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381B1 -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81B1
KR100718381B1 KR1020040108137A KR20040108137A KR100718381B1 KR 100718381 B1 KR100718381 B1 KR 100718381B1 KR 1020040108137 A KR1020040108137 A KR 1020040108137A KR 20040108137 A KR20040108137 A KR 20040108137A KR 100718381 B1 KR100718381 B1 KR 10071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cd
vertical synchroniza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activ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049A (ko
Inventor
이창원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0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3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직 동기(VSYNC : 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로부터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비활성(Inactive) 구간을 파악하여, 비활성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을 검출하여,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을 위해 LCD 내부 메모리에 갱신할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간(tMemUpdate)과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를 동기화 시킬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짐없는 LCD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LCD, 화면 갱신,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

Description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LCD screen updating system used inactive interval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Mobile phone used it, and LCD screen updating system used inactive interval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도 1 은 LCD 화면 갱신을 위해 인가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종래의 LCD 화면 갱신시의 개요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LCD 화면 갱신시의 개요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LCD 화면 갱신 시스템 110 : 메모리
120 : LCD 구동부 130 : 제어부
본 발명은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LCD 화면 표시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도 1 은 LCD 화면 갱신을 위해 인가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VSYNC는 LCD 화면의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로, 한 화면을 갱신하는 동안 활성(Active) 상태(하이 상태)로 유지된다.
HSYNC는 LCD 화면의 수평 동기(Horizont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로, 한 화면 라인(Line)을 갱신하는 동안 활성(Active) 상태(하이 상태)로 유지된다.
DOTCLK는 도트 클럭(Dot Clock) 신호로, 활성(Active) 상태(하이 상태)에서 LCD 화면상에 한 점(Pixel)을 갱신한다.
DATA는 한 점(Pixel)에 대한 RGB 정보를 포함한 신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LCD 화면을 갱신 해야할 경우 LCD 화면 갱신을 담당하는 프로세스(Process)로 메시지를 보내고, 이 프로세스(Process)는 LCD 장치 드라이버(Driver)를 사용해 LCD 모듈 내부의 메모리로 갱신할 내용의 이미지 즉,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한다. 이렇게 메모리에 기록된 화면 프레임 데이타는 LCD 장치 드라이버(Driver)에 의해 LCD 패널(Pannel)에 주사되어 LCD에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도 2 는 종래의 LCD 화면 갱신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서 LCD 화면의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는 LCD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LCD 화면에 주사하는데 걸리는 시간(tLCDUpdate)인 활성(Active) 구간과,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tLCDIdle)인 비활성(Inactive) 구간으로 이루어진 주기적인 신호이다.
그런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을 위해 LCD 내부 메모리에 갱신할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간(tMemUpdate)은 상기한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다.
즉,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LCD 화면을 갱신(LCD 내부 메모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작)하는 시간과 LCD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LCD 패널에 주사하는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지 않으므로, 이는 해당 LCD의 가로/세로 화면 주사율에 영향을 주어 LCD에는 잠시 동안 현재 갱신할 화면과 바로 이전 화면이 겹친 상태의 화면이 출력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LCD 화면을 갱신하는 시간과 LCD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LCD 패널에 주사하는 시간을 서로 동기화시켜,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인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의 비활성(Inactive)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시 이전 화면과 현재 갱신하는 화면이 겹쳐 표시되는 일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LCD 화면 갱신에 관련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인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의 비활성(Inactive)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시 이전 화면과 현재 갱신하는 화면이 겹쳐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직 동기(VSYNC : 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로부터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비활성 구간을 파악하여, 비활성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을 검출하여,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LCD 화면을 갱신하는 시 간과 LCD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LCD 패널에 주사하는 시간을 서로 동기화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시 이전 화면과 현재 갱신하는 화면이 겹쳐 표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LCD 화면 갱신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CD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LCD 화면에 주사하는데 걸리는 시간(tLCDUpdate)인 활성(Active) 구간과,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tLCDIdle인 비활성(Inactive) 구간으로 이루어진 LCD 화면의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의 비활성(Inactive)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LCD 화면을 갱신하는 시간과 LCD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LCD 패널에 주사하는 시간을 서로 동기화시킨다.
이 때, VSYNC의 비활성(Inactive)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함에 있어서, VSYNC의 비활성(Inactive) 구간 시작 시점이나, 중간 시점 등의 적절한 설정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LCD 내부 메모리에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저장하는 시작 시점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을 위해 LCD 내부 메모리에 갱신할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간(tMemUpdate)과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를 동기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100)은 메모리(110)와, LCD 구동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10)는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저장하며, LCD 내부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나, LCD 외부 메모리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상기 LCD 구동부(120)는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인 수직 동기(VSYNC : 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의 비활성(Inactive)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상기 메모리(110)에 기록하고,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화면을 갱신한다. 이 때, 상기 비활성 구간은 수직 동기(VSYNC) 신호로부터 파악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의 화면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LCD 구동부(120)를 통해 LCD 화면을 갱신하도록 처리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30)에 화면 갱신을 요청하 면, 제어부(130)는 상기 LCD 구동부(120)를 통해 LCD 화면을 갱신하도록 처리한다.
그러면, 상기 LCD 구동부(120)는 LCD 내부 메모리(110)에 저장된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LCD 화면에 주사하는데 걸리는 시간(tLCDUpdate)인 활성(Active) 구간과,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tLCDIdle인 비활성(Inactive) 구간으로 이루어진 LCD 화면의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로부터 비활성(Inactive) 구간 즉,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내의 설정된 시점에서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상기 메모리(110)에 기록한다.
그 후, 상기 LCD 구동부(120)는 LCD 화면의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로부터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 즉, LCD 화면에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주사하는데 걸리는 시간(tLCDUpdate)인 활성(Active) 구간 시작 시점을 검출하여,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을 위해 LCD 내부 메모리에 갱신할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간(tMemUpdate)과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를 동기화 시킬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LCD 화면을 갱신(LCD 내부 메모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작)하는 시간과 LCD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LCD 패널에 주사하는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지 않아 LCD의 가로/세로 화면 주사율에 영향을 주어 현재 갱신할 화면과 바로 이전 화면이 겹친 상태로 표시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의 동작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갱신 시스템이 화면 갱신 요청 수신단계(S110)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화면 갱신 요청을 수신한다.
그러면,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갱신 시스템은 비활성 구간 파악단계(S120)에서 수직 동기(VSYNC : 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로부터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비활성(Inactive) 구간을 파악한다.
비활성 구간(Inactive)이 검출되면,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갱신 시스템이 저장단계(S130)에서 비활성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한다.
그 다음, 종료시점 검출단계(S140)에서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갱신 시스템이 수직 동기(VSYNC : 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로부터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 즉, LCD 화면에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주사하는데 걸리는 시간(tLCDUpdate)인 활성(Active) 구간 시작 시점을 검출한다.
그 후,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이 검출되면,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갱신 시스템이 화면 갱신단계(S150)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한다.
따라서, 위와 같임 함에 의해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을 위해 LCD 내부 메모리에 갱신할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간(tMemUpdate)과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를 동기화 시킬 수 있어, 현재 갱신할 화면과 바로 이전 화면이 겹친 상태로 표시되지 않아 종래보다 선명하고 깨짐없는 LCD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화면 갱신을 위해 LCD 내부 메모리에 갱신할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간(tMemUpdate)과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를 위한 신호인 VSYNC를 동기화 시킬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짐없는 LCD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5)

  1.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시간인 수직 동기(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의 비활성(Inactive)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화면을 갱신하는 LCD 구동부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의 화면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LCD 구동부를 통해 LCD 화면을 갱신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기재한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시스템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수직 동기(VSYNC : 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로부터 한 화면을 주사한 후 다음 화면을 주사하기 까지의 비활성 구간을 파악하는 비활성 구간 파악단계와;
    비활성 구간 동안에 갱신(Update)할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Frame Data)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저장단계와;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종료시점 검출단계와;
    비활성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 검출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화면 프레임 데이타를 독출하여 LCD 화면을 갱신하는 화면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갱신 방법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화면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화면 갱신 요청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KR1020040108137A 2004-12-17 2004-12-17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KR10071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37A KR100718381B1 (ko) 2004-12-17 2004-12-17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37A KR100718381B1 (ko) 2004-12-17 2004-12-17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049A KR20060069049A (ko) 2006-06-21
KR100718381B1 true KR100718381B1 (ko) 2007-05-14

Family

ID=3716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137A KR100718381B1 (ko) 2004-12-17 2004-12-17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2119B2 (en) 2019-06-0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461A (ja) 1997-03-25 1998-10-09 Casio Comput Co Ltd 画像伝送システム、画像送信装置及び画像受信装置
KR20010111112A (ko) * 2000-06-07 2001-12-17 전주범 광고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
JP2002271759A (ja) 2001-03-13 2002-09-20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信号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番組中継送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461A (ja) 1997-03-25 1998-10-09 Casio Comput Co Ltd 画像伝送システム、画像送信装置及び画像受信装置
KR20010111112A (ko) * 2000-06-07 2001-12-17 전주범 광고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
JP2002271759A (ja) 2001-03-13 2002-09-20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信号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番組中継送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2119B2 (en) 2019-06-0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049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771B1 (ko) 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갖는 표시 장치
US20170148422A1 (en) Refres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 device
CN100414593C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7969427B2 (en) Control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same
WO2018205589A1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7961169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iming controller
CN101980072A (zh) 基于Android系统的电子墨水屏刷新控制系统及方法
US7489316B2 (en) Method for frame rate conversion
CN113205779B (zh) 适用于电子墨水屏的多屏同步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20080150920A1 (en) Multi-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 frames thereon
US698982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EP053347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N100378793C (zh) 液晶显示器显示方法与系统
JP4599049B2 (ja)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KR100718381B1 (ko) 수직 동기 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직 동기신호의 비활성 구간을 활용한 lcd 화면 갱신 방법
US6734863B1 (en) Display controller for display apparatus
KR100561395B1 (ko) 이미지 티어링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 재생 시스템의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JP5759613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100128044A1 (en) Data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H11282437A (ja) 液晶表示パネルの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18173485A (ja) 画像処理装置
KR100705974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영상 신호출력 방법
US7091942B2 (en) Electrooptic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39231B1 (ko) 수평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및 그 방법
US8730222B2 (en) Display capable of improving frame quality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