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298B1 -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298B1
KR100718298B1 KR1020050112439A KR20050112439A KR100718298B1 KR 100718298 B1 KR100718298 B1 KR 100718298B1 KR 1020050112439 A KR1020050112439 A KR 1020050112439A KR 20050112439 A KR20050112439 A KR 20050112439A KR 100718298 B1 KR100718298 B1 KR 10071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audio
reproduction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규
Original Assignee
디케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주변기기의 에이징을 수행하는 오디오 재생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각 주파수 대역별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와, 각 대역별 음원의 재생시간을 포함한 재생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재생제어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신호로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재생제어 정보에 따라 각 주파수별 해당 음원의 재생 시간 동안 음원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고, 상이한 대역의 음원에 대하여 순차 적용하여 설정 시간동안 전체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의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제어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별도의 CD없이 오디오 재생장치 자체에 장착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어폰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별도로 에이징을 위한 시디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과 이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P3, 이어폰, 에이징

Description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Audio Player Having Aging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원 저장부 110: 정보 저장부
120: 재생부 130: 오디오 출력부
140: 키 입력부 150: 제어부
160: 표시부 170: 다운로드부
180: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주변기기의 에이징을 수행하는 오디오 재생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어폰은 다양한 오디오 기기의 주변기기로 필수품이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가격도 천원짜리에서부터 십만원을 훌쩍 넘는 고급 이어폰까지 그 격차가 매우 크다. 또한 점차 전자기기가 소형화, 간편화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려는 욕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이어폰이 적용되는 제품도 휴대폰,휴대용 라디오, MP3(MPEG1 LAYER 3),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등 매우 다양하다. 종래에 단순히 번들 품목으로만 등장하던 이어폰이 더욱더 고음질의 음향을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증가로 점차 고급형 단일 품목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어폰은 크리스털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하거나,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진동하여 소리를 만든다. 그런데 처음 공장에서 만들어져 나오거나, 몇달동안 사용하지 않은 이어폰의 경우에는 이 진동판이 굳어져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이어폰의 뻣뻣한 진동판을 풀어주어 좋은 소리를 낼 수 있게 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을 에이징이라고 한다.
많은 경우에 클래식 에이징이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클래식 음악이 음역이 넓고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기 때문이다. 또한 에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컴펙트 디스크(CD)가 따로 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장시간동안 이 컴펙트 디스크를 플레이 시키며 이어폰을 에이징 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에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 비용이 발생하고, 에이징 과정만을 위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지않는 CD를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무조건 넓은 대역의 음원들을 사용하기 보다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적절한 음원들을 사용하여 에이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제조사에서 제조된 이어폰 상품별로 재생 주파수 대역에 차이가 있다. 실제로는 많은 사용자가 에이징 방법을 확실히 알지 못하고, 여러가지 번거로움 때문에 이를 수행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 오디오 재생장치 자체만으로 이어폰의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에이징 설정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적용되는 이어폰의 모델에 따라 적합한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는 에이징을 위해 각 주파수 대역별 음원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선택한 재생 제어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해당 음원데이터를 반복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CD없이 오디오 재생장치 자체에 장착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어폰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별도로 에이징을 위한 시디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과 이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는, 이미 저장된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이어폰 각 상품별로 적절한 주파수 대역의 음원으로 에이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에이징을 위한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한 음원들로 에이징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는 에이징을 위한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이 이어폰 모델에 따라 각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됨으로써 이어폰의 모델에 따라 적절하게 에이징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각 주파수 대역별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100)와, 각 대역별 음원의 재생시간을 포함한 재생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0)와, 사용자로부터 재생제어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신호로 입력받는 키 입력부(140)와,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재생제어 정보에 따라 각 주파수별 해당 음원의 재생 시간 동안 음원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고, 상이한 대역의 음원에 대하여 순차 적용하여 설정 시간동안 전체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부(120)와, 재생부(120)의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30)와, 제어부(150)로부터 정보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음원 저장부(100)는 음원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내장형 혹은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예컨대 오디오 MP3 파일로 작성된 음원이나 마이크를 통해 직접 녹음된 음원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저장부(100)에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음원이 저장되어 있으며, 메모리의 용량을 위해 음원 데이터는 수초 예를들면 2~3초간의 짧은 시간동안 재생되는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f1=200Hz, f2=1KHz, f3=2KHz, f4=3KHz, f5=5KHz, f6=8KHz, f7=10KHz, f8=15KHz의 대역에 각각 약 2초간 재생할 분량의 음원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 저장부(110)는 이어폰에 따라 각각 다른 대역별 음원의 반복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재생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정보 저장부(110)에는 각 대역 음원별로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된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 제어 정보A에는 데이터로 주파수별로 f1=10분, f2=8분, f3=7분, ... 동안 재생하라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재생 제어 정보B에는 f1=8분, f2=10분, f3=8분, ...동안 재생하라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제어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신호로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키 입력부(140)는 MP3플레이어에 장착된 기능키 혹은 메뉴키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CDP에 장착된 기능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로부터 키 검출을 통해 선택신호를 받을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일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하여 정보 저장 부(110)에 저장된 다수개의 재생 제어 정보중 하나를 선택신호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오디오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제어부(150)는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재생제어 정보에 따라 각 주파수별 해당 음원의 재생 시간 동안 음원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고, 상이한 대역의 음원에 대하여 순차 적용하여 설정 시간동안 전체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타이밍 및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 정보에A에 200Hz=10분, 1KHz=8분, 2KHz=7분, ... 동안 재생하라는 내용이 기록된 경우, 제어부(150)는 음원 저장부(10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중 200Hz의 2초 분량 음원 데이터를 10분간 반복 재생한다. 그리고 10분이 지나면 역시 음원 저장부(10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중 1KHz의 2초 분량 데이터를 8분간 반복 재생한다. 재생 제어 정보에 포함된 모든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해당 시간동안 반복한 후에는 다시 맨 처음 재생한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재생하여 설정시간 동안 전체 데이터를 반복재생한다. 즉 2KHz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7분간 반복 재생한 후에는 다시 200Hz의 음원을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 시간은 키 입력부(1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값으로 짧게는 1~2시간 에서 길게는 10시간 가량도 가능할 수 있다.
재생부(120)는 압축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복원하여 PCM 방식의 일반적인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한후, 이를 다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Conveter)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압축된 디지털 음향 신호는 DPCM, QELP, MP3, AC3등의 다양한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보편화된 음원의 압축방식으로 압축된 형태나, PCM방식으로 부호화된 형태로 저장되어 음원 저장부(100)에 저장된 음원 재생만을 위한 별도의 코덱을 사용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복원장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집적회로의 형태의 것과 디지털 신호 처리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부(120)는 음원 저장부(100)에 저장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원 데이터들을 읽어와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데, 해당 음원 데이터 압축된 형태이면 압축을 푼다음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오디오 출력부(130)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재생부(120)로부터 받은 출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 앰프를 포함하는 공지된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130)는 이어폰 잭과 연결된다. 따라서 오디오 출력부(130)에서 이어폰 잭의 이어폰이 감지되면,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통상적인 LCD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재생 장치의 현재 동작상태를 문자 또는 이미지등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들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재생 제어 정보들을 나열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재생 제어 정보를 선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남은 타이밍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이징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오디오 재생장치는 정보 저장부(110)의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대역 음 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60)를 통해 록, 클레식, 팝 등의 각 장르들이 메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140)의 입력을 통해 이들 중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록음악을 선호하면,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화면에서 록음악을 선택한다. 이미 저장된 '록' 재생 제어 정보에는 록 음악에 많이 쓰이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음원의 재생시간이 길게 세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클래식 음악을 선호하는 경우, '클래식'재생 제어 정보에는 넓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이 골고루 재생시간을 갖도록 세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재생 제어 정보는 오디오 재생 장치의 제작 과정에서 이미 설정되어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이징을 위한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한 음원들로 에이징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는 정보 저장부(110)의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은 이어폰 모델에 따라 각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사에서 제조된 이어폰에 최적화된 데이터로 재생 제어 정보A에는 데이터로 주파수별로 f1=10분, f2=8분, f3=7분, ... 동안 재생하라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B사에서 제조된 이어폰에 최적화된 데이터로 재생 제어 정보B에는 f1=8분, f2=10분, f3=8분, ... 동안 재생하라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 사에서 제조된 이어폰을 꽂은 경우에 사용자가 재생 제어 정보 A를 선택하고, B사에서 제조된 이어폰을 꽂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재생 제어 정보B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이징을 위한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이 이어폰 제품별로 다양한 주파수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을 가지도록 세팅됨으로써 여러 제조사의 다양한 이어폰 기기에 대하여 최적화된 주파수 음원으로 에이징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외부의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80)와,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정보 저장부(110)의 재생 제어 정보를 하나의 콘텐츠로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의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흐름을 제어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기기는 컴퓨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의 통신 단말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USB포트를 구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은 USB통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통신 방법 중 커넥터를 이용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또는 무선 통신인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오디오 재생장치 제조사의 홈페이지 서버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같 은 유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유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컴퓨터는 해당 컨텐츠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제어 정보에 적용 가능한 컨텐츠로 확인되면 컨텐츠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컴퓨터로 다운로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와 오디오 재생 장치간의 인터페이스가 무선통신으로 형성된 경우 컴퓨터에서는 해당 무선 인터넷 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과 언어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오디오 재생장치에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부(170)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로드부(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하나의 콘텐츠로 다운로드한 재생 제어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오디오 재생장치의 제조사 홈페이지로부터 각 이어폰 에이징에 적절한 주파수 대역별 시간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그 내용을 정보 저장부(110)에 추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재생 제어 정보는 소정의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의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다운로드 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와 다양한 이어폰 모델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각 주파수 대역별로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반복 재생함으로써 별도의 컴펙트 디스크 없이도 오디오 재생장치 자체에 저장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재생하여 이어폰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별도로 에이징을 위한 시디를 구매해야 하는 부 담과 이를 위해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저장된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의 음원별로 그 재생시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적절한 음원들로 에이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모델별로 적절한 주파수 대역의 음원으로 에이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저장된 메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재생 제어 정보를 하나의 콘텐츠로 다운로드함으로써 에이징을 위한 재생 제어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품들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각 주파수 대역별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와;
    상기 각 대역별 음원의 재생시간을 포함한 재생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재생제어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신호로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상기 선택신호로 선택된 재생제어 정보에 따라 각 주파수별 해당 음원의 재생 시간 동안 상기 음원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고, 상이한 대역의 음원에 대하여 순차 적용하여 설정 시간동안 전체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의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각 대역 음원별로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된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재생 제어 정보들은 이어폰 모델에 따라 각 대역 음원별 재생시간이 다르게 세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가:
    외부의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의 상기 재생 제어 정보를 하나의 콘텐츠로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KR1020050112439A 2005-11-23 2005-11-23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KR10071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39A KR100718298B1 (ko) 2005-11-23 2005-11-23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39A KR100718298B1 (ko) 2005-11-23 2005-11-23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298B1 true KR100718298B1 (ko) 2007-05-15

Family

ID=3827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39A KR100718298B1 (ko) 2005-11-23 2005-11-23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2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586A (ja) * 1993-04-19 1994-11-04 Clarion Co Ltd オーディオ装置の自動利得調整増幅器
KR950015197A (ko) * 1993-11-29 1995-06-16 이헌조 오디오/비디오(a/v) 앰프의 주파수 특성 보정장치
KR19990031683A (ko) * 1997-10-14 1999-05-06 윤종용 결합불량 테스트가 가능한 오디오장치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US20020136414A1 (en) 2001-03-21 2002-09-26 Jordan Richard J.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ound and visual parameters of a home theatr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586A (ja) * 1993-04-19 1994-11-04 Clarion Co Ltd オーディオ装置の自動利得調整増幅器
KR950015197A (ko) * 1993-11-29 1995-06-16 이헌조 오디오/비디오(a/v) 앰프의 주파수 특성 보정장치
KR19990031683A (ko) * 1997-10-14 1999-05-06 윤종용 결합불량 테스트가 가능한 오디오장치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US20020136414A1 (en) 2001-03-21 2002-09-26 Jordan Richard J.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ound and visual parameters of a home theatr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7018B2 (ja) 可搬型メディア再生装置に関するオーディオ・システム等化処理
US8675130B2 (en) Electronic adapter unit for selectively modifying audio or video data for use with an output device
CN100488208C (zh) 用于存储和再现移动电话的铃音乐曲的方法及其系统
JP2002524996A5 (ko)
KR20080011831A (ko) 오디오 재생 장치의 이퀄라이저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10188668A1 (en) Media delivery system
JP2009060209A (ja) 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再生装置における周波数特性調整方法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KR100718298B1 (ko) 에이징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디오 재생장치
KR101457422B1 (ko) 개인 정보를 이용한 av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av기기
US82042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ring tone volume
US20230101944A1 (en) Multi-channel audio system, multi-channel audio device, program, and multi-channel audio playback method
CN110383797A (zh) 终端装置和通信方法
KR100678159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음악파일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80160215A1 (en) Acoustic adjusting system, earphone device and acoustic adjusting method thereof
KR100617834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이동 전화기에서 그래픽 이퀄라이저 표시방법
KR101114155B1 (ko)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KR100540776B1 (ko) 무선 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KR100525777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배경음원과 외부 입력오디오신호의 믹싱 처리장치 및 방법
TWM526240U (zh) 聲學調整系統及其使用之耳機裝置
KR20060042934A (ko) 음원의 유효기간 알림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7553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02135900A (ja) 圧縮オーディオ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KR20000030814A (ko) 멀티 포맷 파일의 재생을 위한 인터넷 오디오/비디오플레이어
KR100775277B1 (ko) 음향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