(100)에 대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관성항법부(110)의 마이크로컴퓨터(220)는 사용자에 의한 위치 이동을 고려하여 관성센서(210)의 위치값에 변화가 없을 시에도 주기적으로 관성센서(210) 에 대한 초기화를 실시함으로써 하드웨어적인 부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전파발생장치(100)와 외부에 위치한 단말장치간에 무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20)는 제어부(122), 무선통신모듈(124), 및 안테나(126)를 구비한다.
제어부(122)는 UART를 통해 관성항법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모듈(124)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모듈(124)는 안테나(126)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 전파발생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송출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124)의 동작은 제어부(122)로부터 별도의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만약 전파발생장치(100)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이동하면, 관성항법부(110)는 통신부(120)로 거리이탈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통신부(120)의 제어부(122)는 무선통신모듈(124)로 식별정보의 송출을 중단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거나 식별정보와 함께 거리이탈을 나타내는 별도의 정보를 송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무선통신모듈(124)로는 Bluetooth, WLAN, Zigbee, WUSB 등의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전파발생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동작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140)는 배터리구동회로(142), 배터리(144), 전하펌프(146), 및 직류전원변환부(148)로 구성된다.
전파발생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즉, 직류전원입력단자를 통해 AC/DC 컨버터가 가정용 전원인 교류(90~240V)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전원)을 사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파발생장치(100)가 이동시 킬 경우에 외부전원이 차단되므로, 내부의 배터리(14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로 인해 제품출하시 장착된 배터리(144)의 방전을 방지하고 정상동작시 전원공급을 위하여 배터리 구동회로(142)를 IO 포트로 제어한다. 또한 배터리(144)의 방전상태를 체크하여 잔여전원이 일정한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관성항법부(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전파발생장치(100)의 모든 상태정보를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한다.
전하펌프(146)는 관성항법부(110)에 안정적인 전압(3.2V DC)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용 배터리(1.5V DC, AAA)(144)로부터의 3V DC전압을 승압 및 정류한다. 관성항법부(110)의 배터리 잔량체크기능에서 배터리의 잔량부족상태는 전하펌프(146)의 최소구동 전압보다는 높게 설정된다. 직류전원변환부(148)는 직류전원입력단자를 통해 AC/DC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직류전원변환부(148)가 공급하는 직류전원은 3.3V DC이다.이는 배터리(144)의 전하펌프(146)보다 높은 전위를 유지하여 상용동작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파발생장치(100)에서 관성항법부(110)와 통신부(120)간의 통신을 위해 UART를 사용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이 정의되며, 관성항법부(110)와 통신부(120)는 전파발생장치(100)의 이동성에 대한 고려 및 전파발생장치의 이동시 거리측정을 위해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다음은 전파발생장치(100)의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먼저, 전파발생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에서 1초 타이머를 가동하여 3개의 논리적인 타이머(각각의 다른 플래그 3개)를 생성한다. 각각의 타이머의 기능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
제1타이머: 일정시간 간격(예를 들면, 20초)으로 플래쉬메모리(226)의 특정 주소에 이동거리를 기록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제2타이머: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분) 전파발생장치(100)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이동거리를 초기화하고 플래시메모리(226)에 기록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전파발생장치(100)는 제2타이머의 동작시간마다 처음 시작된 거리와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이동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초기화기준거리(예를 들면, 1m)보다 작으면 이동거리를 초기화(Distance = 0)한다.
제3타이머: 전파발생장치(100)의 재조정을 시행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만약, 제3타이머의 동작주기(예를 들면, 10초) 동안 일정한 시간간격(예를 들면, 2초)마다 측정된 각각의 이동거리가 일정하면, 전파발생장치(100)는 해당 동작주기 동안의 이동거리를 0로 초기화한다. 또한, 전파발생장치(100)는 cal_flag를 체크하여 A/D변환 시작 루프에서 보정함수를 호출한다. 이와 같은 제3타이머와 관련된 동작은 전파발생장치(100)의 사용자가 전파발생장치(100)를 경사진 곳에 위치한 경우에 수행된다. 즉, 전파발생장치(100)가 경사진 지점에 위치하면 이동이 없는 경우에도 관성센서(210)로부터 x, y, z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출력된다. 이 때, 이동량은 전파발생장치(100)가 등속운동을 하는 경우와 같이 단위시간당 이동량이 일정하게 나타난다. 한편, 관성센서(210)의 오차를 고려하기 위해 제3타이머의 동작주기 동안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측정된 이동량에 대해 일정한 오차허용값(예를 들면, ± 0.03m)이 적용된다.
보정함수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되며, 보정함수에 의해 관성센서(210)로부터 입력되어 AD컨버터(222)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x, y, z축으로의 이동량을 이동거리의 계산에 사용할 것인가가 결정된다.
Figure 112005047557120-pat00001
,
이 때, CPU(228)는 제3타이머의 동작시간마다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측정된 이동거리들이 일정하면,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상한값과 하한값을 기초로 가속도구간을 정의하고, RAM(224)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의해 산출된 가속도 중에서 가속도구간을 벗어나는 가속도는 이동량의 산출시 배제한다.
타이머의 설정이 완료되면, UART로부터 서비스 시작 메시지를 받을 때까지 무한루프를 실행한다. 이어서, 관성항법부(110)의 CPU(228)는 단순하게 몇번의 루프를 실행하여 AD컨버터(222)로부터 처음으로 입력되는 쓰레기값을 버린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최초 구동시 보정함수를 호출하며, 무한루프 구문으로 계속해서 AD컨버터로부터 값을 입력받아 거리계산루프를 실행한다. 이 때, Cal_flag의 변화시(제2타이머의 동작시간에 도달하거나 초기화 요청시)에만 보정함수를 호출한다.
한편, AD컨버터 인터럽트 루틴은 다음의 수행순서에 의해 구동된다.
1. AD컨버터의 출력값에서 보정된 x, y, z값을 계산한 후 가속도 값을 산출 한다.
2. 만보계 기능을 구동한다. 이 때, 만보계로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플래그를 설정하며, 플래그가 설정되면 가속도로 거리 계산하지 않는다.
3. 이동거리는 가속도 및 만보의 측정값에 의해 계산된다. 먼저, 가속도에 의한 거리 계산에 있어서 구해진 가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기준으로(초과, 미만일 경우) 거리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계산한다. 가속도를 이용한 거리계산 알고리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만보계에 의한 거리 계산에 있어서 만보계 플래그가 설정되면 만보계의 매 펄스마다 0.4m씩 이동거리를 증가시킨다.
또한, UART 인터럽트 루틴은 다음과 같다.
1. Recv(1) -> 서비스 시작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start_flag를 설정하여 대기상태를 벗어나며, send(2)로 메시지를 보내어 서비스시작을 응답한다.
2. Recv(3) -> 이동거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send(4)로 이동거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send(distance)로 이동거리를 응답한다.
3. Recv(5) -> reset 메시지 수신하면, distance=0으로 설정하여 이동거리를 초기화한다. 다음으로, 플래시메모리(226)에 설정된 이동거리를 초기화한다. 또한, Cal_flag를 설정하여 Main()의 AD컨버터(222)의 시작 루프에서 보정함수를 호출한다. 그리고, send(6)로 서비스 리셋 메시지를 응답한다.
4. Recv(7) -> 배터리 상태요구 메시지 수신하면, send(8)로 응답한다.
한편, 보정함수는 AD컨버터(222)로부터 입력되는 x, y, z값에 대한 보정값을 계산한다. 이때, 가속도(a)에 관한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고 약간의 오차보정을 위해 얻어진 가속도 최대값에 0.03을 더하고 최소값에서 0.03을 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PU(228)는 관성센서(210)를 초기화하고, 관성센서에 대한 허용 상한값과 허용 하한값을 설정한다(S300). CPU(228)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A/D변환부(222)는 관성센서(21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량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S310). 다음으로, CPU(228)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각각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량 중에서 허용 상한값과 허용 하한값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량을 기초로 이동거리를 산출한다(S320). 한편, CPU(228)는 3개의 타이머(제1타이머, 제2타이머, 제3타이머)의 생성 후 타이머의 동작을 감시한다(S330).
제2타이머가 동작하면(즉, 제2타이머의 동작주기에 도달하면), CPU(228)는 제2타이머의 동작주기동안 측정된 이동거리와 초기화기준거리를 비교한다(S340). 만약, 제2타이머의 동작주기동안 측정된 이동거리가 초기화기준거리보다 작으면, CPU(228)는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를 초기화한다(S350). 이와 달리, 제1타이머가 동작하면(즉, 제1타이머의 동작주기에 도달하면), CPU(228)는 제1타이머의 동작주기동안 측정된 이동거리를 플래쉬메모리(226)의 특정주소에 기록한다(S360). 다음으로, CPU(228)는 특정주소에 기록된 이동거리(즉, 누적된 이동거리)를 이동허용거리와 비교한다(S370). 만약, 누적된 이동거리가 이동허용거리 보다 크면 CPU(228)는 이동허용거리 초과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80). 한편, 제3타이머가 동작하면(즉, 제3타이머의 동작주기에 도달하면), CPU(228)는 일정한 시간간격(예를 들면, 2초)마다 측정된 이동거리의 동일여부를 확인한다(S390). 만약,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측정된 이동거리가 서로 동일하면, CPU(228)는 플래쉬메모리(226)에 저장되어 있는 제3주기 동안의 이동거리를 초기화하고, 보정함수를 호출하여 허용 상한값 및 허용 하한값을 보정한다(S400).
본 발명에 따른 전파발생장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장치가 특정한 영역에 진입하면 별도의 통신요금정책을 적용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장치로 이동통신장치가 해당 영역에 존재함을 알리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그 중 하나가 전파발생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즉, 서비스 제공장치가 전파발생장치의 식별정보 및 설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이동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전파발생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파발생장치의 위치가 변경되면 이동통신장치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특정한 영역에 존재하지 않음에도 서비스 제공장치는 이동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전파발생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장치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특정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파발생장치를 채용하면 전파발생장치가 정해진 지역을 이탈하면 식별정보를 송출하지 않거나 장소이탈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계획되지 않은 서비스의 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에 의하면, 전파발생장치의 이동여부를 확인하여 위치에 따라 선택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파발생장치가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전파발생장치가 정해진 지역을 이탈하면 식별정보를 송출하지 않거나 장소이탈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전파발생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계획되지 않은 서비스의 제공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자체에 고유하게 부여된 장치식별정보를 송출하는 전파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이동거리가 소정의 이동허용거리를 초과하면 이동거리초과를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관성항법부;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 상기 장치식별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장치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제공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관성항법부로부터 상기 이동거리초과를 통지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장치식별정보의 송출동작을 중단하거나 상기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제한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장치가 상기 전파발생장치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을 변경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관성항법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며,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파발생장치에 구비된 내부전원을 상기 관성항법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항법부는,
    이동거리를 3차원 좌표계의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의 형태로 출력하는 관성센서;
    상기 관성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량을 기초로 산출된 이동거리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 및
    소정의 제1주기마다 상기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가 상기 이동허용거리를 초과하면 제한거리이탈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항법부는 상기 관성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변환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 중에서 초기에 입력되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기초로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2주기마다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가 소정의 초기화기준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3주기마다 일정한 시간간격 단위로 측정된 이동거리 들이 서로 동일하거나 이동거리들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허용범위내이면,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3주기 동안의 이동거리를 초기화하고,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상한값과 하한값을 기초로 가속도구간을 정의하고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의해 산출된 가속도 중에서 상기 가속도구간을 벗어나는 가속도는 이동량의 산출시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Figure 112005047557120-pat00002
    ,
    Figure 112005047557120-pat00003
    여기서, Lhigh(x,y,z) 및 Llow(x,y,z)는 각각 상한값 및 하한값, max(a(x,y,z)) 및 min(a(x,y,z))는 각각 상기 기준시간동안 측정되어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기초로 산출된 가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그리고, αmax 및 αmin은 각각 가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에 대한 보정값이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UART 포트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7. 자체에 고유하게 부여된 장치식별정보를 송출하는 전파발생장치에서의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 상기 장치식별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장치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제공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파발생장치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이동거리가 소정의 이동허용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장치식별정보의 송출동작을 중단하거나 상기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제한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장치가 상기 전파발생장치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측정단계는,
    관성센서에 의해 이동거리를 3차원 좌표계의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의 형태로 측정하여 제1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제1주기마다 상기 제1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기초로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제2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측정단계는,
    상기 관성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거리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 중에서 초기에 입력되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2주기마다 상기 제2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가 소정의 초기화기준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2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거리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3주기마다 일정한 시간간격 단위로 측정된 이동거리들이 서로 동일하거나 이동거리들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허용범위내이면, 상기 제2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3주기 동안의 이동거리를 초기화하고,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상한값과 하한값을 기초로 가속도구간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거리는 상기 제1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에 의해 산출된 가속도 중에서 상기 가속도구간을 벗어나는 가속도를 배제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
    Figure 112005047557120-pat00004
    ,
    Figure 112005047557120-pat00005
    여기서, Lhigh(x,y,z) 및 Llow(x,y,z)는 각각 상한값 및 하한값, max(a(x,y,z)) 및 min(a(x,y,z))는 각각 상기 기준시간동안 측정되어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기초로 산출된 가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그리고, αmax 및 αmin은 각각 가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에 대한 보정값이다.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치확인정보 생성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78929A 2005-02-03 2005-08-26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KR100719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51 2005-02-03
KR20050010251 2005-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127A KR20060089127A (ko) 2006-08-08
KR100719972B1 true KR100719972B1 (ko) 2007-05-18

Family

ID=3717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929A KR100719972B1 (ko) 2005-02-03 2005-08-26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0733B2 (en) * 2005-03-22 2011-05-10 Lg Uplus Corp Device for setting of a service z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using th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267A (ja) 2000-10-17 2002-04-26 Fujitsu Ltd 携帯電話の通信制限方法及び妨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267A (ja) 2000-10-17 2002-04-26 Fujitsu Ltd 携帯電話の通信制限方法及び妨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127A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0157B1 (en)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 quantity of device, device and system
US11307639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and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US20200412163A1 (en) Tracking device and power module
US9429657B2 (en) Power efficient activation of a device movement sensor module
JP4474569B2 (ja)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充電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20150084778A1 (en) System and method to estimate duration of battery (dis)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e smart charging alerts based on device usage pattern
KR101211463B1 (ko)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CN107251122B (zh)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和传感器设备
KR102151456B1 (ko) 무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rell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MoCA node for a body area wireless sensor network
JP6392802B2 (ja) 無線通信装置、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送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232417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data acquisition
CN110285853A (zh) 一种基于LoRaWAN的输电线路监测装置及系统
CN110956424A (zh) 库存跟踪标签、用于延长电池寿命的系统和方法
KR100719972B1 (ko)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EP3534628A1 (en) Beacon
WO20111098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efficient gps localisation
RU2450346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потенциально опасных объектов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KR20080093598A (ko) Gps기반 지그비 모듈 및 그 동작방법
JP4734226B2 (ja) 無線装置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無線型コントローラ、無線型センサ、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無線端末の電源制御方法
JP2015026925A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ドル装置
JP2019080272A (ja) モバイル型センサ中継端末およびモバイル型センサ中継制御方法
JP2012199749A (ja) 回路装置、通信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CN104270420A (zh) 基于定位系统的水利施工现场定位方法及装置
KR100681244B1 (ko) 위치이동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