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424B1 -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24B1
KR100719424B1 KR1020050019200A KR20050019200A KR100719424B1 KR 100719424 B1 KR100719424 B1 KR 100719424B1 KR 1020050019200 A KR1020050019200 A KR 1020050019200A KR 20050019200 A KR20050019200 A KR 20050019200A KR 100719424 B1 KR100719424 B1 KR 10071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idth
transmittance
electrode
l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524A (ko
Inventor
마스미 구보
아끼히로 야마모또
히로유끼 오가미
다까시 오찌
류이찌 요꼬야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각각이 제1 전극과, 제1 전극에 대향하는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 배향형 액정층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의 제1 전극 측에 형성되고, 제1 폭을 갖는 리브; 액정층의 제2 전극 측에 형성되고 제2 폭을 갖는 슬릿; 및 리브와 슬릿 사이에 규정되어 제3 폭을 갖는 액정 영역을 포함한다. 제3 폭은 2㎛ 이상 14㎛ 이하이고, 제3 폭의 제2 폭에 대한 비율은 1.0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액정 표시 장치, 전극, 수직 배향형 액정층, 화소, 배향 규제 수단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MVA형 LCD의 기본적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LCD(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LCD(100)의 화소부(100a)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OS 구동했을 때 관찰되는 LCD(100)의 화소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25℃ 및 5℃에서 측정한, 종래의 MVA형 LCD를 OS 구동한 경우에 관찰되는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6은, 서로 다른 액정(LC) 영역 폭 W3를 갖는 다양한 LCD에 대해, 도 5a 및 5b에 도시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로서 얻어진, OS 전압 인가 후에 얻어진 투과율의 최소값(minimum value)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는, 각 응답(horn response)에 기인하는 문제점들을 주관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8은 LC 영역 폭 W3과 제3 LC 영역 R3의 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그래프의 값들을 제3 LC 영역 R3의 폭에 대하여 재플롯팅한 그래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x축은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을 나타내고, y축은 투과 효율(도 10a), 개구율(도 10b), 및 투과율(도 10c)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1a 내지 11c는 x축은 슬릿 폭 W2/액정층 두께 d를 나타내고, y축은 투과 효율(도 11a), 개구율(도 11b), 및 투과율(도 11c)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2는 슬릿(22)의 근방의 액정 영역(13A)에서의 액정 분자(13a)의 배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액정 분자의 배향에 대한 LCD의 층간 절연막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4a는, LC 영역 폭 W3과 액정층 두께 d와의 곱과, 투과율의 복귀 시간(turnaround tim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b는 투과율 복귀 시간의 정의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15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LCD와 종래의 LCD를 OS 구동한 경우에 관찰되는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투과율의 변화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OS 전압들의 설정값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 및 17b는, MVA형 LCD의 동화상 표시에 관련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LCD
10a, 10b: 기판
11: 대향 전극
12: 화소 전극
13 액정층
21: 리브
22: 슬릿
52: 층간 절연막
[문헌 1] 일본특허공보 2947350호
[문헌 2] 일본특개평 2000-231091호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화상을 표시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LCD)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LCD중에서, 주류는, 포지티브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네마틱 액정이 트위스트된 TN형 LCD였다. 그러나, 이 TN형 LCD에는, 액정 분자들의 배향에 기인하는 시야각 의존성 (viewing angle dependence)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시야각 의존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가 개발되어, 이러한 LC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보 2947350호(문헌 1)에는,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중 하나인 MVA형 LCD가 개시되어 있다. 이 MVA형 LCD는, 노멀 블랙(normally black; NB) 모드로 표시를 행하기 위해 한쌍의 전극 사이에 설치된 수직 배향형 액정층을 포함하고, 도메인 규제 수단(예를 들면 슬릿 또는 돌기)를 설치하여, 전압 인가 동안에 각 화소 내의 액정 분자가 복수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쓰러지도록(틸트(tilt)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LCD 텔레비전 뿐만 아니라, PC용 모니터 및 휴대 단말기기(휴대 전화나 PDA 등)에 있어서도 동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필요성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LCD에서 동화상을 고품위(high definition)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액정층의 응답 시간을 짧게(응답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어, 1 수직 주사 기간(전형적으로 1 프레임) 내에 소정의 계조(grayscale) 레벨에 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MVA형 LCD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문헌 1에 흑-대-백 응답 시간을 10msec 이하로 짧게 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문헌 1에는, 각 화소 내에 돌기들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영역들을 설치하여 응답 속도가 서로 다른 영역들을 제공함으로써, 개구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외관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 1의 도 107 ~ 도 110 참조).
또한, LCD의 응답 특성을 개선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표시하여야 할 계조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계조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전압은 "오버슈트(OS) 전압"이 라고 부름)을 인가하는 방법(이 방법은 "오버슈트(OS) 구동"이라고 부름)이 알려져 있다. 0S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계조 표시에 있어서의 응답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오버슈트 전압" 및 "오버슈트 구동"은, 각각 "오버 드라이브 전압" 및 "오버 드라이브 구동"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개평 2000-231091호(문헌 2)에는, OS 구동을 채용하는 MVA형 LCD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2에는, 흑 표시 상태로부터 고휘도 계조 표시 상태로 시프트가 이루어질 때 0S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 2의 도 8 참조). 이 이유는, 흑 표시 상태로부터 고휘도 계조 표시 상태로 시프트시에, 흑 표시 상태로부터 저휘도 계조 표시 또는 백 표시 상태로 시프트할 때와 같이 0S 전압(목표 투과율을 제공하는 전압의 1.25배의 전압)을 인가하면, 투과율이 오버슈트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상술한 MVA형 LCD 등의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에 OS 구동을 적용하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문제를 도 17a 및 1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a 및 17b는, 종래의 MVA형 LCD를 통상의 구동 방법으로 구동한 경우(도 17a)와 종래의 MVA형 LCD를 OS 구동한 경우(도 17b)에 있어서, 어두운 배경(90)(예를 들면 레벨 0) 내에서 소정의 계조 레벨(예를 들면 레벨 32/255)의 사각형(92)을 이동시킨 경우 관찰되는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주의할 점은, "레벨 32/255"는 계조 표시를 γ2.2로 설정한 경우, 흑 표시(V0의 인가 동안)의 휘도를 0, 백 표시(V255의 인가 동안)의 휘도를 1로 한 경우에 대해 (32/255)2.2의 휘도를 제공하는 계조 레벨이다. 이러한 휘도를 제공하는 계조 전압은 V32로 표기한다.
OS 구동을 행하지 않는 경우,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의 응답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도 17a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있어 이동 방향의 하류에 위치한 사각형(92)의 에지(92a)가 명료하게 관찰되지 않는다. OS 구동을 행하면, 응답 속도가 개선되고, 따라서, 도 17b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92a)가 명료하게 관찰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에지(92a)에서 조금 떨어진 사각형의 위치에서 다크 벨트(dark belt)(92b)가 관찰되는 새로운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자가 상기 문제점의 원인을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이 현상은 종래의 TN형 LCD에 OS 구동을 적용한 경우에는 결코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문제이고,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에서 각 화소 내에 선형으로(띠 형상(stripe shape)으로) 배치한 배향 규제 수단(도메인 규제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배향 분할에 기인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품위의 동화상 표시가 가능한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수직 배향형 액정층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1 전극 측에 형성되고, 제1 폭의 띠 형상을 갖는 리브들;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2 전극 측에 형성되고, 제2 폭의 띠 형상을 갖는 슬릿들; 및 상기 리브들과 상기 슬릿들 사이에 규정되며, 제3 폭을 갖는 액정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폭은 2㎛ 이상 14㎛ 이하이고, 상기 제3 폭의 상기 제2 폭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1.5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폭의 상기 액정층의 두께에 대한 비율은 4 이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폭은 12㎛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폭은 8㎛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폭은 4㎛ 이상 20㎛ 이하이고, 상기 제2 폭은 4㎛ 이상 20㎛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3㎛ 미만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층을 개재하여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편광판들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 쌍의 투과축들은 서로 직교하며, 상기 투과축들 중 한쪽은 표시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브들 및 상기 슬릿들은 상기 투과축들 중 상기 한쪽과 약 45°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계조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계조 전압보다 높은 오버슈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OS 구동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고품위의 동화상 표시가 가능한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는, 동화상 표시 성능의 개선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표시 휘도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CD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LCD TV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LCD는, 퍼스널 컴퓨터와 PDA 등과 같은 동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외의 특징들, 구성요소들, 프로세스들, 단계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들의 LCD들 및 그 LCD들에 대한 구동 방법들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들의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의 기본적인 구성들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예시하는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는 띠 형상의 리브와 띠 형상의 슬릿을 갖는 MVA형 LCD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들의 LCD들은, 각각이, 제1 전극(11)과, 제1 전극(11)에 대향하는 제2 전극(12)과,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 설치된 수직 배향형 액정층(13)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수직 배향형 액정층(13)은,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동안에,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면에 대해 거의 수직(예를 들면 87°와 90°사이의 범위의 각도)으로 배향되는, 마이너스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배향은 액정층(13)에 대향하는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 표면들의 각각에 수직 배향막(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배향 규제 수단으로서 리브(돌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액정 분자는 액정층을 대향하는 리브 등의 표면들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향하게 된다.
액정층(13)의 제1 전극(11) 측에는 리브(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층(11)의 제2 전극(12) 측에는 슬릿(22)이 형성되어 있다. 리브(21)와 슬릿(22) 사이에 규정되는 각각의 액정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13a)는 리브(21) 및 슬릿(22)으로부터 인가된 배향 규제력을 받는다.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떨어진다(경사진다). 즉, 각각의 액정 영역에서, 액정 분자는 똑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므로, 각각의 액정 영역은 도메인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리브(21) 및 슬릿(22)(이하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배향 규제 수단"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은 각 화소 내에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띠 형상의 배향 규제 수단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각 배향 규제 수단의 각각의 양측에 액정 분자(13a)가 서로 180°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는 액정 영역들(도메인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한 LCD(10A)는 제1 전극(11)측에 리브(21)를 갖고, 제2 전극(12)에 설치된 슬릿(개구부)(22)을 갖고 있다. 리브(21) 및 슬릿(22)은 각각 띠 형상(직사각형상)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리브(21)는 리브의 측면(21a)에 대략 수직으로 액정 분자(13a)를 배향시킴으로써, 액정 분자(13a)를 리브(21)의 연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도록 작용한다. 슬릿(22)은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었을 때에, 슬릿(22)의 엣지 근방의 액정층(13)의 영역에 경사 전계를 생성하여, 슬릿(22)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액정 분자(13a)를 배향시키도록 작용한다. 리브(21)와 슬릿(22)은,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리브(21)와 슬릿(22) 사이에 액정 영역(도메인)이 형성된다.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은 액정층(13)을 통하여 상호 대향하는 전극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한 전극이 대향(counter) 전극이고, 다른 전극이 화소 전극이다. 이하에서는, 예로서, 제1 전극(11)으로서 대향 전극을 갖고, 제2 전극(12)으로서 화소 전극을 갖는 LCD인 경우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LCD(10A)의 구성을 채용하면, 제조 단계들의 수의 증가를 최소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즉, 화소 전극에 슬릿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부가적인 공정은 필요없다. 대향 전극에 대해서는, 리브를 형성하는 쪽이 슬릿을 설치하는 것보다 단계들의 수의 증가가 적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한 결과, 도 1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상기의 문제는 화소 내에 띠 형상으로 배치한 리브 및 슬릿에 의해서 배향 분할을 행하고 있는 것에 기인함을 발견하고, 리브와 슬릿 사이에 규정되는 액정 영역의 폭을 14㎛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하에 이 문제의 원인과 본 발명의 LCD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LCD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LCD(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LCD(l00)의 화소부(101a)의 평면도이다. LCD(l00)는 도 1에 나타낸 LCD(1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도시한다.
LCD(l00)는, 제1 기판(예를 들면 유리 기판)(10a)과 제2 기판(예를 들면 유리 기판)(10b) 사이에 수직 배향형 액정층(13)을 갖고 있다. 액정층을 대향하는 제1 기판(10a)의 표면에는 대향 전극(11)이 형성되어 있고, 리브(21)가 대향 전극(11) 상에 형성된다. 액정층(13)을 대향하는 리브(21)를 포함하는 대향 전극(11)의 거의 전체 표면을 커버하는 수직 배향막(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리브(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 인접하는 리브(21)들은 그 사이에 균일한 간격(피치) P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브(21)의 폭(연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W1도 균일하다.
액정층(13)을 대향하는 제2 기판(10b)의 표면에는, 게이트 버스 라인들(주사선들) 및 소스 버스 라인들(신호선들)(51)과, TFT(도시되지 않음)들이 설치되고, 이들 구성 요소들을 피복하는 층간 절연막(52)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52) 상에 화소 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한 표면을 갖는, 층간 절연막(52)은, 1.5㎛와 3.5㎛ 사이의 범위에 있는 두께를 갖는 투명 수지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12)을 게이트 버스 라인들 및/또는 소스 버스 라인들과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개구율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화소 전극(12)에 띠 형상의 슬릿(22)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22)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12)의 거의 전체 표면을 커버하는 수직 배향막(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인접하는 리브(21)들 사이의 간격을 대략 이등분한다. 슬릿(22)의 폭(연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W2은 균일하다. 상술한 슬릿과 리브의 형상 및 이들의 배치는, 제조 프로세스의 변동이나, 기판을 접합할 때의 위치 정렬 오차 등의 영향으로 인해, 일부 경우 각 설계치로부터 어긋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이러한 편차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는, 인접하는 띠 형상의 리브(21)와 슬릿(22) 사이에 폭 W3을 갖는 띠 형상의 액정 영역(13A)이 규정된다. 액정 영역(13A)에서, 그 영역의 양측에 배치되는 리브(21) 및 슬릿(22)에 의해서 배향 방향이 규제된다. 그러한 액정 영역들(도메인들)은, 액정 분자(13a)가 서로 180°상이한 방향들로 틸트되는, 리브(21) 및 슬릿(22) 각각의 반대측들 상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100)에서, 리브(21) 및 슬릿(22)은 상호 90° 다른 2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화소부(100a)는 액정 분자(13a)의 배향 방향이 서로 90°씩 다른 4종류의 액정 영역(13A)를 갖고 있다. 리브(21) 및 슬릿(22)의 배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양호한 시야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기판(10a) 및 제2 기판(10b)의 외측 표면들에 한쌍의 편광판(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어, 그 투과축들이 (크로스-니콜 상태로) 서로 거의 직교한다. 그 투과축들이, 서로 90°씩 상이한 4종류의 액정 영역(13A) 모두의 배향 방향들과 45°를 이루도록 편광판들을 배치하면, 액정 영역(13A)에 의한 리터데이션(retardation)의 변화를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편광판들의 투과축들이 리브(21) 및 슬릿(22)의 연장 방향과 대략 45°를 이루도록 편광판들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텔레비전과 같이, 관찰이 표시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종종 이동하는 표시 장치들에서, 표시 품질의 시야각 의존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편광판들중 하나의 투과축을 표시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MVA형 LCD(100)는,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LCD에 OS 구동이 채택되면 도 17b에 도시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이 현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OS 구동이 행해지는 경우 관찰되는 LCD(100)의 화소에서의 휘도 분포의 변화가 고속 카메라로 측정되었다. 도 4는, 이러한 측정의 결과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의할 점은, 용이한 이해를 위해 5°에서의 측정 결과들을 도시한다. 이 그래프의 x축은, 리브(21) 및 슬릿(22)의 연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인접하는 슬 릿(22)들 중 하나의 폭 방향의 중앙을 원점으로 한 위치를 나타낸다. 휘도 분포는, 0msec(V0 인가 상태; 이 시점에서 OSV32를 인가)에서, 및 OSV32를 인가한 후 16 msec, 18msec, 500msec에서 측정된다. 유의할 점은, 일 수직 주사 기간 내에 OSV32를 인가한 후(본 예에서는 1 프레임= 16.7msec), OSV32을 인가한 후 500msec 경과할 때까지 후속 수직 주사 기간들에서 V32를 계속적으로 인가했다. 이 그래프의 y축은, 차광(light-shaded) 영역의 휘도를 0로 하고, 500msec 후에 얻어진 후술하는 제3 LC 영역 R3의 휘도를 0.1로 한 것에 대해 결정된 상대적인 휘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되는 LCD(100)의 구체적인 셀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액정층의 두께 d는 3.9㎛이고, 리브 간의 피치 P는 53㎛이고, (측면들의 폭 4㎛ x 2를 포함하는) 리브(21)의 폭 W1은 16㎛이고, 슬릿(22)의 폭 W2는 10㎛이고, 액정 영역(13A)의 폭 W3은 13.5㎛이다. 흑 전압(V0)은 1.2V이고, 백 전압(white voltage)(V255)은 7.1V이고, γ값을 2.2로 했을 때 32 계조 레벨(투과율 1.04%)에 대한 전압(V32) 및 OS 전압(OSV32)은 각각 2.44V 및 2.67V이다. OS 전압(OSV32)은, 흑 상태(V0를 인가한 상태)이후 16msec에서 화소 전체의 휘도(투과율)이 32 계조 레벨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액정 영역(13A) 내에서, 리브(21)의 측면(21a) 부근의 영역(이 영역은 "제1 LC 영역 R1"이라 함)의 휘도가 높고, 이 영역에서, 18msec에서 최고 휘도에 도달한 후, 휘도는 감소한다. 대조적으로, 제1 LC 영역 R1 이외의 나머지 영역에서는, 휘도는 시간에 따라 단조롭게 증가하고, 일 단 증가된 휘도는 결코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액정 영역(13A) 내에서, 슬릿(22) 부근의 영역(이 영역은 "제2 LC 영역 R2"라 함)은, 슬릿(22) 근방에 발생하는 틸트 전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리브(21)와 슬릿(22) 사이의 중앙의 영역(이 영역은 "제3 LC 영역 R3"이라 함)보다 응답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띠 형상의 리브(21)와 슬릿(22)에 의해 규정되는 띠 형상의 액정 영역(13A) 각각은, 서로 응답 속도가 상이한 3개의 LC 영역들(R1, R2, R3)를 가진다.
다음에,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서, 시간에 따른 화소부(100a)의 전체 투과율의 변화를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각각 25℃ 및 5℃에서 측정된 결과들로서, y축은 0 계조 레벨의 투과율을 0%로 하고, 32 계조 레벨의 투과율을 100%로 한 것에 대해 결정된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5a의 곡선 5A-1 및 곡선 5A-2는, 액정층의 두께 d가 3.9㎛인 경우, 각각 OS 구동을 행하지 않은 경우 및 OS 구동을 행한 경우에 얻어진 결과들을 나타낸다. 한편, 곡선 5A-3 및 곡선 5A-4는 셀 갭이 2.8㎛인 경우, 각각 OS 구동을 행하지 않은 경우 및 OS 구동을 행한 경우에 얻어진 결과들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도 5b의 곡선 5B-1 및 곡선 5B-2는, 액정층의 두께 d가 3.9㎛인 경우, 각각 OS 구동을 행하지 않은 경우 및 OS 구동을 행한 경우에 얻어진 결과들을 나타낸다. 곡선 5B-3 및 곡선 5B-4는 셀 갭이 2.8㎛인 경우, 각각 OS 구동을 행하지 않은 경우 및 OS 구동을 행한 경우에 얻어진 결과들을 나타낸다. 상기 경우들 중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액정층에 대한 액정 재료로서, 약 140mPa˙s의 회전 점도(rotational viscosity) γ1과 약 20㎟/s의 흐름 점도(flow viscosity) ν를 가지고 약 300㎚의 액정층의 리타데이션(두께 d x 복굴절율 Δn)을 제공하는 액정 재료가 선택된다.
도 5a 및 5b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5℃ 및 5℃ 양쪽 온도에서, OS 구동을 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현상이 관찰된다. 즉, 0S 전압을 인가하는 동안 수직 주사 기간 내에서 투과율이 소정의 값(100%)에 도달한 후, 일단 감소하고, 그 후 투과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다시 소정의 값에 최종적으로 도달한다.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의 최소값을 갖는 이러한 현상은, 일부 경우에 있어 "각 응답(horn response)"이라 불리운다.
도 5a와 도 5b와의 비교로부터, 액정 분자의 응답 속도가 느린 5℃에서 상기 현상이 보다 현저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에서의 최소값은 더 작고 소정의 투과율 값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더 길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 액정층의 두께 d가 클수록 응답 속도가 느리고, 즉 양쪽 온도에서 투과율이 낮은 동안의 기간이 보다 길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들은 도 17b에 도시한 시각적 관찰의 결과들과 대응한다.
상기로부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에 최소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17b에 도시한 다크 벨트(dark belt)(92b)가 관찰되고,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에서의 최소값의 존재에 대한 원인은 도 4를 참조로 상술한 제1, 제2, 제3 LC 영역 R1, R2, R3 사이에 응답 속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이 현상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리브(21) 근방에 위치하는 제1 LC 영역 R1의 액정 분자는, 리브(21)의 측면(21a)의 영향을 받아, 전압이 인가될 때 이미 틸트된 상태로 있고 그 결과 이러한 영역의 응답 속도는 빠르다. 화소 전체의 투과율이 1 프레임 기간 내에서 0 계조 레벨로부터 32 계조 레벨까지의 시프트를 보장하도록 설정된 OS 전압(OSV32)을 인가하면, 제1 LC 영역 R1의 투과율은, V32가 정상적으로 인가될 때 얻어지는 투과율 값(도 4의 t=500msec의 곡선으로 나타낸 투과율 값)을 적어도 초과하고, 일부 경우, 심지어 OS 전압(OSV32)에 대응하는 투과율 값에 도달하거나 근접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다른 영역들에서는(제2 및 제3 LC 영역들 R2 및 R3), 응답 속도가 낮아, OSV32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한 프레임 주기 내에 V32에 대응하는 투과율 값에 도달하지 못한다.
V32를 인가하는 다음의 프레임 기간들(t > 16.7msec)에서는, 제1 LC 영역 R1의 투과율은, V32에 대응하는 투과율 값까지 단조롭게 감소한다. 대조적으로, 제2 LC 영역 R2 및 제3 LC 영역 R3의 투과율은 V32에 대응하는 투과율 값까지 단조롭게 증가한다.
OSV32를 인가한 프레임 기간 내에 화소 전체의 투과율이 V32에 대응하는 투과율 값에 도달한 경우에도, 이 투과율은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성분(V32에 대응하는 투과율 값을 넘는 투과율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OSV32의 인가를 멈추고 소정의 계조 전압 V32를 인가하면,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성분이, 응답 속도가 느린 성분들(제2 LC 영역 R2 및 제3 LC 영역 R3의 투과율 성분)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소정의 투과율까지 감소하기 때문에, 전체 화소의 투과율은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그 후, 응답 속도가 느린 성분의 증가와 함께, 화소 전체의 투과율이 증가한다. 이것이 도 5a 및 5b에 도시한 화소부의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 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OS 구동은 TN형 LCD에도 적용되지만, TN형 LCD에서는 상술한 각 응답은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TN형 LCD에서는, 배향 분할이, 서로 다른 방향들로 러빙된된 배향막들에 의해서 각 액정 영역들(도메인들)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들을 규제함으로써 달성되기 때문이다. 액정 영역 각각의 전체에 평면형(2차원) 배향막으로부터 배향 규제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각각의 액정 영역에는 응답 속도의 분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띠 형상의 리브와 슬릿을 갖는 MVA형 LCD에서는, 구비된 선형(1차원) 배향 규제 수단(리브와 슬릿)에 의해서 배향 분할이 행하여지고 있다. 따라서, 배향 규제 수단의 배향 규제력의 차이 뿐만 아니라, 배향 규제 수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응답 속도를 갖는 영역들이 형성된다.
각 응답 특성, 즉 상술한 OS 전압의 인가 이후 투과율이 최소값을 가지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을 찾기 위해, 셀 파라미터들(액정층 두께 d, 리브 피치 P, 리브 폭 W1, 슬릿 폭 W2, 액정 영역 폭 W3 및 리브 높이 등)을 변화시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기본 구성을 갖는 다양한 MVA형 LCD를 제작하여, 이들 LCD들의 응답 특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것들을 발견하였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층 두께 d를 감소시킴으로써, 응답 속도가 빠르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브 폭 W1 및 슬릿 폭 W2를 증가시킴으로써 응답 속도가 다소 빠르게 되는 경향을 인식하였다. 리브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도 응답 속도가 다소 빠르 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리브 폭 W1, 슬릿 폭 W2 및 리브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응답 속도의 이러한 개선 효과는 작았다. 대조적으로, 액정 영역 폭 W3(LC 영역 폭 W3)를 감소시키면 응답 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의 일부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은, 액정층 두께 d 및 리브 높이가 서로 다른 셀 구성들을 가지는 6종류의 LCD에 대하여, LC 영역 폭 W3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도 5a에 도시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의 측정에서 관찰된, OS 전압 인가 후의 투과율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측정에서, 32 계조 레벨의 투과율은 100%로 결정된다. 투과율의 최소값("최소 투과율(minimum transmittance)"이라고도 함)은 액정층 두께 d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이 측정에서 이용한 LCD에서의 리브 폭 W1 및 슬릿 폭 W2는 약 5㎛와 약 20㎛ 사이의 범위에 있었고, 리브 피치 P는 약 25㎛와 약 58㎛ 사이의 범위에 있다. 도 6에 도시한 측정 결과들은, 25℃에서 얻어졌다.
도 6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6종류(리브 폭 W1 및 슬릿 폭 W2의 차이를 고려하면, 더 많은 종류들)의 셀 구성들에 관계없이, LC 영역 폭 W3과 최소 투과율과의 사이에 강한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 다음에, LC 영역 폭 W3을 감소시킴으로써, 최소 투과율이 거의 단조롭게 증가하며, 즉 응답 특성이 개선된다.
도 6의 결과로부터, LC 영역 폭 W3을 약 14㎛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최소 투과율은 85%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폭 W3을 약 12㎛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90% 이상까지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최소 투과율이 85% 이 상인 경우, 도 17b에 도시한 다크 벨트(92b)는 다소 관찰되기 어렵고, 자연적으로, 최소 투과율이 90% 이상인 경우 더 관찰하기 어렵게 된다.
실제로 13인치 VGA형 LCD의 원형을 제작하고, 그 LCD의 응답 특성의 개선 효과에 대해 25명의 사람이 주관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들을 도 7a 및 7b에 종래 LCD의 결과들과 함께 도시한다. 이 평가에 사용된 13인치 VGA형 LCD(본 발명의 LCD 및 종래의 LCD)는, 이후에 설명하는 도 14a 내지 14c에 도시된 결과를 나타내는 LCD와 동일하다. OS 구동 조건도 후술하는 조건과 동일하다. 이후, 최소 투과율을 85% 이상 또는 90% 이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를 설명한다.
도 7a 및 7b에 도시한 그래프들에서, x축은, LCD의 표시면의 온도(이 온도는 "동작 온도"로 나타냄)을 나타내고, y축은 OS 구동을 행했을 때 주어지는 최소 투과율을 나타낸다. LCD의 동작 온도가 변하면, 액정 재료의 점도 등의 물성이 변화하여, LCD의 응답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동작 온도가 낮아질수록 응답 특성은 저하하고, 동작 온도가 높아질수록 응답 특성은 개선된다. 이 측정에서, 동작 온도는 5℃, 15℃, 25℃ 및 40℃로 설정되었다. 표시 계조 레벨의 시프트가 작을수록, OS 구동에 의한 각 응답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표시 계조 레벨이 0으로부터 32로 시프트하는 경우(32 계조 레벨의 배경에서 0 계조 레벨의 사각형을 이동시킨 경우)에 관찰되는 결과들을 도 7a에 도시하고, 표시 계조 레벨이 0으로부터 64로 시프트하는 경우(64 계조 레벨의 배경에서 0 계조 레벨의 사각형을 이동시킨 경우)관찰되는 결과를 도 7b에 도시한다. 도 7a 및 7b의 점들에 중첩하는 기호들(○, △, X)는 주관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각 응답의 영향 하에서, 도 17b에 도시된 다크 벨트(92b)와 같은 다크 벨트가 관찰되며, 기호 ○는 이러한 다크 벨트가 거의 모든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관찰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호 △는, 일부의 관찰자에게는 다크 벨트가 시각적으로 인식되나, 이로 인해 거의 괴롭힘을 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기호 X는 거의 모든 관찰자들이 다크 벨트를 시각적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a 및 7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최소 투과율이 85% 이상인 경우, 주관 평가의 결과는 △ 또는 ○이고, 최소 투과율이 90% 이상인 경우 ○이다. 종래의 LCD에서, 계조 레벨이 0에서 32로 시프트되는 경우(도 7a), 동작 온도가 40℃인 경우에만 최소 투과율이 85% 이상에 도달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상온)인 25℃에서 최소 투과율이 단지 약 80%이면 X의 주관적 평가를 가진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LCD는, 0으로부터 32로 계조 레벨이 시프트되는 경우(도 7a), 동작 온도가 5℃인 경우에도 최소 투과율은 85% 이상이고, 동작 온도가 25℃ 이상에서는 최소 투과율은 90% 이상이다. 계조 레벨이 0에서 64로 시프트되는 경우(도 7b), 동작 온도가 5℃인 경우에도 90% 이상의 최소 투과율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C 영역 폭 W3을 약 14㎛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최소 투과율이 85% 이상으로 될 수 있거나, 혹은, LC 영역 폭 W3를 약 12㎛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최소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그러한 최소 투과율을 가질 경우, OS 구동을 행하여도 다크 벨트가 다소 또는 거의 인식되기 어려운, 동화상 표시 특성이 우수한 MVA형 LCD가 얻어진다.
현재 사용가능한 9개 모델들(2개 제조사, 패널 사이즈: 15인치 내지 37인치)의 MVA형 LCD에서, LC 영역 폭 W3은 약 15㎛과 약 25㎛ 사이의 범위에 있다(리브 폭 W1은 약 9㎛와 약 15㎛ 사이의 범위에 있고, 슬릿 폭 W2는 약 9㎛와 약 10㎛ 사이의 범위에 있으며, LC 영역 폭 W3/슬릿 폭은 약 1.5와 약 2.6 사이의 범위에 있다). 상술한 결과들(예를 들면 도 6)에 따르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OS 구동을 행하면 이러한 LCD들에서 다크 벨트가 관찰될 것이다.
액정 영역 폭 W3을 작게함으로써 응답 특성이 개선되는 이유를 도 8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액정 영역 폭 W3과 제3 액정 영역 R3의 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액정 영역 R3은 리브(21)와 슬릿(22) 둘다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액정 영역(13A)의 부분이며, 따라서 응답 속도가 가장 느리다.
여기서, 제3 액정 영역 R3은 그 부분 R3의 폭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0 계조 레벨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흑 표시 상태)로부터 32 계조 레벨로 시프트되는 OS 전압(OSV32)을 인가하고 1 프레임 후의 투과율이, 흑 표시 상태의 투과율의 2배 이하인 액정 영역의 부분을 제3 액정 영역 R3로 정의한다. 액정 영역 폭 W3이 상이한 LCD에 대하여,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투과율 분포의 시간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의 정의에 따라 정해진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을 각 LCD에 대해 구하였다. 그 결과가 도 8의 그래프에 플롯되어 있다. 도 8은 25℃ 및 5℃ 에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두개의 직선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제1 액정 영역 R1 및 제2 액정 영역 R2의 폭들이 액정 영역 폭 W3에 관계없이 일정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R3 폭= 액정 영역 폭 W3 - R1 폭 - R2 폭의 관계가 성립한다. 제3 액정 영역 R3는 액정 영역(13A)의 응답 특성이 개선되면 실질적으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심지어 이 경우에서도, 도 8의 그래프(직선)으로부터,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을 마이너스의 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은, 액정 영역(13A)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5℃ 에서, 액정 영역 폭 W3가 약 12㎛ 이하인 경우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은 영이 된다. 즉, 위에서 정의된 응답 속도가 느린 제3 액정 영역 R3가 실질적으로 없어진다. 이것은 도 6에 있어서 최소 투과율이 90% 이상으로 주어지는 액정 영역 폭 W3에 대응하고 있어, 그들 사이의 좋은 상관성을 보여준다.
도 8에 도시한 5℃에서 얻어진 결과들에서는, 액정 영역 폭 W3가 약 8㎛ 이하로 되면,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이 영이 된다. 따라서, 보다 우수한 응답 특성(동화상 표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액정 영역 폭 W3이 약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안다.
도 9는 도 6의 그래프를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에 대하여 재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액정 영역 R3의 폭을 약 2㎛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최소 투과율을 85% 이상으로 할 수가 있고, 또는 그 R3의 폭을 약 0㎛ 이하로 함으로써 최소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영역 폭 W3을 감소시킴으로써, 응답 특성을 개선하고, 따라서 OS 구동을 행한 경우에 발생하는 각 응답(horn response)(도 5a 및 도 5b 참조)에 있어서의 최소 투과율을 소정의 투과율의 85%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선에 의해서, 각 응답에 기인하는 문제점은 거의 관찰되지 않으며, 그 결과 양호한 동화상 표시가 가능한 LCD가 제공된다.
2㎛보다 작은 액정 영역 폭 W3을 갖는 LCD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액정 영역 폭 W3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때문에, 리브 폭 W1 및 슬릿 폭 W2는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LCD에 적용되는 OS 구동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공지의 OS 구동 방법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S 전압의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투과율이 32 레벨마다(예를 들어, V0로부터 V32) 표시 계조 레벨을 전환할 때에 1 수직 주사 기간내로 되도록 OS 전압을 설정하여, 32 레벨 미만의 계조 레벨의 시프트일 때에 인가되는 OS 전압은, 모든 32 계조 레벨의 시프트에 대응하여 정해진 0S 전압 값을 사용하는 보간법(interpolation)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프트 전후의 계조 레벨에 대응하여 OS 전압을 바꿀 수 있다. 한편, 상기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부의 계조 레벨 사이의 시프트에 대해 OS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 프레임 기간 후에 소정의 투과율에 도달하는 OS 전압의 값을 32 계조마다 구하여, 이 결정된 OS 전압의 값들을 사용하여 보간함으로써 각 32 레벨들 내의 계조 레벨들의 각각의 시프트에 대응하는 0S 전압의 크기를 구했 다. 이렇게 얻어진 OS 전압을 이용하여, 액정 영역 폭 W3를 14㎛ 이하로 갖는 본 실시예의 MVA형 LCD를 구동하였다. 그 결과, 양호한 동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MVA형 LCD의 개구율 및 투과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영역 폭 W3를 작게한다는 것은, 개구율((화소 면적 - 리브 면적 - 슬릿 면적)/ 화소 면적)을 낮추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표시 휘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배향 규제 수단의 간격(즉, 액정 영역의 폭 W3)을 일정하게 감소시키면, 개구율이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문헌 1(예를 들면 도 107 참조)에서는, 인접하는 배향 규제 수단들 사이의 간격을 한 화소 내의 일부의 영역에서는 좁게 하고, 화소의 나머지 영역에서는 넓게 하는 것에 의해서,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응답 특성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유 때문에,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향 규제 수단들 사이의 간격으로서 좁은 영역과 넓은 영역을 가짐에 따라, 응답 속도가 크게 다른 영역들이 형성된다(특히, 응답 속도가 느린 영역의 면적이 커지게 됨). 이것은 각 응답의 문제점을 현저하게 만들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LCD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르면, 리브(21)와 슬릿(22) 사이의 간격(즉, 띠 형상의 액정 영역(13A)의 폭 W3)이 상술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기 때문에, 각 응답의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액정 영역(13A)의 폭이 1개의 화소 내에서 일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조 프로세스에 관련된 원인들에 기인하여(예를 들면, 기판의 접합 공정에서의 정렬 오차), 일부 경우에 폭 W3가 다른 액정 영역들(13A)이 1개의 화소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액정 영역(13A)의 폭 W3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각 응답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하여 수행된 검토로부터, 본 실시예의 MVA형 LCD는, 액정 영역 폭 W3를 종래에 사용된 폭으로부터 좁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 휘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것은, 액정 영역 폭 W3를 종래의 폭보다 좁게 함으로써, 화소의 단위 면적당의 투과율(이하, "투과 효율"이라고 함)이 향상한다고 하는 예상하지 않았던 효과 덕분이다. 투과 효율은, 화소의 투과율을 실제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값을 개구율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화소 면적 - 리브 면적 - 슬릿 면적)/화소 면적). 여기서, 투과 효율은 약 0과 1 사이의 값으로 표현된다.
13인치 VGA형 LCD의 견본이 제조되어, 상술한 여러가지의 셀 파라미터들(액정층의 두께 d, 리브 폭 W1, 슬릿 폭 W2, 액정 영역 폭 W3 및 리브 높이 등)과 투과 효율과의 관계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도 10a 내지 도 10c 및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내는 13인치 VGA형 LCD의 견본은 상술한 주관 평가에 제공한 LCD와 상이한 것도 포함되어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x축은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을 나타내고, y축은 각각 투과 효율(도 10a), 개구율(도 10b), 및 투과율(스태틱 구동으로 최고 계조 전압 V255를 인가하였을 때 얻어진 절대 투과율)(도 10c)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1a 내지 11c는 x축은 슬릿 폭 W2/액정층 두께 d를 나타내고, y축은 각각 투과 효율(도 11a), 개구율(도 11b), 및 투과율(스태틱 구동으로 최고 계조 전압 V255를 인가하였을 때 얻어진 절대 투과율)(도 11c)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0a 및 도 11a의 LC-1, 2 및 3은 이용한 액정 재료의 종류를 나타내고, d는 액정층의 두께(셀 갭)를 나타내고, "리브"는 리브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액정 재료는, 회전 점도 γ1이 약 140m㎩·s, 플로우 점도 ν가 약 20㎟/s이고, 액정층의 리터데이션(두께 d×복굴절율 Δn)이 약 300㎚를 갖는 것들 중에서 선택하였다.
도 10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가 작아질수록, 투과 효율이 향상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MVA형 LCD의 액정 영역 폭 W3/ 슬릿 폭 W2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 이상이고, 투과 효율은 약 0.7 이하이다. 액정 영역 폭 W3/ 슬릿 폭 W2를 1.5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0.7을 초과하는 투과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0b는 액정층의 두께 d=2.5㎛, 리브 폭 W1=8㎛, 액정 영역 폭 W3이 10, 15 및 20㎛의 LCD에 대하여, 액정 영역 폭 W3/ 슬릿 폭 W2와 개구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연하지만,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이 작을수록 개구율이 작아진다. 따라서, 개구율이 작을수록 투과 효율이 커지며, 이것은 예상하지 않은 현상이다. 그러나, 투과 효율이 향상한다고 해도, 표시 휘도, 즉 투과율이 저하한다고 해서는 투과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도 10c를 참조하여,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와 투과율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10c는 도 10b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LCD에 대하여, 액정 영역 폭 W3/슬 릿 폭 W2와 투과율(절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에 도시한 투과 효율은, 도 10c에 도시한 투과율의 값을 도 10b에 도시한 개구율의 값으로 나누어서 얻어진다.
도 10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투과율은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가 약 1.5인 경우에 최대가 되고, W3/W2가 약 1.5을 넘는 경우나, 약 1.5 미만이되는 경우 모두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를 약 1.5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투과 효율의 향상 효과를 얻는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MVA형 LCD는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가 1.5 이상 2.6 이하의 범위에 있다(W3은 약 15㎛ 이상).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를 약 1.5 미만으로 하고, 또한 종래에 얻어진 것과 동일한 정도의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가 1.0 미만이 되면, 투과 효율의 증대 효과보다 개구율의 저하쪽이 더욱 우세하게 되므로,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의 저하에 수반하여 투과율이 급격히 저하한다.
상술한 결과로부터, 액정 영역 폭 W3을 2㎛ 이상 14㎛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각 응답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를 1.0 이상 1.5 미만의 범위 내에 설정함으로써 투과 효율을 개선시키면서, 종래와 동등한 투과율(표시 휘도)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영역 폭 W3/슬릿 폭 W2가 거의 동일한 경우에는, 액정 영역 폭 W3이 작아짐에 따라 투과율이 높아진다. 액정 영역 폭 W3을 14㎛ 이하로 설정하면, 각 응답을 억제하고, 또한 투과율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과 효율의 증대는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화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효과이다. 따라서, 동등한 투과율이 얻어지는 것이면, 또는 투과율에 다소 희생이 따르더라도, 개구율보다 투과 효율을 중시한 쪽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에, 슬릿 폭 W2/액정층의 두께 d가 투과 효율에 부여하는 영향을 설명한다.
도 11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릿 폭 W2/액정층 두께 d가 커짐에 따라 투과 효율이 상승한다. 특히, W2/d가 약 3 이상일 때에 투과 효율은 약 0.7 이상으로 된다. 또한, W2/d가 4 이상이 되면, 투과 효율은 0.8 이상의 높은 값으로 안정되는 경향이 인식된다.
한편, 개구율은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폭 W2/액정층 두께 d가 커짐에 따라 단조롭게 감소한다. 또한, 투과율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W2/d에 대하여 최대값을 갖는다. 즉, W2/d가 커짐에 따라 투과 효율이 상승한다고 하는 효과의 결과, 개구율이 저하함에도 불구하고, 투과율이 상승하는 범위가 존재한다. 투과율이 최대가 되는 값은 액정 영역 폭 W3에 대해서 변화하고, W2/d가 2.5와 3.5 사이의 범위에 있다.
또한, 도 11b 및 11c에 나타낸 결과는 액정층 두께 d=2.5㎛, 리브 폭 W1=8㎛에서, 액정 영역 폭 W3이 10, 15 및 20㎛를 갖는 LCD에 대한 것이다. 액정층 두께 d2와 리브 폭 W1에 상관없이, W2/d가 커짐에 따라 투과 효율이 상승한다고 하는 효과의 기여에 의해서 투과율이 상승하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투과 율을 최대로 하는 셀 파라미터와, 투과 효율을 최대로 하는 셀 파라미터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과율 또는 투과 효율 중 어느 것에 중요도를 놓을지에 대해서는 LCD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투과 효율은, 표시에 기여하는 액정층(즉, 개구부에 위치하는 액정)의 액정 분자에 관하여, 슬릿이나 리브로부터 배향 규제력의 영향을 받아 소정의 방향으로 틸트하는 액정 분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1개의 지표이다. 상술한 동화상 표시 성능을 포함하는 표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높은 투과 효율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 11a에 도시한 결과로부터, 0.8 이상의 높은 투과 효율이 얻어지도록, 슬릿 폭 W2/액정층 두께 d를 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영역 폭 W3를 좁게 함으로써,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 효율이 향상하는 이유를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액정 영역(13A)에서의 슬릿(22)의 근방에 위치한 액정 분자(13a)가 배향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액정 영역(13A) 내의 액정 분자(13a) 중에서, 띠 형상의 액정 영역(13A)의 변(긴 변)(major side)(13X)의 근방에 위치한 분자들은 경사 전계(tilt electric field)의 영향을 받아, 변(13X)에 수직인 면 내에서 틸트한다. 반면에, 변(13X)와 교차하는 액정 영역(13A)의 변(짧은 변)(minor side)(13Y)의 근방에 위치한 액정 분자(13a)는 경사 전계의 영향 하에서, 변(13X)의 근방의 액정 분자(13a)의 틸트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틸트한다. 즉, 액정 영역(13A)의 변(13Y)의 근방에 위치한 액정 분자(13a)는, 슬릿(22)의 배향 규제력에 의해서 규정되는 소정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기울고, 액정 영역(13A)의 액정 분자(13a)의 배향을 흐트러뜨 리도록 작용하게 된다. 액정 영역(13A)의 폭 W3를 좁게 함으로써(즉, (긴 변의 길이/짧은 변의 길이)의 값을 작게 함으로써), 액정 영역(13A)의 모든 액정 분자(13a)에 관해서, 슬릿(22)의 배향 규제력의 영향을 받아 소정의 방향으로 기우는 액정 분자(13a)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어, 투과 효율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만든다. 따라서, 액정 영역 폭 W3을 좁게 함으로써, 액정 영역(13A) 내의 액정 분자(13a)의 배향을 안정화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그 결과, 투과 효율이 향상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 폭 W2/ 액정층 두께 d가 커짐에 따라 투과 효율이 상승하는 것은 액정 영역 폭 W3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배향 안정화 효과(투과 효율 향상 효과)가, 액정층 두께 d가 작은 경우, 예를 들면 3㎛ 미만일 때에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액정층의 두께 d가 작아짐에 따라, 슬릿(22)에 의한 경사 전계의 작용이 강해진다. 그러나, 동시에, 화소 전극(12)의 주변에 설치되는 게이트 버스 라인이나 소스 버스라인으로부터의 전계의 영향이나, 또는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의 전계의 영향을 더 받게 된다. 이들 전계는 액정 영역(13A) 내의 액정 분자(13a)의 배향을 흐트러뜨리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액정 영역(13A) 내의 액정 분자(13a)의 배향이 흐트러지기 쉬운, 액정층 두께 d가 작은 경우에, 상기 배향 안정화의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LCD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버스 라인과 소스 버스 라인을 피복하는 비교적 두꺼운 층간 절연막(52)을 포함하며, 이 층간 절연막(52) 상에 화소 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액정 분자(13a)의 배향에 대한 층간 절연막(52)의 영향을 설명한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LCD의 층간 절연막(52)은 비교적 두껍다(예를 들면, 두께는 약 1.5㎛와 약 3.5㎛ 사이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화소 전극(12)과, 게이트 버스 라인이나 소스 버스 라인(51)이 그 사이에 층간 절연막(52)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더라도,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턴스는 너무 작아서, 표시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인접하는 화소 전극들(12) 사이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13a)의 배향은, 도 13a에서 전기력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11)과 화소 전극(12)의 사이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해 대부분 영향을 받으며, 소스 버스 라인(51)에 의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다.
반면에, 도 13b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얇은 층간 절연막(52')(예를 들면, 수백 nm의 두께를 갖는 SiO2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소스 버스 라인(51)과 화소 전극(12)이 그 사이에 층간 절연막(52')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면, 비교적 큰 캐패시턴스가 형성되어, 표시 품질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2)과 소스 버스 라인(51)의 사이의 중첩을 피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인접하는 화소 전극들(12) 사이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13a)는, 도 13b에서 전기력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2)과 소스 버스 라인(51)의 사이에 생성되는 전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화소 전극(12)의 단부에 위치한 액정 분자(13a)의 배향이 흐트러지게 된다.
도 13a와 도 13b와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예시한 본 실시예의 LCD 에서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층간 절연막(52)을 제공함으로써, 액정 분자(13a)가 게이트 버스 라인/소스 버스 라인으로부터의 전계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고, 따라서 배향 규제 수단에 의해서 액정 분자(13a)를 원하는 방향으로 양호하게 배향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층간 절연막(52)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버스 라인으로부터의 전계의 영향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액정층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배향 안정화 효과가 현저히 발휘된다.
슬릿(22)의 배향 규제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슬릿(22)이 형성된 전극과는 다른 전위를 갖는 전극(예를 들면, 화소 전극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전극)을 슬릿(22)의 하부측(액정층(13)과 반대측)에 배치해도 된다.
응답 특성의 관점에서는, 액정층(13)의 두께 d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 참조). 상술한 구성을 갖는 LCD에서 액정층(13)의 두께 d를 3㎛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고화질인 동화상 표시가 가능한 MVA형 LCD를 얻을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액정층(13)의 두께 d를 작게 함으로써 응답 특성이 개선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14a의 그래프에서, x축은 액정 영역(13A)의 폭 W3과 액정층(13)의 두께 d의 곱을 나타내고, y축은 투과율 복귀 시간(transmittance turnaround time)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된 "투과율 복귀 시간"의 정의를 도 1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S 구동에 있어서, 투과율은 도 14b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즉, OS 전압을 인가(O ms 시점)함으로써, 1 프 레임 후(16.7 ms 시점)에 투과율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고, 그 다음에 투과율은 최소값으로 감소한다. 그 후에, 투과율은 소정의 계조 전압에 대응하는 값에 가깝게 서서히 증가한다. 이러한 투과율 변화에 있어서, 최초로 소정의 투과율에 도달한 시점(16.7 ms)으로부터, 최소값을 지나서 소정의 투과율의 99%까지 투과율이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길이를 "복귀 시간"이라고 한다. 여기서 예시된 결과는 표시 계조를 0 으로부터 32로 시프트하는 경우에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로부터 알 수 있듯이, (d×W3)가 작아질수록, 투과율 복귀 시간이 짧아져서, 더욱 우수한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액정 영역 폭 W3은 상술한 바와 같이 14㎛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액정층의 두께 d를 3㎛ 보다 작게 설정하면, 투과율 복귀 시간이 약 100 ms 이하로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영역의 폭 W3를 14㎛ 이하로 하고, 액정층의 두께 d를 3㎛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각 응답에 관련된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응답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실제로 13인치 VGA형 LCD의 견본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어, 그것의 동화상 표시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 파라미터로서, 이 경우에는 액정층의 두께 d를 2.5㎛로 설정하고 액정 영역 폭 W3을 10.7㎛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한 LCD(100)에 대하여 예시한 값과 거의 동일한 값들이 사용되었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액정층의 두께 d는 3.4㎛, 액정 영역 폭 W3은 15.4㎛인 종래의 LCD의 특성도 평가되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LCD와 종래의 LCD에 대하여, 화소 부분의 전체 투과율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평가의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도 15a 내지 도 15c는 계조 표시가 O 에서부터 32까지(도 15a), 0 에서부터 64 까지(도 15b), 0 에서부터 96 까지(도 15c) 시프트되는 경우에 관찰되는 각 응답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LCD 및 종래의 LCD 양자에 대해 오버슈트 구동을 행하고, 동작 온도가 5℃ 인 경우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한다.
도 15a 내지 도 15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CD에 있어서는 응답 특성이 개선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 투과율의 값이 위의 경우들 중 어느 경우에서도 종래의 LCD보다도 높고, 소정의 계조 레벨에 대응하는 투과율의 80% 이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방식으로 수행된 주관적인 평가의 결과로서, 종래의 LCD에 대해 OS 구동을 행하는 경우 다크 벨트가 관찰되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LCD에 대하여 OS 구동을 행한 경우에는 다크 벨트는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
이하에서는, 표 1부터 표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LCD와 종래의 LCD에 대하여, OS 구동의 구체적인 조건과 응답 특성을 설명한다. 표 1부터 표 6은, 5℃ 에서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1부터 표 6의 각각에 있어서, 좌측단부(start)의 값은 초기 상태의 표시 계조 레벨을 나타내고, 상측행(end)의 값들은 재기입 후의 표시 계조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초기 상태의 표시 계조 레벨이 0인 경우를 예시한다.
OS 전압값(여기서는, 대응하는 표시 계조 레벨로서 나타내어짐)은, 본 발명의 LCD 에 대해서는 표 1에, 종래의 LCD에 대해서는 표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정되었다. 예를 들면,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0 부터 32 까지의 계조 레벨로부터 의 표시를 시프트하는 때는, OS 전압으로서 94 계조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인가했다. 표 1 및 표 4에 나타내고 있지 않는 계조 레벨에 대해서는, 표 1 및 표 4에서 설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도 16에 도시된 그래프를 작성하여, 보간법에 의해 대응하는 0S 계조 레벨들을 구했다.
표 2 및 표 3은 본 발명의 LCD에 대해서, 각각 OS 구동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및 OS 구동이 행해진 경우에 요구되는 응답 시간들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표 5 및 표 6은 종래의 LCD에 대해서, 각각 OS 구동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및 OS 구동이 행해진 경우에 요구되는 응답 시간들을 나타낸다. 이 측정에 사용된 응답 시간은, 각각의 계조 레벨의 시프트에 있어서의 소정의 투과율의 변화가 0% 부터 100% 까지의 경우에, 투과율이 10%로부터 90%까지 변화하는 것에 필요한 시간(단위: msec)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및 표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2 계조 레벨마다, 1 프레임 기간 내에 소정의 계조 레벨에 도달하도록 OS 전압을 설정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LCD에 대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으로부터 32 까지의 계조 레벨의 시프트를 위한 OS 전압(OSV32)을 V94(94 계조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설정했다. 이것은 통상의 구동에 인가되어지는 V32 대신에 V94를 인가했음을 나타낸다. 종래의 LCD에 대해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으로부터 32까지의 계조 레벨의 시프트를 위한 OS 전압(OSV32)을 V156(156 계조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설정했다. 종래의 LCD에서 OS 전압값이 높은 이유는, 표 2와 표 5 사이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CD 쪽이 응답 특성이 더욱 우수하기(응답 시간이 짧음) 때문이 다. 또한, 이 표들로부터도,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응답 특성이 개선되는 것이 증명된다.
표 2에 나타낸 응답 시간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LCD에서는 OS 구동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낮은 계조 레벨을 표시할 때의 응답 시간이 1 프레임 기간(16.7 msec)보다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OS 구동을 행하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답 시간은 모든 계조 레벨에 있어서 1 프레임 기간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응답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는 다르게, 종래의 LCD에 대해 OS 구동을 행하면,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답 시간은 대폭 개선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여전히 1 프레임 기간보다 길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응답의 문제도 발생한다.
Figure 112005012293567-pat00001
Figure 112005012293567-pat00002
Figure 112005012293567-pat00003
Figure 112005012293567-pat00004
Figure 112005012293567-pat00005
Figure 112005012293567-pat0000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CD는, OS 구동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동화상 표시 특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회로를 더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LCD를 고화질의 동화상 표시가 가능한 LCD 텔레비전으로서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0S 구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방법을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소정의 계조 레벨에 대응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계조 전압보다도 높은 0S 전압(또는 계조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음)을 인가하기 위해 채택된 구동 회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혹은 OS 구동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OS 구동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또한 OS 구동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예를 들면, V0→V94→V32의 순으로 표시 신호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시야각 특성을 갖는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의 응답 특성이 개선되어, 고품질의 동화상 표시가 가능한 LCD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향 분할 수직 배향형 LCD에 있어서, 인접한 리브와 슬릿 사이에 형성된 액정 영역들의 폭을 종래의 것보다 좁게 형성하여(개구율을 작게 함), 액정 분자를보다 효율적으로 배향시키기 때문에(배향 규제력을 받는 액정 분자의 비율을 많게 함), 동화상 표시 성능의 개선으로부터 발생하는 표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CD는 텔레비전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에게 있어서는, 개시된 본 발명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위에서 기술되고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의 다수의 실시예들을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의 모든 변경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0)

  1. 각각이,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수직 배향형 액정층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1 전극 측에 형성되고, 제1 폭의 띠 형상을 갖는 리브들;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2 전극 측에 형성되고, 제2 폭의 띠 형상을 갖는 슬릿들; 및
    상기 리브들과 상기 슬릿들 사이에 규정되며, 제3 폭을 갖는 액정 영역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폭은 2㎛ 이상 14㎛ 이하이고, 상기 제3 폭의 상기 제2 폭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1.5 미만의 범위 내에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의 상기 액정층의 두께에 대한 비율이 4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폭은 12㎛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폭은 8㎛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4㎛ 이상 20㎛ 이하이고, 상기 제2 폭은 4㎛ 이상 2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3㎛ 미만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개재하여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편광판들의 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 쌍의 투과축들은 서로 직교하며, 상기 투과축들 중 한쪽은 표시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브들 및 상기 슬릿들은 상기 투과축들 중 상기 한쪽과 약 45°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계조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계조 전압보다도 높은 오버슈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019200A 2004-03-08 2005-03-08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0719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4223A JP2005250361A (ja) 2004-03-08 2004-03-08 液晶表示装置
JPJP-P-2004-00064223 2004-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524A KR20060043524A (ko) 2006-05-15
KR100719424B1 true KR100719424B1 (ko) 2007-05-18

Family

ID=3490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200A KR100719424B1 (ko) 2004-03-08 2005-03-08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95352A1 (ko)
JP (1) JP2005250361A (ko)
KR (1) KR100719424B1 (ko)
CN (1) CN1667461A (ko)
TW (1) TWI2843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3247B2 (en) 2003-08-11 2014-01-21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 for decreasing cartilage damage in dogs
JP5031553B2 (ja) * 2005-03-03 2012-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液晶モニター、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表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951A (ko) * 1997-06-12 1999-01-25 세끼자와다다시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93773A (ko) * 2000-03-29 2001-10-29 마찌다 가쯔히꼬 액정표시장치
KR20030027738A (ko) * 2001-09-26 2003-04-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918B1 (ko) * 1998-05-16 2001-12-17 윤종용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283511B1 (ko) * 1998-05-20 2001-03-02 윤종용 광시야각 액정 표시장치
JP3744714B2 (ja) * 1998-12-08 2006-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926056B2 (ja) * 1999-03-16 2007-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255378B (en) * 2000-06-30 2006-05-21 Hannstar Display Corp Wide view-angle multi domain vertical alignment (MV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JP3877129B2 (ja) * 2000-09-27 2007-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977704B2 (en) * 2001-03-30 2005-12-20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5084237A (ja) * 2003-09-05 200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951A (ko) * 1997-06-12 1999-01-25 세끼자와다다시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93773A (ko) * 2000-03-29 2001-10-29 마찌다 가쯔히꼬 액정표시장치
KR20030027738A (ko) * 2001-09-26 2003-04-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7461A (zh) 2005-09-14
TWI284301B (en) 2007-07-21
JP2005250361A (ja) 2005-09-15
KR20060043524A (ko) 2006-05-15
US20050195352A1 (en) 2005-09-08
TW200604987A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99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502194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73788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구동방법
US201001652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20060043658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69395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US2010011035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201451A (ja) 液晶表示装置
JPWO2007015458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3001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ixel
KR10067854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709653B1 (ko) 액정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71942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2013014167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1158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662947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20159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0181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12542B1 (ko) 평면정렬 스위칭 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4629160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