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591B1 - Purifier for manhole - Google Patents
Purifier for man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3591B1 KR100713591B1 KR1020050030116A KR20050030116A KR100713591B1 KR 100713591 B1 KR100713591 B1 KR 100713591B1 KR 1020050030116 A KR1020050030116 A KR 1020050030116A KR 20050030116 A KR20050030116 A KR 20050030116A KR 100713591 B1 KR100713591 B1 KR 100713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manhole
- chamber
- purifier
- contaminate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는, 입자성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지 아니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내측에 장착되며 맨홀 뚜껑을 통해 상측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통과한 후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챔버를 포함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오염수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수질오염을 현격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수가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 배수가 용이하지 못할 경우 지상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mounting purifier. The manhole mounting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particulate contaminants, a second filter disposed below the first filter and filtering contaminants not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is mounted on the inside and includes a chamber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through the manhole cove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to the lower side, By using different types of filters, different types of pollutants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minated water in order to reduce water pollution significantly, and effectively prevent the contaminated 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ground if it is difficult to drain to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The technique is disclosed.
부유물질, 오염, 정화, 필터 Suspended solids, contamination, purification, filter
Description
도 1은, 수중 입자의 크기와 성질에 관한 그림이다.1 is a diagram relating to the size and properties of particles in wat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작용 상태도이다.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related to the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다른 작용 상태도이다.5 is another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또 다른 작용 상태도이다.6 is still another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igns in the drawings
10: 맨홀뚜껑10: manhole cover
20: 제1필터 21: 돌출부20: first filter 21: protrusion
30: 제2필터30: second filter
40: 챔버 41: 제1지지부 42: 배출공 43: 제2지지부 44: 다공판40: chamber 41: first support part 42: discharge hole 43: second support part 44: porous plate
본 발명은 오염물질이 혼합된 오염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오염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오염수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수질오염을 현격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수가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 배수가 용이하지 못할 경우 지상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by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mixed with contaminant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various types of filters, various kinds of contaminants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contaminated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mounting purifier that effectively reduces water pollution and effectively prevents contaminated 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ground when water is not easily dra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방지와 관리의 편의를 목적으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하수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폐광, 석유탱크, 유정 등과 같이 특정위치에서 하수관이나 도랑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이며, 비점오염원은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넓은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삼림벌채지역, 도시지역,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지역을 지나 온 빗물이 지표면에 쌓여있는 오염물을 하천이나 바다 등에 유입시켜 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비가 올 때나 눈이 녹아 흐를 때 발생한다.In general, water pollution sources are divid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for the convenience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Point sources refer to pollutants from which waste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are discharged from sewers or ditches at specific locations, such as sewage plants, wastewater treatment plants, power plants, waste mines, oil tanks, oil wells, etc., and nonpoint sources are large areas scattered all over the place. Pollutants are emitted from the forests, urban areas, construction sites, parking lots, roads, etc., which cause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rivers and the sea to cause pollution. Occurs when snow melts.
또한 오염물질은,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이러한 오염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담배꽁초나 낙엽 등 각종 쓰레기 및 진흙이나 토사 등 입자성 오염물질과, 단순히 물에 섞여 이동하는 입자상 물질, 또는 물에 용해되지는 않지만 물과 함께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기름이나 유지류 및 물에 용해되거나 콜로이드 상태로 되어 물과 함께 이동하는 용해성 물질 등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pollutant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lutant. Examples of such pollutants include various garbage such as cigarette butts and fallen leaves, and particulate pollutants such as mud and soil, and particulate matter simply mixed with water and moving. Oils or fats that are not dissolved in water but are suspended in water and move with water, and soluble materials that are dissolved in water or colloidal and move with water.
도 1은, 수중 입자의 크기와 성질에 관한 그림이다.1 is a diagram relating to the size and properties of particles in w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쉽게 침전되지 않는 입자들을 크기에 따라 더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1nm이하의 분자상 용해성물질, 1nm~1㎛ 크기의 콜로이드물질, 1㎛이상의 부유물질로 구분되는데, 부유물질은 더 구체적으로 1㎛~10㎛ 크기의 세립현탁물질과 10㎛~100㎛ 크기의 조립현탁물질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1, in general, particles which are not easily precipitated in water are classified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size, and molecularly soluble materials of 1 nm or less, colloidal materials of 1 nm to 1 μm, and suspended solids of 1 μm or more. In particular, the suspended solids are mor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fine grain suspensions having a size of 1 μm to 10 μm and granulated suspending materials having a size of 10 μm to 100 μm.
용해성 물질이란, 하수의 함유물질 중 물에 용존하고 있는 물질의 총칭으로 유기물과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고, 콜로이드 물질은 용해성 물질과 부유물질의 중간적 존재로 하수의 오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유상태의 물질인 부유물질(suspended solids)은 일반적으로 직경이 1㎛~2mm 이하의 물에 용해되지 않는 입자들을 말하며, 침전이 불가능한 세립현탁물질과 침전이 가능한 조립현탁물질로 구분되며 탁도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상기 부유물질이 하천·해역 등 자연수역에 방류되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외관을 더럽히는 등 자연수질을 오염시키므로, 수질오염의 유력한 지표가 되고 있다.Soluble substance is a generic name of substance dissolved in water among sewage-containing substances. It is composed of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Colloidal substance is an intermediate between soluble substance and suspended solid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wage pollution. Suspended solids, which are substances of, generally refer to particles that are insoluble in water with a diameter of 1㎛ ~ 2mm or less, and are classified into fine suspended particles which cannot be precipitated and granulated suspended materials that can settle and cause turbidity. Therefore, when the suspended solids are discharged to natural waters such as rivers and seas, they contaminate natural water quality such as increasing turbidity of the water and fouling its appearance, making it a prominent indicator of water pollution.
또한, 상기 용해성 물질은 여과법에 의해 분리할 수는 없으므로 고급 처리에 의한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제거할 수밖에 없으나, 상기 부유물질은 침전이나 활성 슬러지의 응집·흡착에 의해서도 제거되므로, 오염의 유력한 지표가 되고 있 는 상기 부유물질 및 콜로이드 물질을 여과법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하게 되면 보다 깨끗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oluble substance cannot be separated by filtration, it cannot but be removed chemically and biologically by advanced treatment, but the suspended solids are also removed by precipitation or flocculation and adsorption of activated sludge, which is a potent indicator of contamination. If the suspended solids and colloidal substances are removed by physical methods such as filtra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er water quality.
따라서, 오염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서는,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서 특정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오염수 정화필터를 주요 구성으로 하여 정화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맨홀로 유입되는 오염수는 전술한 비점오염원에 의해서 오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에 맞게 적정하게 설치해야 한다.Therefore, where a purifier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is to be installed, a purifier must be installed with a contaminated water purifying filter for purifying specific contaminant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aminant, and generally flows into a manhole. Since the contaminated water is mostly contaminated by the above-mentioned nonpoint source, it should be properly installed accordingly.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67090 (명칭: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에는 측벽과 바닥면을 가지며 그물망조직으로 형성된 필터를 적어도 한 개 이상 이용하여 도로변의 하수구피트로 하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기타 쓰레기들을 필터링하여 하수관으로 흘러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나 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수관에 쓰레기가 쌓여 하수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등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67090 (Name: Roadside sewage filter mechanism) has a sidewall and a bottom surface and uses at least one filter formed of a network structure, and smokes cigarettes or fallen leaves floating with the sewage to the sewer pits on the roadside. In addition, by filtering other wastes to prevent flow into the sewer pipe, a technique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or rivers, as well as preventing waste from building up in the sewer pipes and narrowing or clogging the waste water pipes is disclosed.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03595 (명칭:맨홀의 배수관 막힘방지장치) 에는 배수관의 입구가 바닥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돌출형성되는 외통과, 맨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상기 배수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수단과,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보스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외통에 인출가능하게 내설된 내통을 구비하여 맨홀에 유입되는 이물질이 배수관 입구측에 형성된 여과수단에 의해 걸러져 배수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배 수관이 막혀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03595 (name: manhole drain pipe blockage prevention device) and the inlet of the drain pipe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and is formed to protrude therein, th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manhole is introduced into the drain pipe Filtra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boss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of the drain pip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ner cylinder is retractable in the outer cylinder, th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manhole filtration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drain pipe A technique is disclosed in which the drainage pipe is blocked and unnecessary to replace with a new one by preventing the inflow into the drainage pipe by means.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오염수 정화장치들은,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기타 쓰레기들 등 큰 입자를 가지는 오물들은 어느정도 분리해낼 수 있지만, 비교적 입자가 작은 토사나 상기 부유물질 대부분은 그대로 하수관으로 흘려보냄으로써, 상기 부유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가 하수관을 따라 하천 등지로 흘러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물질이 그대로 하수관을 따라 하천 등지로 흘러들면 각종 수질 오염을 일으키게 되며, 장마철이나 기타 폭우시에 오염수의 유입량이 많아지게 되거나 슬러지(sludge) 등 오염물질에 의한 필터의 기능저하로 인하여 배수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으면, 오히려 지상으로 역류하여 지상의 또 다른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 또한 생기게 된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contaminated water purifiers can separate some of the larger particles of dirt, such as cigarette butts, leaves, and other wastes, but the relatively small particles of soil or most of the suspended solids are allowed to flow into the sewer.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ing the suspended solids flows into rivers and the like along sewage pipes. Accordingly, when the suspended solids flow into the rivers and the like along the sewer pipes, various kinds of water pollution occur, and the inflow of contaminated water increases during the rainy season or other heavy rains, or due to deterioration of the filter due to contaminants such as sludge. If the drainage does not proceed smoothly, but rather to flow back to the ground also causes a problem that causes another pollution of the grou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필터를 마련하여 순차적으로 오염물질을 분리해 냄으로써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providing a technology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removal of various contaminants by separating the contaminants sequentially by providing filters to play different roles. It is d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는, 입자성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 터를 통해 필터링되지 아니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내측에 장착되며, 맨홀 뚜껑을 통해 상측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통과한 후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챔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anhole mounting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filter for filtering particulate contaminants; A second filter disposed under the first filter and filtering contaminants not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 And a chamber having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mounted therein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through the manhole cover to the lower 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1필터는, 중앙에 상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그물망 형태인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in the center, the protrusion is in the form of a mesh.
상기 제2필터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ctivated carbon more specifically.
상기 챔버는, 상기 제2필터 하측에 다공판을 가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chamber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aving a porous plate below the second filter.
또한 상기 챔버는, 폭이 맨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제2필터의 상측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 상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대응되도록 확장 개구된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is formed in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anhole, at least one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ilter, the discharge hole is further expanded to correspond to the manhole cover more specific features It is d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는 제1필터(20)와, 제2필터(30) 및 챔버(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제1필터(20)는, 상기 챔버(40) 내측에 장착되어 맨홀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 중 입자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필터(20)는 중앙에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21)는 그물망 형태를 취한다.The
상기 제2필터(30)는, 상기 제1필터(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20)를 통해 필터링되지 아니한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필터(30)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으로 장착된다.The
상기 챔버(40)는, 상기 제1필터(20) 및 제2필터(30)가 내측에 장착되며, 맨홀 뚜껑을 통해 상측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제1필터(20) 및 제2필터(30)를 통과한 후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는, 하측에 오염수의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다공판(44)을 가지고 있으며, 폭이 맨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제2필터(30)의 상측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42) 상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대응되도록 확장 개구된 형태를 취한다.The
또한 상기 챔버(40)는, 상기 제1필터(2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41) 및 상기 제2필터(3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43)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제1지지부(41)는 상기 제1필터(20)를, 상기 제2지지부(43)는 상기 제2필터(30)를 각각 지지해줄 뿐만 아니라, 상기 챔버와 상기 제1필터(20) 및 제2필터(30)와의 탈착이 가능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챔버(40)의 형태는, 평단면이 직사각형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그 형태는 원통형상이나 다른 특정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작용 상태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필터(20)의 작용에 관한 상태도이다.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related to the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is a state diagram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일반적으로 맨홀을 통해 들어오는 오염물질은 담배꽁초, 낙엽, 기타 쓰레기 등 입자가 큰 오물과 함께 토사나 기타 부유물질 등을 포함하여 같이 유입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필터(20)는, 쓰레기 등 입자가 큰 오물은 상기 제1필터(20)의 바닥에 쌓이도록 하고, 입자성 부유물질은 그물망 형태의 상기 돌출부(21)에서 1차적으로 걸러냄으로써 오염수의 1차적인 정화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입자성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맨홀에 연통된 배수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돌출부(21)는, 그 형태는 원통형상이나 직육면체형상 또는 원뿔형상 등에 구애받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쌓여 오염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 높이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오물이 쌓이게 되면 상기 제1필터(20)를 들어내어 오물을 제거하여 청소를 한다.In general, pollutants coming through the manhole come with large particles of dirt, such as cigarette butts, leaves, and other wastes, including soil and other suspended substances.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다른 작용 상태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필터(30)의 작용에 관한 상태도이다.5 is another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is a state diagram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활성탄은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되어 있고, 흡착성이 강하여 주로 흡착제로 많이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수처리, 식품·음료수·의약의 가공과 같은 다양한 액체 정제에 사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필터(30)는 상기 제1필터(20)로 걸러지지 않은 부유물질이나 기름 유지류 등의 액상 오 염물질 또는 콜로이드 상태의 오염물질 등을 2차적으로 걸러냄으로써 오염수의 정화작용을 더욱 월등히 개선해준다. 또한, 상기 제2필터(30)는, 상기 제1필터(20)를 들어내어 상기 제2필터(30)를 꺼낸 후 청소 또는 교체를 통하여 유지·관리한다.Activated carbon is carbonaceous and most of the constituents are adsorptive, so it is mostly used as an adsorbent. Generally, activated carbon is used for various liquid purification such as water treatment, food, beverage, and medicine processing.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에 관한 또 다른 작용 상태도이다. 더 상세하게는, 오염수의 유입량이 급증할 경우 상기 챔버 내의 작용에 관한 상태도이다.6 is still another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manhole mounting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state diagram regarding the action in the chamber when the inflow of contaminated water is rapidly increased.
상기 제2필터(30)는 기름이나 유지류 및 상기 부유물질 등을 걸러내기 때문에, 상기 제1필터(2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오염수의 유입속도보다 하측으로의 배출속도가 다소 느리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배수에 문제가 없으나, 장마철 또는 갑작스런 폭우 등으로 인하여 오염수의 유입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상기 제2필터(30)에 의해 배수되는 배출속도가 유입되는 오염수의 유입속도보다 더 느린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42)은 이처럼 상기 챔버(40) 하측으로 배수가 용이하지 못할 경우, 오염수가 지상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챔버(40) 측면으로 오염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필터(30)의 상측에 형성된 것이다. (오염수의 역류는 지상의 또 다른 오염을 야기한다는 것을 상기하라.) 또한, 상기 배출공(42) 상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대응되도록 확장 개구된 것은, 평상시에는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용률을 높이기 위함과 동시에, 오염수의 유입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맨홀 측벽과 상기 챔버(40)와의 공간을 두어 상기 배출공(42)을 통하여 오염수가 잘 빠져나가도록 배출구를 형성하여 오염수가 지상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Since the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의 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carried out by other specific forms of example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That i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필터를 각각 마련하여 순차적으로 오염물질을 분리해 냄으로써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미세입자 및 기름이나 유지류와 같은 액상의 오염물질까지도 분리함으로써 하수관을 통하여 하천 등지로 흘러가는 수질을 훨씬 더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ely providing contaminants, each filter having a different rol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remove various contaminants, and fine particles and liquids such as oil or oils Separation of pollutants also has an excellent effect on keeping the water quality flowing through the sewer pipes to the streams much clean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116A KR100713591B1 (en) | 2005-04-11 | 2005-04-11 | Purifier for man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116A KR100713591B1 (en) | 2005-04-11 | 2005-04-11 | Purifier for manhol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9912U Division KR200388942Y1 (en) | 2005-04-11 | 2005-04-11 | Purifier for manho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7887A KR20060107887A (en) | 2006-10-16 |
KR100713591B1 true KR100713591B1 (en) | 2007-05-04 |
Family
ID=3762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0116A KR100713591B1 (en) | 2005-04-11 | 2005-04-11 | Purifier for man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359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940B1 (en) | 2008-12-04 | 2009-04-08 | (주)한솔환경건설 |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
KR101217390B1 (en) * | 2010-06-21 | 2012-12-31 | (주)이앤씨 | Purifier for manho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77034U1 (en) * | 2017-10-05 | 2018-02-06 | Олег Иванович Звездин | Liquid Filtering Device |
KR102611176B1 (en) * | 2021-02-26 | 2023-12-07 | 주식회사 우수안비티 | Underground penetration type rain container filter |
KR102439694B1 (en) * | 2021-10-07 | 2022-09-02 | 주식회사 브리오 | water catchment gutter |
KR102563950B1 (en) * | 2023-01-16 | 2023-08-04 | (주)정엔지니어링 | Sewer grating blockage prevention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14760A (en) * | 1992-02-04 | 1993-08-24 | Norihiro Umezawa | Composite function type side gutter |
JP2002115312A (en) | 2000-10-10 | 2002-04-19 | Tadayuki Kosuge | Cleaning device for side ditch |
KR20030000035A (en) * | 2001-06-22 | 2003-01-06 | 주식회사제4기한국 | Harmful gas purifying apparatus and thereof method by using bio filter and micro wave |
KR20030000333A (en) * | 2001-06-23 | 2003-01-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ront Fender Structure of Chassis for Walker |
KR20030036462A (en) * | 2003-04-08 | 2003-05-09 |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 Manhole device for filtering a pollution on road |
-
2005
- 2005-04-11 KR KR1020050030116A patent/KR10071359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14760A (en) * | 1992-02-04 | 1993-08-24 | Norihiro Umezawa | Composite function type side gutter |
JP2002115312A (en) | 2000-10-10 | 2002-04-19 | Tadayuki Kosuge | Cleaning device for side ditch |
KR20030000035A (en) * | 2001-06-22 | 2003-01-06 | 주식회사제4기한국 | Harmful gas purifying apparatus and thereof method by using bio filter and micro wave |
KR20030000333A (en) * | 2001-06-23 | 2003-01-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ront Fender Structure of Chassis for Walker |
KR20030036462A (en) * | 2003-04-08 | 2003-05-09 |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 Manhole device for filtering a pollution on roa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940B1 (en) | 2008-12-04 | 2009-04-08 | (주)한솔환경건설 |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
KR101217390B1 (en) * | 2010-06-21 | 2012-12-31 | (주)이앤씨 | Purifier for manh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7887A (en) | 2006-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7516B1 (en) |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 |
KR100905693B1 (en)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
KR100911819B1 (en) |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 |
KR100949325B1 (en) | The reduction apparatus nonpoint pollution sources being able to adopt at the front of the water storing place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0987316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
KR100984676B1 (en) | Apparatus for drai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249741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 |
KR100991492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 |
KR200459753Y1 (en)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1003477B1 (en)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 |
KR20120095767A (en) | Non-point contaminants purification system for treating first rain | |
KR101181863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0913315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 |
KR100491866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 |
KR101554029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with siphon | |
KR101244122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 |
KR101501925B1 (en) | Street inlet having function of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 |
KR100713591B1 (en) | Purifier for manhole | |
KR101177714B1 (en) | Reducing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of early rainwater on the road | |
KR101453203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of first-stage-rainwater for bridge | |
KR100570957B1 (en) | Pollutant treatment device in road drainage | |
KR200388942Y1 (en) | Purifier for manhole | |
KR20100122373A (en) |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562168B1 (en) |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