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704B1 -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704B1
KR100714704B1 KR1020050078330A KR20050078330A KR100714704B1 KR 100714704 B1 KR100714704 B1 KR 100714704B1 KR 1020050078330 A KR1020050078330 A KR 1020050078330A KR 20050078330 A KR20050078330 A KR 20050078330A KR 100714704 B1 KR100714704 B1 KR 10071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genre
playlist
time z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953A (ko
Inventor
천가원
김동석
강영미
조봉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7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tim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는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는 통계부 및 분석된 컨텐츠를 시간대별에 따라 재생목록으로 구성하는 구성부를 포함한다.
컨텐츠, 시간대, 재생목록

Description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s time sche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설정 메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간대별 컨텐츠 이용 상태 및 컨텐츠 재생 목록 구성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재생목록 구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목록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정보 저장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목록 구성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컨텐츠 제공 장치
500: 통계부
510: 구성부
520: 재생부
본 발명은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시간대별에 따라 재생목록으로 구성하는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음악 장르 및 동영상 등의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장치의 메뉴에서 반복 재생, 재생 순서 섞기, 히스토리 기능 등 다양한 고급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어 장치로는 MP3 플레이어,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포터블 장치(potable device)를 비롯하여,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컴퓨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의 컨텐츠 제공과 함께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아침 출근 시간대, 낮의 활발한 시간대, 저녁 또는 밤의 조용한 분위기 시간대 등 특정 시간대별로 사용자가 재생하였던 음악 컨텐츠의 장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랜덤(Random)하게 추출하여 새롭게 재생 목록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재생하지 않았던 음악 장르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을 개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는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는 통계부 및 분석된 컨텐츠를 시간대별에 따라 재생목록으로 구성하는 구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컨텐츠를 시간대별에 따라 재생목록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설정 메뉴 구성도이다.
현재 시간대에 따라 과거 시간대별로 재생이 완료되었던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한다.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음악, 동영상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악 컨텐츠를 예로 든다. 컨텐츠 제공장치(100)로는 MP3 플레이어, 디지털 오디오 및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컴퓨터의 미디어 플레이어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을 재생하는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현재 시간대에 따라 음악 컨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한다.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100)내에 시간대별 분류방식 설정 메뉴(110), 시간대별 제한 설정 메뉴(120),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 목록의 개수 설정 메뉴(130), 정렬 방식 설정 메뉴(140),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 메뉴(150), 재구성 메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 메뉴(150)을 제외하고, 나머지 메뉴(110, 120, 130, 140, 160)는 옵션사항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시간대별 분류방식 설정 메뉴(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분류방식으로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24시간을 매 시간 60분으로 분류하거나, 새벽, 오전, 오후, 저녁, 심야와 같이 특정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시간대별 제한 설정 메뉴(120)는 사용자의 최근 음악 감상 성향을 반영하기 위해 각 시간대 별로 저장되는 음악에 대해 제한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제한을 최근 30일 이내에 재생 완료한 음악으로 설정하되, 최근 재생 완료한 20곡의 음악을 선정하도록 설정한다. 최근 30일 이내에 재생 완료한 음악으로 제한한 것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 공휴일 일자수의 고려 및 과도하게 오래된 음악 컨텐츠가 재생목록에 구성되는 것에 제한을 두기 위한 것이다. 최근 재생 완료한 20곡의 음악으로 선정한 것은 1시간 재생 분량을 고려하여, 1곡당 3분을 할애할 때 20곡당 적어도 60분이 할애 되는 것을 예상하여 선정한 것이다. 시간 제한과 개수 제한을 선택적으로 반영하거나 다른 제한 사항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 목록의 개수 설정 메뉴(130)는 컨텐츠 재생목록의 개수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곡, 20곡, 30곡 등으로 설정한다.
정렬 방식 설정 메뉴(140)는 각 컨텐츠별 재생 횟수, 각 장르별 재생 횟수 등으로 내림차순 혹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 메뉴(150)는 현재 시간대에 재생되었던 시간대별 컨텐츠 정보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롭게 구성한 재생목록을 보여준다.
재구성 메뉴(160)는 시간대별 컨텐츠의 재생목록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 메뉴(160)를 따로 두지 않더라도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 메뉴(150)를 선택할 때마다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을 재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간대별 컨텐츠 이용 상태 및 컨텐츠 재생 목록 구성 결과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07:00 내지 08:00시, 사용자가 오늘(today) 클래식 4곡과 재즈 4곡을 재생 완료하였고, D(Day)-1에 클래식 2곡과 R&B 10곡을 재생 완료하였다. D-2에 클래식 10곡을 재생 완료하였다.
13:00 내지 14:00시, 사용자가 D-1에 하드락 4곡, D-2에 락앤롤 4곡을 재생 완료하였다. D-30에 힙합10곡을 재생 완료하였다.
19:00 내지 20:00시, 사용자가 재생 완료한 음악은 없다.
20:00 내지 21:00시, 사용자가 D-2에 블루스 3곡과 팝 12곡을 재생 완료하였다. D-숫자의 숫자 부분은 오늘 일자를 기준으로 과거 일자로 오름차순으로 카운팅된다.
사용자가 장치(100)의 특정 메뉴(110, 120, 130)에서 최근 재생을 완료한 20곡 및 최근 30일 이내의 일자로 한정하여 설정한다. 또한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 목록의 개수는 30곡으로 설정하고, 하루 24시간을 매 시간 60분으로 나누어 재생 완료한 컨텐츠를 분류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07:00 내지 08:00시, 오늘의 클래식 4곡과 재즈 4곡, D-1의 클래식 2곡과 R&B 10곡이 선정된다(200).
13:00 내지 14:00시, D-1의 하드락 4곡과 D-2의 락앤롤 4곡이 선정된다(210). 시간 제한에 따라 D-30의 힙합10곡은 제외된다.
또한 19:00 내지 20:00시, 사용자가 재생 완료한 음악은 없으므로, 컨텐츠 재생목록에서 제외된다(220).
20:00 내지 21:00시, D-2의 블루스 3곡과 팝 12곡이 선정된다(230).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의 저장 상태는 07:00 내지 08:00시, R&B:클래식:재즈가 각각 10:6:4의 장르별 비율로 저장된다(200a). 사용자가 설정한 30개의 곡에는 컨텐츠 제공장치(100)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 중에서 장르별 비율로 곡이 편성되므로, R&B와 클래식 및 재즈 20곡이 모두 포함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200b).
13:00 내지 14:00시, 락앤롤:하드락이 각각 4:4의 장르별 비율로 저장된다(210a). 사용자가 설정한 30개의 곡에는 컨텐츠 제공장치(100)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 중에서 장르별 비율로 곡이 편성되므로, 락앤롤과 하드락 8곡이 모두 포함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210b). 이와 같이 사용자가 예상치 못했던 컨텐츠 제공으로 인해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19:00 내지 20:00시, 사용자가 재생 완료한 음악은 없으므로(220a), 컨텐츠 재생목록에서 제외된다. 이 경우 특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220b).
20:00 내지 21:00시, D-2의 블루스 3곡과 팝 12곡이 선정된다. 만약 컨텐츠 제공장치(100)에서 20:00 내지 21:00시의 시간대의 음악을 모두 삭제하였을 경우(230a) 특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230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재생목록 구성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재생한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 컨텐츠의 장르별 재생 횟수를 분석하여 컨텐츠 재생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치(100)의 특정 메뉴(110, 120, 130)에서 최근 재생을 완료한 20곡 및 최근 10일 이내의 일자로 한정하여 설정한다. 또한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 목록의 개수는 10곡으로 설정하고, 하루 24시간을 매 시간 60분으로 나누어 재생 완료한 컨텐츠를 분류하도록 설정한다. 사용자가 장치(100)의 정렬 방식 메뉴(140)에서 컨텐츠의 재생 목록을 장르별 재생 횟수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도록 설정한다. 하루 24시간을 매 시간 60분으로 나누어 재생 완료한 컨텐츠 가운데 아침 07:00 내지 08:00시에 재생 완료된 컨텐츠만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각 장르별 컨텐츠 정보가 각 장르별 재생 횟수와 함께 저장된다(S300).
다음 단계에서, 각 장르별로 구분된다(S310). 예를 들어 발라드 2곡과 댄스 1곡 및 클래식 1곡으로 구분된다.
각 장르별 재생된 비율로 구분된다(S320). 발라드: 댄스: 클래식이 각각 2곡: 1곡: 1곡 이므로 50%, 25%, 25% 비율로 나타난다.
재생된 컨텐츠 장르별 비율을 적용하여 소수점 이하 첫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컨텐츠의 수를 추출한다(S330). 예를 들어 25%의 경우 2.5의 컨텐츠 수에 해당하므로, 소수점 자리를 반올림하여 3개의 컨텐츠 수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소수점 자리의 반올림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의 수를 구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총 4곡의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목록 구성의 과정에 서 11개의 곡으로 편성된다. 11개의 곡은 기존의 컨텐츠 제공장치(100)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 중에서 장르별 비율에 따라 랜덤하게 추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최종 컨텐츠의 재생목록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목록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총 11개의 컨텐츠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목록의 개수를 10곡으로 선정하였으므로 1개의 곡은 제외된 상태로 최종 10개의 곡이 상기 설정한 장르별 내림차순에 따라 정렬된다(S340). 장르별 재생횟수가 같을 경우는 가장 최근에 재생한 컨텐츠의 장르를 상위 순위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개수를 초과하였을 경우 랜덤하게 초과된 컨텐츠(410)을 첨삭하는 방법으로 컨텐츠의 재생목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선정된 장르별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컨텐츠가 존재할 시, 해당 장르의 컨텐츠가 재생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10개의 컨텐츠 재생목록(400)이 구성되고, 초과된 곡 (K로 표기된 댄스 곡) (410)은 제외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10개의 곡에는 컨텐츠 제공장치(100)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 중에서 장르별 비율로 랜덤하게 10개의 곡이 편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재생목록은 기존의 컨텐츠 제공장치(100)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 중에서 장르별 비율에 따라 랜덤하게 추출하여 구성하므로, 기 재생되었던 컨텐츠인 A,B,C,D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아침 07:00~08:00시에 컨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10개의 컨텐츠 재생목록(400)이 장치(100)의 화면(예를 들어 장치(100)의 LCD)에 표시되며, 한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는 LCD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블록도이다.
통계부(500)는 산술부(500a)와 저장부(500b)를 포함한다.
산술부(500a)는 재생 완료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 컨텐츠의 장르 및 장르별 재생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저장부(500b)는 산술부(500a)의 정보를 컨텐츠 정보로 저장한다.
통계부(500)는 시간대별에 따라 산술부(500a)와 저장부(500b)를 통해 재생이 완료된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성부(510)는 선택부(510a)를 포함한다.
선택부(510a)는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별 분류방식을 설정한다.
구성부(510)는 통계부(500)를 통해 분석된 컨텐츠의 정보를 시간대별에 따라 재생목록으로 구성한다. 각 컨텐츠별 재생 횟수 또는 각 장르별 재생 횟수 등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컨텐츠 재생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별 분류방식은 선택부(510a)를 통해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분류방식으로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재생부(520)는 재생목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컨텐츠의 재생목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정보 저장의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완료 하면 재생 완료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를 산술부(500a)를 통해 확인한다(S600, S610).
또한 재생된 컨텐츠의 장르를 산술부(500a)를 통해 확인하고, 재생 횟수를 산술부(500a)를 통해 카운팅한다(S620).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와 장르 및 재생 횟수를 저장부(500b)를 통해 컨텐츠 정보로 기록하고 저장한다(S63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목록 구성의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을 선택부(510a)를 통해 컨텐츠 제공장치(100)의 메뉴에서 선택한다(S700).
현재 시간대를 장치(100)가 산술부(500a)를 통해 확인한다(S710).
현재 시간대에 재생되었던 시간대별 컨텐츠 정보의 저장 데이터를 통계부(500)를 통해 분석한다(S720).
현재 시간대별 컨텐츠 재생목록을 구성부(510)를 통해 구성한다(S730).
재생부(520)를 통해 재생한다(S74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시간대별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를 재생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시간대별로 컨텐츠의 재생 목록을 재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재생 목록 구성의 방식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재생 완료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 컨텐츠의 장르 및 장르별 재생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통계부; 및
    시간대별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장르별 비율에 따라 설정된 소정 개수만큼 랜덤하게 컨텐츠를 추출하여 컨텐츠의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르별 비율은 상기 장르별 재생 횟수를 이용하여 구해지고, 상기 구성된 컨텐츠의 재생 목록은 현재 재생 시간대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재생 완료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 컨텐츠의 장르 및 장르별 재생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시간대별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장르별 비율에 따라 설정된 소정 개수만큼 랜덤하게 컨텐츠를 추출하여 컨텐츠의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르별 비율은 상기 장르별 재생 횟수를 이용하여 구해지고, 상기 구성된 컨텐츠의 재생 목록은 현재 재생 시간대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방법.
  5. 삭제
KR1020050078330A 2005-08-25 2005-08-25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71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330A KR100714704B1 (ko) 2005-08-25 2005-08-25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330A KR100714704B1 (ko) 2005-08-25 2005-08-25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53A KR20070023953A (ko) 2007-03-02
KR100714704B1 true KR100714704B1 (ko) 2007-05-07

Family

ID=3809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330A KR100714704B1 (ko) 2005-08-25 2005-08-25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5880B2 (en) 2008-05-06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programming, delivery, and consump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42A (ko) * 2000-07-18 2002-01-29 김민욱 사용자별 정보선호 분석 및 정보 내용 인기도 평가를 통한정보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12872A (ko) * 2000-08-09 2002-02-20 이미란 인터넷에서의 맞춤형 컨텐츠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42A (ko) * 2000-07-18 2002-01-29 김민욱 사용자별 정보선호 분석 및 정보 내용 인기도 평가를 통한정보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12872A (ko) * 2000-08-09 2002-02-20 이미란 인터넷에서의 맞춤형 컨텐츠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53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71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music for specific listeners
KR101224354B1 (ko) 다중 사용자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US896970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lection, characterization and automated sequencing of media content
KR100898713B1 (ko)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목록 생성 방법 및 장치, 미디어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050235811A1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selection, characterization and automated sequencing of media content
US7788586B2 (en) Content output queue generation
Crossen et al. Flytrap: intelligent group music recommendation
JP5044001B2 (ja) 類似性データに基づくメディアアイテムのクラスタリング
EP16344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user profile on the basis of playlists
CN1301506C (zh) 播放表管理设备和方法
US7612280B2 (en) Intelligent audio selector
US20080133520A1 (en) List Building System
CN101548257A (zh) 用于表现音频数据的方法和设备
CN100375191C (zh) 具有可变随机播放选项的声频系统
MX2011000409A (es) Conmutacion de clasificaciones para reproductores de medios portatiles.
US20080030462A1 (en) Interactive music interface for music production
KR100714704B1 (ko) 시간대별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CN101419826A (zh) 多媒体播放器中主动建立播放清单的方法
Nakano et al. PlaylistPlayer: An interface using multiple criteria to change the playback order of a music playlist
US20100232263A1 (en) Category management
US20090105857A1 (en) Method of automatic playlist creation on multimedia player
Bohra et al. Segmenting music library for generation of playlist using machine learning
KR20070026627A (ko) 멀티미디어 항목의 선택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휴대용선호 저장 디바이스
Singh et al. Predictive music shuffling algorithm
HUBBERT 1960 S TO THE PRES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