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764B1 -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764B1
KR100716764B1 KR1020050016778A KR20050016778A KR100716764B1 KR 100716764 B1 KR100716764 B1 KR 100716764B1 KR 1020050016778 A KR1020050016778 A KR 1020050016778A KR 20050016778 A KR20050016778 A KR 20050016778A KR 100716764 B1 KR100716764 B1 KR 10071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acrylic emulsion
compoun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067A (ko
Inventor
윤충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프씨
Priority to KR102005001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7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에 사용되는 필르밍액(아크릴 에멀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크릴 에멀션과 열분해 산화촉진제등의 첨가제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여 컬러 브라운관 형광 중간막인 필르밍막의 형성과 분해에 있어서 막의 평판도를 개선하고 열분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어 컬러 브라운관 제조시의 소정공정 영역에서의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여 불량개선 및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크릴 에멀션 8~26 중량%와, 유기퍼옥사이드 화합물인 산화제 0.05~1.0중량%, 퍼옥시에스터 화합물인 산화촉진제 0.05~0.5중량%, 아민계 화합물과 같은 기공 발생제 0.3~2중량%,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0.1~2.0중량%, 하이드록시메틸셀루로오즈 화합물인 점도조절 및 안정제 0.5~4중량%, pH 조절을 위한 암모니아수 1~4.5중량%, 순수 60~90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필르밍액용 수계 아크릴 에멀션 조성물의 열분해 온도감소와 평편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잔탄량의 감소로 인한 불량개선 및 금속막의 평편도를 개선하여 휘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컬러 브라운관, 필르밍액, 필르밍막, 아크릴 에멀션, 산화촉진제

Description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Pilleuming liquid composition for a color picture tube}
본 발명은 컬러 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에 사용되는 필르밍액(아크릴 에멀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에멀션과 열분해 산화촉진제등의 첨가제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여 컬러 브라운관 형광 중간막인 필르밍막의 형성과 분해에 있어서 막의 평판도를 개선하고 열분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어 컬러 브라운관 제조시의 소정공정 영역에서의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여 불량개선 및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컬러 브라운관에 있어서 형광막의 역할은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충돌하여 발광된 빛을 발산하여 광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곳으로 발광된 이 빛은 브라운관 패널의 전역으로 발산되어 눈으로 식별 할 수 있는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되어진다.
그러나 발광된 빛이 패널 전역으로 흩어지게 되므로 실제 발광된 빛의 양이 화상이 형성되는 브라운관 패널 전면에서는 감소되어 나타나게 되므로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형광막 위에 금속박막을 형성함으로서 뒷면이나 옆면으로 산란되는 빛을 반사시켜 패널 전면으로 보내어 발광된 빛의 양을 증대시켜 주므로 휘도증가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왔다.
이와 같이 형광막 위에 형성된 금속 반사막은 형광막의 휘도를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형광막의 전위강화를 방지하기도 하고, 전자총에서 발산되는 전자충격에 의해 형광면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컬러 브라운관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게 된다.
금속박막을 형광막 위에 직접 증착 시 형광체 입자 크기 분포등에 의하여 평탄한 막을 얻을 수 없어 반사효율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컬러브라운관 제조업체 등에서는 형광막과 금속막 사이에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막을 형성하여 반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고분자 코팅막은 필르밍막이라고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고분자 코팅 물질을 필르밍액 이라고 한다.
기존 필르밍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유기용제등에 고분자 수지의 일종인 락커를 녹여 만든 코팅액을 사용하는 방법과, 수계 아크릴 에멀션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락커를 유기용제등에 녹여 만든 코팅액을 필르밍액으로 사용할 경우 매우 평활하고 우수한 필르밍막을 얻을 수 있으나, 락커의 희석제로 유기용제(톨루엔) 등 이 사용됨으로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하며, 화재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특2000-0034870호)에 수계 아크릴 에멀션 조성물을 필르밍액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조제된 공중합아크릴에멀션과 첨가제를 혼합한 컬러브라운관용 필르밍액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필르밍액은 필르밍막 형성 후 이를 분해 제거하기 위한 추가의 소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진 방법이나 실제 현장 소성공장에서의 완벽한 열분해 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파티클 등의 유기물 잔사가 남아 제품 불량이 높아지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에 제시되고 있는 필르밍액 보다 열분해온도가 20℃ 정도 낮고 컬러브라운관에 적용 시 다른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는 개선된 새로운 필르밍액 조성물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계아크릴 에멀션 수지에 산화제, 산화촉진제를 첨가하여 열분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계면활성제, 안정제등을 첨가하여 필름밍액의 저장 및 코팅 안정성을 향상시켜 필르밍막의 형성과 분해에 있어서 막의 평판도를 개선하고 컬러 브라운관 제조시의 소정공정 영역에서의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여 불량개선 및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앞에서 제시한 문제점등을 완벽히 개선한 필르밍액 조성물 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계아크릴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르밍막의 열분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어서 열분해 완료온도가 280~320℃, 잔탄율이 0.5% 이하인 필르밍액용 수계아크릴 에멀션 조성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하여서 아크릴 에멀션 8~26 중량%와, 유기퍼옥사이드 화합물인 알킬퍼옥사이드, 아릴퍼옥사이드류, 디큐밀퍼옥사이드와 같은 산화제 0.05~1.0중량%, 퍼옥시에스터 화합물인 디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산화촉진제 0.05~0.5중량%, 아민계 화합물과 같은 기공발생제 0.3~2중량% 와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0.1~2.0중량%, 하이드록시메틸셀루로오즈 화합물인 점도조절 및 안정제 0.5~4중량%, pH 조절을 위한 암모니아수 1~4.5중량% 기타 순수(증류수)60~90중량%로 이루어진 필르밍액용 수계 아크릴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다.
상기 산화제는 유기퍼옥사이드 화합물로서 R1-O-O-R2의 구조를 가지며 R1, R2는 알킬 또는 아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촉진제는 퍼옥시에스터 화합물로서 R1-COO-R2의 구조를 가지며 R1,R2는 알킬 또는 아로마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순수 100g에 (30%)아크릴 에멀션 45g, 디큐밀퍼옥사이드 0.2g, 디벤조일 퍼 옥사이드 0.1g,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제조사;애경화학) ASCO LSA 30 0.2g,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즈 0.7g, 트리에틸아민 0.5g을 혼합하여 40℃ 교반하고 암모니아수로 pH 6.5~7.5로 조절하여 필르밍액을 얻었다.
(실시예 2)
순수 100g에 (30%)아크릴 에멀션 45g, 디큐밀퍼옥사이드 0.15g,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0.15g,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제조사;애경화학) ASCO LSA 30 0.2g, 하이드록시 메틸셀롤로오즈 0.7g, 트리에틸아민 0.5g을 혼합하여 40℃ 교반하고 암모니아수로 pH 6.5~7.5로 조절하여 필르밍액을 얻었다.
(비교예 1)
순수 100g에 아크릴 에멀션 15g, 폴리비닐알코올 0.2g, 과산화수소 0.3g을 순수와 혼합하여 60℃에서 잘 교반한 후 암모니아수로 pH 6.5~7.5로 조절하여 필르밍액을 얻었다.
(비교예 2)
순수 100g에 아크릴 에멀션 15g, 과산화수소수 0.3g을 순수와 혼합하여 60℃에서 잘 교반한 후 암모니아수로 pH 6.5∼7.5로 조절하여 필르밍액을 얻었다.
상기 필르밍액 조성물을 형광막 위에 스프레이 하여 도포한 후 105℃에서 3 시간 건조하여 코팅막을 얻었다. 이 코팅막 시료를 각각 시차열 중량분석계를 사용하여 열분해 온도를 평가 표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얻어진 필르밍액을 스핀코팅법으로 150rpm으로 10초간 형광막에 도포한 후 45℃에서 건조 후 표면 상태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열분해 완료온도(℃) 잔탄(%)
실시예1 310℃ 0.2
실시예2 315℃ 0.3
비교예1 360℃ 0.5
비교예2 340℃ 0.4
구 분 막 갈라짐(Crack) 알루미늄 증착 후 평편도
실시예1 아주적다 플레이트한 형태의 알루미늄 막
실시예2 아주적다 플레이트한 형태의 알루미늄 막
비교예1 적다 도트형태의 알루미늄 막
비교예2 적다 도트형태의 알루미늄 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컬러브라운관 형광막의 중간막인 필르밍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표 1, 2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르밍액용 수계 아크릴 에멀션 조성물의 열분해 온도감소와 평편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잔탄량의 감소로 인한 불량개선 및 금속막의 평편도를 개선하여 휘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아크릴 에멀션 8~26중량%와, 유기퍼옥사이드 화합물인 산화제 0.05~1.0중량%, 퍼옥시에스터 화합물인 산화촉진제 0.05~0.5중량%, 아민계 화합물과 같은 기공 발생제 0.3~2중량%,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0.1~2.0중량%, 하이드록시메틸셀루로오즈 화합물인 점도조절 및 안정제 0.5~4중량%, pH 조절을 위한 암모니아수 1~4.5중량%, 순수 60~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2. 제 1항에 있어서,
    산화제는 유기퍼옥사이드 화합물로서 R1-O-O-R2의 구조를 가지며 R1, R2는 알킬 또는 아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3. 제 1항에 있어서,
    산화촉진제는 퍼옥시에스터 화합물로서 R1-COO-R2의 구조를 가지며 R1, R2는 알킬 또는 아로마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4. 제 1항에 있어서,
    기공발생제는 아민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KR1020050016778A 2005-02-28 2005-02-28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KR10071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778A KR100716764B1 (ko) 2005-02-28 2005-02-28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778A KR100716764B1 (ko) 2005-02-28 2005-02-28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067A KR20050032067A (ko) 2005-04-06
KR100716764B1 true KR100716764B1 (ko) 2007-05-14

Family

ID=3723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778A KR100716764B1 (ko) 2005-02-28 2005-02-28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76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060A (en) 1977-09-27 1979-04-18 Toshiba Corp Formation method of fluorescent screen of color picture
JPS58184236A (ja) 1982-04-20 1983-10-27 Nec Corp カラ−受像管の螢光面形成方法
JPH05258667A (ja) * 1991-08-21 1993-10-08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フィルミング液組成物
KR940004684A (ko) * 1992-08-22 1994-03-15 이헌조 컬러 브라운관의 알루미늄 반사막 피착용 필르밍 유제 조성물
KR960015674A (ko) * 1994-10-25 1996-05-22 윤종용 음극선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스크린막의 제조방법
JPH08337738A (ja) * 1995-04-10 1996-12-24 Mitsubishi Rayon Co Ltd Crtアルミバックアンダーコート被膜用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0441A (ko) * 1997-07-16 1999-02-18 손욱 음극선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막의 제조방법
KR20000033226A (ko) * 1998-11-20 2000-06-15 김순택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KR20000033224A (ko) * 1998-11-20 2000-06-15 김순택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060A (en) 1977-09-27 1979-04-18 Toshiba Corp Formation method of fluorescent screen of color picture
JPS58184236A (ja) 1982-04-20 1983-10-27 Nec Corp カラ−受像管の螢光面形成方法
JPH05258667A (ja) * 1991-08-21 1993-10-08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フィルミング液組成物
KR940004684A (ko) * 1992-08-22 1994-03-15 이헌조 컬러 브라운관의 알루미늄 반사막 피착용 필르밍 유제 조성물
KR960015674A (ko) * 1994-10-25 1996-05-22 윤종용 음극선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스크린막의 제조방법
JPH08337738A (ja) * 1995-04-10 1996-12-24 Mitsubishi Rayon Co Ltd Crtアルミバックアンダーコート被膜用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0441A (ko) * 1997-07-16 1999-02-18 손욱 음극선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막의 제조방법
KR20000033226A (ko) * 1998-11-20 2000-06-15 김순택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KR20000033224A (ko) * 1998-11-20 2000-06-15 김순택 컬러브라운관의 필르밍막 형성용 필르밍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067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5552B1 (de)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P3052477B1 (de) Triarylamin-substituierte benzo[h]chinolin-derivate als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09053382A1 (de)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0015306A1 (de)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DE102009053645A1 (d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WO2011006574A1 (d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WO2017007010A1 (ja) ケイ素含有樹脂組成物
CN112574738B (zh) 提高钙钛矿量子点稳定性的制备方法
JP2017222831A (ja) 導電性高分子水溶液及びその用途
KR20200098630A (ko) 전하 수송성 바니시 및 전하 수송성 박막
DE102012022880A1 (d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nthaltend organische Schichten
KR20160101180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작방법
KR100716764B1 (ko) 컬러 브라운관용 필르밍액 조성물
EP2970197A2 (de) Metallkomplexe
KR101951860B1 (ko) 마스크 세정액 조성물
US20100149076A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phosphor layer,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sma display panel
CN105399748A (zh) 一系列咔唑衍生物
DE102010024897A1 (d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US5717032A (en) Filming composite for cathode ray tube
KR20130058509A (ko) 그래핀-pedot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950011220B1 (ko) 컬러 브라운관의 알루미늄 반사막 피착용 필르밍 유제 조성물
WO2016096069A1 (de)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3008189A1 (de) Metallkomplexe
CN112103405B (zh) 固态膜的制备方法、量子点发光器件及制备方法
KR20050000250A (ko) 화이트백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하판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