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834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834B1
KR100715834B1 KR1020050051174A KR20050051174A KR100715834B1 KR 100715834 B1 KR100715834 B1 KR 100715834B1 KR 1020050051174 A KR1020050051174 A KR 1020050051174A KR 20050051174 A KR20050051174 A KR 20050051174A KR 100715834 B1 KR100715834 B1 KR 10071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cm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its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473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8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04Masking or blinding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고유번호를 이용하여 PLCM을 생성하는 PLCM 생성단계와, PLCM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롱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 고갈된 ESN를 대신하며 새로 도입된 MEID를 보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PN코드, ESN, PLCM, 암호화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PLCM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PLCM의 일예.
도 4는 도 2의 PLCM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PLCM의 다른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내장형 안테나 12: 제어부
14: 키입력부 16: 디스플레이부
18: 무선부 21: 메모리
22: 음성처리부 30: PLCM생성부
32: 코덱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기식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은 기기일련번호인 ESN을 이용하여 롱코드(long code)를 생성한 후 데이터를 롱코드로 암호화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 데이터를 주고받았다. 이 롱코드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비교기를 통해 복호화되어 데이터를 복원하였다.
이 롱코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데이터를 내려줄 때(forword channel) 채널을 암호화하고 전력제어 비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때(reverse channel)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분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런데, 현재 롱코드의 사용이 이용되는 기기일련번호인 ESN(Equipment Serial Number)이 고갈됨에 따라 새로운 롱코드의 사용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특히, ESN을 대신하여 제조사들이 프로그래밍한 MEID(Mobile Equipment ID)를 이용하여 롱코드를 생성할 예정이나, MEID를 이용하여 롱코드를 생성하기 전에 고갈된 ESN 대신 새로운 방식으로 롱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할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방식으로 롱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 고갈된 ESN를 대신하며 새로 도입된 MEID를 보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갈된 ESN을 대신하되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고유번호를 이용하여 PLCM을 생성하는 PLCM 생성단계와, PLCM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가상고유번호를 이용하여 PLCM(Public Long Code Mask)을 생성하는 PLCM 생성부와, PLCM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PLCM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코덱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PLCM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를 의미하는 특정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LCM는 총 42 비트로, 특정 비트는 PLCM의 최상위 비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PLCM에 포함된 가상고유번호는 0~36비트 또는 0~40비트에 위치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으로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ing type), 회전형(rotating type), 이들의 조합형(combination type)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는 제어부(12), 키입력부(14), 디스플레이부(16), 무선부(18), 음성처리부(22), 메모리(21), 마이크(26), 스피커(28)를 갖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는 PLCM생성부(30)와 코덱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2)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2)는 기지국에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등 암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4)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키 및 숫자(0~9)키, 특수키(#,*...) 등의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4)는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 등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이다. 키입력부(14)는 숫자키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10)에 형성된 어떠한 형태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는 LCD, 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및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6)는 이동통신단말기(10)와 기지국 간의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 과정 또는 결과 등을 표시하게 된다.
무선부(18)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 어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메모리(21)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음성 통화시 송수신이 허용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또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음성처리부(22)는 제어부(12)의 제어하에 무선부(18)에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8)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26)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PLCM생성부(30)는 키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의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음성데이터나 문자데이터, 제어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PLCM(Public Long Code Mask)을 생성한다. PLCM생성부(30)가 생성한 PLCM의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코덱부(32)는 PLCM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PLCM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음성데이터나 문자데이터, 제어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코덱부(32)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들은 무선부(18)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된다.
한편, 미도시의 기지국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PLCM비교기를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물론 기지국도 이동통신단말기(10)와 같은 PLCM생성부와 코덱부를 포함하고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내려줄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LCM생성부(30)는 롱코드(long code)의 일종인 PLCM을 생성한다. PLCM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PLCM은 코덱부(32)에서 전송데이터와 합성 되어 암호화된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부(18)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된다.
도 3은 도 2의 PLCM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PLCM의 일예이다.
PLCM생성부(30)에 의하여 생성된 PLCM은 전체 4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42비트의 PLCM은 최상위 5비트(비트 41 내지 비트 37)와, 비트 0 내지 비트 36의 의사 ESN부 또는 가상고유번호(PLCM_37)로 구성된다. 이 때, 최상위 5비트 중에서, 비트 4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최상위 비트인 비트 41이 "1"인 경우 1x 또는 2G 이동통신단말기를 의미하고, "0"인 경우 1xEV-DO 이동통신단말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1x 또는 2G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최상위 5비트는 "11000"이 되고, 1xEV-DO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최상위 5비트는 "01000"이 된다. 물론, 이동통신단말기를 몇가지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의사 ESN부(PLCM_37)는 이동통신단말기(10)를 구별하는 식별자로써 일정한 규칙에 의해 임의로 형성된 의사 기기일련번호에 해당한다. 이때, 의사 ESN 또는 가상고유번호는 제조시 제조사에 의해 부여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가 아니라,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특정한 규칙에 의해 임의로 부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이다.
한편, 의사 ESN부 또는 가상고유번호(PLCM_37)은 중복될 가능성이 작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의사 ESN부(PLCM_37)가 중복되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를 의미하는 최상위비트이다. 결과적으로 PLCM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PLCM은 단말기를 구별하는 식별자인 의사 ESN과 함께 단말기의 종류를 최상위비트로 구별하므로 PLCM 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PLCM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PLCM의 다른예이다.
도 4에 도시한 PLCM은 도 3에 도시된 PLCM과 달리, 최상위 2비트(비트 41 및 비트 40)과 비트 0 내지 비트 39의 의사 ESN부(PLCM_40)로 구성된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상위 2비트 중에서, 비트 4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를 나타낸다. 즉, 최상위 비트인 비트 41이 "1"인 경우, 1x 또는 2G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내고, 최상위 비트인 비트 41이 "0"인 경우, 1xEV-DO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1x 또는 2G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최상위 2비트는 "10"이 되고, 1xEV-DO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최상위 2비트는 "00"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PLCM은 의사 ESN 또는 가상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되되 특정 비트에 단말기의 종류를 의미하는 비트를 포함하고 있으면 충분하고, 총 비트수나 의사 ESN의 비트수, 단말기의 종류를 의미하는 비트의 위치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방식으로 롱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 고갈된 ESN를 대신하며 새로 도입된 MEID를 보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갈된 ESN을 대신하되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단말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가상고유번호를 이용하여 PLCM(Public Long Code Mask)을 생성하는 PLCM 생성단계와;
    상기 PLCM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CM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를 의미하는 특정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비트는 상기 PLCM의 최상위 비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LCM는 총 42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고유번호는 0~36비트 또는 0~40비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6. 단말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가상고유번호를 이용하여 PLCM(Public Long Code Mask)을 생성하는 PLCM 생성부와;
    상기 PLCM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PLCM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코덱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PLCM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를 의미하는 특정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비트는 상기 PLCM의 최상위 비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LCM는 총 42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고유번호는 0~36비트 또는 0~40비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51174A 2005-06-14 2005-06-14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KR10071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174A KR100715834B1 (ko) 2005-06-14 2005-06-14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174A KR100715834B1 (ko) 2005-06-14 2005-06-14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473A KR20060130473A (ko) 2006-12-19
KR100715834B1 true KR100715834B1 (ko) 2007-05-10

Family

ID=3781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174A KR100715834B1 (ko) 2005-06-14 2005-06-14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8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407A (ko) * 2001-04-05 2002-10-19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공통 키를 사용하는 무선 유닛들 간의 보안 통신을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7421A (ko) * 2003-08-08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생성하는 방법
KR20050034540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퍼블릭 롱코드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407A (ko) * 2001-04-05 2002-10-19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공통 키를 사용하는 무선 유닛들 간의 보안 통신을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7421A (ko) * 2003-08-08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퍼블릭 롱 코드 마스크를생성하는 방법
KR20050034540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퍼블릭 롱코드 생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9407
1020050017421
10200500345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473A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9886B1 (en) Secure conditional acces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multimedia processor
GB238868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data
JP2007088727A (ja) デバイス、無線lan設定システムおよび無線lan設定方法
CN105407109A (zh) 一种蓝牙设备间数据安全传输方法
JP2008250642A (ja) 復号制御システム、復号制御方法及び復号制御プログラム
CN1649295A (zh) 集群系统中端对端加解密的装置及其方法
JP2004172762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JPH08316951A (ja) 無線通信端末、無線基地局及びこれらを有する通信システム
JP2003101528A (ja) 暗号化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その方法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送信機
JP2006180110A (ja) データ送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サーバ、データ受信端末、およ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
CN1661954B (zh) 产生密码同步的方法
WO2017141468A1 (ja) 識別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識別情報復号方法
KR10071583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91239A (ko) 휴대 단말기간 컨텐츠 보호 방법 및 구성, 휴대 단말기의동작 방법
CN104734855A (zh) 一种智能密钥设备的通信方法、设备和系统
KR100572463B1 (ko) 공유 암호키를 이용한 무선 통신단말기 간 통신에서의 암호 통신방법
KR101107241B1 (ko)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2486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음성 암호 통신 모듈
KR100416743B1 (ko) 단문 메시지 암호화 전송 방법 및 암호화 메시지 해독수신 방법
JPH09149023A (ja) 情報通信処理装置および情報通信処理方法
JP5130755B2 (ja) 通信機器
JP2005039646A (ja) 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
JP5352095B2 (ja) 受信装置、送信装置、データ移動システム及びデータ移動方法
JP201704184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記憶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49583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