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315B1 - 가구용 키트 - Google Patents

가구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315B1
KR100719315B1 KR1020050091010A KR20050091010A KR100719315B1 KR 100719315 B1 KR100719315 B1 KR 100719315B1 KR 1020050091010 A KR1020050091010 A KR 1020050091010A KR 20050091010 A KR20050091010 A KR 20050091010A KR 100719315 B1 KR100719315 B1 KR 10071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d
mattress
base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239A (ko
Inventor
추적공
Original Assignee
추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적공 filed Critical 추적공
Priority to KR102005009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3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가구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면만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의 유아용 침대를 조립하게 하는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성인용 침대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유아용 침대 혹은 성인용 침대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이들이 유아때 이외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유아용 침대, 성인용 침대, 매트리스

Description

가구용 키트{A Furniture Kit}
도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키트로부터 조립된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유아용 침대의 평면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단부 조립체 및 받침용 발을 도시한 도면,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제1및 제2 직립재를 도시한 도면,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베이스 및 지지 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들과 조립된 지지레일 및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및 지지 레일을 포함하고 있는 조립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된 침대에서 매트리스 지지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8a-도8j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성인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성인용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11a-도11f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성인용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단부 조립체 11:단판들
12a,12b:굴곡부재 20:제1직립재
30:제2직립재 40:지지 레일
50:베이스 60: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70:받침용 발 80:유아용 침대
90:성인용 침대
본 발명은 가구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용 침대(cot) 혹은 성인용 침대(standard bed)로도 조립이 가능한 범용적인 가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침대(cot)는 보통 2살 까지 이용되고, 이렇게 이용된 유아용 침대를 물려줄 형제나 친구가 없을 경우 그 침대는 쓸모가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결과적으로는 국가적으로 경제적인 손실을 입게 되는 폐단도 있다. 또한 계속하여 유아용 침대로만 재활용 하는 것도 유아들에게는 건강상과 안전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용 침대 혹은 성인용 침대로 조립이 가능한 구성요소들을 공급하여 아이들이 유아때 이외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해주는 가구용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배열된 단판들과 그 단판들의 좌우 양 끝단에 설치되어 그 단판들을 지지하는 ㄷ자형의 굴곡부재로 이루어지되 1쌍을 이루어, 상기 굴곡부재의 내면이 상호 대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되어 유아용 침대의 수직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재가 바닥으로 입설되는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성인용 침대의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부 조립체; 창살 모양의 직방형상을 이루어,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의 고정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 상태를 이루는 어느 1개의 단부 조립체의 일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성인용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1직립재(直立材); 상기 제1직립재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수직 설치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의 이동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 및 직방형상을 이루어, 상기 제1및 제2직립재와 상기 단부 조립체들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평이 되게 설치되어 매트리스를 안치시키기 위한 상기 유아용 침대의 바닥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이 되게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기 단부 조립체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부 조립체와 함께 상기 성인용 침대의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재는 창살 모양의 직방형상을 이루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좌우 양측에 측설되어 그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과, 그 지지 레일과 베이스가 형성하는 상하단에 설치되는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중 어느 1개는 상기 성인용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게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의 끝단에 입설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단부 조립체의 굴곡부재 단부에는 바닥과 대면하는 받침용 발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 조립체의 하단에는 상기 유아용 침대에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지지하는 단턱을 갖는 다수개의 브라켓이 그 단턱이 상기 유아용 침대의 내측을 향하도록 탈착되게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원 발명에 따른 가구조립용 키트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키트로부터 조립된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유아용 침대의 평면도이다.
유아용 침대(80)는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설치된 다수개의 단판들(end board)(11)을 갖는 단부 조립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 조립체(10)는 다수개의 단판(end board)(11) 상호간을 서로 지지하면서 가로지르는 ㄷ자형의 굴곡부재(12a)(12b)를 갖고 있다. 상기 굴곡부재들(12a,12b)은 안쪽 면을 마주 보는 상태로서 대향 설치되어 있다.
단부 조립체(10)의 하단부에는 받침용 발(70)이 설치되어 유아용 침대(80)의 안전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단부 조립체(10)의 사이 즉 ㄷ자형 굴곡 부재(12a)(12b)의 사이에는 유아용 침대(80)의 제1고정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직립재(2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직립재(20)와의 반대쪽인 단부 조립체(10)의 사이인 ㄷ자형 굴곡 부재(12a)(12b)의 사이에는 유아용 침대(80)의 제2측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제2직립재(30)는 유아용 침대(80)에서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제1직립재(20)에 평행한 단판(11)과 단부 조립체(10)의 특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2직립재(30)의 사이에는 지지 레일(40)이 신장된다. 지지 레일(40)은 장착되어 베이스(50)를 지지한다(도3d 참조).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는 베이스(50)와 장착된다(도3e 참조).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단부 조립체 및 받침용 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제1및 제2 직립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베이스 및 지지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들과 조립된 지지레일 및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및 지지 레일을 포함하고 있는 조립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a-도3e에는 유아용 침대(Cot)의 조립에 사용되는 키트의 구성 요소들이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몇개의 구성 요소들은 하기 성인용 침대(90)를 구성하는데 다시 이용된다.
먼저 유아용 침대(80)의 구성요소들로는 유아용침대의 양 단부를 구성하는 한쌍으로 구성된 단부 조립체(端部 組立體)(10), 상기 단부 조립체(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단판들(端板)(11), 및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여 침대 구조에서 침대의 다리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한쌍의 ㄷ자형 굴곡부재(12a)(12b)들로 구성되며(도3a 참조), 각각의 말단에 위치한 단판(11)의 제 1측면에 위치하거나 혹은 부착된 굴곡부재(12a)들 사이에서 고정가능하고 헤드판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제1직립재(20)(도3b 참조), 각각 단판(11)의 제2측면에 위치하거나 부착된 굴곡부재(12b)에 부착할 수 있는 상하 이동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30)(도3b 참조), 한 쌍의 지지 레일(40)(도3c 참조), 베이스(50)(도1c 참조), 한쌍의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60)(도 3d 참조) 및 받침용 발(feet)(70)(도3a 참조)을 포함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된 침대에서 매트리스 지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제1직립재(20)는 성인용 침대(90)의 일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성인용 침대(90)의 헤드부 역할을 한다. 상기 단부 조립체(10)는 성인용 침대(90)의 좌우 양 끝단에 위치하여 바닥으로부터 침대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단부로 사용된다. 상기 단부 조립체(10)는 상기 굴곡부재(12a)와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굴곡부재(12b)는 성인용 침대(90)를 바닥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리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용 발(70)은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닥과 직접적으로 대면함으로써 성인용 침대(90)의 안전을 보조한다. 상기 단판들(11)은 성인용 침대(90)에서 매트리스 지지 부분을 형성하다. 상기 지지 레일(40)과 베이스(50)는 상기 단판들(11)이 형성한 매트리스 지지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판들(11)과 함께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상기 단판들(11)과 지지 레일(40) 및 베이스(50)는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지지를 받는다. 이와 같이 상기 단판들(11)과 지지 레일(40) 및 베이스(50)는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데, 상기 지지 레일(40)은 도11d를 설명하는 하기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의 중간 좌우 양측에 그 지지체의 길이를 따라 수평이 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50)가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게 그 베이스(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유아용 침대(80)에서 그 침대(80)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는 상기 단부 조립체(10)와 대향하는 성인용 침대(90)의 단부에 입설되어 매트리스가 성인용 침대(9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8a-도8j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6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아용 침대(80)의 내부에 매트리스(M)를 안치하여 완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유아용 침대(80)는 상기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재들(A-F,21,31)을 통해 유기적으로 조립됨으로서 완성된다. 도7에서 표시 A는 유아용 침대(80)에서 상기 제2직립재(3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볼트부재이고, 표시 B는 표시 C-F에 나열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볼트부재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목핀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21,31)는 제1 및 제2직립재(20,30)의 상단에 추가 결합되는 제1 및 제2덧댐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51)는 베이스(50) 지지용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부재들(A-F,21,31)이 마련되면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단에 상기 목핀(B)이 삽설되고, 그 목핀(B)에 상기 제1덧댐부재(21)가 삽설됨으로써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단에 상기 제1덧댐부재(21)가 설치되는데, 그 제1덧댐부재(21)는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단 하면으로부터 위를 향해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E)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직립재(2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직립재(30)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 식으로 제2덧댐부재(31)가 설치된다.
또한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핀(B)은 상기 베이스(50)의 길이단을 형성하는 좌우 양 측단에 삽설되는데, 그 목핀(B)을 통해서 상기 지지 레일(40)이 상기 베이스(50)의 양 측단에 삽설된다. 상기 지지 레일(40)은 상기 베이스(50)의 양 측단 내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E)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5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는 상기 베이스(50)의 상하단에 상기 목핀(B)을 통해서 설치되고, 그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결합되는 볼트부재(F)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5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용 발(70)은 상기 볼트부재(F)를 통해서 상기 굴곡부재(12a 또는 12b)의 하부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마련된 제1직립재(20)는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며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굴곡부재들(12a)의 사이에 상기 볼트부재(F)를 통해서 탈착되게 설치되어 유아용 침대(80)의 고정면을 형성한다.
이후 도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직립재(20)의 대향면이 되는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굴곡부재들(12b)의 사이에 상기 제2직립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직립재(30)는 상기 굴곡부재들(12b)의 수직 단면 중간에 헤드부가 노출되게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A)의 그 헤드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직립재(30)는 그 좌우 양 측단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라인홈이 상기 볼트부재(A)의 헤드부에 끼워짐으로 써 유아용 침대(80)에 상하 이동면을 형성하게 한다. 상기 제2직립재(30)는 그 좌우 양 측단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C)를 통해서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굴곡부재들(12b)의 사이에 고정되며, 그 볼트부재(C)가 제거되어야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내측을 향하도록 4개의 상기 브라켓(51)이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각 하부에 임의의 높이로 탈착되게 끼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51)은 중앙에 볼트 체결공(도면부호 미표시)을 형성하여 그 볼트 체결공을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굴곡부 사이에 설치되는 단판(11)의 길이를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구멍들(도면부호 미표시) 중 어느하나의 구멍에 일치시킨 후 볼트체결함으로서 그 구멍들을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탈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단부 조립체(10)에 남아 있는 구멍들은 상기 볼트부재(C)의 체결로 폐쇄된다.
이어서 도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레일(40), 베이스(50) 및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로 이루어진 바닥체가 상기 브라켓(50)의 단턱에 걸려 안치됨으로써 유아용 침대(80)의 바닥이 완성되며, 그 바닥체는 상기 베이스(50)를 관통하여 상기 굴곡부재(12a,12b)에 체결되는 볼트부재(F)를 통해서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조립체(10)에 남아 있는 구멍에 볼트부재(C)가 결합되어 폐쇄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아용 침대(80)가 조립 완성되고, 상기 바닥체에 코트 매트리스를 깔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한 유아용 침대(8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50)의 설치 높이는 상기 베이스(50)와 브라켓(51)을 분리할 때, 상기 브라켓(51)을 필요한 위치로 옮길 때, 유아용 침대(80)의 바닥체를 재조립할 때 등에 변경될 수 있다. 도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는 신생아를 위해서 바닥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아기가 걸어 다닐 수 있기 전까지는 그 높이를 낮게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브라켓(51) 의 설치 위치 조정으로 가능하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성인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성인용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11a-도11f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성인용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성인용 침대(90)에 매트리스를 깔아 완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성인용 침대(90)는 상기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재들(B-H,22,23,61,62)을 통해 유기적으로 조립됨으로서 완성된다. 도10에서 표시 B는 핀부재를, 표시 C,D,E,F,H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볼트부재를, 표시 G는 마감용 볼트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22)는 성인용 침대(90)의 헤드부 상단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를, 도면부호(23)는 성인용 침대(90)의 헤드부의 좌우 양 측단을 형성하는 측단부재를, 도면부호(61)는 성인용 침대(90)의 헤드부와 대향하는 끝단을 형성하는 끝단부재를, 도면부호(62)는 상기 끝단부재(6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부재들(B-H,22,23,61,62)이 마련되면,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부에 상기 핀부재(B)를 통해서 상기 장식부재(22)를 설치하는데, 상기 제1직립재(20)와 장식부재(22)는 상기 볼트부재(E)의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된다.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조립체(10)는 상기 굴곡부재(12a,12b)가 바닥으로부터 입설되어 성인용 침대(90)용 다리를 형성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수평이 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용 발(70)은 상기 볼트부재(D)를 통해서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후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부 조립체(10)의 일단 좌우 양측, 즉 상기 굴곡부재(12a,12b)가 대향하여 형성하는 단부에는 그 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볼트부재(E)를 통해서 상기 측단부재(23)가 입설되고, 그 측단부재(23)의 사이에 상기 핀부재(B)와 볼트부재(E,F)를 통해서 상기 제1직립재(20)가 고정 설치됨으로써 성인용 침대(90)용 헤드부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단부 조립체(10)와는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굴곡부재(12a,12b)가 대향하여 형성하는 일단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단부 조립체(10)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 레일(40)이 그 사이를 가로질러 나란히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레일(40)은 그 양단을 상기 골곡부재들(12a,12b)의 굴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S) 즉, 상기 단판들(11)이 형성하는 틈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를 훼손하지 않고 상기 단부 조립체들(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50)는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지지 레일(40) 위에 안착됨으로서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도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용 침대(90)의 헤드부와 대향하게 메트리스 지지체의 끝단에 지지부재(62)를 상기 볼트부재(E)를 사용하여 장착한 후, 그 지지부재(62) 위에 상기 볼트부재(F)를 사용하여 상기 끝단부재(61)을 입설시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인용 침대(90)가 조립 완성되고, 도1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트리스 지지체에 매트리스(M)를 깔면 완전한 성인용 침대(90)가 완성된다. 상기 성인용 침대(90)에 남아 있는 구멍들에는 상기 볼트부재(H)와 마감용 볼트부재(G)으로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용 침대 혹은 성인용 침대로의 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이들이 유아때 이외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개로 배열된 단판들과 그 단판들의 좌우 양 끝단에 설치되어 그 단판들을 지지하는 ㄷ자형의 굴곡부재로 이루어지되 1쌍을 이루어, 상기 굴곡부재의 내면이 상호 대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되어 유아용 침대의 수직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재가 바닥으로 입설되는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성인용 침대의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부 조립체;
    창살 모양의 직방형상을 이루어,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의 고정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 상태를 이루는 어느 1개의 단부 조립체의 일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성인용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1직립재(直立材);
    상기 제1직립재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수직 설치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의 이동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 및
    직방형상을 이루어, 상기 제1및 제2직립재와 상기 단부 조립체들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평이 되게 설치되어 매트리스를 안치시키기 위한 상기 유아용 침대의 바닥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이 되게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기 단부 조립체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부 조립체와 함께 상기 성인용 침대의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재는 창살 모양의 직방형상을 이루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좌우 양측에 측설되어 그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과, 그 지지 레일과 베이스가 형성하는 상하단에 설치되는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중 어느 1개는 상기 성인용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게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의 끝단에 입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조립체의 굴곡부재의 단부에는 바닥과 대면하는 받침용 발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조립체의 하단에는 상기 유아용 침대에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지지하는 단턱을 갖는 다수개의 브라켓이 그 단턱이 상기 유아용 침대의 내측을 향하도록 탈착되게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
KR1020050091010A 2005-09-29 2005-09-29 가구용 키트 KR10071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010A KR100719315B1 (ko) 2005-09-29 2005-09-29 가구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010A KR100719315B1 (ko) 2005-09-29 2005-09-29 가구용 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74U Division KR200417805Y1 (ko) 2005-09-29 2005-09-29 가구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239A KR20070036239A (ko) 2007-04-03
KR100719315B1 true KR100719315B1 (ko) 2007-05-22

Family

ID=3815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010A KR100719315B1 (ko) 2005-09-29 2005-09-29 가구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3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705A (en) * 1985-03-05 1986-11-18 Joubert Roger D Toddler bed construction utilizing crib converter kit
US5575223A (en) * 1993-09-22 1996-11-19 Inntegra Ag Furniture k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705A (en) * 1985-03-05 1986-11-18 Joubert Roger D Toddler bed construction utilizing crib converter kit
US5575223A (en) * 1993-09-22 1996-11-19 Inntegra Ag Furniture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239A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50B1 (en) Crib having movable and stationary sides, multiple bases, and a base connector
NZ223098A (en) Play pen with trampoline-like base and curtain between upper and lower frames
US5263424A (en) Utility/activity structure and activity board therefor
US2736131A (en) Toy for
KR100719315B1 (ko) 가구용 키트
US2629110A (en) Playpen
KR200417805Y1 (ko) 가구용 키트
JP6116763B1 (ja) 組替え可能なベビーベッド
KR200382312Y1 (ko) 침대 외곽 프레임의 결합구조
TWM550089U (zh) 具有可升降門之遊戲床
TWI524867B (zh) 多階段組合式嬰兒床
JP2002177054A (ja) 天板とこれを支持する脚を有する複数種類の家具
KR200406355Y1 (ko) 가구용 키트
WO2017199377A1 (ja) 組み立て式ベッド
RU75286U1 (ru) Детская игровая стенка
JP3165098U (ja) 登攀運動系遊具
CN201039866Y (zh) 婴儿自我安抚、自行运动装置
KR100916840B1 (ko)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
JP2006122397A (ja) 組替え式二段ベッド
KR200359665Y1 (ko) 아동용 놀이기구
KR20220058981A (ko) 벽면밀착형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0334266Y1 (ko) 움직이는 인형을 구비한 유아용 침대
JPH0710606Y2 (ja) 折り畳み式側柵
JPH0586389U (ja) ブランコ
KR200436149Y1 (ko) 피아노 보조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