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435B1 -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435B1
KR100716435B1 KR1020050094392A KR20050094392A KR100716435B1 KR 100716435 B1 KR100716435 B1 KR 100716435B1 KR 1020050094392 A KR1020050094392 A KR 1020050094392A KR 20050094392 A KR20050094392 A KR 20050094392A KR 100716435 B1 KR100716435 B1 KR 10071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control signal
top box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261A (ko
Inventor
임화섭
김인기
김현철
김수원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4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또는 특정 장소 내에 이미 설치된 네트워크(RF 라인)을 통해 한 개의 셋톱박스와 가정 내 여러 장소에 각각 설치된 TV 수신기를 접속시키되, 필터기술을 접목시켜 RF 라인 내에서 리모컨의 IR 데이터와 TV RF A/V 신호가 공존할 수 있도록 구현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 개의 셋톱박스를 통해 각 이격지에서 독립적으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서도 입력 단말기를 이용하여 TV 수신기를 통해 메시지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의 셋톱박스와 여러 개의 TV 수신기를 접속시킴과 동시에 각 방에서의 셋톱박스 원격제어를 위한 별도의 선로시공 및 고가의 RF(UHF) 리모컨 송수신기 구입이 필요 없기 때문에, 그만큼 설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설치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각 이격지의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 없이 입력 단말기와 TV 수신기만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메시지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방송수신기, 셋톱박스, TV 수신기, 필터기술, LPF, HPF, RF 변조기, 동축케이블, 메시지 전송

Description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Message transmission system using single set-top box}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2a는 도1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2b는 도1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캐리어 주파수로 이용되는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회피한 중간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셋톱박스 110 :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111 : 방송신호 수신부 112 : 엠펙 디코딩 처리부
113 : A/V 방송신호 출력부 114 : 제1 수신부
115 :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116 :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
120 :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121 : 방송신호 수신부
122 : 엠펙 디코딩 처리부 123 : 방송신호 변조부
124 : 증폭기 125 :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
126 :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127 :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
130 :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 131 : 제1 필터
132 : 제2 필터 136 : FSK 복조부
140 : 제1 TV 수신기 141 : 제1 입력 단말기
150 :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160 :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
161 : 제3 필터 162 : 제4 필터
165 : 변조부 166 : FSK 변조부
170 : 제2 TV 수신기 180 : 제2 입력 단말기
190 : 네트워크
200 : 셋톱박스 210 :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220 :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230 :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
231 : 제1 필터 232 : 제2 필터
240 : 제1 TV 수신기 241 : 제1 입력 단말기
250 :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260 :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
261 : 제3 필터 262 : 제4 필터
270 : 제2 TV 수신기 280 : 제2 입력 단말기
290 : 네트워크
본 발명은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에 이미 설치된 TV RF 라인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한 개의 셋톱박스와 가정 내 여러 장소에 각각 설치된 TV 수신기를 접속시키되, 필터기술을 접목시켜 RF 라인 내에서 리모컨의 IR 데이터와 TV RF A/V 신호가 공존할 수 있도록 구현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 개의 셋톱박스를 통해 각 이격지 에서 독립적으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각 방의 사용자간 메시지 전송이 입력 단말기와 TV 수신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디지털 영상 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TV) 방송에 대한 표준화 및 상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STB : Set Top Box)와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기 내에 구비된 디코더를 이용하여, 원래의 A/V(Audio/Video) 데이터로 복원한 후 일반 TV와 같은 A/V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안방, 거실, 공부방 등과 같은 여러 장소에 각각 한 대씩의 TV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여러 대의 TV를 한 대의 셋톱박스에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TV를 통해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디지털 지상파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 한 대의 셋톱박스를 여러 대의 TV에 접속시키는 방식은 셋톱박스에서 각 방까지의 무손실 신호전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정 내 선로공사 등을 통해 추가적인 선로시공이 필수적이므로 설치비용의 증대 및 설치과정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 한 대의 셋톱박스를 여러 대의 TV에 접속시키는 방식에 의하면,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서 셋톱박스를 원격제어하고자 할 경우 고가의 RF(UHF) 리모컨 송수신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되기 때문에, 비용의 중복발생과 함께 중복설치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구현되므로, 각 방에 위치한 사용자간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휴대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하게 되며, 각 방에 위치한 TV 수신기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내에 이미 설치된 TV RF 라인을 통해 한 개의 셋톱박스와 가정 내 여러 장소에 각각 설치된 TV 수신기를 접속시키되, 필터기술을 접목시켜 단일 RF 라인 내에서 리모컨의 IR 데이터와 TV RF A/V 신호가 공존할 수 있도록 구현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 개의 셋톱박스를 통해 각 방에서 독립적으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각 방의 사용자간 메시지 전송이 입력 단말기와 TV 수신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데이터를 제2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과,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이하, 'A/V 원격방송신호'라 함)를 소정의 방송 주파수로 변조 출력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를 제1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구비한 셋톱박스;
특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1 필터와,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통과시키는 제2 필터를 구비한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
제2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통과시키는 제3 필터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A/V 원격방송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는 제4 필터를 구비한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일 셋톱 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데이터를 제2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과, 특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이하, 'A/V 원격방송신호'라 함)를 소정의 방송 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출력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를 제1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구비한 셋톱박스;
제2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출력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A/V 원격방송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는 제4 필터를 구비한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셋톱박스(100)의 일반적인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과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을 구비한 셋톱박스(100),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50) 및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데이터를 제1 TV 수신기(14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도2a에 도시된 것처럼 방송신호 수신부(111), 엠펙 디코딩 처리부(112), A/V 방송신호 출력부(113), 제1 수신부(114),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15) 및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16)로 구성되어 있다.
도2a는 도1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방송신호 수신부(111)는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엠펙 디코딩 처리부(11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112)는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디코딩 처리하고 이를 D/A 변환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V 방송신호 출력부(113)는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112)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A/V 방송신호로 변환하여 제1 TV 수신기(1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수신부(114)는 제1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방송신호처리모듈 제어부(115)는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A/V 방송신호 출력부(113)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11)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16)는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15)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과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및 음성 등의 형태로 구성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은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이하, 'A/V 원격방송신호'라 함)를 소정의 방송 주파수로 변조 출력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를 제2 TV 수신기(17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도2b에 도시된 것처럼 방송신호 수신부(121), 엠펙 디코딩 처리부(122), 방송신호 변조부(123), 증폭기(124),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125),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26) 및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27)로 구성되어 있다.
도2b는 도1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방송신호 수신부(121)는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엠펙 디코딩 처리부(12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122)는 입력 받은 방송신호를 디코딩 처리하고 이를 D/A 변환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신호 변조부(123)는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122)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방송용 주파수로 변조한 후 상기 제2 필터(132)로 출력하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125)는 상기 제1 필터(131)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26)는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125)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21)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26)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 설정, 메뉴 설정, PVR(Personal Video Recoreder) 제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제어의 처리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27)는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원격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과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및 음성 등의 형태로 구성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선로 거리에 따른 A/V 원격방송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의 끝단에는 증폭기(124)를 설치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과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은 하나의 칩셋으로 구현 가능하며, 별도의 분리된 칩셋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는 특정의 네트워크(190)를 통해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1 필터(131)와,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190)로 통과시키는 제2 필터(132)를 구비한다.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50)는 제2 입력 단말기(180)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50)로부터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190)로 통과시키는 제3 필터(161)와, 상기 네트워크(190)로부터 제공되는 A/V 원격방송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는 제4 필터(162)를 구비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제1 필터(131)와 제3 필터(161)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132)와 제4 필터(162)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이다.
그리고, 상기 셋톱박스(100)는 제1 필터(131)와 제2 필터(132)를 구비한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단일 세트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3 필터(161)와 제4 필터(162)를 구비한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50)를 포함하는 단일 세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90)는 일반적으로 기 설치된 TV 동축케이블 또는 별도 설치된 네트워크 케이블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제1 TV 수신기(140)와 상기 제2 TV 수신기(170)에 출력되는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TV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셋톱박스의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는 거실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는 다른 장소(안방, 공부방 등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와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40)는 각각 동축케이블을 통해 벽에 설치된 RF 단자에 연결되어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셋톱박스(100)가 설치된 장소의 사용자가 이격지에 설치된 제2 TV 수신기(170)로 메시지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1 입력 단말기(141)를 이용하여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한 후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제1 수신부(114)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15)로 제공하며,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15)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부(111)의 방송 채널을 설정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신호를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16)으로 제공 한다.
상기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16)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제어신호에 메시지데이터가 담겨 있으면 이를 추출하여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에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로 메시지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의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26)에서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방송신호 변조부(123)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는 엠펙 디코딩 처리부(122)로부터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소정의 방송용 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제2 필터(132)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공받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소정의 방송용 주파수로 변조한 후 상기 제2 필터(132)로 출력한다.
그런후,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의 제2 필터(132)는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을 통해 변조된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상기 네트워크(190)로 통과시키며,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의 제4 필터(162)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필터링하여 통과시킨다. 그러면 제2 TV 수신기(170)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동시에 제1 TV 수신기(140)의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두 번째로, 셋톱박스(10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격지의 사용자가 셋톱박 스(100)가 설치된 제1 TV 수신기(140)로 메시지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격지의 사용자가 상기 제2 입력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한 후에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50)는 상기 제2 입력 단말기(180)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의 제3 필터(161)로 출력하고,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의 제3 필터(161)는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필터링하여 네트워크(190)로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의 제1 필터(131)는 상기 네트워크(190)로부터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에서 보낸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은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의 제1 필터(131)로부터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가 필터링된 신호(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내의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125)에서는 원격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26)로 제공한다.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26)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부(121)의 방송 채널을 설정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동시에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27)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126)에서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메시지데이터가 담겨 있으면 이를 추출하여 제1 방송수신처리 모듈(11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에서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로 메시지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110)의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115)에서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A/V 방송신호 출력부(113)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신호 출력부(113)는 엠펙 디코딩 처리부(112)로부터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A/V 신호로 변환하여 제1 TV 수신기(140)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공받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TV 출력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제1 TV 수신기(1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1 TV 수신기(140)는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동시에 제2 TV 수신기(170)의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제1 필터(131)와 제3 필터(161)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132)와 제4 필터(162)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캐리어 주파수로 이용되는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에서 A/V 원격방송신호를 네트워크(190)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방송신호 변조부(123)에서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도3a와 같은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b에서 예로 든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에서 A/V 원격방송신호를 채널21에 해당되는 474 MHz로 변조한 후, 제2 필터(132)로 출력한다. 그러면 474 MHz로 변조된 A/V 원격방송신호는 네트워크(190)를 통해 제4 필터(162)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4 필터(162)가 네트워크(1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474 MHz에 해당되는 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방송신호 변조부(123)에서 채널21에 맞게 474 MHz로 변조 출력한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통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 TV 수신기(170)는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에서 변조하여 보낸 A/V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반면,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는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회피한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캐리어 주파수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3c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회피한 중간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c에서 예로 든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은 A/V 원격방송신호를 도3a에 도시된 채널21과 채널22의 중간주파수에 해당되는 478 MHz로 변조한 후, 제2 필터(132)로 출력한다. 그러면 478 MHz로 변조된 A/V 원격방송신호는 네트워크(190)를 통해 제4 필터(162)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4 필터(162)가 네트워크(1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478 MHz에 해당되는 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방송신호 변조부(123)에서 채널21에 맞게 478 MHz로 변조 출력한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때, 제2 TV 수신기(170)은 기존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에 맞게 제조되었으므로, 채널21에 해당되는 신호로 변조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4 필터(162)와 상기 제2 TV 수신기(170) 사이에 변조부(165)를 둠으로써, 상기 변조부(165)는 상기 제4 필터(162)에서 필터링 되어 통과한 478 MHz의 A/V 원격방송신호를 채널21에 해당되는 474 MHz로 재변조해준다. 따라서 제2 TV 수신기(170)는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123)에서 변조하여 보낸 A/V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60)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50)로부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FSK 변조를 수행하는 FSK 변조부(166)를 더 포함함으로써 FSK 변조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네트워크(190)로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130)는 FSK 변조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는다. 그 다음에는, FSK 복조부(136)에서 FSK 복조 처리하여 본래 원격제어신호를 복원한 후,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120)의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125)로 출력함으로써 원격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제1 필터(131)부터 제4 필터(162)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반면에, 도5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4 필터(262)를 제외한 나머지 필터는 선택적으로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가장 최소한의 구성은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210)과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을 구비한 셋톱박스(200),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50) 및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210)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데이터를 제2 TV 수신기(27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방송신호 수신부, 엠펙 디코딩 처리부, A/V 방송신호 출력부, 제1 수신부,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및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는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는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디코딩 처리하고 이를 D/A 변환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V 방송신호 출력부는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A/V 방송신호로 변환하여 제1 TV 수신기(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수신부는 제1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방송신호처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A/V 방송신호 출력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210)과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및 음성 등의 형태로 구성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은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이하, 'A/V 원격방송신호'라 함)를 소정의 방송 주파수로 변조 출력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를 제1 TV 수신기(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방송신호 수신부, 엠펙 디코딩 처리부, 방송신호 변조부, 증폭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및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는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는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디코딩 처리하고 이를 D/A 변환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신호 변조부는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방송용 주파수로 변조한 후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필터(232)로 출력하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는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1 필터(231)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 설정, 메뉴 설정, PVR(Personal Video Recoreder) 제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제어의 처리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원격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21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과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210)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 통신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및 음성 등의 형태로 구성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선로 거리에 따른 A/V 원격방송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의 끝단에는 증폭기를 설치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210)과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은 하나의 칩셋으로 구현 가능하며, 별도의 분리된 칩셋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50)는 제2 입력 단말기(280)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네트워크(29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60)는 상기 네트워크(290)로부터 제공되는 A/V 원격방송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는 제4 필터(26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4 필터(262)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이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290)는 일반적으로 기 설치된 TV 동축케이블 또는 별도 설치된 네트워크 케이블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제1 TV 수신기(240)와 상기 제2 TV 수신기(270)에 출력되는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TV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60)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50)로부터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290)로 통과시키는 제3 필터(26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3 필터(261)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4 필터(262)는 VHF/UHF 주파수 대 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이다.
또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을 통해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290)로 통과시키는 제2 필터(232)를 구비한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3 필터(261)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232)와 제4 필터(262)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이다.
또한,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30)는 상기 네트워크(290)를 통해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1 필터(23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1 필터(231)와 제3 필터(261)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232)와 제4 필터(262)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내 방송신호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는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220)내 방송신호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는 방송용 채널주파수를 회피한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설정되고,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특정의 방송용 채널주파수로 재변조 출력하는 변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동작 과정은 도3에 도 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과정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60)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50)로부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하여 출력하는 FSK 변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230)는 FSK 변조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 복조하여 출력하는 FSK 복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동작 과정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과정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의하면, 가정 내에 이미 설치된 TV RF 라인을 통해 한 개의 셋톱박스와 가정 내 여러 장소에 각각 설치된 TV 수신기를 접속시키되, 필터기술을 접목시켜 단일 RF 라인 내에서 리모컨의 IR 데이터와 TV RF A/V 신호가 공존할 수 있도록 구현 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 개의 셋톱박스를 통해 각 방에서 독립적으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서도 입력 단말기를 통해 셋톱박스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별도의 선로시공 및 고가의 RF(UHF) 리모컨 송수신기 구입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방의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 없이 입력 단말기와 TV 수신기만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메시지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데이터를 제1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과,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이하, 'A/V 원격방송신호'라 함)를 소정의 방송 주파수로 변조 출력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를 제2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구비한 셋톱박스;
    특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1 필터와,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통과시키는 제2 필터를 구비한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
    제2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통과시키는 제3 필터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A/V 원격방송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는 제4 필터를 구비한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은,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코딩 처리한 후 D/A 변환처리하는 엠펙 디코딩 처리부;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A/V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V 방송신호 출력부;
    제1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A/V 방송신호 출력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및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출력하는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은,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방송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코딩 처리한 후 D/A 변환처리하는 엠펙 디코딩 처리부;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방송용 주파수로 변조한 후 상기 제2 필터로 출력하는 방송신호 변조부;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및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원격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출력하는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은, 선로 거리에 따른 A/V 원격방송신호의 손실을 보상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 설정, 메뉴 설정, PVR(Personal Video Recorder) 제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제어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와 제3 필터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와 제4 필터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제1 필터와 제2 필터를 구비한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일 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 수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와 제4 필터를 구비한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일 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내 방송신호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는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내 방송신호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는 방송용 채널 주파수를 회피한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설정되고,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로 재변조 출력하는 변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 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1.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하여 출력하는 FSK 변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FSK 변조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 복조하여 출력하는 FSK 복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기 설치된 TV 동축케이블 또는 별도 설치된 네트워크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TV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4.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데이터를 제1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과, 특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수신받은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채널의 A/V 방송신호(이하, 'A/V 원격방송신호'라 함)를 소정의 방송 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출력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를 제2 TV 수신기로 출력하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구비한 셋톱박스;
    제2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출력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A/V 원격방송신호를 필터링 하여 통과시키는 제4 필터를 구비한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필터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통과시키는 제3 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4 필터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을 통해 A/V 원격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통과시키는 제2 필터를 구비한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와 제4 필터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필터링 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1 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와 제3 필터는 리모컨 제어신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역필터(LPF)이며, 상기 제2 필터와 제4 필터는 VHF/UHF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고역필터(HP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은,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코딩 처리한 후 D/A 변환처리하는 엠펙 디코딩 처리부;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A/V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V 방송신호 출력부;
    제1 입력 단말기에서 송출한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A/V 방송신호 출력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출력하는 제1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3.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은,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방송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코딩 처리한 후 D/A 변환처리하는 엠펙 디코딩 처리부;
    상기 엠펙 디코딩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방송용 주파수로 변조한 후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필터로 출력하는 방송신호 변조부;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방송신호 변조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추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의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 및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원격제어신호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방송수신처리모듈로 출력하는 제2 메시지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은, 선로 거리에 따른 A/V 원격방송신호의 손실을 보상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 수신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 제어부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 설정, 메뉴 설정, PVR(Personal Video Recorder) 제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제어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내 방송신호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는 특정의 방송용 채널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수신처리모듈내 방송신호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A/V 원격방송신호는 방송용 채널주파수를 회피한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설정되고,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특정의 방송용 채 널주파수로 재변조 출력하는 변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제2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셋톱박스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하여 출력하는 FSK 변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네트워크 연결부는 FSK 변조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FSK 복조하여 출력하는 FSK 복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기 설치된 TV 동축케이블 또는 별도 설치된 네트워크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데이터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TV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KR1020050094392A 2005-10-07 2005-10-07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KR10071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392A KR100716435B1 (ko) 2005-10-07 2005-10-07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392A KR100716435B1 (ko) 2005-10-07 2005-10-07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261A KR20070039261A (ko) 2007-04-11
KR100716435B1 true KR100716435B1 (ko) 2007-05-10

Family

ID=3816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392A KR100716435B1 (ko) 2005-10-07 2005-10-07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4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809A (ko) * 2001-03-29 2001-07-13 장정호 셋톱박스와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한 아파트 단지 내의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809A (ko) * 2001-03-29 2001-07-13 장정호 셋톱박스와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한 아파트 단지 내의정보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678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261A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4993B2 (en) Remote control device programming and indication of programming mode status
KR100490435B1 (ko) 양 방향으로 명령어를 공유하는 무선 세탑박스 시스템 및그 방법
JP4950670B2 (ja) メディア装置
JP2000511734A (ja) Dbsとケーブルtvのためのプログラムガイド
US8875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udio outputs
US200401559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camera signals received over a powerline network
KR100682320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 수신 시스템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KR100727271B1 (ko) 복수의 튜너를 갖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방송 수신 시스템
KR100716435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KR100770146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100682758B1 (ko) 단일 셋톱박스의 수신제한기능을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100770568B1 (ko) Rf 리모컨을 이용한 다중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CN111886873B (zh) 用于处理视听流的方法和相应设备、电子组件、系统、计算机可读程序产品、和存储介质
KR100745364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방송채널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12824B1 (ko) 단일 셋톱박스의 수신제한기능을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100744852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54987B1 (ko) 분산형 방송 스토리지 시스템
KR100717513B1 (ko) 다중 출력 방송 수신 시스템
KR100744455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20090051389A (ko) 방송 수신 선택기와 위성 디지털 방송 미디어 게이트를이용한 방송신호 처리 시스템
JP4181902B2 (ja) 周波数変換装置
KR101253163B1 (ko) 방송 수신기
KR100689045B1 (ko) 멀티룸 방송 기능을 갖는 케이블 모뎀 셋탑 박스 장치 및그 방법
JPH0630470A (ja) ホームバス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