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391B1 - 잘못된 카드 삽입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 Google Patents

잘못된 카드 삽입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391B1
KR100715391B1 KR1020047017485A KR20047017485A KR100715391B1 KR 100715391 B1 KR100715391 B1 KR 100715391B1 KR 1020047017485 A KR1020047017485 A KR 1020047017485A KR 20047017485 A KR20047017485 A KR 20047017485A KR 100715391 B1 KR100715391 B1 KR 10071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emory card
side wall
housing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196A (ko
Inventor
마쯔모또야스요시
도미따미쯔히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10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커넥터의 카드 수용 공동(3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바닥벽(24)과 바닥벽에 접합된 측벽(26b)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하우징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함께 운동하도록 메모리 카드(18)와 결합 가능하다. 슬라이더는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내측을 따라 활주 가능하며,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68)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48)를 갖는다. 돌출부는 메모리 카드가 잘못된 방향으로 공동에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하게 한다. 슬릿(80)은 슬라이더(40)가 잘못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반응하여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측벽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우징(12)의 측벽(26b)과 바닥벽(24) 사이의 접합점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메모리 카드 커넥터, 카드 수용 공동, 하우징, 메모리 카드, 슬라이더, 오목부, 슬릿

Description

잘못된 카드 삽입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 {MEMORY CARD CONNECTOR WITH PROTECTION AGAINST ERRONEOUS CARD INSERTION}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를 잘못 삽입하거나 또는 카드를 강제로 회수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것으로 메모리 회로 또는 다른 전자 프로그램의 형태인 지능을 포함한다. 소정 형태의 카드 판독기는 카드 상에 저장된 정보 또는 메모리를 판독한다. 메모리 카드는 오늘날의 전자 사회에서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폰, 뮤직 플레이어, ATM, 케이블 텔레비전 디코더, 장난감 게임, PC 어댑터 및 다른 전자적 용도와 같은 많은 용도로 사용된다. 통상의 메모리 카드는 전기 커넥터를 통해 카드 판독기 시스템에 접촉하고 외부 장치에 접촉하도록 접촉부 또는 단자 어레이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카드 상의 정보 및 프로그램에 대한 빠른 접근을 제공하도록 카드의 삽입과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카드 커넥터는 카드의 접촉부 또는 단자 어레이를 변형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단자들을 포함한다.
몇몇 카드 커넥터는 카드 방출 기구를 포함하여, 메모리 카드가 커넥터로 간 단하게 삽입되고, 방출 기구는 커넥터로부터 카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된다. 몇몇 방출 기구는 커넥터 내로 그리고 커넥터 외부로 함께 운동하도록 메모리 카드와 결합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또한, 몇몇 카드 커넥터들은 카드가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삽입되거나 전방과 후방 방향이 바뀐 경우 카드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고 카드가 적절하게 배향된 경우에도 카드의 강제적인 제거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는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될 때 카드 수용 공동 내에서 함께 운동하도록 카드와 결합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를 개시하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8633호에 도시된다. 그러나, 카드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가 강제적으로 제거되는 경우, 슬라이더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 측벽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측벽은 변형 또는 파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카드를 잘못 삽입하는 경우 또는 카드를 강제로 제거하는 경우에 커넥터 하우징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카드 커넥터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잘못된 카드 삽입 또는 강제적인 카드 제거에 대해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 구비한 신규하고 개선된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커넥터의 카드 수용 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바닥벽과 바닥벽에 접한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하우징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모리 카드와 함께 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하우징의 측벽의 내측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슬라이더는 메모리 카드의 일 측부 내의 오목부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는 메모리 카드가 잘못된 방향으로 상기 공동에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슬라이더가 잘못 삽입된 카드에 반응하여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측벽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측벽과 상부벽 사이의 접합점에 인접하여 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측벽은 바닥벽과 접합된 좁은 섹션과 슬릿을 따르는 넓은 섹션을 구비한다. 측벽의 좁은 섹션의 내측면은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된 경우 슬라이더의 외향 운동을 수용하도록 오목한 표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슬라이더는 외부 제한 위치와 내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다. 슬릿은 슬라이더의 내부 제한 위치 부근에 위치된다. 슬라이더의 좁은 섹션은 외부 제한 위치 부근에 위치되어,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에 슬라이더의 외향 운동을 수용하도록, 측벽의 내측 상에 오목한 표면은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 부근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취해진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구성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정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유사한 도면 부호가 도면상에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취해진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 조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2는 커넥터의 내부 구성 요소의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쉘이 제거된 메모리 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도시를 바닥측에서 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커넥터의 반대측의 측면도이다.
도5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6은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7은 메모리 카드가 커넥터로 일반적으로 삽입되고 금속 쉘이 제거되었으며, 축소된 상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슬라이더를 갖는 메모리 카드의 일반적인 상호 결합을 도시하고 카드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메모리 카드와 슬라이더가 함께 움직이는 것을 연속적으로 도시한다.
도11은 도10과 유사한 도면으로, 메모리 카드는 커넥터로부터 강제로 당겨지거나 또는 제거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12는 측벽에 인접한 하우징의 바닥벽 내의 슬릿을 도시하기 위한 도11의 "A"에 둘러싸인 분리 도면이다.
도13은 도11과 유사한 도면으로, 메모리 카드는 커넥터로부터 추가로 당겨진다.
도14는 도13의 "B"에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하우징의 분리 도면이다.
도15는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16, 도17 및 도19는 잘못 배향된 메모리 카드가 커넥터로 가압될 때 슬라이더와 메모리 카드의 운동을 연속적으로 도시한다.
도18은 도17의 "C"에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하우징의 분리 도면이다.
도20은 도19의 "D"에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하우징의 분리 도면이다.
우선,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10으로 지시되었으며, 도2에서 화살표(20)의 방향으로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18)의 이면 상에서 접촉부와 결합하도록 접촉 부분(16a)을 갖는 복수의 단자(16)를 장착한 후방 단자 장착 부분(14)을 갖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 구현된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22로 지시된 금속 쉘에 의해 대체로 덮인다.
커넥터(10)의 하우징(12)은 메모리 카드(18)가 커넥터의 전방에서 개구(32)를 통해 삽입되는 내측 카드 수용 공동(30)을 형성하도록 금속 쉘(22)의 상부벽(28)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벽(26)과 바닥벽(24)을 포함한다. 피봇식으로 장착된 셔터(34)가 개구(32)를 개폐하도록 제공된다. 금속 쉘(22)은 하우징(12)의 측벽(26)을 중첩하는 한 쌍의 측벽(36)을 포함한다.
유전체 하우징(12)은 바닥벽(24)과 일체로된 측벽(26)을 갖도록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벽(26)은 26a에서와 같이 확대되고, 일반적으로 40으로 지시된 슬라이더가 내부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측면 공동(38)을 형성하는 외향 오프셋 부분(26b)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42)이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도록 외향으로 슬라이드를 편향시키도록 하우징의 단자 장착 부분(14)과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된다. 슬라이더는 메모리 카드(18)의 궁형 모퉁이(도2)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 궁형 표면(44)을 갖는다. 도2는 슬라이더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와 상호 결합하는 내향하는 돌출부(48)를 포함하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슬라이더(40)는 커넥터로부터의 카드의 제거 방향(즉, 도1에서 화살표(20)와 반대 방향)으로 메모리 카드(18)를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42)을 포함하는 소위 "누름/누름형 방출 기구(push/push type ejector mechanism)"의 일부이다. 방출 기구는 슬라이더의 상위면에 형성된 하트 캠 홈(50)과 하드 캠 홈과 결합하는 캠 핀(5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카드 수용 공동(30) 내의 완전 삽입 위치까지 메모리 카드를 누르고, 카드를 놓으면, 슬라이더(40)는 코일 스프링(42)의 편향력 하에서 약간 후방으로 운동하고 캠 홈에 의해 정지된다. 카드가 다시 또는 후속적으로 카드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면, 슬라이더(40)는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를 형성하는 멈춤부로 작용하는 확대된 측벽 부분(26a)에 대해 스프링(42)의 영향하에서 후방으로 운동되어, 메모리 카드를 방출한다. 캠 핀(52)은 확대된 측벽 부분(26a) 내의 구멍(58)(도8 및 도10)으로 삽입되는 대향 단부(56)를 갖는 로드 멤버(54)의 일단부 상에 레그에 의해 형성된다. 캠 핀(52)은 하트 캠 홈(50) 내에서 결합하도록 금속 쉘의 상부벽(28)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60)은 하트 캠 홈으로 캠 핀(52)을 편향시키도록 금속 쉘의 상부벽으로부터 절단된다. 유사하게, 리프 스프링(62)은 슬라이더의 외측에 대해 접촉하도록 금속 쉘의 측면 판 부분(64)의 외부에 스탬핑된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돌출부(48)(도8)는 내부 측면이 내부 궁형 표면(44)으로 들어가기 전에 슬라이더(40)의 내부 측면(66)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된다. 메모리 카드(18)가 적절하게 배향되어 화살표(20) 방향으로 커넥터에 삽입될 때, 돌출부(48)는 메모리 카드의 측면 모서리 내의 오목부(68)에 스냅 결합된다. 돌출부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카드의 궁형 모서리(46)가 슬라이더의 내부 궁형 표면(44)과 결합하도록, 카드를 슬라이더(40)에 고정시킨다. 외향 오프셋 측벽 부분(26b)은 그 내측에 오목한 표면(70)을 형성하는 전방의 좁은 섹션(26c)을 갖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오목한 표면은 슬라이더(40)의 외측부(74)와 측벽 부분(26b)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그 결과, 메모리 카드(18)가 돌출부(48)와 결합되도록 삽입될 때, 슬라이더(40)는 돌출부(48)가 오목부(68)에 스냅 결합될 때까지 금속 쉘의 리프 스프링(62)(도1 및 도2)의 편향에 대해 공간(72)으로 외향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8 내지 도11은 도7의 블록 "X"에 의해 지시되는 영역의 확대라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이해를 가지면, 슬릿(80)은 측벽(26)의 외향 오프셋 부분(26b)과 바닥벽 사이의 접합점에서 하우징의 바닥벽(24) 내에 형성되는 것이 도8에 도시된다. 이 슬릿은 하우징의 단자 장착 부분(14)과 확대된 측벽 부분(26a) 사이에서 슬라이더(40)의 운동의 "행정"의 내부 단부에 존재한다.
도9 및 도1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의 완전 삽입 위치까지 결합하여 운동하는 슬라이더(40)와 메모리 카드(18)를 도시한다. 본질적으로, 확대된 측벽 부분(26a)은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와 도8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단자 장착 부분(14)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와 슬라이더의 운동의 내부 제한 위치를 형성한다.
도11 내지 도14는 메모리 카드(18)가 화살표(82)의 방향으로 커넥터로부터 강제로 제거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즉, 사용자는 "누름/누름" 방출기 기구를 신뢰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슬라이더가 완전한 내부 제한 위치에 있고, 슬라이더 상의 돌출부(48)는 오목부(68)로부터 활주한다. 하우징의 측벽과 바닥벽 사이의 슬릿(80)으로 인해, 측벽 부분(26b)은 측벽 파손 없이 화살표(84)의 방향에서 외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15 내지 도20은 메모리 카드(18)가 잘못된 방향으로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의 수직 후방 단부가 카드의 전방 단부 대신에 삽입된다. 즉, 카드는 바뀐 전방 대 후방 방향으로 삽입된다. 동일한 상황이 메모리 카드가 잘못된 상부 하향 위치로 삽입되는 경우 발생된다. 이러한 잘못된 방향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측면 모서리 내의 오목부(68)는 슬라이더(40)의 돌출부(48)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도16, 도17 및 도19는 도15의 블록"Y"에 의해 지시된 영역의 확대이다.
이러한 이해를 가지면, 도16은 슬라이더(40)의 돌출부(48)를 결합하는 메모리 카드(18)의 무딘 모퉁이(86)를 도시한다. 도17은 돌출부(48)가 메모리 카드의 측면 모서리(88)를 결합할 때까지 추가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다. 카드의 무딘 모퉁이(86)는 둥글게 되지 않았으며 카드의 측면 모서리(88)는 오목부(68)가 없으므로, 잘못 배향된 메모리 카드의 추가적인 삽입 운동은 슬라이더(40)가 도19에 도시된 내측 제한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운동하도록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이러한 것은 하우징의 측벽이 변형 또는 파손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측벽 부분(26b)이 슬릿(80)에서 바닥벽(24)과 접합하면, 슬릿은 측벽 부분이 파손하는 대신에 외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중심 특성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예들과 실시예들은 모든 측면에서 도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이지 않는 것을 고려되며,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7)

  1. 메모리 카드 커넥터(10)이며,
    커넥터의 카드 수용 공동(3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바닥벽(24)과 바닥벽에 접합된 측벽(26b)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함께 운동하도록 메모리 카드(18)와 결합 가능하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내측을 따라 활주 가능하며,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68)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48)를 가지며, 메모리 카드가 잘못된 방향으로 공동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로 인해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슬라이더(40)와,
    슬라이더(40)가 잘못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반응하여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측벽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우징(12)의 측벽(26b)과 바닥벽(24) 사이의 접합점에 인접하여 형성된 슬릿(80)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6b)은 상기 바닥벽(24)에 접합된 좁은 섹션(26c)과 상기 슬릿(80)을 따르는 넓은 섹션(26b)을 갖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기 좁은 섹션(26c)은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슬라이더(40)의 외향 운동을 수용하도록 측벽의 내측에 오목한 표면(70)을 형성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외부 제한 위치와 내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고, 상기 슬릿(80)은 슬라이더의 내부 제한 위치 부근에 위치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슬라이더(40)의 외향 운동을 수용하도록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 부근에서 측벽의 내측에 오목한 표면(70)을 형성하기 위해 좁아지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외부 제한 위치와 내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벽(26b, 26c)은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슬라이더의 외향 운동을 수용하도록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 부근에서 측벽의 내측에 오목한 표면(70)을 형성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6. 메모리 카드 커넥터(10)이며,
    커넥터의 카드 수용 공동(3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바닥벽(24)과 바닥벽에 접합된 측벽(26b)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함께 운동하도록 메모리 카드(18)와 결합 가능하며, 외부 제한 위치와 내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내측을 따라 활주 가능하며,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68)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48)를 가지며, 메모리 카드가 잘못된 방향으로 공동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로 인해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슬라이더(40)와,
    슬라이더가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슬라이더의 외향 운동을 수용하도록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 부근에서 내측에 오목한 표면이 형성된 측벽(26c)과,
    하우징(12)의 측벽(26b)과 바닥벽(24) 사이의 접합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슬라이더(40)가 잘못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반응하여 측벽을 향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 측벽이 변형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의 내부 제한 위치 부근에 위치된 슬릿(80)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6b)은 상기 바닥벽(24)에 접합되고 슬라이더의 외부 제한 위치 부근에서 측벽의 내측에 오목한 표면(70)을 형성하는 좁은 섹션(26c)과 슬라이더의 내부 제한 위치 부근에서 상기 슬릿(80)을 따르는 넓은 섹션(26b)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20047017485A 2002-04-30 2003-04-30 잘못된 카드 삽입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KR100715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7734 2002-04-30
JP2002127734A JP3772788B2 (ja) 2002-04-30 2002-04-30 カード用コネクタ
PCT/US2003/013659 WO2003094095A1 (en) 2002-04-30 2003-04-30 Memory card connector with protection against erroneous card inse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196A KR20040102196A (ko) 2004-12-03
KR100715391B1 true KR100715391B1 (ko) 2007-05-08

Family

ID=2939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485A KR100715391B1 (ko) 2002-04-30 2003-04-30 잘못된 카드 삽입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00033B1 (ko)
JP (1) JP3772788B2 (ko)
KR (1) KR100715391B1 (ko)
CN (1) CN1650320B (ko)
AU (1) AU2003234334A1 (ko)
DE (1) DE60319356T2 (ko)
WO (1) WO2003094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6593C (zh) * 2004-05-12 2008-10-15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585963B2 (ja) * 2005-12-06 2010-11-24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5125456B2 (ja) * 2007-11-30 2013-01-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4662293B2 (ja) * 2008-11-26 2011-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222314A (ja) * 2010-04-09 2011-11-04 Panasonic Corp カード装着装置、電子機器
CN112134015A (zh) * 2020-09-03 2020-12-25 陶瑞 一种防止天线反接的gps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9572A (en) 1998-08-03 2000-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to retain IC card
JP2001118633A (ja) 1999-10-15 2001-04-27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EP1134688A1 (en) * 2000-03-17 2001-09-19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WO2002007269A2 (en) * 2000-06-29 2002-01-24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2202B2 (ja) * 2000-04-2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記録媒体の収納ケースと収納ケースホルダと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9572A (en) 1998-08-03 2000-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to retain IC card
JP2001118633A (ja) 1999-10-15 2001-04-27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EP1134688A1 (en) * 2000-03-17 2001-09-19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WO2002007269A2 (en) * 2000-06-29 2002-01-24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0320B (zh) 2010-10-06
EP1500033B1 (en) 2008-02-27
JP3772788B2 (ja) 2006-05-10
JP2003323940A (ja) 2003-11-14
WO2003094095A1 (en) 2003-11-13
CN1650320A (zh) 2005-08-03
EP1500033A1 (en) 2005-01-26
AU2003234334A1 (en) 2003-11-17
KR20040102196A (ko) 2004-12-03
DE60319356T2 (de) 2009-02-26
DE60319356D1 (de) 2008-04-10
WO2003094095B1 (en)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670B2 (en) IC card connector
US7118395B2 (en) Card connector locking member arrangement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238034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7374440B2 (en) Card connector with metal shell
EP1678662B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 mechanism
KR100817353B1 (ko) 방출기 기구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
WO2001089041A1 (en) Ic card connector with card lock
US20050003711A1 (en) Memory card connector for accommodating different memory cards
KR100715391B1 (ko) 잘못된 카드 삽입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EP1556926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7318733B2 (en) Card connector with ejector
JP2005340077A (ja) カードコネクタ
WO2004063972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ejecting mechanism and protection against erroneous card insertion
US7293708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protection against erroneous card insertion
US20060258198A1 (en) Card connector with a frame
US20040259426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prevention against incorrectly inserted cards
WO2003003525A1 (en) Card connector with locking device
US20050009389A1 (en) Eject mechanism for memory card connector
JP3945432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KR20050101239A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0700088B1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0447670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489323B1 (ko) Ic 카드 커넥터
US7654836B2 (en)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