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613B1 -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613B1
KR100719613B1 KR1020057013941A KR20057013941A KR100719613B1 KR 100719613 B1 KR100719613 B1 KR 100719613B1 KR 1020057013941 A KR1020057013941 A KR 1020057013941A KR 20057013941 A KR20057013941 A KR 20057013941A KR 100719613 B1 KR100719613 B1 KR 10071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mmunic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892A (ko
Inventor
시헤 리
펭 리
구이량 양
Original Assignee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5701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6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이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 통신 장치는 주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된 범용 제어부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 및 독립 안테나 및 피더에 의해 구성된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 및 돌깁 안테나 및 피더에 의해 구성된 기지국 기능부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와 릴레이 통신 장치 간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뿐만 아니라 릴레이 통신 장치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의 특정 기지국 간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시행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지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가 이 지역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릴레이 통신 장치는 검출된 기지국을 통해 로컬 서브넷 내의 단말기 간의 정보 통신을 수행하며, 서브넷 내부의 단말기와 서브넷 외부의 단말기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로컬 서브넷, 릴레이 통신, 독립 안테나, 단말기 액세스, 기지국 기능부

Description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RELAY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릴레이 통신 방법 및 릴레이 통신 장치를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분할 이중 통신 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 시스템 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대표적인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기지국 제어기(혹은 그 보다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무선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시분할 다중 이동 통신 시스템(즉, TD-SCDMA 시스템)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 기능과 무선 기지국 기능을 모두 구비한 장비를 릴레이 장치로 지칭한다. 릴레이 장치는, 기지국과 RNC 사이에 광성유 케이블 또는 전기 배선을 구축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 구축된 기지국 또는 기지국과 RNC 간의 광섬유 케이블이 전쟁, 지진 및 홍수 등의 자연 재앙으로 인해 손상되어 이 지역의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이 비동작 상태에 있을 때; 기차, 대형 버스 또는 밀폐된 차량 내에서 이동 통신 사용자가 외부의 이동 통신 시스템과 통신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때; 대형 건물 내에서 전기파의 침투 파워가 불충분하고 그 곳에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하여 이들이 외부와 통신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때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현재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커버링(system covering)이 열악한 지역에서의 커버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피터(repeater)가 사용되며, 기차 또는 자동차의 차량에서는 문제점의 일부를 해소하기 위해 특수한 단말기 장비(트럭에 탑재된 단말기 등)가 주로 사용되며, 도시의 대형 건물에서는 기지국이 추가되거나 리킹 안테나(leaking antenna)가 구축된다. 이러한 특수한 단말기 장비를 채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제약이 초래될 것이며, 한편으로는 리피터를 사용하거나 기지국을 추가하거나 또는 리킹 안테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기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링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릴레이 통신 장치, 그 통신 방법 및 릴레이 통신 장치와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릴레이 통신 장치는 신속하고 유연한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시스템과 접속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구축할 필요가 없이 기지국처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처럼 기지국과도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방식을 통해 구현되며, 본 발명의 릴레이 장치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진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독립 안테나 및 피더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진 기지국 기능부;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와,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와 기지국 기능부를 접속시키는 제어 버스 및 고속 데이터 버스와, 기지국 기능부와 범용 제어부를 접속시키는 제어 버스 및 고속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범용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는 릴레이 장치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는 데이터를 범용 제어부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며, 여기서 데이터는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에 의해 순서대로 처리된 후에 무선 신호로 변환되고, 그리고나서 상기 안테나 및 피더를 통해 대기 중으로 송신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에 송신된 무선 신호는 상기 안테나 및 피더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순서대로 처리된 후에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범용 제어부에 출력되며,
상기 기지국 기능부는 릴레이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기능부는 데이터를 범용 제어부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며, 여기서 데이터는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안테나 및 피더에 의해 순서대로 처리된 후에 무선 신호로 변환되며, 그리고나서 대기 중으로 전송되며, 이동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 기능부에 송신된 무선 신호는 안테나 및 피더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순서대로 처리된 후에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범용 제어부에 출력된다.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와 접속되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에 접속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및 복수의 타임 슬롯과 함께 작동할 수 있으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는 특수한 목적의 칩인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종래의 기지국과의 통신에서 물리적 계층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기지국 기능부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와 접속되어 릴레이 장치와 근거리 서브넷에 있는 이동 사용자 단말기(즉, 기지국 기능부의 커버링 영역에 있는 단말기) 간의 물리적 계층 신호의 대기 액세스의 처리를 수행하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와 접속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및 복수의 타임 슬롯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는 특수 목적의 칩인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근거리 서브넷 내에 있는 이동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에서 물리적 계층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범용 제어부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와, 제어 버스와, 고속 데이터 버스와, 단말기 음성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로컬 모니터링 터미널(LMT : Local Monitoring Terminal)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범용 제어부는 단말기 및 기지국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명령에 따라 장치를 구성하고 서브넷 내에서의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전체적인 장치 동작을 모니터 및 제어한다. 범용 제어부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및 기지국 기능부에 접속된 제어 버스를 처리하며, 범용 제어부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및 기지국 기능부에 접속된 고속 데이터 버스를 제공하며, 범용 제어부는 신호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근거리 서브넷 내에서의 통신 서비스가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없이도 내부 서비스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하여 서브넷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일반적으로, 릴레이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기능부를 통해 실제의 단말기와 통신하며, 서비스 데이터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워딩되고, 그리고나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리턴되며, 그 후 근거리 서브넷 내에서의 서비스 통신이 완료된다). 범용 제어부는 단말기 음성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완료 기능부가 되며, 또한 로컬 모니터링 터미널(LMT)을 모니터 및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내부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와 기지국 기능부 내부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는 독립적으로도 실행되거나 또는 조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기지국 기능부는 상이한 무선 인터페이스 사양의 단말기 액세스를 지원한다. 범용 제어부는 단말기 음성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으로써 단말기의 완료 기능부가 된다. 범용 제어부는 로컬 모니터링 터미날(LMT)을 모니터 및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장치(MC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에 대한 통신 방법은:
A. 초기화 :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가 기지국을 탐색하고, 기지국에 액세스 요청을 발송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의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에 구성 정보를 발송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이 구성 정보에 따라 자신을 구성하는 단계;
B. 릴레이 통신 장치 서브넷이 서비스를 제공;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초기화를 완료한 후,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가 기지국의 방송 채널의 모니터링을 유지하고,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는 서브넷 방송 채널 및 다른 필수적인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 기능부의 커버링 영역 내에 있는 이들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C. 릴레이 통신 장치 서비스를 종결; 릴레이 통신 장치가 더 이상 이 지역을 커버할 필요가 없을 때, 릴레이 통신 장치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이 정보를 기지국에 발송하고, 자원 해제 처리(process of resource release)를 개시하며, 서비스를 종료하고, 서브넷을 삭제하는 단계.
단계 A를 실행하기 전에, 릴레이 통신 장치 내의 기지국 기능부의 독립 안테나 및 피더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예상된 커버링 지역에 배치되며, 릴레이 통신 장치 내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의 독립 안테나 및 피더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커버링 지리 지역에 배치된다.
단계 A에서, 네트워크는 구성 정보를 기지국의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에 송신하며, 그 구성 정보는 반송파 주파수, 최대 송신 파워, 서비스 용량, 인접 기지국과 서비스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 슬롯 또는 코드 채널을 포함한다.
단계 B에서, 릴레이 통신 장치의 커버링 영역 내에서, 단말기는 이 서브넷의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탐색하고, 다운링크 공용 채널의 신호는 릴레이 통신 장치로부터 유래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커버링 영역 내부에서, 단말기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에 의해 제공된 무선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릴레이 통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또는 해제한다. 단말기의 통신 목적지가 또다른 단말기이고 통신하고 있는 2개의 단말기가 모두 동일 서브넷에 있는 것이라면, 릴레이 통신 장치는 이들 2개의 단말기 간의 신호 스위칭을 완료하고, 과금 관련 정보(charging-relevant information)가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된다. 단말기의 통신 목적지가 이 서브넷 외부의 사용자라면, 릴레이 통신 장치는 기지국 기능부를 통해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며, 그 신호의 제어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재처리한 후, 재처리된 정보를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하며, 한편으로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그것의 제어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재처리한 후, 재처리된 정보를 기지국 기능부를 통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부를 포함하고, 특정의 지리적 지역을 커버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및 기지국 기능부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무선 신호를 상호 간에 송신 및 수신하며, 기지국은 특정의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 및 기지국은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링 영역 내의 무선 신호를 상호 간에 송신 및 수신하며, 단말기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영역 내의 릴레이 통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는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링 영역 내에서의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한다.
단말기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영역 내에서 릴레이 통신 장치에 의해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며, 이 신호를 일반적인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것으로 한다. 단말기는 무선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다.
상이한 통신 목적지에 따라, 단말기 및 릴레이 통신 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기간 동안, 통신 대상 단말기가 서브넷 내부에 있는 경우, 릴레이 통신 장치는 2개의 단말기 간의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 및 스위칭을 담당하고, 통신 대상 단말기가 서브넷 외부에 있는 경우, 릴레이 통신 장치는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 및 포워딩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동작 모드는 시분할 이중 이동 통신 시스템을 취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3 세대 이동 통신의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시스템은 복수의 타임 슬롯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타임 슬롯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양쪽이 시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D-SCDMA 표준을 취하면, 이 릴레이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된 서브넷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의 셀로써 간주될 수 있으며, 이 서브넷 내에서의 그리고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는 동일하다. 릴레이 통신 장치가 설치된 후, 인접 기지국이 탐색되어 액세스된다. 동작이 개시될 때, 기지국 기능부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최초에,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는 인접 기지국을 탐색하고, 일반적인 단말기처럼 액세스를 시도하며, 그리고나서 액세스를 시도하는 동안 이 릴레이 통신 장치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포워딩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이 시스템에 의해 수락된 후, 시스템은 이 릴레이 통신 장치를 구성할 것이다. 즉, 기지국간의 송신 서비스를 위한 동작 반송파 주파수, 최대 송신 파워 전기 레벨, 서비스 용량, 타임 슬롯 또는 코드 채널과 같은 필수 불가결한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가 이러한 파라미터의 구성을 완료한 후, 서브넷이 작동을 개시하며, 이에 의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사용함으로써, 릴레이 통신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BCCH : Broadcast Channel) 및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것이며, 채널의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의 자체 방송 채널을 통해 포워딩하여 그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발송할 수 있다. 이 서브넷의 커버링 영역 내의 단말기에 관해서, 이 서브넷(릴레이 통신 장치)은 일반적인 기지국으로서 간주되며, 서브넷과 단말기는 완저히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한다. 스위칭 기능을 갖는 릴레이 통신 장치에 관해서, 작동 모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 서브넷 내부에서의 단말기 간의 통신(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 중의 하나)은 이 릴레이 통신 장치 내부에서 스위칭되며,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비스 데이터가 아닌 과금(charging) 정보만이 시스템에 송신되며; 이 서브넷 내부에 있는 단말기와 외부에 있는 단말기간의 통신에 관해서는 이 릴레이 통신 장치가 단지 포워딩 역할을 할 뿐이며, 통신은 릴레이 통신 장치와 인접 기지국 간의 서비스 타임 슬롯(코드 채널)을 통해 인접 기지국에 포워딩되고, 인접 기지국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되며, 작동 모드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한 것과 동일하다. 통신이 종료된 후, 시스템 또는 릴레이 통신 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을 위해 리소스를 해제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현 가능성 및 특징적인 개선점을 갖고 있으며,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 기지국 기능부의 안테나 및 피더를 배치하여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가 이 영역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이동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긴박한 필요성을 갖는 지역에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커버링 조건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기차 또는 대형버스 내의 이동 통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자유로이 통신할 수 있으며, 대형 건물 내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릴레이 통신 장치를 설정하는 방식을 예 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 구조를 예시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의 응용 배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종래의 기지국(221, 222, 223,..., 22n)의 일부가 기지국 제어기(20)와 케이블 또는 무선 모드로 접속되어 특정 지역을 커버한다. 이동 통신 서비스는 이들 커버된 지역에서 실시된다. 그러나, 다른 지역(231, 232,...,23m)은 종래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될 수 없다. 이러한 지역에서,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241, 242,...,24k)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의 안테나는 종래의 기지국(222, 223,...,22n)의 커버 지역 내에 설치되는 한편,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의 안테나는 종래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될 수 없는 지역을 커버할 수 있어, 서브넷이 하나 하나씩 구축된다. 서브넷에 의해 커버된 지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모드와 종래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된 지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모드는 완전히 동일하다. 릴레이 통신 장치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커버링을 확장하고 향상시킨다는 것은 자명하다. 릴레이 통신 장치가 기차 및 대형버스와 같은 이동중의 물체 상에 장착될 수 없기 때문에, 서브넷은 밀폐된 차량 내부에 구축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1"은 기지국 제어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0"은 시스템 네트워크측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치 원리 프레임워크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 독립 안테나 및 피더(2),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 기지국 기능부(5), 독립 안테나 및 피더(6),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 범용 제어부(9),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10), 제어 버스(11) 및 고속 데이터 버스(12)를 포함하며, 범용 제어부(9)는 고속 데이터 버스(12) 및 제어 버스(11)를 통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고속 데이터 버스(12) 및 제어 버스(11)를 통해 기지국 기능부(5)에도 접속되어 있다.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는 릴레이 통신 장치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에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는 데이터를 범용 제어부(9)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며, 그 데이터는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와,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에 의해 처리된 후에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대기 중에 전송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가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에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와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에 의해 처리된 후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범용 제어부(9)에 출력된다.
기지국 기능부(5)는 릴레이 통신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며, 기지국 기능부(5)는 데이터를 범용 제어부(9)에서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며, 이 데이터는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와,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에 의해 처리된 후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대기 중으로 전송되며,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 기능부(5)에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와, 무선주파수 송수신기(7)와,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에 의해 처리된 후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범용 제어부(9)에 출력된다.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와, 하나 이상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를 포함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에 접속되고,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에 접속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및 복수의 타임 슬롯과 함께 작동할 수 있고,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는 특수 목적의 칩인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종래의 기지국과의 통신에서 물리적 계층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기지국 기능부(5)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와, 하나 이상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를 포함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는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에 접속되어, 로컬 서브넷 내의 이동 사용자 단말기와 릴레이 장치 간의 물리적 계층 신호의 대기 액세스의 처리를 수행하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에 접속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및 복수의 타임 슬롯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는 특수 목적의 칩인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로컬 서브넷 내에서의 이동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에서 물리적 계층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범용 제어부(9)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10), 제어 버스(11), 고속 데이터 버스(12), 단말기 음성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13, 14) 및 로컬 모니터링 터미널(LMT) 인터페이스(15)를 포함한다. 범용 제어부(9)는 단말기 및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명령에 따라 장치를 구성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전체적인 장치 동작을 모니터 및 제어한다. 범용 제어부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 및 기지국 기능부(5) 양자에 접속된 제어 버스(11)를 처리한다. 범용 제어부(9)는 신호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로컬 서브넷 내에서의 통신 서비스가 송신중인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의 접속없이도 내부 서비스를 완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브넷 용량을 증가시킨다. 즉, 기지국 기능부로부터의 서비스 정보는 범용 제어부(9)에 도달한 후 스위칭되고,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와 이동 통신 시스템간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루프 코스를 거쳐 기지국 기능부를 통해 목표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리턴되며, 이로써 이 부분의 무선 자원이 절감된다. 범용 제어부(9)가 단말기 음성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13, 14)를 제공함으로써, 본 장치는 단말기 기능의 전부를 가지며, 로컬 모니터링 터미널(LMT) 인터페이스(15)를 모니터 및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초기화 :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은 기지국을 탐색하고, 상기 기지국에 액세스 요청을 발송한다. 네트워크는 구성 정보를 이 기지국의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에 발송하며, 구성 정보는 반송파 주파수 및 최대 송신 파워 등을 포함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는 구성 정보에 따라 자신을 구성한다.
B. 릴레이 통신 장치는 서브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초기화 후, 릴레이 통신 장치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를 통한 상기 기지국의 통신 채널의 모니터링을 유지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5)는 서브넷 방송 채널 및 다른 필수적인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 기능부의 커버링 지역 내의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커버링 지역에서, 단말기는 이 서브넷의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 서브넷의 상기 다운링크 공용 채널의 신호가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즉 단말기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일반적인 기지국이 된다.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5)에 의해 제공된 무선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기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커버링 지역에서의 릴레이 통신 장치와의 접속을 구축,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통신의 상이한 목적지에 따라, 릴레이 통신 장치에 대해 2가지 동작 모드가 존재한다:
먼저, 상기 단말기(소스 단말기)의 통신 목적지는 서브넷 내부의 단말기 사용자(목적지 단말기)이다. 즉, 이 목적지 단말기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커버링 지역에 있고,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을 유지하고 있다. 즉, 통신하고 있는 2개의 단말기는 모두 상기 서브넷 내에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상기 2개의 단말기 간의 신호 스위칭을 실시하며, 과금 관련 정보가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5)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릴레이 통신 장치 부근의 기지국)에 송신될 수 있지만, 서비스 정보는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이 기지국에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단말기(소스 단말기)의 통신 목적지는 서브넷 외부의 단말기 사용자(목적지 단말기)이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기지국 기능부(5)를 통해 상기 소스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의 제어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재처리한 후 그 정보를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릴레이 통신 장치 부근의 기지국)에 송신하며, 한편으로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이 기지국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를 통해 상기 목적지 단말기에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하며, 제어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재처리한 후 재처리된 정보를 기지국 기능부(5)를 통해 상기 목적지 단말기에 송신한다.
C. 릴레이 통신 장치 서비스를 종료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가 더 이상 이 서브넷 지역을 커버할 필요가 없을 때,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정보를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발송하며, 자원 해제의 처리를 개시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며 서브넷을 삭제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적어도 하나의 종래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적어도,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및 기지국 기능부를 포함하고, 특정의 지리적 지역을 커버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및 기지국 기능부(5)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인 커버링 지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상호 송신 및 수신한다. 종래의 기지국은 특정의 지리적 지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릴레이 통신 장치 및 상기 종래의 기지국은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를 통해 종래의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상호 송신 및 수신하며, 단말기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릴레이 통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종래의 기지국의 지리적인 커버링 지역에서 종래의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한다.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인 커버링 지역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다운링크 공용 채널에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며, 이 신호가 일반적인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단말기는 일반적인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다.
단말기 및 릴레이 통신 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기간 동안, 상이한 통신 목적지에 따라, 통신 대상 단말기가 서브넷 내부에 있다면, 릴레이 통신 장치는 2개의 단말기간의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 및 스위칭을 담당하며, 통신 대상 단말기가 서브넷 내부에 있지 않은 경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정보의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 및 포워딩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 통신 장치의 작동 모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작동 모드는 본 발명에서 예를 들어 시분할 이중 이동 통신 시스템을 취함으로써 예시되어 있다. 제3 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 TD-SCDMA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은 복수의 구조로 되며, 각각의 타임 슬롯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시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D-SCDMA 표준을 취할 경우, 릴레이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된 서브넷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의 셀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서브넷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모드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모드는 동일하다.
단계 "41" : 릴레이 통신 장치가 설치된 후, 인접한 기지국이 탐색되고, 액세스가 신청된다. 동작이 개시될 때, 기지국 기능부는 신호를 전송할 수 없으며, 먼저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는 인접한 기지국을 탐색하여야 하고, 일반적인 단말기처럼 액세스를 시도하며, 액세스를 시도하는 동안 이 릴레이 통신 장치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포워딩한다.
단계 "42" : 이 어플리케이션이 시스템에 의해 수락된 후, 시스템은 이 릴레이 통신 장치를 구성할 것이다. 즉, 인접한 기지국 간의 송신 서비스를 위한 동작 반송파 주파수, 최대 송신 전력 전기 레벨, 서비스 용량, 타임 슬롯 또는 코드 채널 등의 필수불가결한 파라미터를 구축할 것이다.
단계 "43" : 릴레이 통신 장치가 구성을 달성한 후, 서브넷은 작동을 개시할 것이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이용함으로써, 릴레이 통신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BC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통해 네트워크 내의 인접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것이며,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를 이용하는 자체 방송 채널을 통해 채널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워딩하거나, 또는 자체 방송 정보를 생성하여 이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발송할 수 있다.
단계 "44" : 이 서브넷의 커버링 지역 내의 단말기에 관해, 이 서브넷(릴레이 통신 장치)은 일반적인 기지국으로서 간주되며, 서브넷 및 단말기는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한다. 이에 대해서는 2가지 종류의 상황이 존재할 것이다.
단계 "45" : 스위칭 기능을 갖는 릴레이 통신 장치에 관해, 작동 모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 서브넷 내부에서의 단말기와의 통신(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 중의 하나)은 이 릴레이 통신 장치 내부에서 스위칭되며, 서비스 데이터가 아닌 과금 정보만이 시스템에 송신되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킨다.
단계 "46" : 이 서브넷 내부에서와 이 서브넷 외부에서의 단말기 간의 통신(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 중의 하나)에 관해, 이 릴레이 통신 장치는 단지 포워딩 역할을 행하며, 통신은 서비스 타임 슬롯(코드 채널)을 통해 인접 기지국에 포워딩되어, 인접 기지국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되며, 여기서 작업 모드는 공통적인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작업 모드와 동일하다.
단계 "47" : 하나의 통신이 완료된 후, 시스템 또는 릴레이 통신 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을 위해 자원을 해제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분할 이중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고 제3 세대 이동 통신 표준 중의 하나인 TD-SCDMA를 취하여 릴레이 통신 장치에 관련한 기술적인 특징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적절하고 동등하게 변형된 후에 다른 시분할 이중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레이 통신 장치에 있어서,
    독립 안테나 및 피더(6)를 포함하는 기지국 기능부(5)와;
    고속 데이터 버스(12) 및 제어 버스(11)를 통해 상기 기지국 기능부(5)에 접속되는 범용 제어부(9)와;
    독립 안테나 및 피더(2)를 포함하는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를 구비하며,
    상기 범용 제어부(9)는 상기 고속 데이터 버스(12) 및 상기 제어 버스(11)를 통해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에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는 릴레이 통신 장치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범용 제어부(9)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형하여 그 신호를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2)를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형하여 그 신호를 상기 범용 제어부(9)에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 기능부(5)는 릴레이 통신 장치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범용 제어부(9)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형하여 그 신호를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6)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며,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형하여 그 신호를 상기 범용 제어부(9)에 송신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와, 하나 이상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는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에 접속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는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에 접속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및 복수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동작 가능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종래의 기지국과 통신하여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범용 제어부(9)로부터의 데이터는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에 의해 무선 신호로서 순서대로 처리되어, 그리고나서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2)를 통해 대기 중으로 송신되며,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3) 및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서 순서대로 처리되어, 그리고나서 상기 범용 제어부(9)에 송신되는,
    릴레이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부(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 및 하나 이상의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는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에 접속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는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에 접속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및 복수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동작 가능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는 로컬 서브넷 내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여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범용 제어부(9)로부터의 데이터는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에 의해 무선 신호로서 순서대로 처리되어, 그리고나서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6)를 통해 대기 중에 송신되며, 상기 독립 안테나 및 피더(6)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7) 및 상기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장치(8)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서 순서대로 처리되어, 그리고나서 상기 범용 제어부(9)에 송신되는,
    릴레이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제어부(9)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의 하이-레벨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0)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레벨 시그널링의 처리는, 릴레이 통신 장치를 구성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의 명령에 따라 서브넷 내의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모니터 및 제어하고, 이 서브넷 내의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스위칭을 제공하고, 이 서브넷의 내부 및 외부의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제어부(9)는 릴레이 통신 장치가 완전한 이동 단말기 기능을 갖도록 단말기 음성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13, 14)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제어부(9)는 로컬 터미널을 모니터 및 관리하기 위한 LMT 인터페이스(15)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0)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장치(MCU),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SP)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인,
    릴레이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부(5)는 상이한 무선 인터페이스 사양에 따른 단말기 액세스를 지원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
  9. 청구항 1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초기화 :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가 기지국을 탐색하고, 기지국에 액세스 요청을 발송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가 기지국의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이 구성 정보에 따라 자신을 구성하는 단계와;
    B. 릴레이 통신 장치가 서브넷 서비스를 제공 :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초기화를 완료한 후,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가 기지국의 방송 채널의 모니터링을 유지하고,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기지국 기능부가 서브넷 방송 채널 및 다른 필수적인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 기능부의 커버링 영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C. 릴레이 통신 장치 서비스를 종결 :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더 이상 이 지역을 커버할 필요가 없을 때,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이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자원 해제 처리를 개시하며, 서비스를 종료하고, 서브넷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단계 A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상기 기지국 기능부의 독립 안테나 및 피더가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예상 커버링 지역에 위치되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의 독립 안테나 및 피더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커버링 지리 지역에 위치되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네트워크는 상기 구성 정보를 기지국의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에 송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인접 기지국에 서비스를 송신하기 위한 반송파 주파수, 최대 전송 파워, 서비스 용량, 타임 슬롯 또는 코드 채널을 포함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커버링 지역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된 서비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브넷의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탐색하고,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공용 채널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상기 기지국 기능부에 의해 제공된 무선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 목적지가 또 다른 이동 단말기이고, 통신하고 있는 2개의 단말기가 동일한 서브넷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이들 2개의 이동 단말기 간의 신호 스위칭을 완료하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과금 관련 정보가 기지국에 송신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 목적지가 이 서브넷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일 때에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상기 기지국 기능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의 제어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재처리한 후, 재처리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의 제어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재처리한 후, 재처리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 기능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13. 청구항 1에 따른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 및 하나의 기지국 기능부를 포함하고, 특정의 지리적 지역을 커버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상기 기지국 기능부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무선 신호를 상호 송신 및 수신하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 및 인접한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액세스 기능부를 통해 인접한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무선 신호를 상호 송신 및 수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며;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는 인접한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인접한 기지국과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의 지리적 커버링 지역에서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에 의해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며, 이 신호를 일반적인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것으로 하여 처리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인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을 구축,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는,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기간 동안,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동 단말기들이 동일한 서브넷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2개의 이동 단말기 간의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 및 스위칭을 담당하며;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동 단말기들이 동일한 서브넷에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릴레이 통신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 및 포워딩을 담당하는,
    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57013941A 2003-01-28 2004-01-29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71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3941A KR100719613B1 (ko) 2003-01-28 2004-01-29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3115211.2 2003-01-28
KR1020057013941A KR100719613B1 (ko) 2003-01-28 2004-01-29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892A KR20050094892A (ko) 2005-09-28
KR100719613B1 true KR100719613B1 (ko) 2007-05-17

Family

ID=4214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941A KR100719613B1 (ko) 2003-01-28 2004-01-29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2271B1 (en) 2022-02-24 2023-04-18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 A 1146455
JP A 10107727
US A 564235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2271B1 (en) 2022-02-24 2023-04-18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881966B2 (en) 2022-02-24 2024-01-23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892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3760A1 (en) Relay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7502614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I596918B (zh) 毫米波通訊的波束成型方法以及使用此方法的基地台與使用者設備
US8995984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pact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5594295A (zh) 具有中继功能的终端设备和提供关于中继功能的信息的方法
US20100272038A1 (en) Method for spectrum sharing in a multi-mode system and relative apparatus
EP3235300B1 (en) Methods, base station, mobile node and relay node
GB2179823A (en) Communications system
JPH0775154A (ja) 無線通信方式
US7242942B2 (en)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gram
US9143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gnal path of a radio communication
KR100871338B1 (ko)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10166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
CN110311905B (zh) 基于软件定义的5g小基站侧数据传输方法及5g小基站
JP2001086566A (ja) 端末使用制限装置
KR100719613B1 (ko) 릴레이 통신 장치, 릴레이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및릴레이 통신 장치를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GB2381158A (en) Indoor base station and broadband link
CN112020110A (zh) 一种终端设备的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116368859A (zh) 连接方法及相关装置
CN11270280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4495760B2 (ja) 移動通信サービス方法、その装置及びシステム
GB2559050A (en) Connecting communication networks via a non-collocated relay
CN210839931U (zh) 配电装置和系统
CN110572802B (zh) 脱网直通模式下的中继通信方法及系统
CN110267284B (zh) 基于软件定义的4g小基站侧数据传输方法及4g小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