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26B1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Google Patents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26B1
KR100719826B1 KR1019990027397A KR19990027397A KR100719826B1 KR 100719826 B1 KR100719826 B1 KR 100719826B1 KR 1019990027397 A KR1019990027397 A KR 1019990027397A KR 19990027397 A KR19990027397 A KR 19990027397A KR 100719826 B1 KR100719826 B1 KR 10071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additional sheet
light
fram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1564A (en
Inventor
다까시오마나부
다까노요시노리
가또히데아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ublication of KR2000001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을 위해 액정표시장치에 장착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가시트부재를 구비한다. 부가시트부재의 복수 변의 각각에 각변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부가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를 설치한다. 도광판 및 부가시트부재를 적층하여 탑재하는 프레임 부재가 설치되고, 위치결정부는 부가시트부재의 변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된다. 프레임은 입사단면을 따라 출사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테두리두름부를 갖는다.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부가시트부재의 변 중 하나가 입사단면에 대응한 변이 되어도 된다. 오목부는 사출 성형을 허용하는 정도의 두께가 남도록 형성된다. 출사면과의 사이에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있는 경우 두께는 별도의 부가시트부재의 합계 두께를 넘지 않는다. 박형 구조를 실현시키면서 편광분리시트, 프리즘시트 등의 부가시트부재에 대한 위치 어긋남, 굴곡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moun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illumina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es an additional sheet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disposed along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 position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additional she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each side is provided. A frame member for stacking and mounting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provided, and the positioning portion is guided by a recess formed in the frame, includ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The frame has an edge portion that partially covers the exit face along the incident cross section. One of the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unit may be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end surface. The recess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remains to allow injection molding. If there is a separate additional sheet member between the exit surface, the thickness does not exceed the total thickness of the additional additional sheet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alignment and bending of additional sheet members such as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and a prism sheet while realizing a thin structure.

사이트라이트형 면광원장치Sight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Description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출사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emission surface side.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면광원장치를 장착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hown in FIG. 1.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도광판의 입사면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icinity of an incident surface of a light guide pl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shown in FIG. 2.

도 4 는 광확산시트 등의 부가시트부재와 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dditional sheet member such as a light diffusion sheet and a frame.

도 5 는 편광분리시트의 위치결정을 장변을 이용하여 실시한 예에 대해 설명하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positioning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is performed using long sides.

도 6 은 편광분리시트의 위치결정을 인접하는 2 변을 이용하여 실시한 예에 대해 설명하는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positioning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is performed using two adjacent sides.

도 7 은 종래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hown in FIG. 7.

도 9 는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부가시트부재의 굴곡에 대해 설명하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bending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generated in the prior art.

도 10 은 편광분리시트의 선팽창계수의 이방성에 대해 설명하는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isotropy of th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본 발명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도광판의 출사면상에 프리즘시트, 편광분리시트 등의 부가시트부재를 설치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그 면광원장치에서 백라이팅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ving an additional sheet member such as a prism sheet and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on an emission surface of a light guide plate, and a surface light source thereof. It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backlighted in the device.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종래부터 예컨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었으며 액정패널을 배면에서 조명한다. 이 배치는 장치의 전체형상을 박형화시키는데에 적합하다.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s been conventionally applied to,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lluminates the liquid crystal panel from the back side. This arrangement is suitable for thin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device.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통상 1 차 광원으로 냉음극관 등의 봉형 광원을 구비한다. 1 차 광원은 도광판 (판형 도광체) 의 측방에 배치된다. 1 차 광원에서 출사된 조명광은 도광판의 단면 (입사단면) 을 통해 도광판 내에 도입된다. 도입된 조명광은 도광판 내를 전파하면서 그 과정에서 도광판의 일측 메이저면 (출사면) 으로부터 출사가 일어난다.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usually provided with a rod type light source such as a cold cathode tube as a primary light source. The primary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plate type light guid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primary light source is introduced into the light guide plate through a cross section (incident cross s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introduced illumination light propagates in the light guide plate, and in the process, emission is generated from one major surfac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도광판의 출사면상에는 프리즘시트, 편광분리시트 등의 시트부재가 부가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구 성요소로서 도광판의 출사면상에 배치되는 시트부재를 「부가시트부재」라 하기로 한다.In many cases, sheet members such as a prism sheet and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ar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plat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heet member disposed on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s a component of the side light type light source device will be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sheet member".

부가시트부재가 배치된 경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은 부가시트부재 (1 장 또는 복수장) 를 거쳐 출력조명광이 된다. 이 출력조명광이 액정패널 등의 조명에 이용된다.When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rranged, the output light from the light guide plate becomes the output illumination light via the additional sheet member (one or more sheets). This output illumination light is used for illumination of liquid crystal panels.

도광판으로서는 거의 균일한 판두께를 갖는 형의 것과 1 차 광원에서 멀어짐으로써 판두께가 감소되는 경향을 갖는 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후자는 전자에 비해 효율적으로 조명광을 출사한다.As the light guide plate, those of a type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plate thickness and those of a type having a tendency to decrease the plate thickness by moving away from the primary light source are known. In general, the latter emits illumination light more efficiently than the former.

도 8 은 후자 형태의 도광판을 사용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에는 도 8 에 도시된 장치의 요부단면을 나타낸다. 양쪽 도면을 참조하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 는 리플렉터(reflector) 를 배후에 배치한 냉음극램프 (형광램프 : 2), 도광판 (3) 을 구비하고 있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latter type light guide plate. FIG. 7 shows a main cross section of the device shown in FIG. 8. Referring to both drawings, 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 includes a cold cathode lamp (fluorescent lamp) 2 and a light guide plate 3 having a reflector disposed behind.

또, 도광판 (3) 의 배면 (3C) 측에는 반사시트 (4) 가 배치되는 한편, 출사면 (3B) 측에는 여러 기능을 다하기 위해 부가시트부재 (5, 6, 7) 가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reflection sheet 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surface 3C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3,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5, 6, 7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emission surface 3B side in order to fulfill various functions.

부가시트부재 (5, 6, 7) 에는 여러가지 것이 채택된다. 전형적인 부가시트부재로는 프리즘시트, 광확산시트, 편광분리시트, 보호시트 등이 있다. 도 8 에서 알 수 있듯이 도광판 (3) 의 출사면 (3B) 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따라서 부가시트부재 (5, 6, 7) 도 대략 직사각형의 것이 사용된다. 도광판 (3) 은 아크릴수지 등의 투명수지, 내부에 산란 파워를 갖는 수지재료 (광산란 도광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Various things are adopted for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5, 6, 7. Typical additional sheet members include prism sheets, light diffusion sheets,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s, protective sheets, and the like. As can be seen from FIG. 8, the exit surface 3B of the light guide plate 3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and therefore,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5, 6 and 7 are also substantially rectangular. The light guide plate 3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resin material having a scattering power therein (light scattering light guide), or the like.

형광램프 (2) 에서 공급되는 조명광은 입사면 (3A) 을 통해 도광판 (3) 내로 도입되어 출사면 (3B) 과 배면 (3C) 사이를 반복 반사되면서 말단쪽으로 전파된다. 그 동안 도광판 (3) 의 내부 (광산란 도광체를 채택한 경우), 배면 등에서 광산란 작용을 받는다. 난반사부재로 이루어진 반사시트 (4) 가 채택된 경우에는 난반사작용도 받는다.The illumination light supplied from the fluorescent lamp 2 is introduced into the light guide plate 3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3A and propagates toward the end while repeatedly reflecting between the exit surface 3B and the back surface 3C. In the meantime, the light-scat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3 (when the light scattering light guide member is adopted), the back surface, or the like. In the case where the reflective sheet 4 made of the diffuse reflection member is adopted, the diffuse reflection action is also receive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명광은 출사면 (3B) 에서 서서히 출사된다. 반사시트 (4) 는 배면 (3C) 에서 누출된 광을 도광판 (3) 내로 되돌려 광에너지 손실을 방지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illumination light is slowly emitted from the exit surface 3B. The reflective sheet 4 returns the light leaked from the back surface 3C into the light guide plate 3 to prevent light energy loss.

잘 알려져 있듯이, 출사면 (3B) 으로부터의 광출사는 주로 경사진 전방에서 일어난다. 이 성질은 지향출사성이라 한다. 전형적인 부가시트부재인 프리즘시트는 이러한 출사지향성을 보정하여 예컨대 정면방향으로의 출력광을 지향시키기 때문에 빈번히 사용된다. 반면, 광확산시트는 광의 진행방향을 다양화시켜 조명광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 편광분리시트는 특정한 편광성분을 투과시키면서 그것에 직교하는 편광성분을 반사하는 작용을 갖는다. 보호시트는 다른 시트 등을 손상, 먼지 부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As is well known, light exit from exit surface 3B occurs mainly in the inclined front. This property is called directed emergence. The prism sheet, which is a typical additional sheet member, is frequently used because it corrects this output orientation and directs the output light in the front direction, for example. On the other hand, the light diffusion sheet has a function of smoothing the illumination light by vary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In additio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has a function of reflecting a polarization component orthogonal thereto while transmitting a specific polarization component. The protective sheet is used to protect other sheets and the like from damage, dust adhesion, and the like.

도 8 에서 최상부에 도시된 프레임 (8) 은 면광원장치 (1) 에 포함되는 모든 부재를 정리하여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레임 (8) 은 출사면 (3B) 의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테두리두름부 (8A) 를 구비한다.The frame 8 shown at the top in FIG. 8 is used to collectively support all members included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 The frame 8 is provided with a rim 8A having a shape and a siz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exit surface 3B.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8) 은 ㄷ 자형 부분에서 반사시트 (4), 도광판 (3), 부가시트부재 (5, 6, 7) 를 끼워넣어 지지한다. 또 형광램프 (2) 와 그 배후의 리플렉터는 ㄷ 자형 부분에서 둘러싸이도록 지지된다. 액정표시장치의 어셈블링시에는 프레임 (8) 을 포함한 모든 부재로 이루어진 면광원장치 (1) 가 액정표시패널 (도시 생략) 의 배면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7, the frame 8 supports the reflection sheet 4, the light guide plate 3,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5, 6, 7 in the c-shaped portion. The fluorescent lamp 2 and the reflector behind it are supported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c-shaped portion. In assemb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 made of all members including the frame 8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그런데, 이러한 면광원장치 (1) 또는 이것을 장착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장치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없는지에 대한 요망이 나오고 있다. 이 관점에서 도 7, 도 8 에 도시된 종래 장치를 보았을 때에 프레임 (8) 의 테두리두름부 (8A) 에는 상당한 두께 (D) 가 있어서 장치의 박형화를 저지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demand for whether the thickness of the device can be made thinner with respect to such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 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From this point of view, when the conventional apparatus shown in Figs. 7 and 8 is viewed, it is understood that the edge portion 8A of the frame 8 has a considerable thickness D, which is one factor that prevents the thinning of the apparatus. have.

그래서, 이 테두리두름부 (8A) 를 생략하면 빗금을 그은 부분이 제거되어 거의 D 에 상당하는 두께를 감축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경우라도 액정패널과 최외측의 부가시트부재 (7) 의 출사면 (3B) 의 직접접촉을 피하기 위해 액정패널과 부가시트부재 (7) 사이에 약간의 갭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 갭은 두께 (D) 보다 훨씬 작아도 된다.Therefore, if the edge portion 8A is omitted, the hatched portion is removed, and the thickness almost equivalent to D can be reduced. Also in this case, a slight gap is requir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7 in order to avoid direct contact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exit surface 3B of the outermost additional sheet member 7. It may be much smaller than the thickness (D).

그러나, 이렇게 테두리두름부 (8A) 를 생략하여 액정표시패널을 출사면 (3C) 에 근접시켜 배치하면, 출사면상에 배치된 부가시트부재의 위치결정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게 되며 액정패널측에서 보아 프레임 (8) 내지 출사면 (3C) 의 정렬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disposed close to the emission surface 3C by omitting the edge portion 8A in this way, the positioning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disposed on the emission surface will not be accurately performed. There is a fear that the alignment relationship between 8) and the exit surface 3C cannot be maintained.

도 9 는 이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장치의 어셈블링시에 부가시트 부재가 프레임 (8) 에 대해 잘못 비스듬히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임 (8) 과 액정표시패널의 배면 사이에 시트부재의 일부가 끼여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을 간과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조립하면 이 부가시트부재에 굴곡 (물결의 굴곡) 이 생긴다. 이 굴곡은 면광원장치의 출력조명광의 균일성을 깨뜨리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액정표시패널을 통해 부자연스러운 명암모양 등의 형태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is, in which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erroneous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frame 8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apparatus is shown. In such a case, a part of the sheet member may be pinched between the frame 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ssembled by overlooking this, the additional sheet member may be bent (curved wave). This bending becomes a factor that breaks the uniformity of the output illumination light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an be observed in the form of unnatural contrast.

특히 이러한 굴곡이 짧은 피치로 발생한 경우 액정표시패널측에서 보아 명암이 반복되는 모양으로 관찰되어 표시품질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또, 굴곡의 피치가 큰 경우라도 부가시트부재의 일부가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과잉으로 접근,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하고 있는 그 가까운 변(邊)에서 간섭무늬를 발생시키는 가능성이 있다. 간섭무늬도 당연히 출력조명광의 품질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킨다.In particular, when such bending occurs at a short pitch, it is observed that the contrast is repeated on the LCD panel side, and the display qua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even when the pitch of the bend is large, a part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may excessively approach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in some cases,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an interference fringe on the near side which is in contact. The interference fringe also naturally degrades the quality of the output illumination light and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이러한 원인으로 발생한 품질불량을 검사공정에서 발견한 경우 액정표시패널에서 면광원장치를 제거한 후 부가시트부재의 굴곡을 정리한 후 재차 주의깊게 액정표시장치를 다시 조립할 필요가 있다. 또, 부가시트부재의 교환이 필요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만일 품질불량을 검사공정에서 놓치게 되면 불량품을 출하하게 된다.If the quality defect caused by this cause is found in the inspe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rrange the curvatur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nd then reassemb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refully. In addition, the replacement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may be necessary. In addition, if quality defects are missed in the inspection process, defective products are shipped.

굴곡 문제는 온도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특히 부가시트부재로서 편광분리시트를 배치한 경우에 현저한 굴곡이 잘 생긴다. 이것은 편광분리시트의 대부분이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시트부재 (예컨대 액정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진 시트부재) 를 압연하여 적층시킨 구조를 가지며, 선팽창계수의 값이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선팽창계수의 최대값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Flexural problems are also caused by temperature changes. Especially whe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is disposed as an additional sheet member, remarkable bending occurs well. It has a structure in which most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is rolled and laminated with a sheet member (for example, a sheet member made of liquid crystal polymer material) having optical anisotropy, and the value of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is very large. Because.

도 10 은 이것을 예시한 평면도로, 전형적으로 사용되어온 편광분리시트에 대해 투과축 방향과 그것에 직교한 반사축 방향의 선팽창계수가 각각 나타나 있다. 본 예에서는 방향에 따라 5 이상의 팩터로 선팽창계수가 다르다 (1.5×10-5㎝/㎝/℃ 와 8.1×10-5㎝/㎝/℃ ). 이러한 부재는 온도변화에 의한 굴곡변형을 쉽게 발생시킨다.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is, in which th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s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nd the reflection 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which have been used are shown. In this example,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varies by a factor of 5 or more depending on the direction (1.5 × 10 −5 cm / cm / ° C. and 8.1 × 10 −5 cm / cm / ° C.). Such a member easily causes bending deforma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또, 비교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어 온 프리즘시트인 경우 선팽창계수는 2.0×10-5㎝/㎝/℃ 이다.In the case of the prism sheet that has been typically used for comparison,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is 2.0 × 10 −5 cm / cm / ° C.

발명의 목적 및 개요Summary and purpos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도광판의 출사면상에 배치된 부가시트부재의 굴곡이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그 면광원장치를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에 적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것을 통해 본 발명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조명품질과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nd is a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thereof that can prevent bending or misalignment of an additional sheet member disposed on an exit surface of a light guide plate are applied to illumin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Moreover, through this, this invention aims at the improvement of the illumination quality of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quality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출사면과 배면을 갖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입사단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1 차 광원을 구비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가시트부재가 출사면을 따라 배치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그와 같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을 위해 장착한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ving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emission surface and a rear surface, a primary light source for supplying illumination light from an incident e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n additional sheet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disposed along the emission surface, and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uch as the above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moun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에 따르면 부가시트부재의 적어도 2 변의 각각에 각 변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그 부가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가 설치된다.According to a basic feature of the invention, at least two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re provided with a position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additional she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each side.

이 기본적인 특징으로 부가시트부재의 위치결정을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도 7 참조) 와 같이 직사각형의 1 변에 의해 위치결정하는 경우와 달리 부가시트부재를 비스듬히 부착하는 상태 (도 9 참조) 가 방지된다.  This basic feature makes it possible to stably position the additional sheet member. That is, unlike the case of positioning by one side of the rectangle as in the related art (see Fig. 7), the state of attaching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t an angle (see Fig. 9) is prevented.

위치결정부는 예컨대 부가시트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변에 설치된다. 이 경우 부가시트부재가 비스듬히 부착되는 것 (도 9 참조) 의 회피가 보다 쉬워져 위치결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portion is provided on, for example, two opposite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n this case, it is easier to avoid the attachment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t an angle (see FIG. 9), and the positioning accuracy can be improved.

또, 위치결정부가 각 변의 대략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부가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하는 것은 온도변화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 즉,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 혹은 수축을 중앙에서 양측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부가시트부재의 단면이 각종 부재에 부딪히는 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부가시트부재의 단면의 각종 부재에 대한 충돌로 발생하는 굴곡이 방지된다.In addition, positioning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each side of the positioning portion improves resistance to temperature changes. That is, since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can be divid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he phenomeno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hits various members is less likely to occur. As a result, bending caused by collision with various member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prevented.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광판 및 부가시트부재를 적층하여 탑재하는 프레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위치결정부는 부가시트부재의 변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에 설치된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 형태를 채택하면 간단하고 편리한 구성으로 부가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ypic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frame member for laminating and mounting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nd the positioning part is guided by the recessed part provided in the frame, including the flang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By adopting this form, the additional sheet member can be positioned with a simple and convenient configuration.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은 적어도 도광판의 입사단면을 따라 출사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테두리두름부를 가지며 부가시트부재의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변 중 하나가 입사단면에 대응한 변이 된다. 그리고, 테두리두름부는,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에, 출사면측에 매우 얇은 두께가 남도록 형성된다. 단, 「얇은 두께」는 사출성형에 의한 제조를 허용하는 범위에서 설계된다.Further,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rame has a border portion that partially covers the exit surface along at least the incident cross s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one of the sides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port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corresponds to the incident cross section. It becomes a mutation. The edge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ss formed in the frame such that a very thin thickness remains on the exit surface side. However, "thin thickness" is designed in the range which allows manufacture by injection molding.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면, 프레임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광원측의 광누출이 방지된다.Adopting such a structure prevents light leakage on the light source side even when the recess is formed in the frame.

또한, 부가시트부재가 복수장 배치된 경우 최외측의 부가시트부재와 출사면과의 사이에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테두리두름부의 남은 두께는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갖는 두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2 장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합계의 두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sheet members are disposed, a separate additional shee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most additional sheet member and the exit surfa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is set not to exceed the thicknes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additional sheet members" are present,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set not to exceed the thickness of these totals.

이러한 설정으로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부가시트부재 중 하나의 선팽창계수가 큰 경우라도 그 부가시트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누출도 방지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where th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of one of the plurality of additional sheet members laminated in this setting is large, bending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light leakage can be prevented.

부가시트부재로는 예컨대 프리즘시트, 편광분리시트, 광확산시트, 보호시트 등이 사용되어도 되지만, 편광분리시트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이 이뤄진 경우 특히 그 의의가 크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분리시트는 특히 굴곡을 잘 발생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As the additional sheet member, for example, a prism sheet,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a light diffusion sheet, a protective sheet, and the like may be used. However,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particularly significant when the pos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has a property of generating bending in particul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형태Embodiment

도 2, 도 3 을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 (12) 의 백라이팅을 위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2) 를 장착한 액정표시장치 (10) 가 도시되어 있다. 본 예의 표시화면사이즈는 15 인치 (대각선) 이다.2 and 3, there is show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equipped with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for backlighting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2. As shown in FIG. The display screen size in this example is 15 inches (diagonal).

면광원장치 (12) 는 프레임 (13) 을 구비하며 이 프레임 (13) 상에 모든 부재가 탑재된다. 먼저 리플렉터 (24) (도 3 참조, 도 2 에서는 도시 생략), 형광램프 (14) 및 커버 (15) 가 배치된다. 도광판 (17) 은 그 입사단면 (17A) 이 형광램프 (14) 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도광판 (17) 은 쐐기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입사단면 (17A) 은 두께측에 있는 단면이다. 반사시트 (16) 는 도광판 (17) 의 배면 (17B) 을 따라 배치된다.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includes a frame 13 on which all members are mounted. First, the reflector 24 (refer FIG. 3, not shown in FIG. 2), the fluorescent lamp 14, and the cover 15 are arrange | positioned. The light guide plate 17 is arranged such that its incident end face 17A follows the fluorescent lamp 14. The light guide plate 17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is a cross section on the thickness side. The reflective sheet 16 is disposed along the back surface 17B of the light guide plate 17.

도광판 (17) 의 출사면 (17C) 상에는 부가시트부재로서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편광분리시트 (21) 및 보호시트 (22) 가 배치된다.On the exit surface 17C of the light guide plate 17, a light diffusion sheet 18, a prism sheet 19, 20,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and a protective sheet 22 are disposed as additional sheet members.

도광판은 예컨대 아크릴수지 (PMMA 수지) 와 같은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사출성형체이다. 배면 (17B) 은 부분적으로 조면화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도광판 내부를 전파하는 조명광이 산란되어 출사면 (17C) 으로부터의 출사가 재촉된다. 조면(粗面)의 단위면적당 설치밀도는 출사면 (17C) 으로부터의 출사강도가 균일화되도록 조정되어 있다.The light guide plate is an injection molded body made of transparent resin such as acrylic resin (PMMA resin), for example. Back surface 17B is partially roughened. Thereby, the illumination light propagating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is scattered, and the emission from the emission surface 17C is promoted. The installation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rough surface is adjusted so that the emission intensity from the exit surface 17C is made uniform.

반사시트 (16) 는 조명광을 난반사 또는 정반사하는 시트부재로 구성되며, 도광판 (17) 의 배면 (17B) 에서 누출되는 조명광을 반사하여 도광판 (17) 으로 되돌린다. 그럼으로써 조명광 손실이 방지된다.The reflective sheet 16 is composed of a sheet member which diffusely reflects or specularly reflects the illumination light, and reflects the illumination light leaking from the back surface 17B of the light guide plate 17 to return to the light guide plate 17. This prevents illumination light loss.

광확산시트 (18) 는 약한 광확산성을 갖는 PET 로 이루어진 부가시트부재로, 출사면 (17C) 에서 출사되는 조명광을 약하게 산란시킨다. 그럼으로써 배면 (17B) 에 형성된 거친면, 도광판 가장자리의 반사를 거쳐서 온 광에 의한 극소적인 빛남 등을 눈에 띠지 않게 한다.The light diffusion sheet 18 is an additional sheet member made of PET having weak light diffusion, and weakly scatters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exit surface 17C. As a result, the rough surface formed on the back surface 17B, the minimum radiance due to the light that comes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like are not visible.

프리즘시트 (19 및 20) 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부가시트부재로, 액정표시패널 (11) 측 면에는 프리즘면 (광 제어면)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프리즘면은 부호 (A, B) 로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열을 구비하고 있다. 각 돌기열은 1 쌍의 사면 (19A, 19B 혹은 20A, 20B) 을 가지며 단면은 3 각 형상이다. 프리즘시트 (19) 의 각 돌기열의 연장방향은 입사단면 (17A) 에 거의 평행하고, 프리즘시트 (20) 의 각 돌기열의 연장방향은 입사단면 (17A) 에 거의 수직이다.The prism sheets 19 and 20 are additional sheet members made of polycarbonate, for example, and a prism surface (light control surf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These prism faces are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of projection strings as partially enlarged by symbols A and B. As shown in FIG. Each protrusion has a pair of slopes 19A, 19B or 20A, 20B and has a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projection line of the prism sheet 19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projection line of the prism sheet 2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주지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리즘시트 (20) 의 배향에 의해 입사단면 (17A) 에 수직인 면내와 평행한 면내의 어느 것에 관해서도 지향성을 보정한 조명출력광을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지향성 보정은 정면방향의 주변쪽으로 많은 조명광이 출력되도록 이뤄진다.As is well known, illumination output light whose directivity is corrected can be obtained in any of the in-plane parallel to the in-plane perpendicular to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by the orientation of the prism sheet 20. In most cases, the directivity correction is made so that a large amount of illumination light is output toward the periphery in the front direction.

편광분리시트 (21) 의 작용도 잘 알려져 있다. 즉, 프리즘시트 (20) 의 투과광 중 어느 특정방향의 편광성분을 투과하고 특정방향과 수직인 편광성분을 반사시킨다. 여기에서 「특정방향의 편광성분」은 액정표시패널 (11) 에서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편광면의 성분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액정표시패널 (11) 에 의한 화상형성에 기여하는 편광성분은 투과되고 남은 성분은 반사된다.The action of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is also well known. That is, the polarized light component in any specific direction of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prism sheet 20 is transmitted and the polarized light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specific direction is reflected. Here, the "polarization component in a specific direction" is s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mponent of the polarization plane which can contribute to image forma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That is, the polarization component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by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s transmitted,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reflected.

편광분리시트 (21) 에서 반사된 성분의 대부분은 다양한 광로를 거쳐 재차 편광분리시트 (21) 에 입사되어 투과의 찬스를 부여받는다. 왜냐하면 다양한 광로를 거침으로써 투과가 허용되는 편광성분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입사광의 상당 부분은 편광분리시트 (21) 를 투과하여 액정표시패널 (11) 에서 화상 형성에 기여한다.Most of the components reflected by the polarization splitting sheet 21 are incident on the polarization splitting sheet 21 again through various optical paths to be given a chance of transmission. This is because the polarizing component is allowed to pass through various optical paths. Therefore, a substantial part of the reincident light passes through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and contributes to image forma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이상과 같이 찬스를 살리지 못한 재반사광은 다양한 광로를 거쳐 다시 재차 편광분리시트 투과의 찬스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리사이클 과정을 통해 편광분리시트 (21) 는 화상 형성에 기여하는 조명광의 비율을 증대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re-reflected light that does not use the chance is again given the chance of transmission through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again through various optical paths. Through this recycling process,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ncreases the propor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that contributes to image formation.

보호시트 (22) 는 거의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부가시트부재로, 다른 부가시트부재를 보호한다. 예컨대 면광원장치 (12) 를 액정표시장치의 조립현장으로 수송할 때에 편광분리시트 (21) 를 손상에서 방호한다.The protective sheet 22 is an additional sheet member made of almost transparent polycarbonate, and protects another additional sheet member. For example, when transporting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to the assembly si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is protected from damage.

이어서, 이들 도광판 (17) 의 출사면 (17C) 측에 배치되는 부가시트부재 (18 ∼ 22) 의 위치결정, 유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positioning and the holding | maintenanc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22 arrange | positioned at the exit surface 17C side of these light guide plates 17 are demonstrated in detail.

먼저, 프레임 (13) 은 백색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도광판 (17), 반사시트 (16) 등의 측면을 둘러싸는 벽부와, 이들 벽부끼리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판 (13C) 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프레임 (13) 은 상기 판 (13C) 에 의해 도광판 (17) 등의 배면측 (바닥면측) 으로의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한다. 또, 프레임 (13) 의 바닥부를 판 (13) 을 남겨서 두꺼운 부분을 뺌으로써 전체를 경량화시킨다.First, the frame 13 is an injection molded product of a white resin, and integrally includes a wall portion surrounding sid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7, the reflective sheet 16, and the like, and an elongated plate 13C connecting the wall portions. . The frame 13 prevents dropping to the back side (bottom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and the like by the plate 13C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deformation. In addition, the whole of the weight is reduced by removing the thick portion leaving the plate 13 at the bottom of the frame 13.

도광판 (17) 의 측면 (쐐기 형상) 을 사이에 끼우도록 연장되어 있는 프레임 (13) 의 양쪽 벽부간의 간격 (입사단면 (17) 에 평행인 방향을 따른 거리) 에 대해서는 도광판 (17), 프레임 (13) 등의 폭 (입사단면 (17) 의 길이방향 치수) 의 편차 (제조 오차) 를 고려하여,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갖도록 설정된다. 즉, 도광판 (17) 의 측면 (쐐기 형상) 과의 사이에 공간을 적극적으로 남기지는 않는다.The light guide plate 17 and the frame (the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idence end surface 17) between both wall portions of the frame 13 extending to sandwich the side surface (wedg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therebetween. 13) in consideration of the deviation (manufacturing error) of the width (lengthwise dimension of the incident cross section 17) of the back and the like, it is set to have a slight clearance. That is, the space is not actively left between the side surface (wedg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반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17) 의 안길이 방향 (본 예에서는 도광판의 길이방향) 에 대해서는 도광판 (17) 의 입사단면 (17A) 측에 소정 폭의 공간이 남겨지도록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sp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is set so that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left on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in the depth direction (in this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또, 출사면 (17C) 측의 프레임 (13) 의 선단부분은 출사면 (17C) 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하면서 테두리두름부 (13D) 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13) 과 입사단면 (17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리플렉터 (24) 와 형광램프 (14) 가 설치된다. 커버 (15) 는 리플렉터 (24) 와 형광램프 (14) 의 설치후에 부착된다.Moreover,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frame 13 on the exit surface 17C side is provided with the edge part 13D, extending so that a part of exit surface 17C may be covered. The reflector 24 and the fluorescent lamp 14 are provi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ame 13 and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The cover 15 is attached after installation of the reflector 24 and the fluorescent lamp 14.

커버 (15) 는 탄성을 갖는 판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광판 (17) 을 프레임 (13) 상에 배치한 후 커버 (15) 의 탄력을 이용하여 커버 (15) 와 테두리두름부 (13D) 사이에 도광판 (17) 의 입사단면 (17A) 측을 끼워둘 수 있다. 그럼으로써 도광판 (17) 의 출사면측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The cover 15 is composed of a plate-like member having elasticity. Thus, as shown in FIG. 3, after placing the light guide plate 17 on the frame 13, the light guide plate 17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15 and the edge portion 13D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cover 15. The incidence end surface 17A side of the can be inserted. This prevents the light guide plate 17 from falling off to the exit surface side.

또, 테두리두름부 (13D) 와 출사면 (17C) 이 밀착되기 때문에 거기에 간극이 생겨 조명광이 액정표시패널 (11) 쪽으로 누출되는 현상 (이른바 광누출) 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edge portion 13D and the emission surface 17C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gap is formed therein, whereby the phenomenon that the illumination light leaks towar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so-called light leakage) is prevented.

도 2 를 참조하면 프레임 (13) 은 통상 단변측의 양쪽 벽부의 구석부에 각각 플랜지 (13A) 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들 플랜지 (13A) 은 프레임 (13) 과 조합시키는 금속프레임 (도시 생략) 에 의해 액정표시패널 (11) 과 면광원장치 (12) 를 일체화시킬 때에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rame 13 usually has a flange 13A integrally at each corner of both wall portions on the short side. These flanges 13A are used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and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are integrated by a metal frame (not shown) to be combined with the frame 13.

또, 프레임 (13) 은 벽부의 내측에 액정표시패널 (11) 의 측면에 맞닿는 돌기 (13E) 를 갖는다. 액정표시패널 (11) 과 면광원장치 (12) 의 일체화시에는 상기 돌기 (13E) 에 의해 액정표시패널 (11) 이 가이드되어 액정표시장치 (11) 의 표시면내를 따른 방향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The frame 13 also has a projection 13E which abuts on th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nside the wall portion.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and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are integrat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s guided by the projection 13E so that the position shif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long the inside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1 is eliminated. Is prevented.

또한, 프레임 (13) 은 액정표시패널 (11) 과의 일체화시에 벽부의 단면이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에 맞닿고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과 보호시트 (22)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설치된다. 그럼으로써 액정표시패널 (11) 이 도광판 (17) 과의 사이에 작은 거리 간격으로 위치결정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ame 13 is integrat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the cross section of the wall portion abu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and is minutely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and the protective sheet 22. One gap is installed. As a result,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can be positioned at a small distance from the light guide plate 17.

여기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이 작은 거리가 상술한 두께 (D) (도 7 참조) 에 비해 작은 것이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가 전체 형상의 박형화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is small distance is small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thickness D (see FIG. 7).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embodiment is advantageous for thinning the overall shape.

도 4 는 프레임 (13) 을 도광판 (17) 의 출사면 (17C) 측에서 본 평면도로, 편광분리시트 (21) 를 제외한 다른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와 프레임 (13) 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 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13) 상에 별도로 형성되는 오목부 (30A, 30B : 도 1 참조) 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FIG. 4 is a plan view of the frame 13 viewed from the exit surface 17C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with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22 and the frame 13 except for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The relationship between In addition, in FIG. 4, illustration of recessed part 30A, 30B (refer FIG. 1) formed separately on the frame 13 is abbreviate | omitted as mentioned later.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및 보호시트 (22) 는 테두리두름부 (13D) 에 의해 덮여지는 입사단면 (17A) 측의 부위를 제외하고 출사면 (17C) 을 덮어 감출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ight diffusing sheet 18, the prism sheets 19, 20 and the protective sheet 22 are emitted except for the portion on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covered by the edge portion 13D. It has a shape which can cover and hide the surface 17C.

그리고, 프레임 (13) 의 벽부는 그 내면에서 이들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를 배치할 때에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d the wall part of the frame 13 can be guided when arrange | positioning thes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22 in the inner surface.

또한, 프레임 (13) 은 이들 시트부재 (18, 19, 20, 22) 가 온도변화에 따라 열팽창해도 단 가장자리가 벽부의 내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각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의 외형치수에 대해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설정하여 벽부의 내면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 온도변화에 의한 충돌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이들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는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에 의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ame 13 is such that even if these sheet members 18, 19, 20, 22 are thermally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hange, the edges thereof do not strike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That is, predetermined clearance is set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dimension of each additional sheet member 18, 19, 20, 22, and the inner surface dimension of a wall part is set. In addition, in order to reliably prevent a collis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thes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and 22 can be positioned with high precision by a flange as described below.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의 각각은 쐐기 선단측에 1 쌍의 플랜지 (28) 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13) 은 이들 플랜지 (28) 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쐐기 선단측의 벽부의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목부 (13F)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 (28) 는 이들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의 각 단변을 2 분하는 중심선 (LO) 에 대해 대칭으로 도광판 (17) 의 쐐기 선단측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된다. 한편, 플랜지 (28) 를 가이드하는 프레임 (13) 의 오목부 (13F) 는 소정의 치수정밀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 (13F) 는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를 가이드하여 이들의 정확한 배향을 가능하게 한다. 즉, 비스듬히 기운 배치 (도 9 참조) 가 회피된다.Each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22 is provided with a pair of flanges 28 on the wedge tip side. The frame 13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13F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wall part of the wedge tip side so that these flanges 28 can be guided. Here, the flange 28 has a cross section on the wedge tip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O dividing each short side of thes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22 into a rectangular shape. Installed to come out. On the other hand, the recessed portion 13F of the frame 13 for guiding the flange 28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mensional accuracy. This recess 13F guides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22 to enable their correct orientation. That is, the obliquely arranged arrangement (see Fig. 9) is avoided.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는 양면테이프 (도 4 중에 빗금으로 표시) 를 사용하여 플랜지 (28) 를 프레임 (13) 에 고정시킨다. 그럼으로써 면광원장치 (12) 를 액정표시패널과의 조립공정에 수송되는 경우 등의 사고 (프레임 (13) 으로부터의 탈락, 위치 어긋남 등) 가 방지된다.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and 22 fix the flange 28 to the frame 13 using double-sided tape (indicated by hatched in Fig. 4). Thereby, an accident (falling out of the frame 13, position shift, etc.), such as the case wher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is transported in the assembly process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prevented.

또, 부가시트부재 (18, 19, 20, 22) 를 프레임 (13) 에 고정시키는 수단은 양면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핀이나 나사 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이 이용되어도 된다.The means for fixing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20, and 22 to the frame 13 is not limited to double-sided tape, and suitable fixing means such as pins or screws may be used.

이어서, 편광분리시트 (21) 의 위치결정, 고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프레임 (13) 을 도광판 (17) 의 출사면 (17C) 측에서 본 평면도로, 편광분리시트 (21) 와 프레임 (13) 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프레임 (13) 상의 상술한 오목부 (13F) (도 4 참조) 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Next, the positioning and fixing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plan view of the frame 13 viewed from the emission surface 17C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and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and the frame 13. In addition, illustration of the recessed part 13F (refer FIG. 4) mentioned above on the frame 13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분리시트 (21) 는 프레임 테두리두름부 (13D) 에 의해 덮여지는 입사단면 (17A) 측의 부위를 제외하고 출사면 (17C) 을 덮어 감출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olarization splitting sheet 21 has a shape that can cover and hide the exit surface 17C except for a portion on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covered by the frame edge portion 13D. .

그리고, 프레임 (13) 의 벽부는 그 내면에서 이들 편광분리시트 (21) 를 배치할 때에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d the wall part of the frame 13 can be guided when arrange | positioning thes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s 21 in the inner surface.

또, 프레임 (13) 은 편광분리시트 (21) 가 온도변화에 따라 열팽창하여도 가장자리가 벽부의 내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확실히 온도변화에 따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편광분리시트 (21) 도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에 의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frame 13 is such that the edge does not hit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even whe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s thermally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hange. That is, in order to reliably prevent the collision by the temperature change,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can also b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by the flange as described below.

즉, 편광분리시트 (21) 는 쐐기 선단측과 입사면 입사단면 (17A) 측에 각각 플랜지 (29A, 29B) 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프레임 (13) 은 부호 (C, D) 로 확대 묘사한 바와 같이 플랜지 (29A, 29B) 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오목부 (30A, 30B) 를 가지고 있다.That is,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s provided with flanges 29A and 29B on the wedge tip side and the incident surface incidence end surface 17A sid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rame 13 has recesses 30A and 30B so as to guide the flanges 29A and 29B as enlarged and depicted by the symbols C and D. FIG.

플랜지 (29A, 29B) 는 편광분리시트 (21) 의 단변을 2 분 하는 중심선 (LO) 상에서 쐐기 선단측의 단면측 및 입사단면 (17A) 측의 가장자리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튀어나오도록 중심선 (LO) 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langes 29A and 29B have a center line LO such that the edges of the cross section side and the incidence cross section 17A side of the wedge tip side protrude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center line LO dividing the short sides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n two. It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반면에, 프레임 (13) 은 오목부 (30A, 30B) 가 소정의 치수정밀도로 설치되고 편광분리시트 (21) 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시트 (21) 의 정확한 배향을 가능하게 한다. 즉, 비스듬히 경사진 배치 (도 9 참조) 를 피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13 enables the accurate orientation of the sheet 21 while the recesses 30A and 30B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mensional accuracy and guide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That is, the obliquely inclined arrangement (see Fig. 9) is avoided.

현재, 편광분리시트 (21) 가 온도변화에 의해 열팽창한 경우를 고려하면 플랜지 (29A, 29B) 의 부분에서 상기 시트 (21) 의 가장자리가 오목부 (30A, 30B) 의 내측 벽부에 부딪힌다. 그럼으로써 플랜지 (29A, 29B) 는 응력을 받는다. 그러나, 응력을 받는 것은 폭 (WI) 이 좁은 범위이다. 따라서, 편광분리시트 (21) 의 전체가 받는 응력은 커지지 않는다. 폭 (WI) 은 예컨대 15 ㎜ 정도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20 ㎜ 이하, 특히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t present,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s thermally expanded due to temperature change, the edge of the sheet 21 hits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recesses 30A and 30B at the portions of the flanges 29A and 29B. As a result, the flanges 29A and 29B are stressed. However, stressed is a narrow width (WI) range. Therefore, the stress which the whol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receives does not become large. The width WI is, for example, about 15 mm. General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 mm or less, especially 10 mm or less.

플랜지 (29A, 29B) 의 돌출길이 (W2) 에 대해서는 오목부 (30A, 30B) 에 의해 확실히 위치결정할 수 있는 길이가 있으면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2 ㎜ 이상이 된 다.The protruding lengths W2 of the flanges 29A and 29B only need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reliably positioned by the recesses 30A and 30B, but generally it is 2 mm or more.

오목부 (30A, 30B) 는 이들을 형성한 후에 남은 두께 (T) 가 편광분리시트 (21) 보다 내측 (도광판 (17) 측) 에 배치되는 부가시트부재 (여기에서는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의 합계 적층두께보다 커지지 않도록 정해진다. 단, 두께 (T) 가 과잉으로 얇으면 사출성형에 의한 형상 생성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두께 (T) 의 하한은 「사출성형에 의한 형상 생성이 가능한 최소한 두께」가 된다.The concave portions 30A and 30B are formed of an additional sheet member (herein, the light diffusion sheet 18 and the prism) in which the remaining thickness T after the formation thereof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e light guide plate 17 side) tha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t is determined so as not to be larger than the total lamination thickness of the sheets 19 and 20). However, when the thickness T is excessively thin, it is difficult to form the shape by injection molding. Therefore, the minimum of thickness T becomes "the minimum thickness which can produce the shape by injection molding."

테두리두름부 (13D) 는 오목부 (30A, 30B) 에서 부분적으로 얇아지는 데에 주의해야한다. 또, 두께 (T) 를 0 으로 하여 오목부 (30B) 를 테두리두름부 (13D) 의 도광판 (17) 측에서 그 반대측까지 연속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해도 플랜지 (29B) 를 가이드하는 데에는 특별히 지장은 없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오목부 (30B) 에서 광이 누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것이 본 실시형태에서 얇으면서도 두께 (T) 를 남긴 이유이다.Note that the edge portion 13D is partially thinned at the recesses 30A and 30B. Moreover, even if the recessed part 30B is formed in the groove shape continuous from the light guide plate 17 side of the edge part 13D to the opposite side, and thickness T is 0, it is especially troubled to guide the flange 29B. none. However, it is not preferable to do so because light leaks from the recesses 30B. This is the reason why the thickness T is left while being thin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 본 실시형태의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의 두께는 각각 0.13 ㎜, 0.16 ㎜, 0.16 ㎜ 이다. 또한 두께 (T) 는 약 0.4 ㎜ 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sheet 18 and prism sheets 19 and 20 of this embodiment is 0.13 mm, 0.16 mm, and 0.16 m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ickness T is set to about 0.4 mm.

편광분리시트 (21) 는 플랜지 (29A) 의 부분을 양면테이프 (도 1 중에 빗금으로 표시) 를 사용하여 프레임 (13) 에 고정시킨다. 그럼으로써 면광원장치 (12) 를 액정표시패널과의 조립공정에 수송되는 경우 등의 사고 (프레임 (13) 으로부터의 탈락, 위치 어긋남 등) 가 방지된다. 고정시키는 수단은 양면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핀이나 나사 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이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입사단면 (17A) 측의 플랜지 (29B) 가 고정되어 있지 않는 데에 주의해야한다.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fixes a portion of the flange 29A to the frame 13 using a double-sided tape (indicated by hatched in FIG. 1). Thereby, an accident (falling out of the frame 13, position shift, etc.), such as the case wher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is transported in the assembly process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prevented. The means for fixing is not limited to double-sided tape, and suitable fixing means such as pins or screws may be used. Note that the flange 29B on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is not fixed here.

편광분리시트 (21) 는 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도 팽창한다. 그러나, 입사단면 (17A) 측의 플랜지 (29B) 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팽창을 쐐기 선단방향에 대한 변위에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의 열팽창으로 응력을 받아 변형이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also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heat. However, since the flange 29B on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is not fixed, this expansion can be absorbed at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wedge tip direction. Therefore, it is not stressed by thermal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oes not cause deformation or position shift.

이상의 구성을 갖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2) 의 조립시의 수순에 대해 간단히 기입해둔다 (특히 도 2, 도 3 참조).The procedure at the time of assembly of 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which has the above structure is briefly written (refer FIG. 2, FIG. 3 especially).

프레임 (13) 상에 반사시트 (16) 와 도광판 (17) 이 배치된 후 리플렉터 (24), 형광램프 (14), 커버 (15) 가 순서대로 프레임 (13) 에 배치되어 조립된다. 면광원장치 (12) 는 이 때에 프레임 (13) 에 형성된 테두리두름부 (13D) 와 커버 (15) 사이에서 도광판 (17) 의 입사단면 (17A) 측이 끼여 고정된다.After the reflective sheet 16 and the light guide plate 17 are disposed on the frame 13, the reflector 24, the fluorescent lamp 14, and the cover 15 are arranged in the frame 13 and assembled.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is fixed at this time between the edge portion 13D formed in the frame 13 and the cover 15 with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7 interposed.

그럼으로써 입사단면 (17A) 을 따라 형성된 두께가 얇은 테두리두름부 (13D) 에 대해 출사면 (17C) 이 밀착된 상태가 지지된다. 따라서, 테두리두름부 (13D) 와 출사면 (17C) 의 간극에서 조명광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As a result, the state in which the exit surface 17C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n-walled edge portion 13D formed along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is supported. Therefore, the leakag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 the gap between the edge portion 13D and the exit surface 17C is prevented.

그런데 그 후 면광원장치 (12) 는 출사면 (17C) 측에 순서대로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가 프레임 (13) 과 도광판 (17) 상에 배치된다. 이 때 부가시트부재 (18, 19, 20) 에 대해 1 쌍의 플랜지 (28) 가 프레임 (13) 의 오목부 (13F) 에 가이드되어 도광판 (17) 의 출사면 (17C) 에 대해 위치결정된다.Then,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the light diffusion sheet 18 and the prism sheets 19 and 20 are arranged on the frame 13 and the light guide plate 17 in order on the emission surface 17C side. At this time, the pair of flanges 28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and 20 are guided by the recesses 13F of the frame 13 and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exit surface 17C of the light guide plate 17. .

부가시트부재 (18, 19, 20) 는 1 쌍의 플랜지 (28) 를 사용하여 위치결정되 므로, 그 위치결정 정밀도의 범위내에서 다소의 경사로 배치되었다 하더라도 프레임 (13) 의 클리어런스 (치수의 여유) 에 의해 프레임 (13) 과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 사이에 부가시트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사태가 회피된다.Since th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and 20 are positioned using a pair of flanges 28, the clearance of the frame 13 (the clearance of the dimension) even if it is arranged at a slight inclination within the range of the positioning accuracy. By a part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between the frame 1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s avoided.

또, 통상 사용되는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는 선팽창계수가 2.0 ×10-5 ㎝/㎝/℃ 정도로 비교적 작은 것이 많다. 따라서, 하나의 변에 형성된 1 쌍의 플랜지 (28) 를 사용하여 위치결정하더라도 플랜지 (28) 사이에 열팽창에 의한 굴곡이 생길 가능성은 매우 낮다. 또한, 그 위치결정 정밀도의 범위내에서 다소 경사져 배치되었다하더라도 팽창에 의해 가장자리가 프레임 (13) 의 벽부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가시트부재 (18, 19, 20) 의 굴곡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light diffusion sheets 18 and the prism sheets 19 and 20 which are usually used have relatively small linear expansion coefficients of about 2.0 x 10 -5 cm / cm / 占 폚. Therefore, even if positioning is performed using a pair of flanges 28 formed on one side, the possibility of bending due to thermal expansion between the flanges 28 is very low. Moreover, even if it is arrange | positioned inclined somewhat in the range of the positioning accuracy, it can prevent that an edge hits the wall part of the frame 13 by expansion. Therefore, bending of these additional sheet members 18, 19, and 20 is prevented.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가 플랜지 (28) 의 부분에서 양면테이프로 프레임 (13) 에 고정되고 그럼으로써 반송중의 탈락,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는 것은 상술한 대로이다.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light diffusing sheets 18 and the prism sheets 19 and 20 are fixed to the frame 13 with double-sided tapes at the portions of the flanges 28, thereby preventing the dropping and the position shift during conveyance.

이어서, 선팽창계수가 크면서 선팽창계수가 이방성을 갖는 편광분리시트 (21) 가 배치된다. 편광분리시트 (21) 는 단변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플랜지 (29A, 29B) 가 프레임 (13) 에 형성된 오목부 (30A, 30B) 에 의해 가이드되어 위치결정된다 (도 1 참조).Subsequently,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having a larg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and anisotropic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is disposed. In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flanges 29A, 29B formed so as to face the short sides are guided and positioned by recesses 30A, 30B formed in the frame 13 (see Fig. 1).

그럼으로써 편광분리시트 (21) 는 선팽창계수가 작은 다른 부가시트부재 (18 ∼ 20) 에 비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 지지된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 (11) 을 부착할 때에 프레임 (13) 과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 사이에 편광분리시트 (21) 의 일부가 끼워지는 사태는 회피된다.As a result,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s positioned and supported with high accuracy compared to other additional sheet members 18 to 20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Therefore, when attach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a situation where a part of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is sandwiched between the frame 1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s avoided.

또, 온도 변화에 따라 열팽창한 경우라도 이 팽창은 플랜지 (29A, 29B) 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나뉜다. 그리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 (도광판 (17) 의 길이방향) 에 대해서는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에 의한 외측 가장자리의 변위는 프레임 (13) 에 형성된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수용된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rmal expansion in response to a temperature change, this expansion is divided into two sides at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flanges 29A and 29B are formed. And since it is positioned with high precis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7), the displacement of the outer edge by expansion is accommodated in the range of clearance formed in the frame 13. As shown in FIG.

즉, 편광분리시트 (21) 에 대해서도 팽창으로 단면이 프레임 (13) 의 벽부에 부딪히지 않아 굴곡이 방지된다.In other words, the cross-section does not hit the wall of the frame 13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so that bending is prevented.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입사단면 (17A) 측에서는 얇은 두께 (T) 를 남긴 오목부 (30B) 에 의해 편광분리시트 (21) 를 위치결정하는 경우 테두리두름부 (13D) 에 의해 출사면 (17C) 을 테두리두름할 수 있어 광누출이 방지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positioning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by the recessed portion 30B leaving a thin thickness T on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the exit surface 17C by the edge portion 13D. It can be used to prevent light leakage.

두께 (T) 를 광확산시트 (18), 프리즘시트 (19, 20) 의 합계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플랜지 (29B) 의 부분에서 편광분리시트 (21) 가 부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편광분리시트 (21) 와 프리즘시트 (20)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 편광분리시트 (21) 상에 배치되는 보호시트 (22) 가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에 밀착되는 등의 장해도 방지된다.By setting the thickness T to be smaller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sheet 18 and the prism sheets 19 and 20,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s prevented from being floated at the portion of the flange 29B. Therefore, a gap is prevented from occurring betwee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and the prism sheet 20. In addition, an obstacle such as that the protective sheet 22 disposed o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s prevented.

또한, 편광분리시트 (21) 와 프리즘시트 (20)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편광분리시트 (21) 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즉, 편광면의 방향에 따라 조명광을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키는 기능이 저하되어 광의 이용효율 향상을 충분히 도모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whe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and the prism sheet 20, the function of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That is, the function of selectively transmitting / reflec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plane is lowered, so that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light cannot be sufficiently improved.

또, 보호시트 (22) 가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밀착되면 간섭무늬가 발생하여 조명품질이나 표시품질을 열화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protective sheet 22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an interference fringe is generated to deteriorate illumination quality or display quality.

편광분리시트 (21) 의 배치에 이어서 보호시트 (22) 가 배치된다. 보호시트 (22) 의 배치, 위치결정은 광확산시트 (18) 등과 동일하며 굴곡도 방지된다. 보호시트 (22) 는 편광분리시트 (21) 를 포함한 다른 부가시트부재를 보호한다.The protective sheet 22 is disposed following the arrangement of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Arrangement and positioning of the protective sheet 2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light diffusion sheet 18 and the bending is also prevented. The protective sheet 22 protects other additional sheet members including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조립이 완료된 면광원장치 (12) 는 액정표시장치 (10) 의 어셈블리 공정에 수송되며 거기에서 보호시트 (22) 측에 액정표시패널 (11) 이 배치된다. 이 때 면광원장치 (12) 는 입사단면 (17A) 측만 테두리로 둘러져 있으며 출사면 (17C) 에 배치되는 보호시트 (22) 등에 전혀 테두리처리되어 있지 않다.The assemble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is transported to the assembly proc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whe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is disposed on the protective sheet 22 side. At this tim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12 is surrounded only by the incident end surface 17A side and is not bordered at all by the protective sheet 22 or the like arranged on the exit surface 17C.

따라서, 종래에 비해 액정표시패널 (11) 의 배면을 보호시트 (22) 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액정표시장치 (10) 전체의 두께 감축이 가능해진다.Therefore,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can be arranged closer to the protective sheet 22 than in the prior art.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이상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편광분리시트 (21) 의 위치결정에 사용되는 부분이 대향하는 단변인 것은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이는 데에 유리하다는 데에 주의해야한다. 높은 위치결정 정밀도는 프레임 (13) 과 액정표시패널 (11) 사이에 편광분리시트 (21) 가 끼워지는 현상을 없애 굴곡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rt used for positioning of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is the opposite short side, which is advantageous in increasing the positioning accuracy. The high positioning accuracy eliminates the phenomenon that the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21 is sandwiched between the frame 13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ending.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것이 아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ollowing modifications are possible.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 형상인 편광분리시트 (21) 의 4 변 중 대 향하는 양쪽 단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위치결정하는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flanges are formed on both opposite sides of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to be positioned.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요컨대 다른 2 변 이상에서 이들 변의 대략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편광분리시트를 위치결정하면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을 위치결정 부분에서 양측으로 나눌 수 있다.In other words, positioning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with respect to approximately two centers of these sides at two or more other sides as a reference enables high-precision positioning. And thermal expansion by temperature change can be divided into both sides at the positioning part.

예컨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양쪽 장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위치결정해도 된다. 또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 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위치결정을 해도 된다. 또한, 인접하는 3 변 혹은 4 변 모두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위치결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you may form and position a flange in the opposing long sid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a flange may be formed on two adjacent sides to perform positioning.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d position a flange on all three adjacent sides or four sides.

(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 변으로 위치결정되는 것은 편광분리시트뿐이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프리즘시트 등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2 변으로 위치결정되어도 된다.(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the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is positioned on two sides.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ism sheet or the like may be positioned in two sides as necessary.

또, 그 경우에 만일 상술한 편광분리시트 (21) 와 동일한 단변측에서 위치결정을 하는 것이라면 광누출의 방지 대책을 별도로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f the positioning is performed at the same short side side as the above-described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21, it is preferable to take measures to prevent light leakage separately.

(3)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의 출사면에 광확산시트, 프리즘시트, 편광분리시트, 보호시트를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이들의 부가시트부재의 배치 장수, 종류가 정해져도 된다.(3)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case where a light-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and a protective sheet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was described.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number of sheets and the number of arrangement of these additional sheet members may be determined as necessary.

(4)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패널측에서 도광판, 부가시트부재를 프레임에 배치하는 구성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 정하지 않는다. 즉, 반대측에서 순서대로 이들의 부재를 프레임에 배치하는 구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re arranged in a fram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ide.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se members are arranged in the frame in the opposite order.

(5) 도광판의 단면형상은 쐐기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균일한 두께를 갖는 도광판이 채택되어도 된다.(5)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 may not be a wedge shape. For example,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uniform thickness may be adopted.

(6) 도광판의 입사단면을 2 개 이상의 단면에 설정하고 그것에 따라 복수의 1 차 광원이 설치되어도 된다.(6) The incident e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set to two or more end faces, and a plurality of primary light sources may be provided accordingly.

(7) 1 차 광원은 형광램프와 같은 봉형 광원 이외의 광원소자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점광원을 복수 배치하여 1 차 광원을 형성해도 된다.(7) The primary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element other than a rod-shaped light source such as a fluorescent lamp. For example, a plurality of point light sources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arranged to form a primary light source.

(8)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백라이트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른바 반사형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에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8)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ackligh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adopted for illumination of a so-calle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한, 액정표시장치 이외의 여러 조명기기, 표시장치 등의 조명수단으로 사용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ed as lighting means such as various lighting devices and display devices other tha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광판의 출사면상에 배치된 부가시트 부재의 굴곡이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그 면광원장치를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에 적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are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bending and misalignment of an additional sheet member disposed on an emission surface of a light guide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pplied to the illumin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laims (14)

출사면과 배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1 차 광원과,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가시트부재를 구비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로서,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emission surface and a rear surface, a primary light source for supplying illumination light from an incident e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n additional sheet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disposed along the emission surface.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2 이상의 변 각각에 각 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부가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며,On each of two or more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 position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additional she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each side is provided.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부가시트부재를 적층하여 탑재하는 프레임 부재를 더 구비하고, And a frame member for laminating and mounting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변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And the positioning por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nd is guided by a recess formed in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변에 상기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n which the position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wo opposite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을 따라 상기 출사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테두리두름부를 가지며,The frame has a border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vering the exit surface along the incident e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변 중 하나가 상기 입사단면에 대응한 변이고,One of the sides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port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 sid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cross section, 상기 테두리두름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상기 출사면측에 적어도 사출성형을 허용하는 정도의 두께가 남도록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And the edge portion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frame so that at least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surface is allowed to remain on the exit surface side.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부가시트부재와 상기 출사면 사이에,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배치되고,Between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nd the exit surface, a separate additional sheet member is disposed, 상기 테두리두름부에 남은 두께는 상기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갖는 두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The thickness of the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set so as not to exceed the thickness of the separate additional sheet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가시트부재는 편광분리시트인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The side sheet-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조명하기 위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로서,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for illumina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출사면과 배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1 차 광원과,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가시트부재를 구비하며,The side light type light source device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emission surface and a rear surface, a primary light source for supplying illumination light from an incident e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n additional sheet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disposed along the emission surface,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2 이상의 변 각각에, 각 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부가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며,On each of two or more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 position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additional she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each side is provided.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부가시트부재를 적층하여 탑재하는 프레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Further provided with a frame member for laminating and mounting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변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positioning por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nd is guided by a recess formed in the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변에 상기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positioning portion is provided on two opposite side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을 따라 상기 출사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테두리두름부를 가지며,The frame has a border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vering the exit surface along the incident e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부가시트부재의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변 중 하나가 상기 입사단면에 대응한 변이고,One of the sides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portion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 sid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cross section, 상기 테두리두름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상기 출사면측에 적어도 사출성형을 허용하는 정도의 두께가 남도록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edg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frame is such that at least an injection molding is allowed on the exit surface side.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부가시트부재와 상기 출사면 사이에,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배치되고,Between the additional sheet member and the exit surface, a separate additional sheet member is disposed, 상기 테두리두름부는 상기 별도의 부가시트부재가 갖는 두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edge portion is set not to exceed the thickness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부가시트부재는 편광분리시트인 액정표시장치.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가시트부재는 편광분리시트인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The side sheet-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부가시트부재는 편광분리시트인 액정표시장치.And the additional sheet member is a polarization separating sheet.
KR1019990027397A 1998-07-10 1999-07-08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198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95877 1998-07-10
JP10195877A JP2000030519A (en) 1998-07-10 1998-07-10 Side-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64A KR20000011564A (en) 2000-02-25
KR100719826B1 true KR100719826B1 (en) 2007-05-18

Family

ID=1634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397A KR100719826B1 (en) 1998-07-10 1999-07-08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030519A (en)
KR (1) KR100719826B1 (en)
TW (1) TW43223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312A (en)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043484A (en) * 2001-08-03 2003-02-13 Fujitsu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050802A (en) * 2003-07-16 2005-02-24 Sharp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evice
CN100409076C (en) * 2003-07-16 2008-08-06 夏普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evice
JP2005158707A (en) * 2003-11-07 2005-06-16 Sharp Corp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t
JP2006040864A (en) * 2004-01-14 2006-02-09 Sumitomo Bakelite Co Ltd Light diffusion plate for projecting backlight and back light system
KR101003647B1 (en) 2004-05-29 2010-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ructure of fixing optical sheet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JP4872676B2 (en) * 2006-06-02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4568742B2 (en) * 2007-04-27 2010-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5104770B2 (en) 2008-03-28 2012-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Backlight device
US8243443B2 (en) * 2009-09-25 2012-08-14 Panasonic Corporation Filter mountable o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056A (en) * 1995-12-28 1997-07-1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Back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 light
KR980010510A (en) * 1996-07-29 1998-04-30 김광호 Backlight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9980030905U (en) * 1996-11-30 1998-08-17 엄길용 Lead pin fix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056A (en) * 1995-12-28 1997-07-1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Back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 light
KR980010510A (en) * 1996-07-29 1998-04-30 김광호 Backlight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9980030905U (en) * 1996-11-30 1998-08-17 엄길용 Lead pin fix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64A (en) 2000-02-25
TW432232B (en) 2001-05-01
JP2000030519A (en) 200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4285B2 (en)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is light source
KR100328110B1 (en) tandem lighting panel
US8672528B2 (en) Planar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0932304B1 (en)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having an asymmetric prism on the back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5486504B2 (en) Surface light source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6219116B1 (en) Liquid crystal panel device having a light guide plate with L shaped ribs
KR100719826B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P2487515A2 (en) Backlight assembly
US9134473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US6634761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0319400A (en)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KR19990083012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mposite optical element
KR100847719B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mage display and light control member
US7153018B2 (en)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it
US642676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light-guide plate for reflecting and diffusing light-source light so that the light is uniformly incident on liquid crystal cell
KR100828976B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6009234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3351251B2 (en) Side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7188990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KR20010114160A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256697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34196B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0098379A (en) Side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1762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293905B2 (en) Area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