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712B1 -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 - Google Patents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712B1
KR100718712B1 KR1020000033320A KR20000033320A KR100718712B1 KR 100718712 B1 KR100718712 B1 KR 100718712B1 KR 1020000033320 A KR1020000033320 A KR 1020000033320A KR 20000033320 A KR20000033320 A KR 20000033320A KR 100718712 B1 KR100718712 B1 KR 10071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error
class
decoding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417A (ko
Inventor
마에다유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04L1/0082Formats for control data fields explicitly indicating existence of error in data being transmitted, e.g. so that downstream stations can avoid decoding erroneous packet;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8Unequal err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저비트율의 음성부호화 방식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비트는,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 강하게 보호된다. 복호측에서는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 부호를 이용하여 전송오류를 검사한 결과에 따라서 복호화출력을 조정할 때, 음성복호처리가 시행된 후의 음성신호로서의 연속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컨벌루션 복호화기(16)는, 부호화 장치측으로부터의 컨벌루션 부호화 출력에 컨벌루션 복호화를 시행하고, 오류검사부호가 부가된채의 중요비트군과, 상기 중요비트군을 제외한 비트군과를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으로 한다. CRC부호비교 & 프레임마스크부(15)는 컨벌루션 복호화기(16)로부터의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CRC검사부호와 상기 중요비트군을 제외한 비트군에서 계산한 CRC오류검사부호를 비교하고, 상기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을 조정한다.

Description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Decoding device and method, and medium for providing a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휴대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휴대전화장치를 구성하는 음성부호화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음성부호화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비트율 2kbps 및 4kbps에 공통의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4kbps에만 고유의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트율 2kbps일때의 유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비트율 2kbps일때의 무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트율 4kbps일때의 유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비트율 4kbps일때의 무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트율 2kbps일때의 유성음 파라메터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트율 2kbps일때의 무성음 파라메터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비트율 4kbps일때의 유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Ⅰ비트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비트율 4kbps일때의 유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Ⅱ∼클래스Ⅴ비트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비트율 4kbps일때의 유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Ⅵ, 클래스Ⅶ비트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비트율 4kbps일때의 무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Ⅰ비트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비트율 4kbps일때의 무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Ⅱ∼클래스Ⅴ비트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비트율 4kbps일때의 무성음 파라메터의 클래스Ⅵ, 클래스Ⅶ비트의 채널코더에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2kbps의 유성음의 클래스Ⅰ∼클래스Ⅵ까지, 4kbps의 유성음의 클래스Ⅱ∼클래스Ⅶ까지의 비트어싸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휴대전화장치를 구성하는 전송로 복호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천이도이다.
도 20은 상기 수학식 7에서 사용되는, 보간함수(P)의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상태변수(state)의 값에 따라서, 출력음의 음량을 제어하는 뮤트변수(mute)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상기 수학식 10에서 사용되는, s[i]의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음성복호화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상기 음성복호화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상기 휴대전화장치가 행하는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상기 휴대전화장치가 행하는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전송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상기 전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상기 전송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단말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 음성부호화기 4. 전송로 부호화기
5. CRC부호계산부 6. 컨벌루션부호화기
14. 전송로 복호화기 15. CRC부호비교부 및 프레임마스크부
16.컨벌루션복호화기 23.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
본 발명은,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보호된 부호화 파라메터를 복호하는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신호(음성신호나 음향신호를 포함)의 시간영역이나 주파수영역에 있어서의 통계적 성질과 인간의 청감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압축을 행하는 바와같은 부호화방법이 종종 알려져 있다. 이 부호화방법으로서, 소위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부호여기선형예측)부호화계의 부호화 방식인 VSELP(Vector Sum Excited Linear Prediction: 벡터화 여기선형예측)부호화 방식이나, PSI-CELP(Pitch Synchronus Innovation - CELP: 피치동기잡음여기원 - CELP)부호화 방식 등이 저비트율의 음성부호화 방식으로서 요즘 주목되고 있다.
이 CELP부호화 방식 등의 파형부호화 방식에 있어서는, 입력음성신호의 소정수의 샘플을 부호화 단위로서 블록화 혹은 프레임화 하고, 블록 혹은 프레임마다 음성시간축 파형에 대해서, 합성에 의한 분석(analysis by synthesis)법을 이용하여 최적벡터의 클로즈 드롭 서치를 행함으로써 파형의 벡터양자화를 행하고, 그 벡터의 인덱스를 출력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저비트율, 예를들면 2kbps 또는 4kbps의 음성부호화 방식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비트는, 특정의 오디오 정보내용에 구애되지 않고, 일반적인 오디오로서, 통신, 컴퓨터, 방송 등의 분야에 넓게 적용되기 때문에,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 강하게 보호할 필요가 있다.
전송로에서 연속적으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음성복호시에 음의 결함 등이 긴 시간에 걸쳐서 연속하게 되고, 음성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일본특원평 09-285903호 명세서에 의해,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강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부호화 방법과 장치 및 복호방법 및 장치를 밝히게 하였다.
이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입력음성신호를 시간축상에서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서 구분하고, 각 부호화 단위에서 부호화를 행하여 복수종류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를 출력하고, 그 복수종류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내에서 청감상 중요한 중요비트군을 선택하고, 이 중요비트군에서 오류검사부호를 생성하고, 상기 오류검사부호와 상기 중요비트군에 컨벌루션 부호화를 시행한다. 이 때문에, 청감상 중요한 비트군을 전송로오류에서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오류검사부호와 상기 중요비트군에 컨벌루션 부호화가 시행되고, 상기 중요비트군을 제외한 비트군에 접합되어서 전송되어온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해, 상기 복호방법 및 장치는, 상기 컨벌루션 부호화 출력에 컨버루션 부호화를 시행하고, 상기 오류 검사부호가 부가된채로의 상기 중요비트군과, 상기 중요비트군을 제외한 비트군을 컨벌루션 부호화 출력으로 하고, 그 컨벌루션 부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전송오류를 검사하고, 그 오류검사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을 조정하고, 이 조정된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음성복호화 처리를 시행한다. 이 때문에, 전송로 오류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한 음성을 복호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복호방법 및 장치에서는,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전송오류를 검사한 오류검사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출력을 조정할 때, 음성복호처리가 시행된 후의 음성신호로서의 연속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 음성신호로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고품질의 음성을 복호할 수 있는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호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호화 장치에 의해 입력음성신호가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 단위로 구분되어 부호화 되고, 또한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어서 전송되어 온 부호화 파라메터를 복호하는 복호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전송로복호수단을 갖춘다.
여기서, 상기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는 복수개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표시하는 인덱스가,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어서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복호수단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온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인덱스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한다.
또, 상기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는 교대학습에 의해 작성된 다단벡터 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 되어서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수단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복수개의 인덱스에 오류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호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호화장치에 의해 입력음성신호가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단위에서 구분되어 부호화 되고, 또한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어 전송되어 온 부호화 파라메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전송로 복호공정을 갖춘다.
또, 상기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는 복수개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어서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공정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인덱스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한다.
또, 상기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는 교대학습에 의해 작성된 다단벡터 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으로,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서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복호공정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복수개의 인덱스에 오류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호화 장치에 의해 입력음성신호가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 단위로 구분되어 부호화되고, 또한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어서 전송되어 온 부호화 파라메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공매체에 있어서,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전송로 복호스텝을 갖추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 상기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는 복수개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어서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복호스텝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인덱스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 상기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는 교대학습에 의해 작성된 다단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류되어서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스텝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복수개의 인덱스에 오류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복호장치 및 방법의 구체예가 되는 복호장치를 갖춘 도 1에 도시하는 휴대전화장치이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예를들면 2kbps 또는 4kbps의 저비트율의 음성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 장치도 갖추고 있다.
부호화 장치는, 입력음성신호를 시간축상에서 소정의 부호화 단위로 구분하여 각 부호와 단위마다 부호화를 행하여 복수종류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음성부호화 파라메터의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비트를 복수의 보호클래스로 할당한다. 예를들면, 비트율이 2kbps인 경우에는 6클래스, 4kbps인 경우에는 7클래스로 할당한다. 클래스할당하고, 음성부호화 파라메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먼저, 이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부호화장치는, 음성부호화기(3)와,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와, 전송로부호화기(4)를 갖추게 된다. 음성부호화기(3)는 입력음성신호를 시간축상에서 소정의 부호화 단위로 구분하여 각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를 행하여 복수종류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를 출력한다.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는, 음성부호화기(3)로부터의 상기 복수종류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를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비트율이 2kbps인 경우에는 6클래스, 4kbps인 경우에는 7클래스로 클래스 분할하는 동시에, 다음 단의 전송로부호화기(4)에의 입력순서를 결정한다. 전송로부호화기(4)는, 클래스분류 & 입력순서결정부(23)에서 분할된 클래스, 및 입력순서에 따라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회용장체크) 검사부호를 생성하고, CRC검사부호를 비트에 적용한다. 전송로부호화기(4)는 때때로 보호목적으로 컨벌루션부호화를 CRC검사부호에 부가하여 비트에 적용한다. 전송로부호화기(4)는 때때로 보호 없이 실행한다.
클래스분류 & 입력순서결정부(23)는 비트제어기(23a)와 RAM(23b)을 갖춘다. 비트제어기(23a)는, 음성부호화기(3)로부터의 상기 복수종류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를 RAM(23b)을 작업영역으로 하고,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하는 동시에 입력순서를 결정한다.
전송로 부호화기(4)는, CRC부호계산부(5)와 컨벌루션 부호화기(6)를 갖춘다. CRC부호계산부(5)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회용장체크) 검사부호를 생성한다. 컨벌루션 부호화기(6)는 필요에 따라서 CRC부호계산부(5)로부터의 상기 CRC검사부호가 걸어둔 비트군에 컨벌루션 부호화를 시행한다. 또, 전송로 부호화기(4)는 단순히 CRC부호계산부(5)로부터의 상기 CRC검사부호가 걸어둔 비트군을 출력하는 것도 있다. 전송로부호화기(4)는 클래스에 따라서 어떤 처리도 하지않고 비트군을 전송할 수 있다.
또, 이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호장치 및 방법을 적용한 복호장치는, 상기 컨벌루션 출력에 컨벌루션 복호화를 시행하고, 상기 오류검사부호가 부가된채의 상기 중요비트군과, 상기 중요비트군을 제외한 비트군을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으로 하는 컨벌루션 복호화기(16)와, 이 컨벌루션 복호화기(16)로부터의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CRC검사부호와 상기 중요비트군을 제외한 비트군에서 계산한 CRC오류 검사부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벌루션 부호화 출력을 조정하는 CRC부호비교 & 프레임마스크부(15)와, 이 CRC부호비교 & 프레임마스크부(15)로부터의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음성복호화처리를 실시하는 음성복호화기(17)를 갖추게 된다.
이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송신시, 마이크로폰(1)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는, A/D변환기(2)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음성부호화기(3)에 의해 2kbps/4kbps라고 하는 저비트율의 부호화 파라메터로 되고,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에 있어서 클래스분할 및 입력순서가 결정되고, 전송로 부호화기(4)에 의해 전송로의 품질이 음성품질에 영향을 받기 쉽도록 부호화 된 후, 변조기(7)에서 변조되고, 송신기(8)에서 출력비트에 송신처리가 시행되고, 안테나공용기(9)를 통해서, 안테나(10)에서 송신된다.
또, 수신시에는 안테나(10)에서 잡힌 전파가, 안테나 공용기(9)를 통해서 수신기(11)에서 수신되고, 복조기(13)에서 복조되고, 전송로복호화기(14)에서 전송로오류가 정정되고, 음성복호화기(17)가 복호되고, D/A변환기(18)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되돌아가서, 스피커(19)에서 출력된다.
또, 제어부(20)는 상기 각부를 제어하고, 신세사이저(12)는 송수신주파수를 송신기(8), 및 수신기(11)에 부여되고 있다. 또, 키패드(21) 및 LCD표시기(22)는 맨머신 인터페이스에 이용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휴대전화장치 중에서, 전송로 부호화기(4)를 구성하는 CRC부호계산부(5)는,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에서 클래스 분할되고, 입력순서가 결정된, 상기 음성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개형(槪形)을 형성하는 선스펙트럼쌍(LSP) 파라메터의 일부 또는 전부, 상기 음성신호가 유성음(Voice: V)이 무성음(Un Voice: UV)을 나타내는 유성음(V)/무성음(UV)판정 파라메터의 전부, 상기 음성신호가 유성음일때의 피치(Pith) 파라메터의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하게 상기 음성신호가 유성음일때의 선형예측부호화(LPC) 잔차신호의 스펙트럼 엔벌로프(envelope)를 나타내는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 및 게인 인덱스의 일부 또는 전부, 및 상기 음성신호가 무성음일때의 선형예측부호화(LPC) 잔차신호의 잡음코드북 인덱스 및 게인 인덱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고, 이들에서 CRC검사부호를 생성한다.
이들의 음성부호화 파라메터는, 음성부호화기(3)에 의해 얻어진다. 이 음성부호화기(3)가 행하는 음성부호화 방법은, 입력음성신호의 단기예측잔차를 구하는 단기예측잔차 산출공정과, 구해진 단기예측잔차를 사인파 분석부호화 하는 사인파 분석부호화 공정과, 상기 입력음성신호를 파형부호화에 의해 부호화 하는 파형부호화 공정을 갖추게 된다. 이 음성부호화기(3)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음성부호화기(3)의 기본적인 고안법은, 입력음성신호의 단기예측잔차 예를 들면 LPC(선형예측부호화) 잔차를 구해서 사인파 분석(sinusoidal analysis)부호화, 예를들면 하모닉코딩(harmonic coding)을 행하는 제 1부호화부(11)와, 입력음성신호에 대해서 위상재현성이 있는 파형부호화에 의해 부호화 하는 제 2부호화부(120)를 가지고, 입력신호의 유성음(V: Voiced)의 부분의 부호화에 제 1부호화부(110)를 이용하고, 입력신호의 무성음(UV: Unvoiced)의 분석의 부호화에는 제 2부호화부(120)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부호화부(110)에는 예를 들면 LPC잔차를 하모닉 부호화나 멀티밴드여기(MBE)부호화와 같은 사인파 분석부호화를 행하는 구성이 이용된다. 상기 제 2부호화부(120)에는, 예를들면 합성에 의한 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벡터의 클로즈 드롭 서치에 의한 벡터양자화를 이용한 부호여기선형예측(CELP)부호화의 구성이 이용된다.
도 2의 예에서는, 입력단자(101)에 공급된 음성신호가, 제 1부호화부(110)의 LPC역필터(111) 및 LPC분석·양자화부(113)에 보내지고 있다. LPC분석·양자화부(113)에서 얻어진 LPC계수 혹은 소위 α파라메터는, LPC역필터(111)에 보내져서, 이 LPC역필터(111)에 의해 입력음성신호의 선형예측잔차(LPC잔차)가 취출된다. 또, LCP분석·양자화부(113)에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LSP(선스펙트럼쌍)의 양자화출력이 취출되고, 이것이 출력단자(102)에 보내진다. LPC역필터(111)로부터의 LPC잔차는,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에 보내진다.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에서는, 피치검출이나 스펙트럼 엔벌로프 진폭계산이 행해지는 동시에, V(유성음)/UV(무성음) 판정부(115)에 의해 V/UV의 판정이 행해진다.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로부터의 스펙트럼 엔벌로프 진폭데이터가 벡터양자화부(116)에 보내진다.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벡터양자화 출력으로서의 벡터양자화부(116)로부터의 코드북 인덱스는, 스위치(117)를 거쳐서 출력단자(103)에 보내지고,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로부터의 출력은, 스위치(118)를 거쳐서 출력단자(104)에 보내진다. 또, V/UV판정부(115)로부터의 V/UV판정결과는, 출력단자(105)에 보내지는 동시에, 스위치(117, 118)의 제어신호로서 보내지고 있고, 상술한 유성음(V)일때 상기 인덱스 및 피치가 선택되어서 각 출력단자(103 및 104)에 각각 취출된다.
도 2의 제 2부호화부(120)는, 이 예에서는 CELP(부호여기선형예측) 부호화구성을 가지고 있고, 잡음코드북(121)으로부터의 출력을 가중의 합성필터(122)에 의해 합성처리하고, 얻어진 가중음성을 감산기(123)에 보내고, 입력단자(101)에 공급된 음성신호를 청각가중필터(125)를 거쳐서 얻어진 음성과의 오차를 취출하고, 이 오차를 거리계산회로(124)에 보내져서 거리계산을 행하고, 오차가 최소로 되는 바와같은 벡터를 잡음코드북(121)에서 서치하는 바와같은, 합성에 의한 분석(Analysis by Synthesis)법을 이용한 클로즈 드롭 서치를 이용한 시간축파형의 벡터양자화를 행하고 있다. 이 CELP부호화는, 상술한 바와같이 무성음부분의 부호화에 이용되고 있고, 잡음코드북(121)으로부터의 UV디코더로서의 코드백 인덱스는, 상기 V/UV판정부(115)로부터의 V/UV판정결과가 무성음(UV)일때 온이 되는 스위치(127)를 거쳐서 출력단자(107)에서 취출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나타낸 음성부호화기(3)에 의해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는 도면이다. 또한, 이 도 3에 있어서, 상기 도 2의 각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지시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도 3에 나타낸 음성부호화기(3)에 있어서, 입력단자(101)에 공급된 음성신호는, 하이패스필터(HPF)(109)로서 불필요한 대역의 신호를 삭제하는 필터처리가 실시된 후, LPC(선형예측부호화)분석·양자화부(113)의 LPC분석회로(132)와, LPC역필터회로(111)에 보내진다.
LPC분석·양자화부(113)의 LPC분석회로(132)는, 입력신호파형의 256샘플정도의 길이를 1블록으로 하는 해밍창을 형성하고, 자기상관법에 의해 선형예측계수, 소위 α파라메터를 구한다. 데이터출력의 단위로 되는 프레이밍의 간극은, 160샘플정도로 한다. 샘플링주파수(fs)가 예를들면 8kHz일때, 1프레임간극은 160샘플로 20msec로 된다.
LPC분석회로(132)로부터의 α파라메터는, α→LPS변환회로(133)에 보내져서, 선스펙트럼쌍(LSP) 파라메터로 변환된다. 이것은, 직접형의 필터계수로서 구해진 α파라메터를, 예를들면 10개, 즉 5쌍의 LSP파라메터로 변환한다. 변환은 예를들면 뉴트랜퍼슨법 등을 이용하여 행한다. 이 LSP파라메터로 변환하는 것은, α파라메터보다도 보정특성에 뛰어나기 때문이다.
α→LSP변환회로(133)로부터의 LSP파라메터는, LSP양자화기(134)에 의해 매트릭스 혹은 벡터양자화 된다. 이때, 프레임간 차분을 취하기 때문에 벡터양자화해도 좋고, 복수프레임분을 모아서 매트릭스양자화 해도 좋다. 여기서는, 20msec를 1프레임으로 하고, 20msec마다 산출되는 LSP파라메터를 2프레임분 모아 서, 매트릭스양자화 및 벡터양자화 하고 있다.
이 LSP양자화기(134)로부터의 양자화 출력, 즉 LSP양자화의 인덱스는, 단자(102)를 거쳐서 취출되고, 또 양자화 나머지의 LSP벡터는, LSP보간회로(136)에 보내진다.
LSP보간회로(136)는, 상기 20msec 혹은 40msec마다 양자화 된 LSP의 벡터를 보간하고, 8배의 레이트로 한다. 즉, 2.5msec마다 LSP벡터가 갱신되도록 한다. 이것은 잔자파형을 하모닉부호화 복호화 방법에 의해 분석합성하면, 그 합성파형의 엔벌로프는 상당히 완만하고 스므스한(smooth) 파형이 되기 때문에, LPC계수가 20msec마다 급격히 변화하면 이음을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2.5msec마다 LPC계수가 서서히 변화하여 가도록 하면, 이와같은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보간이 행해진 2.5msec마다의 LSP벡터를 이용하여 입력음성의 역필터링을 실행하기 위해, LSP→α변환회로(137)에 의해, LSP파라메터를 예를들면 10차정도의 직접형 필터의 계수인 α파라메터로 변환한다. 이 LSP→α변환회로(137)로부터의 출력은, 상기 LSP역필터회로(111)에 보내지고, 이 LSP역필터(111)에서는, 2.5msec마다 갱신되는 α파라메터에 의해 역필터링처리를 행하여, 원활한 출력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 LSP역필터(111)로부터의 출력은,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하모닉 부호화회로의 직교변환회로(145), 예를들면 DFT(이산푸리에변환)회로로 보내진다.
LPC분석·양자화부(113)의 LPC분석회로(132)로부터의 α파라메터는, 청각가중필터 산출회로(139)에 보내져서 청각가중하기 위한 필터가 구해지고, 이 가중데 이터가 후술하는 청각가중의 벡터양자화기(116)와, 제 2부호화부(120)의 청각가중필터(125) 및 청각가중의 합성필터(122)로 보내진다.
하모닉부호화회로 등의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에서는, LPC역필터(111)로부터의 출력을, 하모닉부호화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즉, 피치검출, 각 하모닉스의 진폭(Am)의 산출, 유성음(V)/무성음(UV)의 판별을 행하고, 피치에 의해 변화하는 하모닉스의 엔벌로프 혹은 진폭(Am)의 갯수를 차원변환하여 일정수로 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일반의 하모닉부호화를 상정하고 있는바, 특히, MBE(Multiband Excitation: 멀티밴드여기)부호화의 경우에는, 동시각(동일 블록 혹은 프레임내)의 주파수축영역 소위 밴드마다 유성음(Voiced)부분과 무성음(Unvoiced)부분이 존재한다는 판정에서 모델화 하게 된다. 그것 이외의 하모닉부호화에서는, 1블록 혹은 프레임내의 음성이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의 택일적인 판정이 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중의 프레임마다 U/UV는, MBE부호화에 적용한 경우에는, 전밴드가 UV일때를 당해 프레임의 UV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MBE의 분석합성방법에 대해서는, 본건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특원평 4-91422호 명세서 및 도면에 상세한 구체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3의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의 오픈루프피치서치부(141)에는, 상기 입력단자(101)로부터의 입력음성신호가, 또 제로 크로즈카운터(zero cross counter) (142)에는, 상기 HPF(하이패스필터)(109)로부터의 신호가 각각 공급되어 있다. 사인파 분석부호화부(114)의 직교변환회로(145)에는, LPC역필터(111)로부터의 LPC잔차 혹은 선형예측잔차가 공급되어 있다. 오픈루프피치서치부(141)에서는 입력신호의 LPC잔차를 취해서 오픈루프에 의한 비교적 라프한 피치의 서치가 행해지고, 추출된 조(粗)피치데이터는 고정밀도 피치서치(146)로 보내져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클로즈드루프에 의한 고정밀도의 피치서치(피치의 파인서치)가 행해진다. 또, 오픈루프피치서치부(141)에서는, 상기 조피치데이터와 함께 LPC잔차의 자기상관의 최대값을 파워로 정규화한 정규화 자기상관최대값(r(p))가 취출되고, V/UV(유성음/무성음)판정부(115)에 보내지고 있다.
직교변환회로(145)에서는 예를들면 DET(이산푸리에변환) 등의 직교변환처리가 시행되어, 시간축상의 LPC잔차가 주파수축상의 스펙트럼 진폭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직교변환회로(145)로부터의 출력은, 고정밀도 피치서치부(146) 및 스펙트럼진폭 혹은 엔벌로프를 평가하기 위한 스펙트럼 평가부(148)에 보내진다.
고정밀도(파인) 피치서치부(146)에는, 오픈루프피치서치부(141)에서 추출된 비교적 라프한 조피치데이터와, 직교변환부(145)에 의해 예를들면 DFT된 주파수축상의 데이터가 공급되어 있다. 이 고정밀도 피치서치부(146)에서, 상기 조피치데이터값을 중심으로, ±수 샘플씩 흔들어서, 최적한 소수점붙임(후로딩)의 파인피치데이터의 값에 근접시킨다. 이때의 파인서치의 법칙으로서, 소위 합성에 의한 분석(Analysis by Synthesis)법을 이용하고, 합성된 파워스펙트럼이 원음의 파워스펙트럼에 가장 가깝게 되도록 피치를 선택하고 있다. 이와같은 클로즈드루프에 의한 고정밀도의 피치서치부(146)로부터의 피치데이터에 대해서는 스위치(18)를 거쳐서 출력단자(104)를 보내고 있다.
스펙트럼 평가부(148)에서는, LPC잔차의 직교변환출력으로서의 스펙트럼진폭 및 피치에 의거하여 각 하모닉스의 크기 및 그 집합인 스펙트럼 엔벌로프가 평가되고, 고정밀도 피치서치부(146), V/UV(유성음/무성음)판정부(115) 및 청각가중의 벡터양자화기(116)로 보내진다.
V/UV(유성음/무성음)판정부(115)는, 직교변환회로(145)로부터의 출력과, 고정밀도피치서치부(146)로부터의 최적피치와, 스펙트럼 평가부(148)로부터의 스펙트럼 진폭데이터와, 오픈루프피치서치부(141)로부터의 정규화 자기상관최대값(r(p))과, 제로크로즈 카운터(142)로부터의 제로크로즈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당해 프레임의 V/UV판정이 행해진다. 또한 MBE의 경우의 각 밴드마다 V/UV판정결과의 경계위치도 당해 프레임의 V/UV판정의 하나의 조건으로 하여도 좋다. 이 V/UV판정부(115)로부터의 판정출력은, 출력단자(105)를 거쳐서 취출된다.
그런데, 스펙트럼 평가부(148)의 출력부 혹은 스펙트럼 양자화기(16)의 입력부에는, 데이터수 변환(일종의 샘플링율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데이터수 변환부는, 상기 피치에 따라서 주파수축상에서의 분할대역수가 다르고, 데이터수가 다른 것을 고려하여, 엔벌로프의 진폭데이터 |Am|을 일정의 갯수로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예를들면 유효대역을 3400kHz까지로 하면, 이 유효대역이 상기 피치에 따라서, 8밴드∼63밴드로 분할되게 되고, 이들의 각 밴드마다 얻어지는 상기 진폭데이터 |Am|의 갯수 mMX+1도 8∼63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데이터수 변환부(119)에서는, 이 가변갯수(mMX+1)의 진폭데이터를 일정갯수 M개, 예를들면 44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있다.
이 스펙트럼평가부(148)의 출력부 혹은 스펙트럼 양자화기(116)의 입력부에 설치된 데이터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일정갯수 M개(예를들면 44개)의 진폭데이터 혹은 엔벌로프데이터가 벡터양자화기(116)에 의해, 소정갯수, 예를들면 44개의 데이터마다 모아서 벡터가 되고, 가중벡터양자화가 시행된다. 이 무게는, 청각가중필터 산출회로(139)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부여된다. 벡터양자화기(116)로부터의 상기 엔벌로프의 인덱스(idS)는, 스위치(117)를 거쳐서 출력단자(103)에서 취출된다. 또한, 상기 가중벡터양자화에 앞서서, 소정 갯수의 데이터에서 이루는 벡터에 대해서 적당한 리크계수를 이용한 프레임간 차분을 취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제 2부호화부(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부호화부(120)는, 소위 CELP(부호여기선형예측) 부호화구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입력음성신호의 무음성부분의 부호화를 위해 이용되고 있다. 이 무음성부분용의 CELP부호화구성에 있어서, 잡음코드북, 소위 스토캐스틱·코드북(stochastic code book)(121)로부터의 대표값 출력인 무성음의 LPC잔차에 상당하는 노이즈출력을, 게인회로(126)를 거쳐서, 청각가중의 합성필터(122)에 보내고 있다. 가중의 합성필터(122)에서는, 입력된 노이즈를 LPC합성처리하고, 얻어진 가중무성음의 신호를 감산기(123)에 보내고 있다. 감산기(123)에는, 상기 입력단자(101)에서 HPF(하이패스필터)(109)를 거쳐서 공급된 음성신호를 청각가중필터(125)에서 청각가중한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합성필터(122)로부터의 신호와의 차분 혹은 오차를 꺼내고 있다. 또한, 청각가중필터(125)의 출력에서 청각가중 합성필터의 영입력응답을 사전에 공제해놓는 것으로 한다. 이 오차를 거리계산회로(124)에 보내서 거리계산을 행하고, 오차가 최소가 되는 바와같은 대표값벡터를 잡음코드북(121)에서 서치한다. 이와같은 합성에 의한 분석(Analysis by Synthesis)법을 이용한 클로즈드루프서치를 이용한 시간축파형의 벡터양자화를 행하고 있다.
이 CELP부호화구성을 이용한 제 2부호화부(120)로부터의 UV(무성음)부분용의 데이터로서는, 잡음코드북(121)로부터의 코드북의 세이프인덱스(idS1)와, 게인회로(126)로부터의 코드북의 게인인덱스(idG1)가 취출된다. 잡음코드북(121)로부터의 UV데이터인 세이프인덱스(idS1)는, 스위치(127s)를 거쳐서 출력단자(107s)에 보내지고, 게인회로(126)의 UV데이터인 게인인덱스(idG1)는, 스위치(127g)를 거쳐서 출력단자(107g)에 보내지고 있다.
여기서, 이들의 스위치(127s, 127g) 및 상기 스위치(117, 118)는, 상기 V/UV판정부(115)로부터의 V/UV판정결과에 의해 온/오프제어되고, 스위치(117, 118)는,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음성신호의 V/UV판정결과가 유성음(V)일 때 온이 되고, 스위치(127s, 127g)는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음성신호가 무성음(UV)일 때 온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음성부호화기(3)가 출력한 각 파라메터, 즉, LSP파라메터(LSP), 유성음/무성음판정 파라메터(VUV), 피치파라메터(PCH),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코드북 파라메터(idS) 및 게인인덱스(idG), 잡음코드북 파라메터(idS1) 및 게인인덱스(idG1)를 2k/2kbps부호화로 나누고, 할당하여 비트수도 나타내고 있지 만, 도 4 및 도 5이다. 도 4에는 2kbps 및 4kbps에 공통의 파라메터를 나타낸다. 도 5에는 4kbps만 고유의 파라메터를 나타낸다. 교대로 1프레임당의 파라메터이다.
LSP파라메터는, LSP0, LSP2, LSP3, LSP4, LSP5로 나누어진다. LSP0은 10차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이고, 엔벌로프의 기본적인 파라메터로서 사용되고, 20msec의 프레임에서는 5비트가 할당된다. LSP(2)는 다음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이고, 7비트가 할당된다. LSP3는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인덱스이고, 5비트가 할당된다. LSP5는 10차의 전대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인덱스이고, 8비트가 할당된다. 이중, LSP2, LSP3 및 LSP5는 전단계에서의 오차를 메우기 위해 사용되는 인덱스이고, 특히 LSP2와 LSP0에서 엔벌로프를 표현하지 않을때에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LSP4는 부호화시의 부호화 모드가 직접모드(straight mode)인지, 차분모드(differential mode)인지의 1비트의 선택플래그이다. 원래의 파형에서 분석하여 구해진 오리지널의 LSP파라메터에 대한, 양자화에 의해 구해진 직접모드의 LSP와, 양자화된 차분에 의해 구해진 LSP의 차가 적은쪽의 모드의 선택을 나타낸다. LSP4가 0일때에는 직접모드이고, LSP4가 1일때에는 차분모드이다.
VUV파라메터는, 소정의 프레임내의 음성부호화데이터가 유성음/무성음(Voiced/Unvoiced)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2비트가 할당된다.
PCH파라메터는, 피치파라메터이고, 상술한 바와같이 클로즈드루프에 의한 정밀도의 피치서치부(146)로부터의 피치데이터이고, 7비트가 할당된다.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코드북 파라메터(idS)는 2kbps의 경우, idS0에서 기록하는 제 0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와 idS1에서 기록되는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로 나누어진다. 동시에 4비트가 할당된다. 제 0 및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는 별개의 코드북에 대응한 인덱스이고 그들에 의해 선택된 양코드북의 가산에 의해 LPC잔차 스펙트럼이 형성된다. idG는 LPC잔차 스펙트럼 게인 코드북 인덱스이고, 5비트가 할당된다. 또,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코드북 파라메터(idS)는 4kbps의 경우, idS0_4k로 기록되는 제 0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와, idS1_4로 기록되는 제 1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와, idS2_4로 기록되는 제 2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와, idS3_4로 기록되는 제 3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로 나누어진다. idS0_4k에는 7비트가 할당되고, idS1_4k에는 10비트, idS2_4k에는 9비트, idS3_4k에는 6비트가 할당된다.
여기서, idS0_4k이외는, idS0, idS1, idG에 의해 얻어지는 양자화 LPC잔차 스펙트럼 오리지널의 LPC잔차 스펙트럼의 오차분을 보정하는 것으로, idS3_4k에 향해서 낮은 주파수성분에서 높은 주파수성분으로 보정범위가 할당되어 있다.
이들 이외의 파라메터는 무성음(Unvoiced)일때 사용되는 것으로, idSL00이나 idSL11 등 SL의 붙인 것은 잡음코드북 인덱스, idGL00이나 idGL11 등의 GL의 붙인 것은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를 표시한다. idSL00에는 6비트가, idSL01에는 6비트가, idGL00에는 4비트가, idG01에도 4비트가 할당된다. 또, idSL10에는 5비트가, idSL11에도 5비트가, idSL12에도 5비트가, idSL13에도 5비트가 할당된다. 또, idGL10에는 3비트가 idGL11에는 3비트가 idGL12에도 3비트가, idgL13에도 3비트가 할당된다.
그리고, 상기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각 파라메터는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에 의해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복수의 클래스로 나누어진다.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는 비트율이 2kbps(전송율 3.5kbps)의 경우에, 유성음 및 무성음을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를들면 6클래스로 나누어진다. 이 도면에 있어서 첨자 "p"는 전프레임, 첨자 "c"는 현재프레임에 대응한다. 결국, 전프레임(p)과 현재프레임(c)의 2프레임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 클래스의 숫자가 작은만큼 중요비트인 것을 나타낸다.
먼저, 유성음일 경우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전체가 클래스Ⅰ가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7비트내의 2비트가 클래스Ⅰ가 되고, 남은 5비트가 클래스Ⅵ가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 동시에 5비트내의 1비트가 클래스Ⅰ이 되고, 남은 4비트가 클래스Ⅵ가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유성음/무성음 플래그 VUV의 각 2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 동시에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피치 파라메터(PCH)는 7비트내의 6비트가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이 되고, 나머지의 1비트가 클래스Ⅵ가 된다.
또, LPC잔차 스펙트럼 게인코드북 인덱스(idG)의 5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든 클래스Ⅰ가 되어 보호된다. 또, 전프레임(p)의 제 0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는 모두 클래스Ⅱ가 되지만, 현재프레임(c)의 제 0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O)는 모두 클래스Ⅳ가 된다. 또, 전프레임(p)의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4비트는 모두 클래스Ⅲ가 되는바, 현재프레임(c)의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4비트는 모두 클래스Ⅴ가 된다.
다음에, 비트율이 2kbps(전송율 3.5kbps)에서, 무성음인 경우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 모두가 클래스Ⅰ이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7비트내의 4비트가 클래스Ⅰ가 되고, 나머지의 3비트가 클래스Ⅵ가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내의 2비트가 클래스Ⅰ가 되고, 나머지 3비트가 클래스Ⅵ가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유성음/무성음플래그(VUV)의 각 2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0)의 4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이 되어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1)의 4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어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6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Ⅵ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6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Ⅵ로 된다.
이 무성음에 있어서 클래스Ⅵ의 비트의 일부가 클래스Ⅱ에서 Ⅴ의 비트로서 보호되고 있는만, 오류를 검출한 경우에는 다른 클래스Ⅵ의 비트와 동일하게 어떠한 처리도 실시하지 않는다.
비트율이 4kbps(전송율 6.2kbps)의 경우,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는, 유성음 및 무성음을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7클래스로 나누어진다. 이 도면에서도 첨자 "p"는 전프레임, 첨자 "c"는 현재프레임에 대응한다. 결국 전프레임(p)와 현재프레임(c)의 2프레임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 클래스의 숫자가 작은만큼 중요비트인 것을 나타내는 것도 동일하다.
먼저, 유성음인 경우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모두가 클래스Ⅰ로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7비트내의 4비트가 클래스Ⅰ로 되고, 나머지 3비트가 클래스Ⅷ로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내의 1비트가 클래스Ⅰ로 되고, 나머지 4비트가 클래스Ⅶ로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유성음/무성음플래그(VUV)의 각 2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피치파라메터(PCH)는 7비트내의 6비트가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로 되고, 나머지 1비트가 클래스Ⅶ로 된다.
또, LPC잔차 스펙트럼 게인코드북 인덱스(idG)의 5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어서 보호된다. 또, 전프레임(p)의 제 0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의 4비트는 모두 클래스Ⅲ로 되지만, 현재프레임(c)의 제 0 LPC잔차 스텍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의 4비트는 모두 클래스Ⅴ로 된다. 또, 전프레임(p)의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4비트는 모두 클래스Ⅳ로 되지만, 현재프레임(c)의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4비트는 모두 클래스Ⅵ로 된다.
또, 제 0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_4k)의 7비트내의 5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I)로 되지만, 남은 2비트는 클래스Ⅷ로 된다. 또, 제 1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_4k)의 10비트내의 1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로 되지만, 나머지 9비트는 클래스Ⅱ로 된다. 또, 제 2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2_4k)의 9비트내의 1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로 되지만, 나머지 8비트는 클래스Ⅱ로 된다. 또, 제 3 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3_4k)의 6비트내의 1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로 되지만, 나머지 5비트는 클래스Ⅱ로 된다.
다음에, 비트율이 4kbps(전송율 6.2kbps)에서, 무성음인 경우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 모두가 클래스Ⅰ로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7비트내의 4비트가 클래스Ⅰ로 되고, 나머지 3비트가 클래스Ⅶ로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5비트내의 1비트가 클래스Ⅰ로 되고, 나머지 4비트가 클래스Ⅶ로 된다. 또,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10차의 전대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LSP5)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8비트내의 1비트가 클래스Ⅰ로 되고, 나머지 7비트가 클래스Ⅶ로 된다.
또, 유성음/무성음 플래그(VUV)의 각 2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Ⅰ에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0)의 4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 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어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1)의 4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어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6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VII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의 6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Ⅶ로 된다.
잡음 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0)의 3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어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1)의 3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어서 보호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GL12)의 3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GL13)의 3비트내의 2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Ⅰ로 되지만, 남은 1비트는 클래스Ⅶ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0)의 5비트는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클래스Ⅶ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1)의 5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Ⅶ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2)의 5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Ⅶ로 된다. 또,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3)의 5비트도 전프레임(p) 및 현재프레임(c)과 함께 모두 클래스Ⅶ로 된다.
여기서도 무성음에 있어서 클래스Ⅶ의 비트의 일부가 클래스Ⅱ에서 Ⅵ의 비 트로서 보호되어 있지만, 오류라고 해도 어느 처리도 시행하지 않고, 다른 클래스Ⅶ의 비트와 동일하게 보급된다.
다음에, 2kbps의 클래스Ⅰ에서 클래스Ⅵ까지의 유성음 및 무성음의 각 파라메터의 전송로부호화기(채널코더)(4)에의 입력순서를,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입력순서의 결정도, 상술한 바와같이,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에서 행해진다. 여기서 비트의 재차 순서는 전송로의 에러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른 것이다. 첨자 "p"는 전프레임의 파리미터를 나타내고, "c"는 현재의 프레임의 파라메터를 나타낸다. 또, 비트0은 LSB를 나타낸다.
먼저, 도 10에 있어서, 유성음의 클래스Ⅰ의 입력순서는,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1번째의 비트에서, 동일하게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0번째의 비트에 계속하고, 이하,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의 0번째의 비트, 그리고, 전프레임(p)의 LPC잔차 스펙트럼 게인크드북 인덱스(idG)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한다. 또한, 전프레임의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또한, 전프레임(p)의 피치파라메터(PCH)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여기까지가 전송로부호화기(4)에의 NO.0에서 NO.18까지의 입력순서이다. 또한 NO.19에서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 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6번째의 비트가 계속되고, NO.20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4번째의 비트가 계속되고, NO.21에는 전프레임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5번째가 계속된다. 이하, NO.22에서 NO.43까지는, 현재의 프레임(c)의 파라메터가 상기 NO.0에서 NO.21까지의 순번을 반복하도록 입력된다.
또, 유성음의 클래스Ⅱ 비트의 입력순(NO.44에서 NO.47까지)은, 전프레임(p)의 제 0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의 3번째의 비트에서 0번째까지의 계 4비트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결정된다.
또, 유성음의 클래스Ⅲ 비트의 입력순서(NO.48에서 NO.51까지)는, 전프레임(p)의 제 1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3번째의 비트에서 0번째까지의 계 4비트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결정된다.
또, 유성음의 클래스Ⅳ 비트의 입력순서(NO.52에서 NO.55까지)는, 현재프레임(c)의 제 0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의 3번째의 비트에서 0번째까지의 계 4비트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결정된다.
또, 유성음의 클래스Ⅴ 비트의 입력순서(NO.56에서 NO.59까지)는, 현재프레임(c)의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3번째의 비트에서 0번째까지의 계 4비트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결정된다.
또, 유성음의 클래스Ⅵ 비트의 입력순서(NO.60에서 NO.79까지)는, 이하와 같이 된다. 먼저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 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여기까지가 전송로 부호화기(4)에의 NO.60까지 NO.64까지의 입력순서이다. NO.65에서 NO.68까지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69에는 전프레임(p)의 피치파라메터(PCH)의 0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NO.70에서 NO.74까지는, 현재프레임(c)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75에서 NO.78까지는, 현재프레임(c)의 LSP파라메터의 5차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그리고, 최후의 NO.79에는, 현재프레임(c)의 피치파라메터(PCH)의 0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다음에, 도 11에 있어서, 무성음의 클래스Ⅰ의 입력순서는,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1번째의 비트에서, 동일하게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0번째의 비트에 계속하고, 이하,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접속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의 0번째의 비트, 그리고,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0)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한, 전프레임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1)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한,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에서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여기까지가 전송로부호화기(4)에의 NO.0에서 NO.15까지의 입력순서이다. 또한 NO.16에서 NO.19까지는 전프레임(p)의 LSP파리미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20, NO.21에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이하, NO.22에서 NO.43까지는, 현재의 프레임(c)의 파라메터가, 상기 NO.0에서 NO.21까지의 순번을 반복하도록 입력된다.
또, 무성음의 클래스Ⅱ는 전프레임(p)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2번째의 비트에서 동일 0번째의 총 3비트와,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2번째의 비트라는 입력순서(NO.44에서 NO.47까지)가 된다.
또, 무성음의 클래스Ⅲ는, 전프레임(p)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1번째의 비트가 NO.48에, 동일 0번째의 비트가 NO.49가 되는 입력순서가 된다. 또, NO.50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5번째의 비트가 들어가고, NO.51에는 동일 4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또, 무성음의 클래스Ⅳ는 현재프레임(c)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2번째의 비트에서 동일 0번째의 총 3비트와,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2번째의 비트라는 입력순서(NO.52에서 NO.55까지)가 된다.
또, 무성음의 클래스Ⅴ는, 현재프레임(c)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1번째의 비트가 NO.56에, 동일 0번째의 비트가 NO.57이 되는 입력순서가 된다. 또, NO.58에는 현재프레임(c)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5번째의 비트가 들어가고, NO.59에는 동일 4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또, 무성음의 클래스Ⅵ 비트의 입력순서(NO.60에서 NO.79까지)는, 이하와 같이 된다. 먼저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여기까지가, 전송로부호화기(4)에의 NO.60에서 NO.63까지의 입력순서이다. NO.64에서 NO.69까지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70에서 NO.73까지는, 현재프레임(c)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그리고, NO.74에서 NO.79까지는, 현재 프레임(c)의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다음에, 4kbps의 클래스Ⅰ에서 클래스Ⅶ까지의 유성음 및 무성음의 각 파라메터의, 전송로부호화기(채널코더)(4)에의 입력순서를, 도 12∼도 14 및 도 15∼도 17에 나타낸다. 여기서의 입력순서의 결정도, 상술한 바와같이,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에서 행해진다. 여기서 비트의 재차 순서는 전송로의 에러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른 것이다. 첨자 "p"는 전프레임의 파라메터를 나타내고, "c"는 현재의 프레임의 파라메터를 나타낸다. 또, 비트0은 LSB를 나타낸다.
도 12는 유성음의 클래스Ⅰ의 입력순서를 나타낸다. NO.0에서 NO.65까지, 계 66개의 비트의 입력순서가 결정되어 있다. 먼저,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1번째의 비트에서, 동일하게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0번째의 비트에 계속되고, 이하,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의 0번째의 비트, 그리고, 전프레임(p)의 LPC잔차 스펙트럼 게인크드북 인덱스(idG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한다. 또한, 전프레임의 LSP파라메터의 10차의 코드북 인덱스(LSP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전프레임(p)의 피치파라메터(PCH)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여기까지가 전송로부호화기(4)에의 NO.0에서 NO.18까지의 입력순서이다. 또한 NO.19에서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NO.20), 동일 4번째의 비트(NO.21), 동일 3번째의 비트(NO.22)가 계속된다. 또 NO.23에서 NO.27까지는, 전프레임(p)의 제 0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_4k)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28에는 전프레임(p)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4번째가 들어가고, NO.29에는 전프레임(p)의 10차의 전대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LSP5)의 7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또, NO.30에서 NO.32까지는, 먼저, 제 1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_4k)의 9번째의 비트, 제 2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2_4k)의 8번째의 비트, 제 3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3_4k)의 5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이하, NO.33에서 NO.65까지는, 현재의 프레임(c)의 파라메터가, 상기 NO.0에서 NO.32까지의 순번을 반복하도록 입력된다.
도 13에는 유성음의 클래스Ⅱ에서 클래스Ⅴ까지의 입력순서를 나타낸다. 클래스Ⅱ의 계 44개의 비트는, NO.66에서 NO.109까지의 입력순서가 된다. 먼저, NO.66에서 NO.74까지는, 전프레임의 제 1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_4k)의 8번째의 비트, 동일 7번째의 비트, 동일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제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75에서 NO.82까지는, 전프레임의 제 2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2_4k)의 7번째의 비트, 동일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83에서 NO.87까지는, 전프레임의 제 3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3_4k)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그리고, NO.88까지 NO.109까지는, 상기 NO.66까지 NO.87까지의 계 22개의 비트의 현재프레임(c)에 관해서 비트가 반복된다.
클래스Ⅲ의 계 4비트는, NO.110에서 NO.113까지, 전프레임(p)의 0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제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라는 순번이 된다.
클래스Ⅳ의 계 4비트는, NO.114에서 NO.117까지, 전프레임(p)의 0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비트, 제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라는 순번이 된다.
클래스Ⅴ의 계 4비트는, NO.118에서 NO.121까지, 현재프레임(c)의 0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제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라는 순번이 된다.
도 14에는 유성음의 클래스Ⅵ와 클래스Ⅶ의 입력순서를 나타낸다. 클래스Ⅵ의 계 4비트는, NO.122에서 NO.125까지, 현재프레임(c)의 제 1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는 순번이 된다.
클래스Ⅶ의 계 34비트는, NO.126에서 NO.159까지에 이하의 동일하게 할당된다. NO.126에서 NO.128까지는 전프레임(p)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할당된다. 또, NO.129에서 NO.132까지는 전프레임(p)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할당된다. 또, NO.133에서 NO.139까지는 전프레임의 10차의 전대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LSP5)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할당된다. 또, NO.140에는 전프레임의 피치파라메터(PCH)의 0번째의 비트가 NO.141, NO.142에는 제 0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_4k)의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할당된다. 그리고, NO.143에서 NO.159까지는 상기 NO.126에서 NO.142까지의 계 17개의 비트의 현재프레임(c)에 관해서 비트가 반복된다.
도 15에는 무성음의 클래스Ⅰ의 입력순서를 나타낸다. NO.0에서 NO.65까지, 계 66개의 비트의 입력순서가 결정되어 있다. 먼저,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1번째의 비트에서, 동일하게 전프레임(p)의 유성음/무성음 판정플래그(VUV)의 0번째의 비트에 계속되고, 이하,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직접모드/차분모드 선택플래그(LSP4)의 0번째의 비트,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0)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한, 전프레임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01)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한, 전프레임(p)의 LSP파리미터의 10번째의 코드북 인덱스(LSP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여기까지가 전송로부호화기(4)에의 NO.0에서 NO.15까지의 입력순서이다. 또한 NO.16에서 NO.19가지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20, NO.21에는, 전프레임(p)의 LSP파라메터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4번째의 비트, 전프레임(p)의 10차의 전대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LSP)의 7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22에서 NO.24까지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0)의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25에서 NO.27까지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1)의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28에서 NO.30까지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2)의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31, NO.32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3)의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그리고, 이하, NO.33에서 NO.65까지는, 현재의 프레임(c)의 파라메터가, 상기 NO.0에서 NO.32까지 순번을 반복하도록 입력된다.
도 16에는 무성음의 클래스Ⅱ와 클래스Ⅲ의 입력순서를 나타낸다. 상기 도 9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클래스Ⅶ의 일부가 클래스Ⅱ에서 클래스Ⅵ의 비트로 하고, CRC에서 보호되는바, 오류라해도 아무 처리도 하지 않고, 클래스Ⅶ의 비트와 동일하게 취급되다. 먼저, NO.66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게인코드북 인덱스(idGL13)의 0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다음에, NO.67에서 NO.69에는, 전프레임(p)의 5차의 저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2)의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70에서 NO.73에는, 전프레임(p)의 5차의 고주파수역오차보정의 코드북 인덱스(LSP3)의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74에서 NO.80에는 전프레임(p)의 10차의 전대역오차보정의 LSP파라메터의 코드북 인덱스(LSP5)의 6번째의 비트, 동일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81에서 NO.86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0)의 5번째의 비트, 동일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87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5번째가 들어간다. 그리고, 이하, NO.88에서 NO.109까지는, 현재의 프레임(c)의 파라메터가, 상기 NO.66에서 NO.87까지의 순번을 반복하도록 입력된다.
무성음의 클래스Ⅲ의 계 4비트는, NO.110에서 NO.113에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도 17에는 무성음의 클래스Ⅳ에서 클래스Ⅶ까지의 계 46개의 비트입력순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도 9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클래스Ⅶ의 일부가 클래스Ⅱ에서 클래스Ⅵ의 비트로서, CRC에서 보호되는바, 오류라해도 어느 처리도 하지 않고, 클래스Ⅶ의 비트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먼저, 클래스Ⅳ의 NO.114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0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NO.115에서 NO.117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클래스Ⅴ의 계 4비트는, NO.118에서 NO.121에, 현재프레임(c)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클래스Ⅵ의 NO.122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01)의 0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NO.123에서 NO.125에는, 현재프레임(c)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0)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클래스Ⅶ의 계 4비트는, NO.126에서 NO.159까지로 이하의 동일하게 할당된다. NO.126, NO.127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0)의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들어간다. 또, NO.128에서 NO.132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1)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또, NO.133에서 NO.137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dSL12)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NO.138에서 NO.142에는 전프레임(p)의 잡음코드북 인덱스(isSL13)의 4번째의 비트, 동일 3번째의 비트, 동일 2번째의 비트, 동일 1번째의 비트, 동일 0번째의 비트가 계속된다. 그리고, NO.142까지의 17개의 비트의 현재프레임(c)에 관해서 비트가 반복된다.
그리고, 비트율 2kbps의 유성음, 무성음의 각 부호화 파라메터가 상기 도 10, 도 11에 나타낸 입력순서로, 또 비트율 4kbps의 유성음, 무성음의 각 부호화 파라메터가 상기 도 12∼도 17에 나타낸 입력순서로, 도 1에 나타낸 전송로 부호화기(4)에 입력된다.
그러면, 전송로부호화기(4)의 CRC부호계산부(5)는, 비트율의 2kbps/4kbps의 다름도, 클래스분류에 따라서, 필요가 있으면 클래스Ⅰ에 대해서 다음의 수학식 1에 나타내는 CRC다항식에 의해, CRC부호 CRC[i]를 얻는다. 또한, 클래스Ⅱ이후에 대해서도, 적당한 CRC다항식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CRC부호를 얻는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1
단,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2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3
CRC부호계산부(5)가 상기 수학식 1∼수학식 3을 이용하여 CRC부호 CRC[i]를 얻는 것은, 2kbps일때의 클래스Ⅰ, 클래스Ⅱ, 클래스Ⅳ, 클래스Ⅴ까지이다. 유성음과 무성음의 양방 모두가 대상이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클래스Ⅰ를 제하고, 유성음의 상기 클래스에 있어서의 CRC부호에 따라서 검출한 오류에 따라서 복호장치측에서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주지로 한다.
2kbps의 유성음의 클래스Ⅰ∼클래스Ⅵ까지의 비트총수를 도 18에 나타낸다. 이 도 18에는 후술하는 4kbps의 유성음의 클래스Ⅰ∼클래스Ⅶ까지의 비트총수도 나타낸다.
2kbps의 유성음의 클래스Ⅰ를 대상으로 하는 CRC부호계산부(5)는 오디오프레임(Audio Frame) 44비트에서 6비트의 CRC부호 CRC[i], (CRC parity)를 계산한다. 또, 클래스Ⅱ를 대상으로 하였을때, CRC부호계산부(5)는 오디오 프레임(4) 비트에서 1비트의 CRC parity를 계산한다. 클래스Ⅲ∼클래스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도 동일하게, 각각, 오디오 프레임 4비트에서 1비트의 CRC parity를 계산한다. 클래스Ⅵ를 대상으로 하였을때는 CRC parity를 계산하지 않는다.
그리고, 예를들면, 상기 수학식 1∼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 CRC부호 CRC[i]와, 상기 도 10에 나타낸 입력순서 P[i]를 사용하여, 이하의 수학식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비트열 CVin[i]를 작성한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4
한편, 4kbps의 유성음의 클래스를 대상으로서 CRC부호계산부(5)는, 오디오 프레임(66) 비트에서 6비트의 CRC parity를 계산한다. 또, 클래스Ⅱ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CRC부호계산부(5)는, 오디오 프레임(44) 비트에서 6비트의 CRC parity 를 계산한다. 클래스Ⅲ∼클래스Ⅵ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에는, 각각, 오디오 프레임 4비트에서 1비트의 CRC parity를 계산한다. 클래스Ⅶ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CRC parity를 계산하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서도, 상기 수학식 1∼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 CRC부호 CRC[i]와, 상기 도 12∼도 14에 나타낸 입력순서 P[i]를 사용하여, 상기 수학식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비트열 CVin[i]를 작성한다.
다음에, 컨벌루션 부호화기(6)는 상술한 바와같이 필요에 따라서 CRC부호계산부(5)에서 공급되는 상기 CRC검사부호가 걸쳐진 비트군, 결국 비트열 CVin[i]를 컨벌루션 부호화를 시행한다. 이 부호화장치에서는, 비트율 2kbps 및 4kbps의 클래스Ⅰ비트에 따른 비트열 CVin[i]에만 컨벌루션부호를 시행하고, 보호하고 있다.
컨벌루션 부호화기(6)는, 상기 비트율 2kbps 및 4kbps의 클래스Ⅰ비트에 따른 비트열 CVin[i]에 대해서, Tail비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컨벌루션 부호화 방식, 예를들면 H.223AnnexC에서 사용되고 있는 SRCPC(Systematic Rate Compatible Punctured Convolutional Code)에 의해 컨벌루션 부호화를 행한다. 이 컨벌루션 부호화기(6)에서의 컨벌루션 부호화는 2배의 코드율(Code Rate)에서 행해진다. 상기 도 18에는 8/16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2kbps의 클래스Ⅰ의 총의 비트수는, (오디오 프레임 44비트 + CRC parity 6비트) × 2 = 100 비트로 된다. 또, 4kbps의 클래스Ⅰ의 총의 비트수는, (오디오 프레임 66비트 + CRC parity 6비트) × 2 = 144 비트로 된다.
2kbps의 클래스Ⅱ에서 클래스Ⅴ까지는, 컨벌루션 부호화를 행하지 않고, CRC부호를 걸치지 않으므로, 총의 비트수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오디오 프레임 4비트 + CRC parity 1비트) × 1 = 5 비트로 된다. 또, 클래스Ⅵ에서는, CRC부호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오디오 프레임 20비트만이 총비트수로 된다.
4kbps의 클래스Ⅱ에서 클래스Ⅵ까지는, 컨벌루션 부호화를 행하지 않고, CRC부호를 걸치지 않으므로, 클래스Ⅱ의 총의 비트수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오디오 프레임 44비트 + CRC parity 6비트) × 1 = 50 비트로 되고, 클래스Ⅲ에서 클래스Ⅵ까지는, (오디오 프레임 4비트 + CRC parity 1비트) × 1 = 5 비트로 된다. 또, 클래스Ⅶ에서는, CRC부호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오디오프레임 34비트만이 총비트수로 된다.
따라서, 2kbps의 소스코더(source coder)는, 모든 클래스의 합계가 140비트가 되므로, 비트율 3.5kbps로 된다.
또, 4kbps의 소스코더(source coder)는, 모든 클래스의 합계가 248비트가 되므로, 비트율 6.2kbps로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클래스분할 & 입력순서결정부(23)에서 전송로의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할되고, 또한 전송로부호화기(4)에서 클래스에 따라서 보호된 복수종류의 부호화 파라메터가 변조기(7)에서 변조되고, 송신기(8)에서 출력비트에 송신처리가 시행되고, 안테나 공용기(9)를 통해서 안테나(10)에서 송신된다.
다음에, 상기 복호화 장치측에서는, 예를들면 다른 휴대전화장치의 부호화 장치에서 안테나(10), 안테나공용기(9), 수신기(11) 및 복조기(13)를 거쳐서 복조한 부호화 출력인 비트열을, 컨벌루션 복호화기(16)에서 컨벌루션 복호화 하고, CRC부호화 비교 & 프레임마스크부(15)에서 이 컨벌루션 부호화기(16)로부터의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CRC검출부호와 상기 중요비트군을 없앤 비트군에서 계산한 CRC오류검사부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을 조정한다.
CRC부호비교 & 프레임마스크부(15)는 컨벌루션부호화기(16)가 실행하는 상기 컨벌루션 복호화 공정으로부터의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오류 검사부호를 이용해서 전송오류를 검사하는 오류검사공정과, 상기 오류검사공정에서의 오류검사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벌루션 복호화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조정공정을 실행한다.
특히 CRC부호가 일치하지 않을때 즉, CRC에러가 검출될때, 그 프레임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음성부호화를 행하면, 음성품질을 대단히 열화시키고 있으므로 오류검출을 연속하는 경우에 따라서 에러보호처리(프레임마스킹)가 실행된다.
현재의 프레임의 프레임마스킹 상태는 클래스I의 CRC복호결과에 의거해서 갱신된다. 도 19에는 프레임마스킹처리에 의한 상태천이도를 나타낸다. 각 상태(상태 0에서 상태 7)는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천이한다. 천이는 상태 0에서 시작하고 천이선상의 "1"은 오류프레임의 경우의 천이방향을 "0"은 오류가 없는 프레임의 경우의 천이방향을 나타낸다.
상태의 값에 따라서 이하의 파라메터장치가 실행되지만 에러가 없는 상태는 상태값은 0으로 되고 수신한 음성프레임비트가 처리된다. 또 상태 7은 복귀시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상기 LSP파라메터를 복호하는 경우 상태천이(state)가 「상태 1」∼ 「상태 6」일때에는 LSP파라메터는 전 프레임의 것도 치환된다.
상태 7, 즉 복귀시에는 단 LSP4=0(LSP모드가 치환형)이기 때문에 LSP파라메터는 전체의 LSP부호에서 계산된다. 딘 LSP4=1(LSP모드가 차분형)이 되면 LSP파라메터는 다음의 수학식 5에서 계산된다. 결국 차분모드에서는 LSP0부호로부터의 파라메터는 전 프레임의 것도 보간된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5
상기 수학식 5에서 LSPbase(n)는 기본층의 LSP파라메터, LSPprev(n)는 전프레임의 LSP파라메터이고, LSPoth(n)은 LSP0부호에서 복호한 것이다. 또 P는 보간계수이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클래스I의 직전의 CRC오류프레임의 수(frame)에 의해 0.7∼0.0의 중에서 0.1마다 변화한다. 예를들면 과더의 오류된 프레임의 수가 0이라면, P=0.7을 사용하고, LSP2, LSP3 및 LSP5부호는 무시되고 LSPbase(n)이 현재의 LSP파라메터로 하여 사용된다.
또 예를들면 상기 상태변수(state)의 값에 따라서 출력음의 음량을 제어하는 뮤트변수(mute)를 도 21과 같이 설정한다. 예를들면 상태변수(state)가 0이면, 뮤트변수(mute)를 1.000으로 한다. 또 상태변수(state)가 6이면 뮤트변수(mute) 를 0.000으로 한다. 상태변수(state)=7에서의 뮤트변수(mute)는 1.0과 전 프레임의 mute값의 평균이 사용되지만, 평균0.8을 초과할때는 0.8로 치환된다.
유성음파라메터의 치환과 이득의 제어는 이하와 같이 된다.
유성음/무성음판정 파라메터(VUV)가 V일때에는 상태변수(state)=1∼6에서는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코드북 파라메터idS0, idS1, LPC잔차 스펙트럼 게인코드북 인덱스idG, 4kbps용 스펙트럼믈 파라메터 idS0_4k∼idS3_4k는 전 프레임의 것으로 치환된다. 또한 출력음성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LSP잔차신호의 하모닉레벨파라메터Am[00‥127]이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이득제어 된다. 이 수학식 6에 있어서 Am(org)[i]는 스펙트럼 파라메터에서 계산한 것이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6
그런데 상태 7에 있어서, 단 유성음에 복귀하였을때 직전 프레임이 무성음으로 되면, 상기 수학식 6의 대신에 수학식 7이 적용된다. 이것은 게인을 억압해서 연속성을 유지한 것이다. 결국 전후의 스펙트럼의 잘못에 의한 파형의 산란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7
또한 제 0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0)와 제 1 LPC잔차 스펙트럼코드북 인덱스(idS1)의 전프레임(p)과 현제프레임(c)의 각각 4비트는 예를들면 2kbps에서는 상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클래스I 및 클래스VI를 제외한 다른 클래스이므로 상기 도 18에서 1CRC비트에 의해 개별로 보호되고 있다. 상태 0 혹은 상태 7, 결국 정상시에서 복귀시로는 이들의 클래스의 CRC에러가 동시에 검출되면, 고정 차원의 양자화 한 하모닉스 레벨 파라메터Am[00‥44]는 다음의 수학식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저주파수역의 레벨을 억압하기 위한 원래의 것인 Amqnt(org)[144]에서 변환된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8
이 수학식 8에 있어서, s[i]는 Amqnt(org)을 억압하기 위한 계수이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설정된다.
또 4kbps에서는 제 1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1_4k), 제 2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2_4k) 및 제 3확장 LPC잔차 스펙트럼 코드북 인덱스(ids3_4k)의 거의 비트가 클래스II 비트로서 복수의 CRC비트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클래스II에 오류가 검출되면, 확장층의 스펙트럼 엔벌로프가 무시된다.
또 예를들면, VUV판정파라메터가 UV일때에는 상태변수(state)=1∼6일때 잡음코드북 게인 파라메터(idGL00, idGL01), 4kbps용 잡음코드북 게인파라메터(idGL10∼ idGL13)은 전 프레임의 것과 치환된다. 또 동일의 경우, 잡음코드북 게인파라메터(idGL00∼idGL01)은 전프레임의(idGL01), 4kbps용 잡음코드북 게인파라메터(idGL10∼idGL13)는 전프레임의 idGL13으로 치환하여도 좋다. 잡음 코드북 파라메터(idSL00, idS01), 4kbps용 잡음코드북 파라메터(idSL10∼idSL13)는 개개의 비트수의 범위에서 같은 난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출력음의 음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LPC잔차신호res[00159]는 다음의 수학식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득제어 된다. 여기서 수학식 중의 res[i]는 잡음부호파라메터에서 구한 것이다.
Figure 112000012339642-pat00009
이와같이 하여 CRC부호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에서 프레임마스킹처리가 시행된 컨벌루션부호화 출력은 잡음부호화기(17)에 공급된다.
이 음성복호화기(17)의 구성을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다. CRC부호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에서는 단자(202)를 거쳐서 상기 LSP(선스펙트럼쌍)의 양자화 출력에 상당하는 코드북 인덱스가 단자(203, 204 및 205)를 거쳐서 엔벌로프양자화 출력으로서의 인덱스, 피치 및 VUV파라메터가 각각 취출되고, 또 단자(207)를 거쳐서 UV(무성음)용의 데이터로서의 인덱스가 취출된다. 또한 CRC부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에서 CRC검사 되어서 얻어진 CRC에러신호는 무성음합성부(220)에 보내지고 있다.
단자(203)로부터의 엔벌로프 양자화 출력으로서의 인덱스는, 역벡터양자화기(212)에 보내져서 역벡터양자화 되고, LPC잔차의 스펙트럼 엔벌로프가 구해져 유음성합성부(211)로 보내진다. 유성음합성부(211)는, 사인파합성에 의해 유성음부분의 LPC(선형예측부호화)잔차를 합성하는 것이고, 이 유성음합성부(211)에는 단자(204 및 204)로부터의 피치 및 V/UV판정출력도 공급되고 있다. 유성음합성부(211)로부터의 유성음의 LPC잔차는, LPC합성필터(214)로 보내진다. 또, 단자(207)로부터의 UV데이터의 인덱스는, 무성음합성부(220)로 보내져서 잡음코드부를 참조함으로써 무성음부분의 여기벡터인 LPC잔차가 취출된다. 이 LPC잔차도 LPC합성필터(214)에 보내진다. LPC합성필터(214)에서는 상기 유성음부분의 LPC잔차와 무성음부분의 LPC잔차가 각각 독립하고, LPC합성처리가 시행된다. 혹은, 유성음부분의 LPC잔차와 무성음부분의 LPC잔차가 가산된 것에 대해서 LPC합성처리를 시행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단자(202)로부터의 LSP의 인덱스는, LPC파라메터 재생부(213)로 보내져서, LPC의 α파라메터가 꺼내지고, 이것이 LPC합성필터(214)에 보내진다. LPC합성필터(214)에 의해 LPC합성되어 얻은 음성신호는, 출력단자(201)에서 출력된다.
다음에, 도 24는 상기 도 23에 나타낸 음성복호화기(17)에 의해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4에 있어서, 상기 도 23의 각부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지시부호를 붙이고 있다.
입력단자(202)에는, 상기 CRC부호화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를 통한 LSP의 벡터양자화 출력, 소위 코드북의 인덱스가 공급되어 있다.
이 LSP의 인데스는, LPC파라메터 재생부(213)의 LSP의 역벡터양자화기(231)에 보내져서 LSP(역스펙트럼쌍) 데이터에 역벡터양자화 되고, LSP보간회로(232, 233)에 보내져서 LSP의 보간처리가 시행된후, LSP→α변환회로(234, 235)에서 LPC(선형예측부호)의 α파라메터로 변환되고, 이 α파라메터가 LPC합성필터(214)에 보 내진다. 여기서, LSP보간회로(232) 및 LSP→α변환회로(234)는 유성음(V)용이고, LSP보간회로(233)및 LSP→α변환회로(235)는 무성음(UV)용이다. 또 LPC합성필터(214)는 유성음부분의 LSP합성필터(236)와, 무성음부분의 LSP합성필터(237)를 분리하고 있다. 유성음에서 무성음에의 천이부나, 무성음에서 유성음에의 천이부에서, 모든 성질이 다른 LSP끼리를 보간함으로써 악영향을 방지하고 있다.
또, 입력단자(203)에는, 상기 CRC부호 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를 통한 스펙트럼 엔벌로프(Am)의 가중벡터양자화 된 코드북 인데스 데이터가 공급되고 입력단자(204)에는 상기 CRC부호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를 통한 피치파라메터(PCH)의 데이터가 공급되고, 입력단자(205)에는, 상기 CRC부호비교부 & 프레임마스크부(15)를 통한 V/UV판정데이터가 공급되어 있다.
입력단자(203)로부터의 스펙트럼 엔벌로프(Am)의 벡터양자화 된 인덱스데이터는, 역벡터양자화기(212)에 보내져서 역벡터양자화가 시행되고, 상기 데이터수변환에 대응하는 역변환이 시행되어,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데이터가 되어, 유성음합성부(211)의 사인파 합성회로(215)에 보내지게 된다.
또한, 엔코드시에 스펙트럼의 벡터양자화에 앞서 프레임간 차분을 취하고 있을 경우에는, 여기서의 역벡터양자화 후에 프레임간 차분의 복호를 행하기 때문에 데이터수 변환을 행하고,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데이터를 얻는다.
싸인파합성회로(215)에는 입력단자(204)로부터의 피치 및 입력단자(205)로부터의 상기 V/UV판정데이터가 공급되고 있다. 사인파합성회로(215)에서는 상술한 도 2, 도 3의 LPC력필터(111)로부터의 출력에 상당하는 LPC잔차데이터가 취출되고, 이것이 가산기(218)로 보내지고 있다. 이 사인파 합성의 구체적인 수법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본건 출원이 제안한 일본 특원평4-91422호의 명세서 및 도면, 혹은 일본 특원평6-198451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고 있다.
또 역벡터양자화기(212)로부터의 엔벌로프의 데이터와, 입력단자(204)(205)로부터의 피치, V/UV판정데이터는 유성음(V)부분의 노이즈 가산을 위한 노이즈 합성회로(216)에 보내고 있다. 이 노이즈합성회로(216)로부터의 출력은 가중중첩가산회로(217)를 거쳐서 가산기(218)로 보내고 있다. 이것은 사인파 합성에 의해 유성음의 LPC합성필터로의 입력으로 되는 엑시테이션(Excitation : 여기, 여진)을 만들면, 남성등의 낮은 피치의 음에서 콧소리 감이 있는점, 및 V(유성음)와, UV(무성음)에서 음질이 급격히 변화하고 부자연한 감이 있는 경우가 있는 점을 고려하고, 유성음부분의 LPC합성필터 입력 즉, 엑시테이션에 대해서 음성부호화 데이터 의거하여 파라메터 예를들면 피치, 스펙트럼 엔벌로프 진폭, 프레임내의 최대진폭, 잔차신호의 레벨등을 고려한 노이즈를 LPC잔차신호의 유성음 부분에 가해지고 있는 것이다.
가산기(218)로부터의 가산출력은 LPC합성필터(214)의 유성음용의 합성필터(236)로 보내져서 LPC의 합성처리가 시행됨으로써 시간파형 데이터로 되고 또한 유성음용호스트필터(238v)에서 필터처리된후 가산기로 보내진다.
다음에 도 24의 입력단자(207s) 및 (207g)에는 UV데이터로서의 셰이프인덱스 및 게인인덱스가 각각 공급되고 무성음 합성부(220)로 보내지고 있다. 단자(207s)로부터의 셰이프인덱스는 무성음합성부(220)의 잡음코드북(221)에 단자(207g)로부터의 게인인덱스는 게인회로(222)에 각각 보내지고 있다. 잡음코드북(221)에서 독출된 대표치 출력은 무성음의 LPC잔차에 상당하는 노이즈 신호부분이고, 이것이 게인회로(222)에서 소정의 게인의 진폭으로 되고, 창걸이 회로(223)로 보내지고 상기 유성음부분과의 연결을 원활화 하기 위한 처리가 시행된다.
창걸이 회로(223)로부터의 출력은 무성음합성부(220)로부터의 출력으로서 LPC합성필터(214)의 UV(무성음)용의 합성필터(237)로 보내진다. 합성필터(237)에서는 LPC합성처리가 시행됨으로써 무성음부분의 시간파형 데이터로 되고, 이 무성음부분의 시간파형 데이터는 무성음용 호스트필터(238u)에서 필터처리된 후 가산기(239)로 보내진다.
가산기(239)에서는 유성음용 호스트필터(238v)로부터의 유성음 부분의 시간파형신호와. 무성음용 호스트필터(238u)로부터의 무성음부분의 시간파형 데이터가 가산되고, 출력단자(201)에서 취출된다.
이 출력단자(201)에서 취출된 음성복호 출력은 D/A변환기(18)에 의해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되고 스피커(19)에서 음성으로서 발생된다.
도 25 및 도 26에는 상기 휴대전화장치가 행하는 부호화 방법과, 음성복호화 방법을 합친 플로차트이다.
즉, 휴대전화장치의 부호화 장치측이 실행하는 음성부호화 처리와는 스텝(S1)의 음성복호화 공정에 의해 입력음성신호를 부호화 하고, 스텝(S2)에서 스텝(S1)로부터의 복수종류의 움성부호화 파라메터의 내에서 전송로 오류에 대하여 청감상의 비트감도가 높은 중요한 비트군을 선택하고, 이 중요한 비트군에서 CRC검사부호를 계산하고, 스텝(S3)에서 스텝(S2)으로 계산한 CRC검사부호와 상기 중요비트군에 컨벌루션 부호화를 행하는 처리이다.
또 상기 휴대전화장치의 복호화 장치측이 실행하는 음성복호화 처리는 스텝(S12)에서 다른 휴대전화장치측으로부터의 컨벌루션 부호화 출력에 컨벌루션 복호화를 시행한후 스텝(S12)에서 CRC보호 비트를 갖는 클래스는 CRC부호 비교에 의해 에러검출이 행해진다. 그때 스텝(S13)에서 클래스I의 에러검출결과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킹 상태변수(state)가 갱신된다. 여기서 만약 클래스I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S14)으로 진행하고, 파라메터 치환에 의해 프레임 마스킹이 시행되기 때문에 스텝(S15)으로 진행하여 음성이 복호화된다.
한편 스텝(S13)에서 클래스I에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스텝(S16)으로 진행하고, 만약 갱신되어서 state=7로 되면 스텝(S17)으로 진행되어서 변수(mute)가 전프레임의 변수(mute(p))와 1과의 평균으로 취한결과 0.8을 초월하였는지 아닌지를 스텝(S18)에서 판정하고, 초월된 경우에는 평균이 세트되고, 0.8을 초월한 경우에는 스텝(S19)으로 진행해서 mute=0.8을 세트한다.
다음에 스텝(S20)에서 LSP4=1로 판단하고, 차분모드일때에는 스텝(S21)으로 진행하고, 직전의 클래스I의 에러수에 따라서 보간계수가 세트되고, 스텝(S22)에서 LSP복호된다. 이때 오차분에 해당되는 LSP2, LSP3, LSP5에 의한 성분은 가산되지 않는다. 또 스텝(S20)에서 LSP=1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S23)으로 진행하여 통상의 LSP복호가 행해진다.
상태변수(state)가 0혹은 7에서 상기 처리후에 스텝(S24)에서 voiced frame(VUV〉0)으로 있게 되면, 스텝(S25)으로 진행하고, LPG잔차 스펙트럼(Am)을 idS0, idS1, idG에 의해 복호한다. 만약 스텝(S26)에서 idS0, idS1에 개별로 부가된 CRC비트에 의해 동시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스텝(S27)에서 저역억압을 건다.
그런데 상기 Am은 고정차원으로 변환된 것이므로 피치에 의거해서 본래의 차원으로 되돌리기 때문에 스텝(S28)에서 차원변환이 행해진다.
또한 스텝(S29)에서 레이트가 4kbps일때에는 스텝(S30)으로 진행하고, Am의 확장성분인 idS2_4k, idS3_4k, idS4_4k를 커버하는 CRC비트가 체크되지만, 그 결과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만 스텝(S31)으로 확장성분이 가산된다.
또한 스텝(S32)에서 state=7이고, 또한 전 프레임의 VUV인 prevVUV=0 결국 unvoiced일때 스텝(S33)으로 진행하여 Am의 억압이 시행된다.
이와같이 전송로부호화기(4)와, 부호화기(3)를 부호화 장치로서 송신측에 갖춘 휴대전화장치에서는 전송로의 오류에 강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적용한 전송로복호화기와, 음성복호화기를 복호화 장치로서 수신측에 갖춘 휴대전화장치에서는 전송로 오류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한 음성을 복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호장치 및 방법의 구체예로 이루는 복호장치를 갖춘 휴대전화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휴대전화장치의 복호장치에만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전송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송시스템(시스템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이 좋고,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케이스체 중에 있는지 아닌지는 관계없다)의 일 실시의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송시스템에서는 상기 복호장치를 클라이언트단말(63)이 갖추고, 상기 부호화장치를 서버(61)가 갖추고 있다. 클라이언트단말(63)과 서버(61)는 예를들면 인터넷이나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등의 네트워크(62)에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단말(63)에서 서버(11)에 대하여 네트워크(62)를 거쳐서 예를들면 곡등의 오디오신호의 요구가 있으면, 서버(61)에 있어서, 그 요구에 있던 곡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의 부호화파라메터를 네트워크(62)상의 전송로 오류에 대하여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보호하고, 클라이언트단말(63)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단말(63)에서는 상기 복호방법에 따라서 서버(61)에서 전솔로 오류에 대하여 보호되어 온 부호화파라메터를 복호하여 예를들면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에서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도 28은 도 27의 서버(61)의 하드웨어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ROM(Read Only Memory)(71)에는 예를들면 IPL(Initial Program Loading)프로그램등이 기억되어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72)는 예를들면 ROM(71)에 기억되어 있는 IPL프로그램에 따라서 외부기억장치(76)에 기억(기록)된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그 OS의 제어의 아래, 외부기억장치(76)에 기억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오디오신호 의 부호화처리나그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파라메터에 대하여 보호처리를 시행하고, 그 부호화데이터의 클라이언트단말(63)에의 송신처리등을 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73)은 CPU(72)의 동작상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등을 기억한다. 입력장치(74)는 예를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외부인터페이스등으로 구성되고, 필요한 데이터나 커멘드를 입력할때에 조작된다. 또한 입력장치(74)는 외부에서 클라이언트단말(63)에 대하여 제공하는 디지털오디오신호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로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출력장치(75)는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프린터등으로 구성되고, 필요한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외부기억장치(76)는 예를들면 하드디스크등으로 되고, 상술한 OS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 외부기억장치(76)은 그 외, CPU(72)의 동작상 필요한 데이터등도 기억한다. 통신장치(77)는 네트워크(62)를 거쳐서 통신에 필요한 제어를 행한다.
외부기억장치(76)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음성부호화기(3)와, 전송로부호화기(4)와, 변조기(7)의 기능을 CPU(72)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 도 29는 도 27의 클라이언트단말(63)의 하드웨어구성에를 나타내고 있다.
클라이언트단말(63)은 ROM(81)내지 통신장치(87)로 구성되고, 상술한 ROM(71)내지 통신장치(77)로 구성되는 서버(6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외부단말장치(86)에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서 서버(61)로부터의 부 호화를 복호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그외 후술하는 바와같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등이 기억되어 있고, CPU(82)에서는 이들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으로, 전송로 오류에 대하여 보호된 부호화데이터의 복호, 재생처리등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외부기억장치(86)에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복조기(13)와, 전송로 복호화기(14)와, 음성복호화기(17)의 기능을 CPU(82)에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라이언트단말(63)에서는 외부기억장치(86)에 기억되어 있는 복호방법을 상기 도 1에 나타낸 하드웨어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로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단말(63)에서는 외부기억장치(86)에 서버(61)에서 전송되어온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기억하여 놓고서 소망의 시간에 그 부호화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복호화방법을 실현하고, 소망의 시간에 음성을 출력장치(85)에서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86)와는 별도의 외부기억장치, 예를들면 광자기디스크나 다른 기억매체로 기억하여 놓아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서버(61)의 외부기억장치(76)로 하여도, 광기록매체, 광지기기록매체, 자기기록매체등의 기록가능한 매체를 사용하여 이 기록매체에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하여 놓아도 좋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호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음성신호로서의 연속성을 유 지하고, 고품질의 음성을 복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그램제공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신호로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고품질의 음성을 복호할 수 있다.

Claims (13)

  1.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단위에서 부호화장치에 의해 부호화되고,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는 입력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전송된 부호화 파라메터를 복호하는 복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유성음 파라메터의 다수의 클래스 및 무성음 파라메터의 다수의 클래스로 분류되는 소정 클래스의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 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전송로 복호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장치는 복수개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해진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수단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인덱스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 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서 전송되는 인덱스는, 상기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오류검사부호가 부가된 후 컨벌루션 부호화가 실행되는 클래스와, 오류검사부호가 부가되는 클래스 및 어떤 처리도 실시되지않는 클래스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복호수단은, 소정갯수이상의 부호화단위내에서 오류가 검출되었을 때에 프레임 마스크처리를 행하고, 그것 이외 일때는 잘못된 인덱스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처리는 교대학습에 의해 작성된 다단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해진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수단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복수개의 인덱스에 오류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처리는, 음성의 스펙트럼정보를 교대학습에 의해 2단벡터 양자화기에서 양자화 전송하는 부호화처리이고, 상기 전송로복호 수단은 2개의 벡터양자화기의 출력인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동시에 잘못된 경우에 저역을 억압하는 프레임마스크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복호수단은, 1개이상의 연결하는 상기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 단위인 프레임에서 오류가 검출된 후, 최초의 정상인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에, 그 프레임이 유성음으로, 또한 오류전의 최후의 정상인 프레임이 무성음이었을때에 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프레임마스크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장치.
  8. 부호화장치에 의해 입력음성신호가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단위로 구분되어 부호화 되고, 또한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온 부호화 파라메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 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전송로복호공정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처리는 복수개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해진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공정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인덱스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처리는 교대학습에 의해 작성된 다단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해진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 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공정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복수개의 인덱스에 오류가 검출되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방법.
  11. 부호화장치에 의해 입력음성신호가 시간축상의 소정의 부호화단위로 구분되어 부호화되고, 또한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 온 부호화파라메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공매체에 있어서,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사부호를 이 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부호화 파라메터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마스크처리를 다르게하는 전송로 복호스텝을 갖추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처리는 복수개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해진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스텝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단위내에서 발생한 상기 인덱스의 오류에 따라서 프레임 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처리는 교대학습에 의해 작성된 다단벡터 양자화기를 이용하여 행해진 것이고, 각 코드벡터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전송로 오류에 대한 비트의 청감상의 감도에 따라서 클래스분할되어 전송되어옴으로써, 상기 전송로 복호스텝은 소정의 클래스의 상기 인덱스에 부가되어 오는 오류검사부호를 검출하고, 복수개의 인덱스에 오류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프레임 마스크처리를 다르게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
KR1020000033320A 1999-06-17 2000-06-16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 KR100718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70574 1999-06-17
JP17057499A JP4218134B2 (ja) 1999-06-17 1999-06-17 復号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417A KR20010007417A (ko) 2001-01-26
KR100718712B1 true KR100718712B1 (ko) 2007-05-15

Family

ID=1590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320A KR100718712B1 (ko) 1999-06-17 2000-06-16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58378B1 (ko)
EP (2) EP1596364B1 (ko)
JP (1) JP4218134B2 (ko)
KR (1) KR100718712B1 (ko)
CN (2) CN1201288C (ko)
DE (2) DE60026660T2 (ko)
TW (1) TW4668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1203B1 (en) * 1999-02-26 2004-01-20 Lucent Technologies Inc. Coupled error code protection for multi-mode vocoders
KR20030005226A (ko) * 2001-01-17 2003-01-1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데이터 스트림의 무손실 전송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711099B2 (ja) * 2001-06-26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467326B1 (ko) * 2002-12-09 2005-01-24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추가 비트 할당 기법을 이용한 음성 부호화 및 복호화를위한 송수신기
US8359197B2 (en) * 2003-04-01 2013-01-22 Digital Voice Systems, Inc. Half-rate vocoder
US7778826B2 (en) * 2005-01-13 2010-08-17 Intel Corporation Beamforming codebook gene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7475103B2 (en) 2005-03-17 2009-01-0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heck node message transform approximation for LDPC decoder
WO2006134992A1 (ja) * 2005-06-17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ポストフィルタ、復号化装置及びポストフィルタ処理方法
KR101244310B1 (ko) * 2006-06-21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08067834A1 (en) * 2006-12-07 2008-06-12 Akg Acoustics Gmbh Dropout concealment for a multi-channel arrangement
CN101232347B (zh) * 2007-01-23 2011-01-12 联芯科技有限公司 语音传输的方法及amr系统
CN101141644B (zh) * 2007-10-17 2010-12-08 清华大学 编码集成系统和方法与解码集成系统和方法
US20090287489A1 (en) * 2008-05-15 2009-11-19 Palm, Inc. Speech processing for plurality of users
MX2011000375A (es) * 2008-07-11 2011-05-19 Fraunhofer Ges Forschung Codificador y decodificador de audio para codificar y decodificar tramas de una señal de audio muestreada.
US20110320193A1 (en) * 2009-03-13 2011-12-29 Panasonic Corporation Speech encoding device, speech decoding device, speech encoding method, and speech decoding method
TWI392373B (zh) * 2009-09-04 2013-04-01 Nat Univ Chung Cheng The Method of Reverse Conversion and Sub - sampling of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US9117458B2 (en) * 2009-11-12 2015-08-2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5850216B2 (ja) 2010-04-13 2016-02-0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325224B (zh) * 2011-09-16 2014-01-22 成都摩宝网络科技有限公司 音频数据传输系统、传输方法及其应用
CN103138880B (zh) * 2011-11-30 2016-03-16 北京东方广视科技股份有限公司 编解码方法和设备
US9105270B2 (en) * 2013-02-08 2015-08-1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enhancement in reverberant environment
TWI557724B (zh) * 2013-09-27 2016-11-1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用於將 n 聲道音頻節目編碼之方法、用於恢復 n 聲道音頻節目的 m 個聲道之方法、被配置成將 n 聲道音頻節目編碼之音頻編碼器及被配置成執行 n 聲道音頻節目的恢復之解碼器
CN105849801B (zh) * 2013-12-27 2020-02-14 索尼公司 解码设备和方法以及程序
EP2922054A1 (en) 2014-03-19 2015-09-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n error concealment signal using an adaptive noise estimation
EP2922055A1 (en) 2014-03-19 2015-09-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n error concealment signal using individual replacement LPC representations for individual codebook information
EP2922056A1 (en) 2014-03-19 2015-09-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n error concealment signal using power compensation
DE102015113020B4 (de) * 2015-08-07 2023-10-05 Digital Endoscopy Gmbh Endoskopkopf
US10361717B2 (en) * 2016-06-17 2019-07-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error detection coding
US10880062B2 (en) * 2017-06-29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protection for information delivered i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
CN110190857B (zh) * 2019-04-28 2023-04-11 深圳大学 一种crc辅助校验极化码译码方法和智能终端
CN114915380B (zh) * 2022-07-19 2022-09-3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基于can总线的低成本高实时自动纠错通讯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190A (ko) * 1993-06-30 1995-08-23 오오가 노리오 디지탈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부호화 시킨 신호의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igital signal,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igitial signal, and recording medium for encoded signals)
KR960702220A (ko) * 1994-02-05 1996-03-28 이데이 노부유키 정보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정보 복호화 방법 및 장치(Informa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970029015A (ko) * 1995-11-10 1997-06-26 이데이 노부유키 정보부호화장치 및 방법, 정보해독화장치 및 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789A (en) * 1992-06-01 1998-03-31 Hughes Electronics Voiced, unvoiced or noise modes in a CELP vocoder
US5255343A (en) * 1992-06-26 1993-10-19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for detecting and masking bad frames in coded speech signals
JP3343965B2 (ja) * 1992-10-31 2002-11-11 ソニー株式会社 音声符号化方法及び復号化方法
JP2746033B2 (ja) * 1992-12-24 1998-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復号化装置
JP3680380B2 (ja) * 1995-10-26 2005-08-10 ソニー株式会社 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5754734A (en) * 1995-10-31 1998-05-19 Motorola, Inc. Method of transmitting voice coding information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bits
JP2838994B2 (ja) * 1995-12-27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信号受信装置
JPH11122120A (ja) * 1997-10-17 1999-04-30 Sony Corp 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復号化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190A (ko) * 1993-06-30 1995-08-23 오오가 노리오 디지탈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부호화 시킨 신호의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igital signal,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igitial signal, and recording medium for encoded signals)
KR960702220A (ko) * 1994-02-05 1996-03-28 이데이 노부유키 정보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정보 복호화 방법 및 장치(Informa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970029015A (ko) * 1995-11-10 1997-06-26 이데이 노부유키 정보부호화장치 및 방법, 정보해독화장치 및 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50703190
1019960702220
1019970029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1503B1 (en) 2006-03-15
CN100512022C (zh) 2009-07-08
EP1596364B1 (en) 2008-05-14
DE60038913D1 (de) 2008-06-26
TW466843B (en) 2001-12-01
EP1061503A2 (en) 2000-12-20
JP4218134B2 (ja) 2009-02-04
EP1061503A3 (en) 2003-05-14
JP2000357999A (ja) 2000-12-26
CN1604483A (zh) 2005-04-06
KR20010007417A (ko) 2001-01-26
CN1283007A (zh) 2001-02-07
CN1201288C (zh) 2005-05-11
DE60026660D1 (de) 2006-05-11
DE60026660T2 (de) 2006-12-07
US6658378B1 (en) 2003-12-02
EP1596364A1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12B1 (ko) 복호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
EP1222659B1 (en) Lpc-harmonic vocoder with superframe structure
US69683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peech frame error concealment in speech decoding
US6230124B1 (e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8359197B2 (en) Half-rate vocoder
US6470313B1 (en) Speech coding
EP1598811B1 (en)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287397A (ja) 相互使用可能なボコーダ
KR100526829B1 (ko) 음성부호화방법및장치음성복호화방법및장치
US10607624B2 (en) Signal codec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Das et al. Low-rate multimode multiband spectral coding of speech
KR20100112128A (ko) 디지털 오디오 바이너리 프레임 내의 바이너리 에러들의 프로세싱
Honkanen et al. Nokia Research Center, Tampere, Finland
JPH11119798A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音声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H11316600A (ja) ラグパラメ―タの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符号帳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