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015B1 -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015B1
KR100718015B1 KR1020060012729A KR20060012729A KR100718015B1 KR 100718015 B1 KR100718015 B1 KR 100718015B1 KR 1020060012729 A KR1020060012729 A KR 1020060012729A KR 20060012729 A KR20060012729 A KR 20060012729A KR 100718015 B1 KR100718015 B1 KR 10071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gear
compartment
mai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to KR102006001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수전부와, 배전부 및 정류부로 구성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각 부의 주요 기기를 유니트(Unit)형으로 상하,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의 단위 격실 구조의 콤퍼넌트형으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수배전반 내/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발생으로 인한 사고 여파가 수배전반의 주요기기로 파급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로 생산 조립되어 운반 및 설치가 보다 편리해진다.
수배전반, 단위격실 유니트, 콤퍼넌트, 주모선, 부싱

Description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ENCLOSED SWITCHGEAR AND CONTROLGEAR CONSISTING COMPARTMENT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유니트 격실로 이루어진 수배전반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전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배전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정류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전부 11 : 부하 개폐기 유니트
12 : 계기용 변류변성기 유니트 13 :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
14 : VCB & CT 유니트 20 : 배전부
21 :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 22 : 기중 차단기 유니트
23 : 배선용 차단기 유니트 30 : 정류부
31 : 정류기 유니트 32 : 배터리 유니트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에 장착된 주요 기기별로 유니트(Unit)형 단위 격실을 갖추고 운반 및 설치가 편리하도록 단위 유니트별로 생산 조립하여 수배전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종설치장소에 운반 후 완전제품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콤퍼넌트형으로 구성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배전반은 수배전반의 계통에 따라 고압 개폐기, 계기용 변류기, 차단기, 변압기 등의 계통 순서에 맞게 주요 기기별로 나열되어 평면형으로 구성되어진다.
즉, 주요 기기별로 1개의 단위면으로 구성 설치되어 필요 이상의 단위면으로 되어 설치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야 하며, 단위면당 각각의 보호용 이중 도어와 보조기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면과 면을 연결하는 주모선이 관통되어 각각의 주요 기기를 거쳐 기능별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모선 관통부가 상부에 설치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수배전반의 구조에서는 주요기기별로 수평나열되 평 면형으로 구성되어 수배전반의 전체 크기와 설치면적이 넓게 설치되어 건축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것을 주요기기의 수배전반 내부의 배치방법을 상하, 좌우로 입체 배치될 수 있도록 계통에 맞도록 설계되어 단위 유니트화시킴으로서 수배전반 내/외부의 이상 발생으로 인한 문제 발생시 주요 기기의 폭발사고와 화재 등 여러 가지 원인에서 야기되어지는 사고 여파가 근접되어 있는 주요 기기에 직접적인 파급으로 손상을 주게 되며, 단위 함체의 크기가 커서 운반 및 설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배전반에서 각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각부의 주요기기별로 유니트형 단위 격실을 갖추어 독립된 공간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고 수배전반 내/외부의 이상 발생으로 인한 사고 여파가 최소화시키고,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로 생산 조립되어 운반 및 설치가 보다 편리하도록 한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배전반 각 부의 주요 기기를 유니트형으로 상하,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의 단위 격실 구조의 콤퍼넌트형으로 구성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전부에는 부하 개폐기 유니트(LBS Unit)는 전면하단에 배치되고, 계기용 변류변성기 유니트(MOF Unit)는 전면상단에 배치되며,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PT Unit)는 후면상단에 배치되고, VCB & CT 유니트(VCB & CT Unit)는 후면하단에 배치되어 각각의 단위격실 유니트가 정확한 대칭을 이루는 배치구조로서 조립되어진다.
상기 배전부와 정류부에는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TR Unit)와 배터리 유니트(Battery Unit)가 후면 배치되고, 기중 차단기 유니트(ACB Unit)와 배선용 차단기 유니트(FEEDER MCCB Unit) 및 정류기 유니트(Rectifer Unit)가 전면에 배치되어 전,후면 사이에 통전 중에도 유지 및 보수,시공을 할 수 있는 안전공간(Safety Zone)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수배전반 각 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격실 유니트간에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주모선은 기준치 이상의 절연 내력을 갖는 연결용 절연 부싱(Bushing)을 통해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유니트 격실로 이루어진 수배전반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 유니트 격실로 이루어진 수배전반은 크게 수전부(10)와, 배전부(20)와, 정류부(30)로 구성되며, 수배전반의 계통 순서에 따라 주요기기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전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전부로 구성할 수 있다.
수전부(10)는 계통 순서에 따라 부하 개폐기(LBS)와, 계기용 변류변성기(MOF)와, 고압진공 차단기(VCB), 계기용 변성기(PT) 등의 주요 기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기기별로 유니트(Unit)형 단위 격실을 갖추어 독립된 공간 내에서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러한 수전부(10)의 주요 기기별 유니트형 단위 격실에 대해 살펴보면, 부하 개폐기 유니트(LBS Unit)(11)와, 계기용 변류변성기 유니트(MOF Unit)(12)와,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PT Unit)(13)와, VCB & CT 유니트(VCB & CT Unit)(14)로 구성된다.
배전부(20)는 전력용 변압기(TR)와, 기중 차단기(ACB)와, 배선용 차단기(MCCB)등의 주요 기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기기별로 유니트형 단위 격실을 갖추어 독립된 공간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러한 배전부(20)의 주요 기기별 유니트형 단위 격실에 대해 살펴보면,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TR-1 Unit, TR-2 Unit)(21)와, 메인 기중 차단기 유니트(MAIN ACB Unit)(22a)와, 타이 기중 차단기 유니트(TIE ACB Unit)(22b) 및 배선용 차단기 유니트(FEEDER-1 MCCB Unit, FEEDER-2 MCCB Unit)(23a, 23b)로 구성된다.
정류부(30)는 직류전원 공급장치인 정류기(Rectifer)와 배터리(Battery) 등의 주요 기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기기별로 유니트(Unit)형 단위 격실을 갖추어 독립된 공간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정류부(30)의 주요 기기별 유니트(Unit)형 단위 격실에 대해 살펴보면, 정류기 유니트(Rectifer Unit)(31)와, 배터리 유니트(Battery Unit)(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부의 주요 기기들이 유니트형 단위 격실로 이루어지며, 하기에서는 상기 수전부와, 배전부 및 정류부의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수전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부의 주요 기기별 유니트형 단위 격실 구조는 부하 개폐기 유니트(11)와, 계기용 변류변성기 유니트(12)와,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13)와, VCB & CT 유니트(1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부하 개폐기 유니트(11)는 전면하단에 배치되고, 계기용 변류변 성기 유니트(12)는 전면상단에 배치되며,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13)는 후면상단에 배치되고, VCB & CT 유니트(14)는 후면하단에 배치되어 각각의 단위격실 유니트가 정확한 대칭을 이루는 배치구조로서 조립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전부는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로 구성되어지므로 주요 기기별 독립된 공간으로 완전 폐쇄를 시키기 위해서는 특고압(22900[V])의 전기에서 요구되는 절연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한다.
특히, 계통의 순서에 맞게 주요 기기별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주모선(A,B,C)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각 유니트 간에는 절연 내력을 충분히 견디는 연결용 절연 부싱(Bushing)(D,E,F)을 장착한다.
즉, 상기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13)와 VCB & CT 유니트(14)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지며, 고압의 전기가 흐르게 되는 주모선(A,B)은 유니트 간에 절연 내력을 충분히 견디는 연결용 절연 부싱(D,E)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부하 개폐기 유니트(11)와 계기용 변류변성기 유니트(12)간에도 고압의 전기가 흐르게 되는 주모선(C)은 유니트 간에 절연 내력을 충분히 견디는 연결용 절연 부싱(F)을 통해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견디는 유니트별 주기중(frame)이 설계되어 튼튼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단위 유니트로 생산 조립된 것을 운반 설치 후 최종 설치장소에서 완제품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배전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부의 주요 기기별 유니트(Unit)형 단위 격실 구조는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21)와, 기중 차단기 유니트(22)와, 배선용 차단기 유니트(23)로 구성된다.
또한, 배전부에서도 상기 수전부와 마찬가지로 계통의 순서에 맞게 주요 기기별 결합을 위해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주모선(G)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각 유니트 간에는 절연 내력을 충분히 견디는 연결용 절연 부싱(H,I)을 장착한다.
즉, 고압의 전기가 흐르게 되는 주모선(G)은 상기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TR Unit)(21)의 연결용 절연 부싱(H,I)을 통해 다른 주요 기기와 연결되어진다.
도 4는 도 1의 정류부의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 격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의 주요 기기별 유니트형 단위 격실 구조는 정류기 유니트(31)와, 배터리 유니트(32)로 구성되어지며, 정류부에서는 상기 수전부와 배전부에서의 연결용 절연 부싱은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배전부와 정류부에서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21)와 배터리 유니트(32)가 후면 배치되고, 기중 차단기 유니트(22)와 배선용 차단기 유니트(23) 및 정류기 유니트(31)가 전면에 배치되어 전,후면 사이에 통전 중에도 유지 및 보수,시공을 할 수 있는 안전공간(Safety Zone)(J)이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배전반은 주요 기기별 유니트형 단위 격실을 갖추고, 운반 및 설치가 편리하도록 단위 유니트별로 생산 조립되어 최종 설치장소에서 완제품으로 조립되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배전반에서 각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각부의 주요기기별로 유니트형 단위 격실을 갖추어 독립된 공간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수배전반 내/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발생으로 인한 사고 여파가 수배전반의 주요기기로 파급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주요 기기별 단위 유니트로 생산 조립되어 운반 및 설치가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수전부와, 배전부 및 정류부로 구성되고, 각 부의 주요 기기를 유니트형으로 상하,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의 단위 격실 구조의 콤퍼넌트형으로 구성하여 조립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에는, 부하 개폐기 유니트를 전면하단에 배치하고, 계기용 변류변성기 유니트는 전면상단에 배치하며, 계기용 변성기 유니트는 후면상단에 배치하고, VCB & CT 유니트는 후면하단에 배치하여 각각의 단위격실 유니트가 대칭을 이루도록 한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부와 정류부에는, 전력용 변압기 유니트와 배터리 유니트를 후면에 배치하고, 기중 차단기 유니트와 배선용 차단기 유니트 및 정류기 유니트를 전면에 배치하여 전,후면 사이에 통전 중에도 유지 및 보수,시공을 할 수 있는 안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4. 삭제
KR1020060012729A 2006-02-09 2006-02-09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KR10071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29A KR100718015B1 (ko) 2006-02-09 2006-02-09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29A KR100718015B1 (ko) 2006-02-09 2006-02-09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756U Division KR200414669Y1 (ko) 2006-02-10 2006-02-10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015B1 true KR100718015B1 (ko) 2007-05-17

Family

ID=3827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729A KR100718015B1 (ko) 2006-02-09 2006-02-09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84B1 (ko) 2008-11-14 2009-05-14 대승기전(주) 절체장비반을 구비한 배전반
KR101925408B1 (ko) * 2017-03-06 2018-12-05 천호산업주식회사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688U (ko) * 1998-04-16 1999-11-15 양규현 수전반 케이스 구조
KR19990039689U (ko) * 1998-04-16 1999-11-15 양규현 수전반 케이스 구조
KR200325624Y1 (ko) * 2003-06-10 2003-09-03 이윤학 폐쇄형 수,배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688U (ko) * 1998-04-16 1999-11-15 양규현 수전반 케이스 구조
KR19990039689U (ko) * 1998-04-16 1999-11-15 양규현 수전반 케이스 구조
KR200325624Y1 (ko) * 2003-06-10 2003-09-03 이윤학 폐쇄형 수,배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84B1 (ko) 2008-11-14 2009-05-14 대승기전(주) 절체장비반을 구비한 배전반
KR101925408B1 (ko) * 2017-03-06 2018-12-05 천호산업주식회사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24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лавного пуска и остановки трехфазных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й (софтстартер)
KR101196704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갖춘 격벽 격실 축소형 고?저압 폐쇄배전반
CN108233243A (zh) 气体绝缘开关柜
KR101253774B1 (ko) 내진형 수배전반
KR100876586B1 (ko) 공기절연 고·저압 격실금속피복 절연축소형 폐쇄배전반
KR200485290Y1 (ko) 배전반
KR101651069B1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CN106532534A (zh) 一种城镇用小型化预装式变电站
JPWO2013021678A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BRPI1100187A2 (pt) dispositivo de comutação do tipo barra condutora dupla
CN201994576U (zh) 一种双母线固定式金属封闭开关装置
KR100718015B1 (ko)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CN203135226U (zh) 三级配电箱
JP4936932B2 (ja) 電気鉄道用直流変電所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200414669Y1 (ko)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KR101371679B1 (ko) 투명 배전함
KR101040227B1 (ko) 가스 절연과 고체 절연을 병용하는 복합 절연 방식의 개폐 장치 및 전원 단자 결합 방법
KR100822266B1 (ko) 수변전 장치
KR101338254B1 (ko) 특고압 수배전반
KR200434542Y1 (ko) 벽관통 부싱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CN202856227U (zh) 一种小型铠装式金属封闭开关柜
CN219960035U (zh) 信号监测防雷分线柜
CN210669248U (zh) 预装式变电站
CN201307715Y (zh) 无凝露故障隔离型环网开闭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