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211B1 -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211B1
KR100716211B1 KR1020050101210A KR20050101210A KR100716211B1 KR 100716211 B1 KR100716211 B1 KR 100716211B1 KR 1020050101210 A KR1020050101210 A KR 1020050101210A KR 20050101210 A KR20050101210 A KR 20050101210A KR 100716211 B1 KR100716211 B1 KR 100716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easuring
strain
test pie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910A (ko
Inventor
정일석
홍승열
송택호
김상재
김철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5010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2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efficient of expa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7/00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 G01N7/14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by allowing the material to emit a gas or vapour, e.g. water vapour, and measuring a pressure or volume difference
    • G01N7/16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by allowing the material to emit a gas or vapour, e.g. water vapour, and measuring a pressure or volume difference by heating th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시험편의 변형량을 전달받아 측정센서로 인가하는 측정수단과; 일단부는 측정수단과 결합하고, 타단부는 고정체와 결합되어 상기 측정수단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보정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변형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 상태에서 측정되는 시험편의 열이 측정센서로 전달되지 않고 쉽게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전달부를 둠으로써 측정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시험편과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측정부, 전달부, 위치보정부, 변형량 전달부, 변형율 측정장치

Description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 측정장치{High Temperature Extensometer with Adjustable Gage Length}
도 1은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정장치 20 : 변형량 전달부
21a,21b : 몸체 22,36a : 안내홈
23a,23b : 전달부 24 : 관통공
25 : 측정부 26 : 로드그립
27 : 로드 30 : 위치보정부
31a,31b : 제1홀더 31a,32b : 제2홀더
33a,33b : 제3홀더 33c : 조절축
34a,34b : 제1상부탄성체 34c,34d : 제1하부탄성체
35a,35b : 제2탄성체 36 : 고정부
37 : 블록 38 : 조절볼트
본 발명은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 상태에서 측정되는 시험편의 열이 측정센서로 전달되지 않고 쉽게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전달부를 둠으로써 측정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시험편과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형율 측정장치는 시험편에 일정한 외압을 가하여 인장력이나 압축율 그리고 열에 의한 팽창 등에 의한 변형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시험편의 소재 특성 등을 데이터화하거나 공업상 이용 가능한 소재 등을 알아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 중 종래의 고온 시험용 변형율 측정장치는 초기 측정부의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시험편의 형상이 바뀌면 측정장치 자체를 새로이 구매하거나 각각의 시험편에 적합하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제작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시험편이 고온 상태에서 측정됨에 따라 상기 시험편으로부터 고온이 측정장치로 전달되어 측정장치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온 상태에서 측정되는 시험편의 열이 측정센서로 전달되지 않고 쉽게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전달부를 둠으로써 측정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시험편과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는, 시험편의 변형량을 전달받아 측정센서로 인가하는 변형량 전달부과; 일단부는 변형량 전달부과 결합하고, 타단부는 고정체와 결합되어 상기 변형량 전달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보정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 전달부은 축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몸체와 상기 한쌍의 몸체와 결합되어 시험편의 변형량을 측정부로 전달하는 로드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한 한쌍의 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의 위치 조정을 위해 상기 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로드그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형율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부은 상기 변형량 전달부과 결합하여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와 결합하여 상기 변형량 전달부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제2탄성체와 상기 고정체와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보정부은 변형량 전달부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조절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 및 고정부는 안내홈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측정장치(10)는 변형량 전달부(20)과 위치보정부(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은 상부몸체(21a)와 하부몸체(21b)가 축(21c)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21a) 일단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4)이 형성된 제1전달부(23a)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21b)는 상부몸체(21a)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2전달부(23b)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달부(23a)의 타측에는 "ㄱ" 형태의 제1홀더(31) 결합되면서 안내홈(22)을 형성시켜 로드그립(26)이 결합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로드그립(26)은 상기 상부몸체(21a)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22) 내에서 상하로 수직 이동하며 위치를 조절하여 로드(27)의 위치를 시험편(40)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전달부(23a)와 제2전달부(23b)의 끝단부 상에 측정부(25)를 결합시켜 상기 시험편(40)에 가해지는 가압량에 따라 변형된 변형량을 상기 로드(26)로부터 전달받아 측정센서(S)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달부(23a)과 제2전달부(23b)에 형성된 관통공(24)를 이용해 상기 고온의 시험편(40)으로부터 상기 로드(26)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열을 방열시킴으로써 측정부(25)에 전달되는 변형량의 오차를 범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열로부터 측정센서(S)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보정부(30)는 상기 제1홀더(31a,31b)이 상기 상부몸체(21a) 및 하부몸체(21b) 상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상부홀더(31a) 및 제1하부홀더(31b)와 결합되어 연장 돌출된 다수개의 제1상부탄성체(34a,34b) 및 제1하부탄성체(34c,34d)를 구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1탄성체와 결합되는 제2상부홀더(32a) 및 제2하부홀더(32b)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상부홀더(32a)는 제2상부탄성체(35a)를 상기 제2하부홀더(32b)에는 제2하부탄성체(35b)를 결합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제2탄성체(35a,35b)에는 제3홀더(33a,33b)가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3홀더(33a,33b)는 블록(37a,37b)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절축(33c)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37a,37b)에는 각각 조절볼트(38)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38)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조절축(33c)을 기준으로 제3홀더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시험편(40)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블록(37)은 고정부(36)과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36)의 상에 안내홈(36a)을 형성시켜 상기 안내홈(36a)을 따라 고정부(36)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6)는 측정실(미도시) 외부에 위치한 고정체(50)에 결합시켜 상기 측정장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36)의 안내홈(36a)을 이용해 위치 조절하고, 상기 조절볼트(38)을 이용해 제3홀더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의 위치를 상하좌우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리고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의 몸체(21a,21b)와 제1홀더(31a,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22)에 의해 상기 로드그립(26)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고, 상기 로그그립(26)에서 상기 로드(27)를 좌우로 조절함으로써 시현편(40)과의 위치를 2차적으로 조절하여 적확한 측정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시험편(40)을 소정 위치에 고정한 후 상기 블록(37)을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의 위치를 시험편(40)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38)를 이용해 상기 제3홀더(33a,33b)의 위치를 좌우로 회전시켜 조절하여 상기 시험편(40)에 근접시킨다. 상기 변형량 전달부(20)을 시험편(4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21a,21b)와 제1홀더(31a,31b)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22)에 결합된 로드그립(26)을 상하로 조절시켜 상기 시험편(40)의 적정 위치에 오도록 하고, 상기 로드그립(26)의 볼트를 풀어 로드(27)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시험편(40)에 로드(27)가 밀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에 측정센서(S)를 결합하면 된다.
상기 시험편(40)과 측정장치(10)의 위치를 정위치에 오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시험편(40)을 고온으로 상승시키면 상하로 미세하게 운동시켜 상기 시험편(40)이 변형되며, 상기 로드(27)를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27)의 운동량 변화를 상기 몸체(21a,21b)를 통해 제1전달부(23a)와 제2전달부(23b)에 전달되고, 상기 전달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측정부(25)를 통해 측정센서(S)에 변형량을 전달하게 하여 상기 시험편(40)의 변형율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시험편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제1전달부(23a) 및 제2전달부(23b)의 관통공(24)에 의해 방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로드로부터 전달된 변형량을 측정센서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측정센서를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온 상태에서 측정되는 시험편의 열이 측정센서로 전달되지 않고 쉽게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전달부를 둠으로써 측정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시험편과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축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몸체와 상기 한쌍의 몸체와 결합되어 시험편의 변형량을 측정부로 전달하는 로드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한 한쌍의 전달부로 이루어져 상기 측정부로부터 시험편의 변형량을 전달받아 측정센서로 인가하는 변형량 전달부;
    상기 변형량 전달부와 결합하여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와 결합하여 상기 변형량 전달부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제2탄성체와 고정체와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상기 변형량 전달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율 측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위치 조정을 위해 상기 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로드그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율 측정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부는 상기 변형량 전달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조절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율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고정부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율 측정장치.
KR1020050101210A 2005-10-26 2005-10-26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KR100716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210A KR100716211B1 (ko) 2005-10-26 2005-10-26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210A KR100716211B1 (ko) 2005-10-26 2005-10-26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910A KR20070044910A (ko) 2007-05-02
KR100716211B1 true KR100716211B1 (ko) 2007-05-10

Family

ID=3827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210A KR100716211B1 (ko) 2005-10-26 2005-10-26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75B1 (ko) 2007-10-12 2009-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변형률게이지지그
KR101090687B1 (ko) 2009-09-18 2011-12-08 한국전력공사 인장,압축 및 피로시험용 익스텐소미터 거치대
CN106769420A (zh) * 2017-02-24 2017-05-31 南华大学 一种用于非标准试件加载时的轴向应变测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4049A (en) * 1976-06-14 1977-10-18 The Boeing Company Thermal extensometer
US4848161A (en) * 1986-12-22 1989-07-18 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Extensometer
JPH05180742A (ja) * 1992-01-06 1993-07-23 Shimadzu Corp 伸び計
JPH05180741A (ja) * 1991-12-27 1993-07-23 Shimadzu Corp 伸び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4049A (en) * 1976-06-14 1977-10-18 The Boeing Company Thermal extensometer
US4848161A (en) * 1986-12-22 1989-07-18 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Extensometer
JPH05180741A (ja) * 1991-12-27 1993-07-23 Shimadzu Corp 伸び計
JPH05180742A (ja) * 1992-01-06 1993-07-23 Shimadzu Corp 伸び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75B1 (ko) 2007-10-12 2009-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변형률게이지지그
KR101090687B1 (ko) 2009-09-18 2011-12-08 한국전력공사 인장,압축 및 피로시험용 익스텐소미터 거치대
CN106769420A (zh) * 2017-02-24 2017-05-31 南华大学 一种用于非标准试件加载时的轴向应变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910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427B2 (en) Manual thickness measurement gage
JP5876254B2 (ja) トルク/アングルレンチの較正のための可動装置
KR100716211B1 (ko) 초기 측정부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온용 변형율측정장치
KR100904224B1 (ko) 재료시험기용 바이스장치
KR20150104492A (ko) 범용재료시험기 치구
US111188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igidity distribution
JP2009540301A (ja) ひずみセンサーのせん断ひずみ試験の方法及び装置
KR100231802B1 (ko) 전단부착강도 시험장치
JP6879860B2 (ja) 長さ測定装置
US10317324B1 (en) Specimen testing systems and methods
IT202000012106A1 (it) Dispositivo di taratura per utensili dinamometrici
US2337509A (en) Micrometer gauge
JP5450475B2 (ja) 校正装置
KR101289436B1 (ko) 엘엠 가이드의 마찰력 특성평가 장치 및 방법
JP2001004569A (ja) 熱機械測定装置の引っ張り測定用試料長さ設定治具
JP2515842B2 (ja) 2つの対象物の相対位置の決定のための測定装置
CN112067454B (zh) 高温引伸计及高温准静态加载试验中引伸计防打滑装置
KR101119010B1 (ko) 경도 측정 장치용 지그
JP4361933B2 (ja) 結合部材
KR102152699B1 (ko) 시편측정장치 및 시편측정방법
CN210514052U (zh) 一种静摩擦系数测定实验夹具
JP2013178156A (ja) 測定対象物支持装置及び形状計測器
CA3054090C (en) Device for force monitoring when fixing a tension clamp
KR200249853Y1 (ko) 곡관 길이 각도측정기
JPH08197363A (ja) ネジ送り移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