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181B1 -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81B1
KR100714181B1 KR1020050085686A KR20050085686A KR100714181B1 KR 100714181 B1 KR100714181 B1 KR 100714181B1 KR 1020050085686 A KR1020050085686 A KR 1020050085686A KR 20050085686 A KR20050085686 A KR 20050085686A KR 100714181 B1 KR100714181 B1 KR 10071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preader
vehicle
fuel tank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400A (ko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ublication of KR2007000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60K2015/016Fuel conduits having more than one internal passage, e.g. for different types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재설용 살포기에 사용되는 연료의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그 연료의 충진을 편리하게 한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살포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살포기용 연료탱크와 차량에 기 장착된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를 경유하게 연료를 순환시킨 것이다. 이 때문에 차량의 운전석에서 연료의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그 연료의 충진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제설재, 살포기, 연료, 펌프, 순환

Description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system for snow removing apparatus}
도1a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1b는 도1a의 "a"방향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일부분 확대도,
도2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다른예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살포기 20:살포기 구동용 엔진
30:살포기용 연료탱크 40:차량용 연료탱크
50,80:연료 이동관 60:순환펌프
70:차량용 엔진 80a,80b:드레인관
P1,P2:연료 이동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대에 장착되어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된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포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에 공급 되는 연료의 상태를 차량의 운전석에서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그 연료의 충진을 편리하게 한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눈의 결빙으로 인한 도로의 빙판화를 방지하기 위해, 눈이 오는 즉시 제설재를 살포함이 주지된 사실이며, 이때 제설재 살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살포기를 차량의 적재대에 장착하여 살포함이 주지된 사실이다. 살포기는 별도의 구동용 엔진을 구비하여 그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엔진은 차량의 적재대 전방 상부에 장착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燃料)를 공급받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연료탱크가 차량의 높은 곳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 주입시 차량으로 올라가야 하는 불편함과 그로 인한 추락 등의 위험을 감수해야 했고, 연료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살포자가 차량을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석에서 내려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운전석에서 살포기의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그 연료의 충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대에 장착되어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된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살포기에 장착된 살포기 구동용 엔진;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살포 기에 설치된 살포기용 연료탱크;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와 상기 차량에 기 장착된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를 연결하게 설치되어 그 연료탱크들을 경유하는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 이동관; 및 상기 연료 이동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연료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에는 연료게이지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대에 장착되어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된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살포기에 장착된 살포기 구동용 엔진;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살포기에 설치된 살포기용 연료탱크; 및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과 살포기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로부터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관과 상기 차량용 엔진과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로부터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관을 상기 연료탱크들에 서로 교차하게 연결하여 그 연료탱크들을 경유하는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 이동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과 살포기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와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드레인관의 중간과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는 관체가 더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1a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1b는 도1a의 "a"방향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일부분 확대도, 도2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다른예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의 적재대에는 살포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살포기(10)는 상기 차량(1)의 적재대에 장착되어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된 장치부로, 모래나 염화칼슘 등과 같은 제설재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11), 적재함(11)으로부터 제설재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미도시), 상기 차량(1)의 적재대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제설재를 투하하기 위한 공급관(12), 그 공급관(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원심력으로 투하되는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기 위한 스프레더(13)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조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는 살포기 구동용 엔진(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엔진(20)은 상기 살포기(10)의 전방 상부에 장착되어 그 살포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엔진(20)은 상기 살포기(10)의 컨베이어, 스프레더(13) 등과 연결되는 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살포기(10)가 제설재를 살포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엔진(20)은 살포기용 연료탱크(30)에서 공급하는 경유 등과 같은 연료(fuel)를 사용하여 구동하는데, 그 연료탱크(30)는 상기 살포기(10)의 전방 상부에 상기 엔진(20)과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에는 연료 게이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와 상기 차량(1)에 기 장착된 차량용 연료탱크(40)와의 사이에는 그 연료탱크들(30,4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이동관(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료탱크(40)에는 상기 차량(1)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경유 등과 같은 연료가 저장되어 있고, 대개 상기 차량(1)의 적재대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관(50)은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들(30,40)을 경유하는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게 하며, 그 연료의 순환은 순환펌프(6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참조부호(70)은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차량(1)을 구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엔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순환폄프(60)는 차량(1)의 동력원(예컨대, 베터리)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서 구동한다. 상기 순환펌프(60)는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의 연료를 펌핑하여 상기 이동관(50)을 통해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로 압송하는데, 상기 차량(1)이 작동하는 동안 계속 구동하여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의 연료를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로 압송한다. 이 때문에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에의 연료는 상기 엔진(20)으로 공급되는 량을 빼고도 항상 초과하는데, 이 초과량은 상기 이동관(50)을 통해 다시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로 회귀한다. 이에, 도면에서 상기 순환펌프(60)를 갖는 관(50a)은 압송관이고, 관(50b)는 드레인관이 된다. 따라서 연료는 상기 순환펌프(60)의 구동으로 차량용 연료탱크(40)-압송관(50a)-살포기용 연료탱크(30)-드레인관(50b)-차량용 연료탱크(40)로 이어지는 순환 사이클을 형 성하며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료가 순환하는 동안, 일정량은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로부터 지속적으로 상기 엔진(20)에 공급되어 소모되는데, 이 때문에 시간이 경과 할수록 총 연료량은 계속 감소한다. 이러한 감소는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의 연료량을 체크하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에 기 장착된 연료 게이지(2)에서 표시됨은 명백한 사실이고, 이 때문에 상기 차량(1)의 운전석에 있는 살포자는 제설재를 도로 위에 살포하는 동안 그 연료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연료의 충진 즉, 보충은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를 통해서 편리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연료 주입의 불편함과 위험성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1)으로부터 살포기(10)가 분리되어도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에 있는 연료를 통하여 장비의 점검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20)과 살포기용 연료탱크(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P1)로부터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관(80a)은 상기 차량(1)에 기 장착된 차량용 연료탱크(40)에 연결하고, 상기 차량용 엔진(70)과 차량용 연료탱크(4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P2)로부터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관(80b)은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에 각각 연결하는 형태로 연료 이동관(80)을 구축하여 상기 순환펌프(60)를 구비하지 않고도 그 연료탱크들(30,40)을 경유하는 하나의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들(20,70)과 상기 연료탱크들(30,4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P1,P2)에는 상기 연료탱크들(30,40)로부터 압송되는 연료의 일부량 즉, 사용되지 않고 남은 잔여 연료를 다시 연료탱크들(30,40)로 리턴시키기 위한 드레인관(80a,80b)이 각각 설치되는데(드레인관은 엔진과 연료펌프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그 드레인관(80a,80b)을 서로 교차하여 상기 연료탱크들(30,40)에 각각 연결시키면, 상기 순환펌프(60)를 구비하지 않고도 그 연료탱크들(30,40)을 경유하는 하나의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연료의 순환 경로는 차량용 연료탱크(40)-연료 이동로(P2)-드레인관(80b)-살포기용 연료탱크(30)-연료 이동관(P1)-드레인관(80a)-차량용 연료탱크(40)가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관(80a)을 이동하는 연료는 상기 연료 이동로(P1)로부터 리턴되는 연료가 될 것이고, 상기 드레인관(80b)을 이동하는 연료는 상기 연료 이동로(P2)로부터 리턴되는 연료가 될 것인데, 이때 상기 드레인관(80b)을 이동하는 연료량이 상기 드레인관(80a)을 이동하는 연료량 보다 클 경우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에는 그 용량을 초과하는 초과 연료가 발생하는데,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관(80a)의 중간에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와의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관체(90)을 설치하면, 그 관체(90)를 통해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30)를 초과하는 연료가 상기 드레인관(80a)을 거쳐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40)로 리턴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의 순환은 매우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료 이동로(P1,P2)의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관(80a,80b)을 상기 연료탱크들(30,40)에 서로 교차되게 연결하면, 상기와 같은 순환펌프(60)의 설치를 없게 하여, 전기 컨트롤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는 이점이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살포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살포기용 연료탱크와 차량에 기 장착된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를 경유하게 연료를 순환시킴으로써, 차량의 운전석에서 살포기의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그 연료의 충진을 편리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적재대에 장착되어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된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살포기에 장착된 살포기 구동용 엔진;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살포기에 설치된 연료게이지를 갖는 살포기용 연료탱크;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와 상기 차량에 기 장착된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를 연결하게 설치되어 그 연료탱크들을 경유하는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 이동관; 및
    상기 연료 이동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연료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2. 삭제
  3. 차량의 적재대에 장착되어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된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살포기에 장착된 살포기 구동용 엔진;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살포기에 설치된 살포기용 연료탱크; 및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과 살포기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로부터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관과 상기 차량용 엔진과 그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로부터 연료를 드레인하기 위한 관을 상기 연료탱크들에 서로 교차하게 각각 연결하여 그 연료탱크들을 경유하는 연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 이동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기 구동용 엔진과 살포기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료 이동로와 상기 차량용 연료탱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드레인관의 중간과 상기 살포기용 연료탱크와의 사이에는 관체가 더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KR1020050085686A 2005-07-04 2005-09-14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KR100714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722 2005-07-04
KR20050059722 2005-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00A KR20070004400A (ko) 2007-01-09
KR100714181B1 true KR100714181B1 (ko) 2007-05-04

Family

ID=3787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686A KR100714181B1 (ko) 2005-07-04 2005-09-14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1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686A (ko) * 2002-12-16 2005-08-29 에지스 지오기스제르기아르 알티. 3-[2-(3,4-다이메톡시-벤조일)-4,5-다이메톡시-페닐]-펜탄-2-온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686A (ko) * 2002-12-16 2005-08-29 에지스 지오기스제르기아르 알티. 3-[2-(3,4-다이메톡시-벤조일)-4,5-다이메톡시-페닐]-펜탄-2-온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85686 - 752763 *
1020050085686 - 7527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00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108A (en) Truck with a power spray device
US8186156B2 (en)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US6227460B1 (en) Self-contained cleaning system
US20100188925A1 (en) Mixer Truck
US7328728B1 (en) Mobile emergency response fuel facility
US2751882A (en) Tractor and truck spray apparatus
US9657458B2 (en) Auxiliary power unit excavator system
US20070262179A1 (en) Polyethelene hopper having integrated wetting compartments
CN101631974A (zh) Hst冷却回路
US11697341B2 (en) Combined cooling and water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oling a propulsion device of a vehicle and water braking a pair of wheels of a vehicle
KR100927070B1 (ko)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CN105735384A (zh) 挖土机
KR101860068B1 (ko) 적재함의 용이한 배수구조를 가지는 덤프트럭
MXPA05005569A (es) Mecanismo surtidor de combustible para vehiculo.
EP1367176A1 (en) Dust control system for a road working machine
US20080060590A1 (en) Coolant system for hybrid power system
KR100714181B1 (ko) 제설재 살포기용 연료공급장치
CN102975693B (zh) 工程机械及其清洗系统
JP2013213382A (ja) 高圧水作業用ポンプ車
US20150176226A1 (en) Drive system, in particular for a self-propelled construction machine, in particular a soil compactor
US3385480A (en) Liquid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N112901383A (zh) 供油油路自动切换控制系统、方法及车辆
JP2010195120A (ja) 作業車両
US11391307B2 (en) Hydraulic tank protection system
CN217629667U (zh) 一种带有液压站的电动除雪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