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693B1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Google Patents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5693B1 KR100905693B1 KR1020080136780A KR20080136780A KR100905693B1 KR 100905693 B1 KR100905693 B1 KR 100905693B1 KR 1020080136780 A KR1020080136780 A KR 1020080136780A KR 20080136780 A KR20080136780 A KR 20080136780A KR 100905693 B1 KR100905693 B1 KR 1009056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paper
- initial
- filter
- rainwater
- medi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지역의 초기우수 유출시 노면의 비점오염원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초기우수처리장치로서 유입되는 초기우수로부터 유기물질, 영양염류, 중금속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은 정수하여 배출되도록 한 공업지역에 적합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installed to remove the non-point source of road surface during the initial runoff of the industrial area, the industrial area to discharge the non-point pollutants such as organic matter, nutrients, heavy metals, etc. It is to provide a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apparatus suitable for.
본 발명은 초기 우수가 유입되는 개구부, 개구부로 유입되는 초기 우수의 유입 통로에 배치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 우수의 침전을 위한 침전지 및 상기 침전지에 인접하여 상기 침전지의 상등수가 유입되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여과지는 미디어 볼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상기 미디어 볼에 설치된 전기 분해 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여과지의 상면 및 하면과는 이격되어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지의 상면 사이에는 강우시 초기우수 처리장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지의 하면 사이에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은 상기 여과지의 상면 사이의 상기 배출 통로 보다 높게 연장되어 있으며, 강우 시에 배출 밸브는 패쇄되어 초기 우수의 일정량은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배출 통로로 배출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in which the initial rainwater is introduced, the screen portion disposed in the inlet passage of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opening, the sedimentation basin for the precipitation of 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creen and the supernatant of the sedimentation basin is adjacent to the sedimentation basin An initial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filter paper, wherein the filter paper includes a filtration device including a media ball, an electrolysis device installed in the media ball, and an inner wall formed to fix the filtration device an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lter paper. And an excellent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to exceed the capacity of the initial excellent rainfall treatment device during rainfall, and a discharge passage including a discharge valve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devi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The inner wall is the discharge passag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The high and extends, at the time of rainfall discharge valve is closed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initial solid provides excellent initial processing device through the filtering devic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천시 공업지역의 노면에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이나 강 및 호수와 같은 공공수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업지역에 적합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excellent water treatment apparatus suitable for an industrial zone to purify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road surface of the industrial zone in rainy weather and discharge them to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rivers and lakes.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Generally, pollutants can be classified into point pollutants and nonpoint pollutants.
전자의 점오염물질은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하수,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이며, 후자의 비점오염물질은 도로, 농경지, 목초지, 건축현장, 광산,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다.The former point pollutants are living sewage, livestock waste, and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defined and limited point source. The latter nonpoint pollutants are roads, agricultural land, grasslands, construction sites, mines, waste disposal sites, landfills, urban areas. Areas of discharge, such as industrial sites and industrial sites, are pollutants emitted to a wide range of nonpoint sources.
특히, 상기한 비점오염물질중 공업지역의 노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중금속, 유기화합물, 오일, 그리스, 유독물질 및 기타 협잡물이나 부유물질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것들로 이루어지며, 통상 우천시에 빗물에 쓸려 하천, 강, 내만, 호수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여과없이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생태계 파괴는 물론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 까지 큰 폐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among the non-point pollutants described above, the pollutants emitted from the roads of industrial areas ar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heavy metals, organic compounds, oils, greases, toxic substances, and other contaminants or suspended solids. Sweeping flows into the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rivers, bays, lakes, etc. without filtration into groundwater and acts as a major contaminant of water quality, thereby destroying ecosystems and ultimately damaging humans.
이러한 공업지역의 노면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중금속, 유기화합물, 오일, 그리스, 유독물질 및 기타 협잡물이나 부유물질 등이 빗물과 함께 들어옴에 따라 기존의 유기물질 제거위주의 비점저감장치로는 정화 및 처리가 어려운 실정이다.In the case of non-point pollutants spilled from the road surface of these industrial areas, heavy metals, organic compounds, oils, greases, toxic substances, and other contaminants or suspended solids come in with rainwater. Purification and processing are difficult.
따라서, 상기 공업지역의 노면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특히 초기우수시 다량의 중금속 및 오염물질과 함께 흘러내리게 되는 바, 이러한 공업지역의 노면에 대한 초기우수에 대한 대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the non-point pollutant spilled from the road surface of the industrial area flows down with a large amount of heavy metals and contaminants, especially during the initial rain, the measures for the initial excellent rain on the road surface of the industrial area is important. have.
또한, 실용신안 제417012호 등에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여과 처리 장치는 필터에 오염물질이 여과되는 경우 오염물질이 필터에 남아 있게 되며,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하여 필터는 쉽게 폐색되거나 필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수준의 처리를 위해서는 필터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Utility Model No. 417012 and the like disclose an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filtration using a filter, such a filtration treatment device is that when the contaminant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contaminants remain in the filter, such contaminants As a result, the filter is easily clogged or loses its function as a filt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must be frequently replaced for the desired level of processing.
본 발명은 초기우수 유출시 기존의 공업지역 노면에서 유출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가 가지고 있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공업지역 노면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영양염류 및 기타 협잡물을 처리 할 수 있는 공업지역에 적합한 초기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ollutant treatment device discharged from the existing industrial road surface when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its main purpose is heavy metals, nutrients and o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apparatus suitable for an industrial area capable of treating contaminants.
또한, 본 발명은 공업지역 초기우수 유출수의 처리를 위해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영양염류 및 기타 협잡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미디어 볼 또는 패키지형 미디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a ball or packaged media box for the efficient treatment of heavy metals, nutrients and other contaminants contained therein for the treatment of initial industrial runoff.
또한, 본 발명은 공업지역 초기우수 유출수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어 지는 미디어 볼과 패키지형 미디어박스에 전기분해를 적용함으로써 여과지의 폐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lockage of filter paper by applying electrolysis to media balls and packaged media boxes that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initial runoff from industrial areas.
또한, 본 발명은 반응기 비움을 실시함에 따라 슬러지 제거, 여과지 폐색 제어 및 이차오염예방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ludge removal, filter paper occlusion control and secondary pollution prevention as the reactor is empti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초기 우수가 유입되는 개구부, 개구부로 유입되는 초기 우수의 유입 통로에 배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 우수의 침전을 위한 침전지, 및 상기 침전지에 인접하여 상기 침전지의 상등수가 유입되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여과지는 전기 분해 장치 및 미디어 볼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및 상기 여과장치를 고정시키는 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지의 상면 사이에는 강우시 처리장치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를 배제하는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지의 하면 사이에는 배출 밸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우 시에 배출 밸브는 패쇄되어 초기 우수의 일정량은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배출 통로로 배출되고,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는 여과지 통과 없이 상부의 배출 통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in which the initial rainwater flows in, a screen disposed in an inflow passage of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opening, a precipitation pond for precipitation of 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creen, and the precipitation pond. An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filter paper into which the supernatant of the sedimentation water flows, the filter paper including a filtration device including an electrolysis device and a media ball, and an inner wall fixing the filtration device; A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to exclude rainwater that exceeds the capacity of the processing device during rainfall, and a discharge valve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devi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and the discharge valve is closed during the rainfall. A certain amount of initial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The rainwater that exceeds the capacity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provides an initial storm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upper discharge passag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paper.
또한, 이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상기 여과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여과지의 하면에 산기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산기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산기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기체로 인하여 여과장치에서의 여과가 용이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air diffuser devi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corresponding to the filter device. In the case where an diffuser is formed, the filtration in the filtration device can be facilitated due to the gas supplied through the diffuser.
또한,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미디어 볼은 금속 망에 흡착재를 충전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망은 스테인리스 망이며, 상기 흡착재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펄라이트, 일라이트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볼을 금속 망으로 구성하는 경우, 금속망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여과장치에서의 전기 분해가 용이해 질 수 있다. 특히, 금속망이 스테인리스 망인 경우, 녹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기 분해 시에 금속재의 유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녹으로 인한 저항 증가도 생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dia ball in the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metal mesh with an adsorbent, the metal mesh is a stainless steel mesh, the adsorbent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of zeolite, activated carbon, pearlite, illite. Can be. When the media ball is made of a metal mesh, current flows through the metal mesh, so that the electrolysis in the filtration apparatus can be facilitated. In particular, when the metal mesh is a stainless steel mesh, since no rust is formed, it is preferable in that there is no loss of the metal material during electrolysis and no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rust occurs.
또한, 이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상기 여과장치가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볼은 상기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에 채워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로 구성되는 경우, 여과장치의 수명이 다하여 여과장치를 교환할 때 미디어 박스를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that the filtering device may include a packaged media box, the media ball may be filled in the packaged media box. In the case of the packaged media box as described above, it is sufficient to replace the media box when the filter device is replaced at the end of the life of the filter device, so that management of the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can be facilitated.
여기서,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상기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는 다단으로 쌓여 있는 것일 수 있다.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가 스테인리스 재질인 경우 상기 미디어 볼을 스테인리스 망으로 형성한 것과 같은 이유로 전기 분해 시에 유리하다.Here, the packaged media box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packaged media box may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If the packaged media box is made of stainless steel, it is advantageous at the time of electrolysis for the same reason that the media ball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esh.
또한, 이러한 장치는 강우 종료 시, 상기 전기 분해 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볼 내부를 전기 분해하고, 그 후 상기 배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여과지 내에 남아 있는 우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우 종료 후에 여과장치의 미디어 볼을 전기 분해하면 미디어 볼 내부의 오염물질들이 분해되며, 이를 여과지 하단의 배출 밸브를 개방하여 배출하는 경우에, 미디어 볼 내부의 오염물질은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이렇게 미디어 볼 내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여과장치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preferably electrolyzes the inside of the media ball through the electrolysis device at the end of the rainfall, and then opens the discharge valve to remove rainwater remaining in the filter paper. Electrolysis of the media ball of the filtration device after the rainfall is over will decompose the contaminants inside the media ball, and in the case of discharging it by opening the discharge valve at the bottom of the filter paper, contaminants inside the media ball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removing contaminants inside the media bowl, the life of the filter can be extended.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업지역에 적합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공업지역 노면에서 유출되는 중금속, 영양염류, 유기물질 및 기타 협잡물 등이 포함된 초기우수 등을 정화하여 하천에 정화수만 방류함으로써 비점오염물에 의한 하천, 호소, 지하수 등과 같은 공공수역의 오염을 막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연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suitable for the industri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urifying the initial excellent water, including heavy metals, nutrients, organic substances and other contaminants flowing out from the road surface of the industrial area, only purified water in the river By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pollution of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lakes and groundwater by nonpoint pollutants, and consequently to preserve natural ecosystems.
그리고, 기존 비점저감장치에서 제거되지 않던 중금속, 영양염류 등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여과장치의 패키지화 및 폐색 제어로 여과장치의 수명 연장, 여과장치 교환의 작업성 향상 및 우수 처리 장치 관리의 경비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mproves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and nutrients that were not removed from the existing non-point reducing device, and extends the life of the filtering device, improves the workability of replacing the filtering device, and reduces the cost of managing the excellent treatment device by packaging and blocking the filter. There is an effect such as.
이하,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우수 처리 장치 (20) 는 협잡물 저장소 (30), 침전지 (40), 여과지 (50) 를 포함하며, 협잡물 저장소 (30) 와 침전지 (40), 침전지 (40) 와 여과지 (50) 는 서로에 이웃하며, 서로 연통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initial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스크린부는 조대 스크린 (21) 과 제 1 세목 스크린 (41) 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제 2 세목 스크린 (4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대 스크린 (21) 은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조대 스크린 (21) 의 아래에는 제 1 세목 스크린 (41) 이 위치하며, 제 1 세목 스크린 (41) 은 협잡물 저장조 (30) 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creen portion in the initial stormwater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제 1 세목 스크린 (41) 의 하방에는 침전지 (40) 가 위치하게 되며, 침전지 (40) 와 제 1 세목 스크린 사이에는 침전지 경사판 (44) 가 형성되어 있다. 침전지 (40) 의 일측은 타측에 비하여 더 낮게 형성되며, 침전지 경사판은 더 낮은 침전지 (40) 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A
침전지 (40) 의 더 낮은 일방에는 배출 통로 (23)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 통로 (23) 에는 배출 밸브 (22) 가 형성되어 있다. A
침전지 (40) 에는 격벽 (45) 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세목 스크린 (41) 의 아래 공간과 침전지 (40) 와 여과지 (50) 사이의 연통부 (47) 를 분리한다. 상기 침전지 (40) 와 여과지 (50) 사이의 연통부 (47) 에는 제 2 세목 스크린 (42) 이 형성되어 있다.A
침전지 (40) 와 여과지 (50) 는 연통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연통로 (47) 는 상기 침전지 (40) 의 격벽 (45) 과 침전지 (40) 와 여과지 (50) 를 분리하는 분리벽 (46) 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침전지 (40) 의 분리벽 (46) 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침전지 (40) 는 일정량의 우수를 저장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이 유입되는 경우 침전지 (40) 의 분리벽 (46) 을 월벽하여 여과지 (50) 로 우수가 흐르게 된다. The
여과지 (50) 는 여과지의 하면 및 상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벽 (59) 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벽 (46) 과 상기 내벽 (59) 사이로 침전지 (40) 로부터의 초기 우수가 도입되는 도입로 (5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벽은 배출 통로 (26) 의 형성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나, 여과지의 상면과는 이격되어 있다.The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지 (50) 는 여과장치 (51), 산기기 (54) 와 산기관 (53) 을 포함하는 산기장치, 배출밸브 (24) 및 배출 통로 (25, 26) 로 구성되어 있다. 여과장치 (51) 는 여과지(50) 의 중앙부의 상기 내벽과 상기 분리벽 맞은 편의 여과지 벽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여과장치 (51) 의 하부의 여과지벽에는 산기기 (54) 와 산기통로 (53) 을 포함하는 산기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과지벽 (57) 에서 상기 여과장치 (51) 과 상기 산기 장치 사이에는 배출 통로 (2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 통로 (25) 내부에는 배출 밸브 (24) 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장치 (51) 과 여과지 (50) 의 상면 사이의 상기 여과지벽 (57) 에는 배출통로 (26) 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filter paper wall in the lower part of the
도 1 과 도 3 을 같이 참조하면, 여과장치 (51) 는 다수의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 (57) 가 쌓아져 구성되어 있다.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 (57) 의 내부에는 미디어 볼 (56) 로 채워져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 볼 (56) 내부는 흡착재로 충전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 (57) 는 3 단으로 쌓아져 있으며, 하단으로 갈 수록 입자가 큰 미디어 볼을 포함하는 미디어 박스 (57) 이 배치되어 있다.1 and 3 together, the
또한, 실시예에서 여과장치 (51) 는 상기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 (57) 사이의 스테인리스 전극 (52)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테인리스 전극 (52) 과 상기 스테인리스 전극 (52) 에 연결되며, 여과 장치 (51) 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원 공급 장치 (55) 를 포함하여 전기 분해 장치가 형성된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the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볼 (56) 은 메쉬 형태로 분리 가능한 두 망 사이에 흡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며, 실시예에서 망은 스테인리스 망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전성, 불용성 재료이고, 녹이 생기지 않는다면 다른 재료에도 관계없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또한, 미디어 볼 (56) 내부에 충전되는 흡착재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일라이트, 펄라이트 등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재료 중에서 선택되며, 2 이상을 조 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거 대상 오염물질 (중금속, 영양염류, 유기물질 등) 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흡착재를 교체 혹은 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sorbent filled in the
이하, 본 실시예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작용을 우수의 흐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도록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itial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 of stormwater.
도 4 에 보이는 것처럼 조대스크린 (21) 을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집수된 우수의 협잡물과 우수가 분리되며, 침전지 (40) 으로 우수가 유입된다. As shown in FIG. 4, the coarse matter and rainwater collected from the road surface are separated through the
제 1 세목 스크린 (41) 은 조대 스크린 (21) 보다 고운 스크린이며 협잡물 저장조 (30) 로 기울어져 있어서, 조대 스크린 (21) 을 통과한 우수에서 조대스크린 (21) 을 통과하였으나 제거되지 않은 협잡물은 걸러서 협잡물 저장소 (30) 로 보내며, 우수는 통과하여 침전지 (40) 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침전지 (40) 와 제 1 세목 스크린 (41) 중간에 침전지 경사판 (44) 은 제 1 세목 스크린 (41) 을 통과한 우수의 미세한 협잡물을 침전시키게 된다. The
우수는 침전지 (40) 에서 슬러지가 침전되게 되며, 이렇게 미세한 협잡물이 침전된 후의 침전지 (40) 의 상등수는 연통로 (47) 을 오르게 되어, 만약의 경우 제거되지 않은 협잡물을 분리하게 되며, 제 2 세목 스크린 (42) 을 통과한 침전지 (40) 의 상등수가 여과지 (50) 로 유입된다.Rainwater is sludge precipitated in the
침전지 (40) 에서 분리벽 (46) 을 넘어서 여과지 (50) 로 도입된 우수는 여과지 (50) 의 하면으로 떨어져서 여과지 (50) 에서 하면으로부터 차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우수는 여과지 내부에 위치하는 여과장치 (51) 의 미디어 볼 (56) 을 통과하게 되며, 미디어 볼 (56) 의 내부의 흡착재에 의해여 우수에 섞여있는 중 금속 등의 오염물질이 흡착되게 된다. 또, 이 과정에서 산기기는 공기를 공급하여 흡착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한다.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상승된 우수는 여과장치 (51) 을 통과한 후 배출 통로 (26) 로 배출된다. 다른 배출 통로 (22, 24) 는 우수가 유입되고 있는 동안에는 배출 밸브 (22, 24) 가 닫혀 있어서, 우수가 초기 우수 처리 장치로 유입되는 동안에 우수는 배출 통로 (26) 를 통하여만 하천이나 호소등의 공공 수역으로 배출된다. The raised rainwater is discharged into the
다만, 초기 우수 유출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여과지의 내벽 (59) 과 여과지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여과장치 (51) 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배출 통로 (26) 로 배출될 수도 있다. However, if the initial rainwater outflow amount is excessive, the space between the
우수의 흐름을 순서도로 정리하면 도 5 와 같다. The flow of stormwater is shown in FIG.
도 6 은 강우 종료 시 처리 장치의 운전 순서도이다. 강우가 종료된 후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지 (50) 내의 여과장치 (51) 에 설치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전극 (52) 과 직류 전원 공급 장치 (55) 의 전원을 인가하여 유입오수의 오염물질 정도에 따른 일정시간, 일정전압, 일정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전기분해를 실시하여 미디어 볼 (56) 내의 흡착재에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분해를 실시하여 미디어 볼 (56) 의 폐색을 제어하도록 운전할 수 있다.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t the end of the rainfall. After the rainfall is finished, as shown in FIG. 6, the pollutants of the influent sewage may be applied by applying power from the
이렇게 전기분해가 끝난 후 침전지(40) 및 여과지(50) 하부에 설치된 배출밸브 (22, 24) 를 개방하여 초기 우수 처리 장치 (20) 에 채워진 우수를 급속 배출 시켜서 여과 장치 (51) 의 역세척 및 침전지 (40) 하부의 슬러지 (43) 제거를 유도하는 반응조 (20) 비움을 실시하여 이차오염이 되는 반응조(20) 내부의 오염물질 제거하여 차후 강우시 오염물질제거의 효율 상승을 유도하였다.After the electrolysis is completed, th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변경 및 수정된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appropriat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업지역에 적합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apparatus suitable for an industrial are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조대스크린 및 제1세목스크린이며,3 is a coarse screen and the first detail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미디어 볼과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로 구성된 여과장치 도면이며,4 is a filtration device diagram consisting of a media ball and a packaged media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강우시 처리장치 운전 순서도 이며,5 is a flow chart of the processing device during rainfall,
도 6은 강우 종료시 처리장치 운전 순서도 이다.6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t the end of the rainfal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초기 우수 처리 장치20: initial rainwater treatment device
21 : 조대스크린21: large screen
22 : 배출밸브22: discharge valve
23 : 배출 통로23: discharge passage
24 : 배출밸브24: discharge valve
25 : 배출 통로25: discharge passage
26 : 배출 통로26: discharge passage
30 : 협잡물 저장조30: contaminant storage tank
31 : 협잡물31: Miscellaneous
32 : 제1세목스크린32: 1st detail screen
33 : 협잡물 인발 라인33: Miscellaneous Drawing Line
40 : 침전지40: sedimentation basin
41 : 제1세목스크린41: first detail screen
42 : 제2세목스크린42: second detail screen
43 : 침전지 슬러지43: sedimentation sludge
44 : 침전지 경사판44: settling plate
45 : 격벽45: bulkhead
46 : 분리벽46: dividing wall
50 : 여과지50 filter paper
51 : 여과장치51: filtration device
52 : 전극52: electrode
53 : 산기관53: diffuser
54 : 산기기54: acid machine
55 : 직류전원장치55: DC power supply
56 : 미디어 볼56: Media Ball
57 : 패키지형 미디어 박스57: packaged media box
59 : 내벽59: inner wall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6780A KR100905693B1 (en) | 2008-12-30 | 2008-12-30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6780A KR100905693B1 (en) | 2008-12-30 | 2008-12-30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5693B1 true KR100905693B1 (en) | 2009-07-03 |
Family
ID=4133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6780A Active KR100905693B1 (en) | 2008-12-30 | 2008-12-30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5693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234B1 (en) | 2009-07-15 | 2009-10-23 | 최은희 |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purification method through multi-stage treatment |
KR100930299B1 (en) | 2009-07-01 | 2009-12-08 | 이근착 | Mine Wastewater Filter |
KR100955098B1 (en) | 2009-10-26 | 2010-04-27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Treatment apparatus for phosphorus removal from rain water |
KR101010048B1 (en) * | 2010-09-16 | 2011-01-21 | 주식회사동현 | Stormwater treatment device |
KR101051049B1 (en) * | 2011-05-20 | 2011-07-21 | 김창길 | Early Excellent Purifier |
KR101176360B1 (en) * | 2012-01-06 | 2012-08-22 | (주)한라산업개발 | System for recycling water |
KR101270023B1 (en) | 2011-11-07 | 2013-05-31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Sand Settling Tank |
KR101303849B1 (en) | 2013-08-02 | 2013-09-04 | (주) 젠폴 | Module for purifying rain water runoff |
KR101488136B1 (en) * | 2014-06-17 | 2015-01-29 | 유한회사 도건엔지니어링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
KR101545448B1 (en) * | 2014-06-23 | 2015-08-18 | 김광채 |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 Water |
KR101546462B1 (en) * | 2015-01-29 | 2015-08-24 | 중경산업 주식회사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
KR101560158B1 (en) * | 2015-01-05 | 2015-10-14 | 김규일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back washing module |
KR20150144975A (en) * | 2014-06-18 | 2015-12-29 | (주)청운 |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a T-shaped vortex tube and Multi-stage filter |
KR101794124B1 (en) * | 2017-01-31 | 2017-11-06 | 황성규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CN116477797A (en) * | 2023-04-23 | 2023-07-25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9937A (en) | 1999-11-25 | 2001-06-05 | Hosho Ro | Packed bed type electrochemical water treating device |
KR20030009266A (en) * | 2002-12-27 | 2003-01-29 | 서희동 | Filter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procss by using magnetite |
KR20070075371A (en) * | 2007-05-25 | 2007-07-18 |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Step-by-step abatement of pollutants in initial rainfall runoff |
KR100849017B1 (en) | 2008-05-06 | 2008-07-30 | 구석본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
2008
- 2008-12-30 KR KR1020080136780A patent/KR1009056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9937A (en) | 1999-11-25 | 2001-06-05 | Hosho Ro | Packed bed type electrochemical water treating device |
KR20030009266A (en) * | 2002-12-27 | 2003-01-29 | 서희동 | Filter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procss by using magnetite |
KR20070075371A (en) * | 2007-05-25 | 2007-07-18 |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Step-by-step abatement of pollutants in initial rainfall runoff |
KR100849017B1 (en) | 2008-05-06 | 2008-07-30 | 구석본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0299B1 (en) | 2009-07-01 | 2009-12-08 | 이근착 | Mine Wastewater Filter |
KR100923234B1 (en) | 2009-07-15 | 2009-10-23 | 최은희 |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purification method through multi-stage treatment |
KR100955098B1 (en) | 2009-10-26 | 2010-04-27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Treatment apparatus for phosphorus removal from rain water |
KR101010048B1 (en) * | 2010-09-16 | 2011-01-21 | 주식회사동현 | Stormwater treatment device |
KR101051049B1 (en) * | 2011-05-20 | 2011-07-21 | 김창길 | Early Excellent Purifier |
WO2012161478A3 (en) * | 2011-05-20 | 2013-01-17 | Kim Chang Gil | Apparatus for early rainwater purification |
KR101270023B1 (en) | 2011-11-07 | 2013-05-31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Sand Settling Tank |
KR101176360B1 (en) * | 2012-01-06 | 2012-08-22 | (주)한라산업개발 | System for recycling water |
KR101303849B1 (en) | 2013-08-02 | 2013-09-04 | (주) 젠폴 | Module for purifying rain water runoff |
KR101488136B1 (en) * | 2014-06-17 | 2015-01-29 | 유한회사 도건엔지니어링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
KR20150144975A (en) * | 2014-06-18 | 2015-12-29 | (주)청운 |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a T-shaped vortex tube and Multi-stage filter |
KR101661467B1 (en) * | 2014-06-18 | 2016-09-30 | (주)청운 |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a T-shaped vortex tube and Multi-stage filter |
KR101545448B1 (en) * | 2014-06-23 | 2015-08-18 | 김광채 |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 Water |
KR101560158B1 (en) * | 2015-01-05 | 2015-10-14 | 김규일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back washing module |
KR101546462B1 (en) * | 2015-01-29 | 2015-08-24 | 중경산업 주식회사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
KR101794124B1 (en) * | 2017-01-31 | 2017-11-06 | 황성규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CN116477797A (en) * | 2023-04-23 | 2023-07-25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5693B1 (en)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
KR100894022B1 (en) |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device | |
KR100911819B1 (en) |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 |
KR100891621B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point and nonpoint source treatment and its purification method | |
KR100987316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
KR100991492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 |
KR101565593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 |
KR100897258B1 (en) |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device included in rainwater | |
US7182856B2 (en) | Stormwater treatment train | |
KR100791422B1 (en) | Non-point pollutant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 |
KR100491866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 |
KR101736743B1 (en) | Automatic backwashing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with automatic backwash and stagnation water treatment | |
KR101113989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using module form side filtering type | |
KR20120022028A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842653B1 (en) | Filter cartridge and the non-point po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0624556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urification of river water, lake water or runoff that combines modular wetland infrastructure and modular catalytic oxidation and filtration | |
KR101799513B1 (en) | Filter cartridge and the non-point po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137443B1 (en) |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torm sewer | |
KR20100122373A (en) |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539146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
KR101085199B1 (en) | Stream tributary removal and filtration systems | |
KR101889883B1 (en) | Odor reducing septic tank | |
JP4145895B2 (en) | Non-point contamination removal device | |
KR100713591B1 (en) | Purifier for manh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4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