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915B1 -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915B1
KR100714915B1 KR1020050035680A KR20050035680A KR100714915B1 KR 100714915 B1 KR100714915 B1 KR 100714915B1 KR 1020050035680 A KR1020050035680 A KR 1020050035680A KR 20050035680 A KR20050035680 A KR 20050035680A KR 100714915 B1 KR100714915 B1 KR 10071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m
broadcast signal
tdm broadcast
satellite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937A (ko
Inventor
이군섭
이동학
정원석
이주식
이명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1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47Error detection, forward error correction or error protect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1 - H03M13/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4Distributors combined with modulators or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를 개시한다. 즉, 방송위성으로부터 송출된 TDM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튜너; 소정의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구비하며, 상기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통하여 상기 튜너로부터 전달된 TDM 방송 신호를 복원시키는 TDM 방송 신호 복원부;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유/무선매체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TDM 방송 신호 송신부; 및 상기 TDM 방송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개로 분배시킴에 따라, 분배 생성된 다수의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1:1 상응되도록 유/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TDM 방송 신호 분배기;를 포함하는 TDM 방송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와 지상으로 송신되는 TDM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성 DMB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향상시킴은 물론 서비스의 수신 성능도 개선할 수 있게 함에 있다.
TDM 방송 신호,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 TDM 방송 신호 분배기

Description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TDM broadcasting signal}
도 1은 기존의 위성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상국 2: 방송위성
3: 위성방송중계기 4: 사용자단말기
20: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200: 튜너
202: QPSK 복조기 204: FEC
206: TDM 역다중화기 206: TDM 방송 신호 송신부
25: TDM 방송 신호 분배기 30: 사용자단말기
300: TDM 방송 신호 수신부 302: 외부장치 출력부
본 발명은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와 지상으로 송신되는 TDM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성 DMB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킴은 물론 서비스의 수신 성능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 DMB 망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방송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지상국(1)과 지상국(1)으로부터 약 13GHz의 주파수 대역(Ku Band)을 통해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CDM 방송 신호와 TDM 방송 신호로 송신하는 방송위성(2)으로 구성된다.
이때, 방송위성(2)에서 송신되는 CDM 방송 신호는 약 2.6GHz의 주파수 대역(S Band)을 통해 지상의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기(4)에서 직접 수신되고, TDM 방송 신호는 약 12GHz의 주파수 대역(Ku Band)을 통해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로 송신되고, 위성방송중계기에서 CDM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된 후 약 2.6 GHz의 주 파수로 사용자단말기(4)로 수신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위성 방송 시스템에서는 TDM 방송 신호를 위성에서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로 전송하는 경우에만 사용하므로, 사용자단말기(4)로는 직접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위성방송 중계기에서만 수신되는 TDM 방송 신호를 사용자단말기(4)에서도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서비스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와 지상으로 송신되는 TDM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성 DMB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향상시킴은 물론 서비스의 수신 성능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방송위성으로부터 송출된 TDM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튜너; 소정의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구비하며, 상기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통하여 상기 튜너로부터 전달된 TDM 방송 신호를 복원시키는 TDM 방송 신호 복원부;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유/무선매체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TDM 방송 신호 송신부; 및 상기 TDM 방송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개로 분배시킴에 따라, 분배 생성된 다수의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1:1 상응되도록 유/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TDM 방송 신호 분배기;를 포함하는 TDM 방송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튜너가 방송위성으로부터 송출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TDM 방송 신호 복원부가 소정의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구비하며, 상기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튜너로부터 전달된 TDM 방송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 TDM 방송 신호 송신부가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유/무선매체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및 TDM 방송 신호 분배기가 상기 TDM 방송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개로 분배시킴에 따라, 분배 생성된 다수의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1:1 상응되도록 유/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DM 방송신호 수신방법 제공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상기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실시예들을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TDM 방송 신호를 수신 하는 장치의 구 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TDM 방송 신호를 수신 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는 튜너(200)를 통해 방송위성(10)에서 송신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 받는다.
그리고, 튜너(200)에 수신된 TDM 방송 신호는 QPSK 복조기(202, QPSK Demodulator)와 FEC(204, 순방향 오류정정 디코더) 및 TDM 역다중화기(206, TDM demux)를 통해 복원된다.
위에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는 TDM 방송 신호 송신부(208)에서 동축케이블 이나 LAN 선 등으로 구성된 유선매체나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로 구성된 무선매체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된다. 이때, TDM 방송 신호 송신부(208)는 유, 무선 매체를 통해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유, 무선 매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해야 한다.
또한, 앞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30)에는 TDM 방송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유,무선 매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TDM 방송 신호 수신부(300)와 TV 등의 외부 출력 장치로 수신한 TDM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하는 외부장치 출력부(302)가 구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TDM 방송 신호 송신부(208)에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를 통해 분배하여, 분배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는 앞서와 같이 TDM 방송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유,무선 매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는 TDM 방송 신호 송신부(208)에서 유, 무선 매체를 통해 전송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개로 분배하여 유, 무선 매체를 통해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와 별개로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를 구비하면 다수개의 사용자단말기(30)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되므로, 다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를 통해 다수의 주민들에게 TDM 방송 신호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TDM 방송 신호를 수신 하는 장치를 통해 위성 DMB망에서의 방송 컨텐츠 제공방법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튜너(200)를 통해 방송위성(10)으로부터 TDM 방송 신호를 수신(S10)하고, 수신된 TDM 방송 신호를 QPSK 복조기(202, QPSK Demodulator)와 FEC(204, 순방향 오류정정 디코더) 및 TDM 역다중화기(206, TDM demux)를 통해 복원한다.(S20)
다음으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유, 무선 매체를 통해 사용자단말기(3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를 통해 분배되지 않는 경우(S30) 복원된 TDM 방송 신호는 사용자단말기(30)에 직접 제공(S32)된다.
한편, 다수개의 사용자단말기에 TDM 방송 신호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로 분배하여(S34), 분배된 TDM 방송 신호를 유, 무선 매체를 통해 다수개의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된다.(S36)
위에서, TDM 방송 신호송신부(208)에서 복원된 TDM 방송 신호가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에 전송될 때 사용되는 유, 무선 매체와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에서 사용자단말기(30)에 앞서 분배된 TDM 방송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유, 무선 매체는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는 TDM 방송 신호송신부(208)에서 동축케이블을 통해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로 전송되고,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에서 분배된 TDM 방송 신호는 블루투스를 통해 TDM 방송 신호 수신부(300)로 전송되는 경우가 그것이다.
위와 같은 TDM 방송 신호의 전송을 위해 TDM 방송 신호 송신부(208)는 동축케이블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해야 하고, TDM 방송 신호 수신부(3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해야 하며,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는 동축케이블과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두 구비해야 한다. 이는 TDM 방송 신호 분배기(25)에서 TDM 방송 신호송신부(208)로부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받아 분배한 후, 이를 사용자단말기(30)의 TDM 방송 신호 수신부(300)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중계기(Gap Filler)와 지상으로 송신되는 TDM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성 DMB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향상시킴은 물론 서비스의 수신 성능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방송위성으로부터 송출된 TDM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튜너;
    소정의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구비하며, 상기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통하여 상기 튜너로부터 전달된 TDM 방송 신호를 복원시키는 TDM 방송 신호 복원부;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유/무선매체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TDM 방송 신호 송신부; 및
    상기 TDM 방송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개로 분배시킴에 따라, 분배 생성된 다수의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1:1 상응되도록 유/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TDM 방송 신호 분배기;를 포함하는 TDM 방송신호 수신장치.
  2. 삭제
  3. 튜너가 방송위성으로부터 송출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TDM 방송 신호 복원부가 소정의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구비하며, 상기 QPSK 복조기, FEC, TDM 역다중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튜너로부터 전달된 TDM 방송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
    TDM 방송 신호 송신부가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유/무선매체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및
    TDM 방송 신호 분배기가 상기 TDM 방송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복원된 TDM 방송 신호를 다수개로 분배시킴에 따라, 분배 생성된 다수의 TDM 방송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1:1 상응되도록 유/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DM 방송신호 수신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는 기구비된 유/무선매체를 통하여 상기 TDM 방송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송출된 TDM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TDM 방송 신호 수신부; 및
    상기 TDM 방송 신호 수신부에 입력된 TDM 방송 신호를 소정의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TDM 방송 신호를 출력 디스플레이하는 외부장치 출력부를 포함하는 TDM 방송신호 수신장치.
KR1020050035680A 2005-04-28 2005-04-28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80A KR100714915B1 (ko) 2005-04-28 2005-04-28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80A KR100714915B1 (ko) 2005-04-28 2005-04-28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937A KR20060112937A (ko) 2006-11-02
KR100714915B1 true KR100714915B1 (ko) 2007-05-04

Family

ID=3765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680A KR100714915B1 (ko) 2005-04-28 2005-04-28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9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208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자유로 무선 송 ·수신장치를 이용한 방송수신신호 재전송 및분배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37456A (ko) * 2005-03-31 2005-04-21 (주)넥스지텔레콤 디엠비 수신용 휴대전화기로 수신된 디엠비 방송을컴퓨터로 수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208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자유로 무선 송 ·수신장치를 이용한 방송수신신호 재전송 및분배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37456A (ko) * 2005-03-31 2005-04-21 (주)넥스지텔레콤 디엠비 수신용 휴대전화기로 수신된 디엠비 방송을컴퓨터로 수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937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825A (en)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ransmitting antennas on peripheries of adjacent cells within a service area
KR100832455B1 (ko) 변조기 및 중계기를 자동 구성하기 위한 시그널링의 이용
KR100952571B1 (ko) 신호 전송을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의 결정 방법 및 장치
US5852612A (en) Terminal for receiving simulcast digital video programs
JP2008538881A (ja) デジタルラジオの階層的な変調及び復調に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GB0016245D0 (en) A receiver
EP2701346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joint IP data-stream
CA2454295A1 (en) On-channel rep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service
US8670368B2 (en) Broadcast retransmitting method, broadcast retransmitting apparatus, replay apparatus, and broadcast retransmit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714915B1 (ko) Tdm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2387414A (zh) 一种视频信号处理方法和视频家庭网关
KR20130093773A (ko) 디지털 방송용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합형 디지털 방송 신호 송출기
JP4537926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監視方法
JPH11225318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をテレビジョン垂直帰線消去間隔に載せて一斉送信する方法
Oyamada et al. Progress of transmission technologies for UDTV
JPH11284963A (ja) 放送波に関する情報供給方法と放送波を受信する受信装置
CN105765888B (zh) 用于传输和接收地面数字广播类型的无线电视信号的方法和系统以及相关的发射器、接收器系统、转换调制器和接收器
US10334561B2 (en) Collaborative broadcasting and bi-directional network transmission
Iliev et al. An approach for more effective use of the radio-frequency spectrum in DVB-T single frequency networks
KR100711169B1 (ko) 갭 필러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신호 송신 방법
KR200257084Y1 (ko) 롬을 갖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장치
AU756888B2 (en) A network for broadcasting a digital signal
KR200262657Y1 (ko) 시디엠에이 모뎀을 갖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장치
KR10073840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코드 분할 다중화 채널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078595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콘텐츠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