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765B1 - 텐트용 매트 - Google Patents

텐트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765B1
KR100715765B1 KR1020050061696A KR20050061696A KR100715765B1 KR 100715765 B1 KR100715765 B1 KR 100715765B1 KR 1020050061696 A KR1020050061696 A KR 1020050061696A KR 20050061696 A KR20050061696 A KR 20050061696A KR 100715765 B1 KR100715765 B1 KR 10071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mat
side plate
plate portion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6397A (ko
Inventor
정윤수
Original Assignee
정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수 filed Critical 정윤수
Priority to KR102005006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3Bathing or beach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개시된 텐트용 매트는,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판; 본체판의 사면 테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각각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 측판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각 측벽을 연결상태로 잡아당겨 측판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측벽고정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텐트용 매트는, 매트의 상판부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인입되지 않도록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측벽고정부를 체결하면 측판부가 본체부의 상판부 방향으로 절곡됨으로 측벽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텐트, 매트

Description

텐트용 매트{Tent ma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매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벽고정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매트의 설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매트 10:본체부
20:측판부 30:측벽고정부
31:숫클립 32:암클립
33:이음공 34:연결끈
40:보강패드
본 발명은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에서 사용하는 텐트 내부에 깔아 냉기를 차단하고 안락한 휴식을 가능하게 하는 텐트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야외등지로 소풍을 가거나 단체로 캠핑을 가게 될 경우, 지면에 깔아 많은 사람들이 편안하게 앉아 쉴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레저용품이다.
특히, 텐트용 매트는 야외에서 야영을 위해 텐트를 설치시에 텐트 내부의 지면에 깔아 냉기 및 물기를 차단하여 그 위에 물품들을 얹어놓은 상태에서 물에 젖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함과 더불어 사람이 편안하게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러나, 텐트용 매트는 단순히 판상으로 제작되어 텐트 내부의 바닥에 깔아 사용할 경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부로 유입된다.
또한, 우천시에는 매트 위로 빗물이 침투할 수 있으므로 텐트주위로 배수구를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바, 빗물이나 이물질이 매트 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테두리부분에 측벽을 형성한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측벽이 형성된 매트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021244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219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07909호에 개시된다.
그러나, 선출원된 매트는 공기투입에 의한 팽창으로 매트의 측벽을 형성함으로서, 공기유입을 위한 별도의 펌프장비가 필요함으로 인해 측벽형성을 위한 작업이 번거로우며, 날카롭거나 뾰족한 물질에 의해 매트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제작된 매트의 측벽을 일일이 매트홈에 끼운상태로 지면에 고정해야함으로 인해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텐트 내부에 까는 매트의 측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텐트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텐트용 매트는,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사면 테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각각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각 측벽을 연결상태로 잡아당겨 상기 측판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측벽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매트의 평면도 및 설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텐트용 매트는, 텐트 내부의 지면에 깔아 상부에 앉거나 눕는 사용자에게 냉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테두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각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20)의 모서리 부분을 접철하면서 인접하는 각 측벽의 가장자리단부를 접하도록 잡아당겨 상기 측판부(20)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복수개의 측벽고정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텐트 내부의 지면에 설치하여 냉기 및 습기를 차단하는 판부로서, 내피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는 보온소재가 사용되며, 외피는 지면에서 발생되는 냉기와 습기를 차단하도록 방수소재의 천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사면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된 상향으로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하게 되는 판부이다.
이러한, 상기 측판부(20)는 상향로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한 상태에서 외부의 물기가 상기 본체부(10)의 상판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소재의 천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고정부(30)는 상기 측판부(20)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판부(20) 상면의 각 테두리 모서리부분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벽고정부(30)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암클립(32)과, 상기 암클립(32)의 홈에 체결되는 돌기가 형성된 숫클립(31)이 상기 측판부(20)의 각 모서리 인접부에 대칭되게 각각 부착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고정부(30)의 상기 숫클립(31)과 상기 암클립(32)이 결합하여 체결되면, 상기 측판부(20)의 인접하는 각 측벽을 잡아당김으로 인해 상기 측판부(20)는 지면에 대해 수직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측벽고정부(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부(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이음공(33)으로 연결끈(34)을 관통시켜 연결한 상태로 상기 연결끈(34)의 양단부를 상호 매듭으로 마무리 지면, 상기 측판부(20)의 각 측벽이 잡아당겨 지면서 상기 측판부(20)는 지면에 대해 수직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 본체부(10) 상면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측벽고정부(30)에 의해 상기 측판부(20)의 인접하는 각 측벽이 잡아당겨질 때 상기 본체부(10)가 평판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보강패드(40)가 부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의 의한 텐트용 매트의 설치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야외에서 야영을 할 경우 지면을 평탄하게 한 후에 그 위에 텐트를 설치하며, 텐트 내부에 상기 매트(1)를 깐다.
그러면, 각 상기 매트(1)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상기 측벽고정부(30)의 상기 암클립(32)과 숫클립(31)을 체결하면, 상기 측벽고정부(30)가 상기 매트(1)의 각 측벽을 잡아당기면서 상기 측판부(20)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또는, 각 상기 매트(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이음공(33)을 연결끈(34)으로 연결한 상태로 상호 인접되게 묶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매트(1)의 각 측벽이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측판부(20)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각 상기 매트(1)의 각 측벽을 상기 측벽고정부(30)로서 잡아당긴 상태로 고정하면, 상기 매트(1)의 상기 측판부(20)는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물질이나 빗물이 상기 매트(1)의 상판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텐트용 매트는, 매트의 상판부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인입되지 않도록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측벽고정부를 체결하면 각 측벽이 잡아 당겨지면서 측판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어 측벽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사면 테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각각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각 측벽의 가장자리단부를 접하도록 잡아당겨 상기 측판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측벽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고정부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암클립과, 상기 암클립의 홈에 체결되는 돌기가 형성된 숫클립이 상기 측판부의 각 모서리 인접부에 대칭되게 각각 부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고정부는 상기 측판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이음공으로 연결끈을 관통시켜 연결한 상태로 상기 연결끈의 양단부를 상호 매듭으로 마무리 지면, 상기 측판부의 각 측벽이 잡아당겨 지면서 상기 측판부는 지면에 대해 수직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측벽고정부에 의해 상기 측판부의 인접하는 각 측벽이 잡아당겨질 때 상기 본체부가 평판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보강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매트.
KR1020050061696A 2005-07-08 2005-07-08 텐트용 매트 KR10071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96A KR100715765B1 (ko) 2005-07-08 2005-07-08 텐트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96A KR100715765B1 (ko) 2005-07-08 2005-07-08 텐트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397A KR20070006397A (ko) 2007-01-11
KR100715765B1 true KR100715765B1 (ko) 2007-05-08

Family

ID=3787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96A KR100715765B1 (ko) 2005-07-08 2005-07-08 텐트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844B1 (ko) * 2012-03-09 2013-08-07 박창일 다기능 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852U (ko) * 1989-03-20 1990-10-04
JP2002121932A (ja) 2000-10-16 2002-04-26 Poochie Pompreece:Kk アンカーポケット付シート、マット、テント等
KR100407909B1 (ko) 2001-04-26 2003-12-03 홍성협 야외용 돗자리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852U (ko) * 1989-03-20 1990-10-04
JP2002121932A (ja) 2000-10-16 2002-04-26 Poochie Pompreece:Kk アンカーポケット付シート、マット、テント等
KR100407909B1 (ko) 2001-04-26 2003-12-03 홍성협 야외용 돗자리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397A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8912A1 (en) Rolling cover for a spa
KR100715765B1 (ko) 텐트용 매트
KR20190093344A (ko) 텐트용 방수 스커트
US6484466B2 (en) Hardwood floor system including a piece of sponge, e-shaped plastic racks with ribs whose projections engage the shoulders and inclined surfaces of a plurality of floor boards
KR102186628B1 (ko) 비 차단 배수 및 전원컨센트 구비형 천막-텐트 구조물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KR101625517B1 (ko) 타프 일체형 텐트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KR200359060Y1 (ko) 착탈식 쉐이드 텐트
KR200250534Y1 (ko) 바닥천이 하부에 고정된 공기주입식 텐트
KR200271176Y1 (ko)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플렌지
KR200361472Y1 (ko) 조립식 수영장
JP2008127833A (ja) 防水床パン
KR20230075218A (ko) 야외용 매트
JP3885448B2 (ja) 床タイルユニット
KR101897126B1 (ko) 외측면 연장부가 형성된 배수트랜치
CN206110253U (zh) 一种防水地面铺设结构
JP3201960B2 (ja) 床化粧材の敷設構造
KR200188108Y1 (ko) 침대용 이불미끄러짐 방지구조
KR200289800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3092025U (ja) 簡易集水シート
KR910008425Y1 (ko) 조리식 메트리스
JPH01247650A (ja) 床用板体及び床体
US20080134427A1 (en) Grating for a swimming pool
JPS62467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