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619B1 -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619B1
KR100714619B1 KR1020050092448A KR20050092448A KR100714619B1 KR 100714619 B1 KR100714619 B1 KR 100714619B1 KR 1020050092448 A KR1020050092448 A KR 1020050092448A KR 20050092448 A KR20050092448 A KR 20050092448A KR 100714619 B1 KR100714619 B1 KR 10071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prefix
quality
call
cd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162A (ko
Inventor
허동
김성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6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에 의해 수집되는 CDR을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통화 품질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카운팅 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과금 수집부와, 과금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CDR(Call Detail Record)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호시작/종료 시각, 착신자 번호(Called Digit), 라우팅 번호(Routing Number), 호 종료 원인 등 착신측 트래픽 및 품질감시 지표 생성에 필요한 주요 항목을 추출하는 과금 가공부와, 번호이동에 따른 착신 사업자 구별을 위해 상기 과금 가공부에 의해 추출된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여 착신 사업자별로 세분화한 뒤, 통계시각/MSC번호/프리픽스(5자리)/사업자로 그룹핑(Grouping) 하여 이를 트래픽(총발생호) 및 품질(정상호/실패호/절단호 등) 정보를 요약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0)에 저장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와,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감시 및 분석부와,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감시되고 분석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운영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수단로 구성된다.
CDR, 부가 서비스,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Description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ONITORING TRAFFIC AND SPEECH QUALITY OF INCOMING PREFIX USING CDR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DR를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감시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DR를 이용한 이동 통신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감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감시 화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해당 프리픽스의 최근 트래픽 및 호종류 원인별 분석화면,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통계 검색 설정 화면 및 그 조회 결과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과금 수집부 20 : 과금 가공부
30 :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감시 및 분석부 60 : 출력수단
본 발명은 통화 과금 정보(Call Detail Record, CDR)를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에 의해 수집되는 CDR을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통화 품질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타사(유/무선 전화 서비스 회사)의 음성통화 서비스 관련 장비(HLR/교환기 등)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특히, 타사의 HLR에 장애가 발생했거나, PSTN의 특정 국번에 대해 호폭주가 발생했을 경우는, 특정 국번이나 프리픽스(Prefix)에 대해 서비스가 불가한 상태이므로 자사의 발신측 교환기에서는 타사의 어느 장비에 문제가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다시 말해, 자사의 교환기에서 출력되는 루트(Route) 통계 등은 타사로 향하는 루트의 트래픽과 완료율 등을 파악할 수 있으나 개별 국번호의 품질은 해당 루트에 할당된 다수의 그룹화된 불특정 PSTN 국번호에 대해서만 대략적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타사에 대형 장애가 발생할 경우 호폭주에 의한 자사의 시스템 과부하를 호제한 혹은 우회 소통 조치를 통해 신속히 예방하고 고객 불만에 정확히 응대하기 위해, 서킷 교환기 과금(CDR)을 활용한 타사 서비스 장애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신측 프리픽스에 대한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품질을 감시함으로써, 타사 장애로 인한 호폭주 시에 호제한 혹은 우회 소통 등의 조치를 통해 자사 시스템의 과부하를 신속히 예방하고 고객 불만 상담에 정확히 응대하도록 한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 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은, 통화 과금 정보(CDR)를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감시 시스템으로서,
A)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카운팅 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과금 수집부;
B) 상기 과금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CDR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착신측 트래픽 및 품질감시 지표 생성에 필요한 소정 항목을 추출하는 과금 가공부;
C) 번호이동에 따른 착신 사업자 구별을 위해 상기 과금 가공부에 의해 추출된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여 착신 사업자별로 세분화한 뒤 통계시각, MSC 번호, 프리픽스 및 사업자로 그룹핑(Grouping) 하여 이를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로 요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
D) 상기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감시 및 분석부; 및
E) 상기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감시되고 분석되는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운영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방법은, 통화 과금 정보(CDR)를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을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a) 과금 수집부가,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카운팅 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b) 과금 가공부가, 상기 과금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CDR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착신측 트래픽 및 품질감시 지표 생성에 필요한 소정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c)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가, 번호이동에 따른 착신 사업자 구별을 위해 상기 과금 가공부에 의해 추출된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여 착신 사업자별로 세분화한 뒤 통계시각, MSC 번호, 프리픽스 및 사업자로 그룹핑(Grouping) 하여 이를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로 요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감시 및 분석부가, 상기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단계; 및
e) 출력수단이, 상기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감시되고 분석되는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운영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MSC(S3)에 의해 카운팅 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과금 수집부(10)와, 상기 과금 수집부(10)에 의해 수집된 CDR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호시작/종료 시각, 착신자 번호(Called Digit), 라우팅 번호(Routing Number), 호 종료 원인 등 착신측 트래픽 및 품질감시 지표생성에 필요한 주요 항목을 추출하는 과금 가공부(20)와, 상기 과금 가공부(20)에 의해 추출 된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고 착신 사업자를 파악한 뒤 통계시각/MSC번호/프리픽스(5자리)/사업자로 그룹핑(Grouping) 하여 이를 트래픽(총발생호) 및 품질(정상호/실패호/절단호 등) 정보를 요약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0)에 저장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40)와, 상기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감시 및 분석부(50)와, 상기 감시 및 분석부(50)에 의해 감시되고 분석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운영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수단(60)을 포함한다.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MSC(S3)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S2) 및 이동통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S1)을 거쳐 다수의 이동 단말기(SS1, SS2)에 호접속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따른 과금을 카운팅 한다(S201).
이후, 상기 과금 수집부(10)는 상기 MSC(S3)에 정합되어 다수의 이동 단말기(SS1, SS2) 간의 호 종료 시 발생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한 이진 데이터(binary data)로 되어 있는 CDR을 내장된 디스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한다(S202).
이후, 여기서 말하는 과금은 회선 기반의 이동통신 과금이며, 과금 내에 호시작/종료시각, 착신자 번호(Called Digit), 라우팅 번호(Routing Number), 호종료 원인 등의 필드를 포함 하기만 하면 이동통신 세대(2G/3G 등)와 기술 방식(GSM/CDMA/WCDMA 등)에 상관없이 모두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교환기(S3)와 본 시스템간의 과금 데이터 송수신 정합 규격은 사업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상기 교환기(S3)와 직접 정합이 곤란한 경우는 과금분배장치(Billing Mediation Device)를 경유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과금 가공부(20)는 과금 수집부(10)에 의해 수집되어 저장된 CDR을 내부 디스크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CDR의 필드 정보를 디코딩하여 착신자 번호, 라우팅 번호, 호 종료 원인 등의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 생성에 필요한 주요 필드를 추출하여 사람이 판독 가능한 형태, 즉 표 1과 같은 CDR 필드로 변환하여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30)로 제공한다(S203).
필드명 의미 추출 필드
CDR Type 호방향 (발신/착신) O
Charging Class 발신자 과금, 착신자 과금 X
Service Option 서비스 유형(음성,SMS,DATA) O
MSC ID 교환기 번호 O
BSS ID (BSC+BTS) BSC 및 기지국 번호 O
Call Start Time 호 시작 시각 X
Call Release Time 호 종료 시각 O
Call Fail Reason 호 종료 원인 O
Dialed Digit 다이얼링 디지트 X
Called Digit 착신 디지트 O
Routing Number 호 라우팅 번호 O
MNP Routing Number MNP 라우팅 번호 O
WIN Service 지능망 서비스 종류 X
ESN 단말기 ESN번호 X
..................... ...................... .......
한편, 상기와 같은 표 1에서의 CDR 필드 중 추출 필드별 과금 필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CDR Type은 호방향을 나타낸다. 교환기는 통상 발/착신 양방향에 대해서 과금을 생성하는데 본 시스템에서는 발신을 기준으로 한 착신측 트래픽과 품질을 대상으로 하므로 발신 과금 만을 사용한다.
Service Option은 기본 베어러 서비스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성, SMS, DATA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중 음성 과금 만을 추출한다. MSC ID는 서비스에 대한 망 전체의 품질뿐만 아니라 교환기별로 품질을 알 수 있으며, 장비 고장 혹은 호처리 오류/불량 등으로 인해 특정 교환기에서만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다. BSS ID (BSC/BTS ID)는 상기 MSC ID와 마찬가지로 기지국 단위 서비스 품질을 관리할 경우 추출이 필요하다.
Call Release Time은 통화를 종료한 시점의 시스템 현재 시각이다. 주기적으로 서비스 품질 감시를 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과금을 한 주기마다 요약해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호종료 시각과 같은 시간 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5분 단위로 품질을 감시하는 경우, 과금 정보의 분/초 필드를 00분~05분, 05분~10분... 이와 같은 식으로 그룹핑 하여 요약 저장하게 된다. 요약하여 저장하는 대상은 시스템(MSC/BSC/BTS) 어드레스, 착신 프리픽스, 과금 레코드수(즉 전체 호수), 실패호수, 절단호수 등이다.
Call Fail Reason은 통화 품질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상기 교환기(S3)의 호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과금 레코드를 생성하는데 이 때 이 필드에 호가 종료된 원인을 기록한다. 종료된 원인은 정상 종료호, 접속 실패호, 통화중 절단호 이 세가지 유형 중에 하나로 귀속된다. 예를 들어, 전체 과금 레코드가 100건 인데 이중 정상 종료호가 90건, 접속 실패호가 1건(접속 성공호는 99건), 통화중 절단호가 9건 이었다면 접속 성공율(%)은 99/100=99%, 정상 통화율(%)은 90/100=90%, 통화중 절단율(%)은 9/99=9%가 되는 것이다. 접속 성공율/정상통화율/절단율은 사업자가 사용하는 용어로 각각 소통율/완료율/CD율 로도 불리운다.
Called Digit는 상기 교환기(S3)가 인식하는 착신 디지트이다. 통상 가입자가 다이얼링한 디지트와 일치하나, 착신자의 프리픽스(NPA)가 발신자와 동일하여 발신시 이를 생략하는 경우는 교환기가 자동으로 생략된 프리픽스를 붙여준다. (예: 011-234-5678 이 011-876-5432 로 전화를 할 때, 011을 제외하고 876-5432 만 디지트를 눌렀을 경우 Called Digit는 011-876-5432 와 같이 앞에 011이 자동으로 붙는다) 본 시스템은 Called Digit를 착신 사업자별 5자리 (예: 03171, 01175, 00700 등)로 그룹핑하여 트래픽과 통화품질을 요약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용량이 충분하고 검색속도가 충분히 보장될 경우 분석 능력을 높히기 위해 프리픽스 자리수가 5자리보다 더 늘어날 수 있다. 착신 프리픽스가 010/011/016/017/018/019 등의 Mobile인 경우는 착신 사업자가 유동적이므로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연계하여 저장된다.
Routing Number는, 교환기가 발신자의 호를 착신측으로 연결하기 위한 호경로를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동으로 구성하는데 이와 같은 호경로를 나타내는 주소(어드레스)를 일컫는다. 상기 라우팅 번호는 발신자가 다이얼한 착신측 디지트(Digit), 즉 착신번호를 기반으로 하여 교환기 내에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공중 전화망(PSTN) 혹은 다른 이동 전화망으로 전화를 한 경우, 라우팅 번호는 다이얼한 모든 디지트이거나 앞의 몇자리(예: 023457890인 경우 02345 따위) 디지트가 된다. 그리고, 착신측이 동일 이동 전화망 내에 있는 경우의 라우팅 번호는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를 통해 착신측 교환기를 찾아 라우팅하기 위한 번호(TLDN혹은 MSRN)가 된다.
한편, PSTN 혹은 이동 전화망이 아니라, 부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 0으로 시작하지 않는 고유의 서비스 디지트(700-XXXX, 200-XXXX등)를 누르거나 가입자가 지능망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는 이에 대한 라우팅 규칙이 일정하지 않고 교환기 내부 혹은 HLR의 데이터베이스(가입자 프로파일)를 참조하여 라우팅 번호가 결정된다.
MNP Routing Number는, 착신 이동전화 프리픽스가 자사(自社)의 것이지만 HLR에 번호 이동한 것으로 되어 있거나 타사(他社) 프리픽스 이지만 타사로 라우팅된 후 다시 호가 Return되어 올 경우에 상기 교환기(S3)가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로 착신 가입자를 조회하여 해당 사업자로 호를 라우팅 하게 되는데, 이 경우의 라우팅 번호를 일컫는다. 이때, 이 필드에 NPDB 조회를 통해 획득한 착신 사업자의 대표 프리픽스가 기록된다(예: SKT=0119000, KTF=0169000, LGT= 0199000). 본 시스템에서는 이 필드값이 있는 경우 번호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전화 프리픽스를 사업자별로 세분화하여 분류하게 된다.
이 후, 상기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30)는 상기 과금 가공부(20)에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고 착신 사업자를 파악한 뒤 통계시각/MSC번호/프리픽스(5자리)/사업자로 그룹핑 하여 이를 트래픽(총발생호)및 품질(정상호/실패호/절단호 등) 정보를 주기(예컨대, 분석 5분/감시 1시간)에 맞게 요약하여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12시30분에서 12시 35분까지의 통계를 내어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S205).
통계시각 MSC ID 프리픽스 사업자 총발생호 정상종료 접속실패 통화절단
1235 102 01134 KTF 3,035 3,000 10 25
1235 102 03171 PSTN 2,515 2,500 5 10
1235 102 01665 SKT 5,060 5,000 30 30
......... ...... ........ ........ ........ ....... ...... .......
이후, 상기 감시 및 분석부(60)는 운용자에게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으로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감시 기능과 통계 조회 기능을 상기 출력수단(60)을 통해 출력한다(S206). 이때, 감시용 화면은 각 프리픽스별 현재 품질(소통율, 완료율 등) 상태를 Mobile과 PSTN 별로 구분하여 보여주며, 미리 설정된 알람 발생 임계치와 비교하여 품질 저하시 가시알람(Visible Alarm) 및 가청알람(Audible Alarm)을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픽스별 트래픽 감시 화면은 프리픽스뿐만 아니라 각 프리픽스에 해당되는 사업자 및 지역명을 표시하여 가시알람을 관리함으로써 감시 효율을 더 높힐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심 대상이 되는 프리픽스가 있을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리픽스 이외에 별도의 프리픽스를 설정하여 감시할 수도 있다(예: 프리픽스가 00으로 시작하는 국제 전화호 001/002/00700 등). 상기 감시용 화면은 3자리까지의 프리픽스를 감시하지만 특정 프리픽스에 대한 하위 레벨의 분석이 필요할 때 해당 프리픽스의 챠트를 클릭하여 5자리까지의 세부 프리픽스의 트래픽과 품질을 바로 조회해 볼 수 있다.
상기 감시 및 분석부(60)는, 상기 감시용 화면과 함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해당 프리픽스의 최근 트래픽 및 호종류 원인별 분석화면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부가 서비스 통계 검색 설정화면 및 부가 서비스 트래픽 통계 조회 결과 화면 등을 출력 수단(70)을 통해 출력하며,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의 기준 품질에 대한 알람 발생 임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기준 이하, 즉 품질 이하일 경우, 가시알람(Visible Alarm) 및 가청알람(Audible Alarm)을 출력수단(60)을 통해 발생한다. 이때, 운용자는, 도 6 및 도 7의 화면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프리픽스와 통계 시간대를 선택하여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을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MSC에 의해 수집되는 CDR을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그 품질 및 장애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서비스 장비 운용자의 기존 트래픽 분석 및 품질 감시 운용 업무를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장애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고객에게 더 나은 부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착신측 프리픽스에 대한 트래픽 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품질을 감시할 수 있게 되어 타사 장애로 인한 호폭주 시에 호제한 혹은 우회 소통 등의 조치를 통해 자사 시스템의 과부하를 신속히 예방하고 고객 불만 상담에 정확히 응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통화 과금 정보(CDR)를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을 감시하는 시스템으로서,
    A)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카운팅 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과금 수집부;
    B) 상기 과금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CDR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착신측 트래픽 및 품질감시 지표 생성에 필요한 소정 항목을 추출하는 과금 가공부;
    C) 번호이동에 따른 착신 사업자 구별을 위해 상기 과금 가공부에 의해 추출된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여 착신 사업자별로 세분화한 뒤, 통계시각, MSC 번호, 프리픽스 및 사업자로 그룹핑(Grouping) 하여 이를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로 요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
    D) 상기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감시 및 분석부; 및
    E) 상기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감시되고 분석되는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운영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항목은,
    호시작/종료 시각, 착신자 번호(Called Digit), 라우팅 번호(Routing Number), 호 종료 원인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는,
    다섯 자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은,
    총발생호에 대하여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정보는,
    정상호, 실패호 또는 절단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집부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 정합되어 다수의 이동 단말기 간의 호 종료 시 발생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한 이진 데이터(binary data)로 되어 있는 CDR(Call Detail Record)을 내장된 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가공부에 의해 추출된 소정 항목은,
    부가 서비스의 호 방향을 나타내는 CDR Type, 이중 음성 과금 만을 추출하는 Service Option, 착신에 대한 망 전체 품질과 이동통신 교환기별 품질 알 수 있는 MSC ID, 기지국 단위 서비스 품질을 관리하는 BSS ID와, 통화를 종료한 시점의 시각인 Call Release Time, 서비스의 품질을 위한 Call Fail Reason,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인식하는 착신 디지트 인 Called Digit와, 발신자의 호를 착신측으로 연결하기 위한 호 경로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성하는 Routing Numb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alled Digit는,
    가입자가 다이얼링한 디지트와 일치하나, 착신자의 프리픽스(NPA)가 발신자와 동일하여 발신 시 이를 생략하는 경우 교환기가 자동으로 생략된 프리픽스를 붙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outing Number는,
    발신자가 다이얼한 착신측 디지트(Digit)를 기반으로 하여 교환기 내에서 변환되며, 공중 전화망(PSTN) 혹은 다른 이동 전화망으로 전화를 한 경우 다이얼한 모든 디지트이거나 앞의 몇자리 디지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및 분석 수단은,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감시화면, 해당 프리픽스의 최근 트래픽 및 호종류 원인별 분석화면 및 부가 서비스 통계 검색 설정화면 및 부가 서비스 트래픽 통계 조회 결과 화면을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및 분석 수단은,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의 기준 품질에 대한 알람 발생 임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기준 이하, 즉 품질 이하일 경우, 가시알람(Visible Alarm) 및 가청알람(Audible Alarm)을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
  12. 통화 과금 정보(CDR)를 이용하여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을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a) 과금 수집부가,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카운팅 되는 과금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b) 과금 가공부가, 상기 과금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CDR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착신측 트래픽 및 품질감시 지표 생성에 필요한 소정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c) 프리픽스별 트래픽 요약 저장부가, 번호이동에 따른 착신 사업자 구별을 위해 상기 과금 가공부에 의해 추출된 착신번호(Called Digit)를 MNP Routing Number 필드와 비교하여 착신 사업자별로 세분화한 뒤 통계시각, MSC 번호, 프리픽스 및 사업자로 그룹핑(Grouping) 하여 이를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로 요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감시 및 분석부가, 상기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단계; 및
    e) 출력수단이, 상기 감시 및 분석부에 의해 감시되고 분석되는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 및 품질 정보를 운영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방법.
KR1020050092448A 2005-09-30 2005-09-30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1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448A KR100714619B1 (ko) 2005-09-30 2005-09-30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448A KR100714619B1 (ko) 2005-09-30 2005-09-30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162A KR20070037162A (ko) 2007-04-04
KR100714619B1 true KR100714619B1 (ko) 2007-05-07

Family

ID=3815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448A KR100714619B1 (ko) 2005-09-30 2005-09-30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6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732A (ko) * 1997-06-23 1999-01-1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과금 데이터 수록 장치 및 방법
KR20000018509A (ko) * 1998-09-02 2000-04-06 이계철 탑-다운(top-down)방식의 통신망 장애관리 방법
KR20030046808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과금데이터를 이용한 통화품질 감시 방법
KR20040048539A (ko) * 2002-12-03 2004-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의 통화음질 불량 감시 및 분석 시스템과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732A (ko) * 1997-06-23 1999-01-1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과금 데이터 수록 장치 및 방법
KR20000018509A (ko) * 1998-09-02 2000-04-06 이계철 탑-다운(top-down)방식의 통신망 장애관리 방법
KR20030046808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과금데이터를 이용한 통화품질 감시 방법
KR20040048539A (ko) * 2002-12-03 2004-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의 통화음질 불량 감시 및 분석 시스템과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162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6445A (en) Incoming call tracking with interactive data collection
US7466672B2 (en) System, tool and method for network monitoring and corresponding network
US7231024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ng or generating a single call detail record (CDR) from a plurality of CDRs associated with a call having a plurality of legs
US63599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rvice qualit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351453B1 (e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finder
US7031697B2 (en) Correlation of call data for calling and called partie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79333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market-share for an entire telecommunication market
CA2158188C (en) Method for processing forwarded telephone calls
CN1863242A (zh) 远程存储和检索细节记录的工具、方法和系统
JP3611857B2 (ja) リンクされた記録
US5754634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reporting incoming calls
GB2427102A (en) Filtering and viewing real-time call detail records based upon user specific criteria
CN1897548A (zh) 使不同的呼叫记录与高级聚集视图相关的方法和系统
CN101453522A (zh) 一种网间不规范拨号业务监控方法
CN1901543A (zh) 用于向中央储存库传送导出呼叫记录的方法和系统
US7277532B2 (en) Cal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N103428686A (zh) 基于网内互拨呼叫的用户号码回填方法和号码回填服务器
CN101014143A (zh) 基于智能网信令监控的开机提醒业务系统装置及其应用
KR100714619B1 (ko) Cdr을 이용한 착신 프리픽스별 트래픽/품질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CN101242448B (zh) 一种漏话监测系统及方法
KR100727750B1 (ko) 무선데이터 서비스 가입자별 데이터 호 품질 분석시스템
KR100662933B1 (ko) Cdr을 이용한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2547565A (zh) 一种移动用户位置管理和移动网络基于位置分析的系统
CN102083025A (zh) 一种分析用户终端接续时长的方法和装置
US9516172B2 (en) Enriching and analyzing CDR data to identify voice traffic routing through an intermediate pro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