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53Y1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Google Patents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753Y1 KR200459753Y1 KR2020080016397U KR20080016397U KR200459753Y1 KR 200459753 Y1 KR200459753 Y1 KR 200459753Y1 KR 2020080016397 U KR2020080016397 U KR 2020080016397U KR 20080016397 U KR20080016397 U KR 20080016397U KR 200459753 Y1 KR200459753 Y1 KR 2004597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filter
- partition
- inlet
-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교각용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우수가 유입되도록 몸체의 일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침전 분리시키기기 위해 상기 몸체 내부의 대응되는 두개의 벽에 경사각을 이루어 다수개의 거름벽이 일체로 설치되고, 제1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침전조;와 제1격벽과 제2격벽에 의하여 구획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의 하부에는 거름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받침판의 상부에는 우수에 함유된 유분을 정화하기 위한 거름망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에는 오일필터로부터 정화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오일흡착조;와, 상기 제2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제2격벽의 하부와 몸체의 타측면에 일체로 정화받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받침판에는 정화필터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여과조;로 구성되어 동절기시 상기 몸체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얼어 동파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in 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for piers configured to reduc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the in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that rainwater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A sedimentation tank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wall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n two corresponding walls in the body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s of the rainwater, and separat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It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upport plate,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plate is formed with a filtering net for purifying the oil contained in the rainwater,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an oil adsorption tank having a plurality of outlet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discharge the rainwater purified from the oil filter. A filter filtration tank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purification filter is inserted into the purification support plate, the filter filtration tank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rainwater from the purification filter; Consists of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body frozen during the winter to freeze.
침전조, 오일흡착조, 필터여과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Sedimentation tank, oil adsorption tank, filter filtration tank,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교각용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우수가 유입되도록 몸체의 일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침전 분리시키기기 위해 상기 몸체 내부의 대응되는 두개의 벽에 경사각을 이루어 다수개의 거름벽이 일체로 설치되고, 제1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침전조;와 제1격벽과 제2격벽에 의하여 구획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의 하부에는 거름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받침판의 상부에는 우수에 함유된 유분을 정화하기 위한 거름망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에는 오일필터로부터 정화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오일흡착조;와, 상기 제2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제2격벽의 하부와 몸체의 타측면에 일체로 정화받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받침판에는 정화필터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여과조;로 구성되어 동절기시 상기 몸체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얼어 동파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n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for piers configured to reduc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 the inle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that rainwater is introduced. And a sedimentation tank formed with a plurality of mandrel walls integrally formed at an inclined angle on two corresponding walls in the body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and separat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It is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the bottom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late,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strainer for purifying the oil contained in the rainwater. And an oil adsorption tank having a plurality of outlet holes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so that the rainwater purified from the oil filter can be discharged. It is partitioned by a wall, the purg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the purg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purifying filter is installed,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purified from the purifying filter It is formed of a filter filtration tank; and relates to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body frozen in the winter during freezing.
삭제delete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에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나 쓰레기, 동물 및 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Non-point pollutants are mainly pollutants that are discharged along with runoff on the ground when it rains. Fertilizers, pesticides, soil erosion, barn spills, traffic pollutants, urban dust or garbage, residues of animals and plants It refers to water and air pollutants that fall on the ground. Thus, rainwater discharged, including all pollutants, is in fact the main nonpoint source.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강우시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 및 배수관이 마련되어야 하며, 배수관으로 흘러들어온 물은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drainage and drainage pipes should be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road to prevent rainwater from pooling,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pipes will be discharged to the stream.
이때, 강우시 초기 빗물은 도로나 교량 또는 지붕 등의 오염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배수관으로 유입되게 됨으로, 오염된 우수를 정화하기 위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로 보내야 한다.At this time, the rainwater during the rain is to be introduced into the drain pip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such as roads, bridges or roofs, should be sent to a non-point source for reducing the polluted rainwat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400118881호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홀(2); 최종 처리수가 방류되는 방류홀(13); 상기 유입홀(2)과 방류홀(13) 사이에 설치되는 월류게이트(3); 1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침전, 제거하는 1차 침전실(6); 상기 유입홀(2)과 상기 1차침전실(6) 사이에 형성되는 1차침전실 유입구(4); 1차침전실 내벽에 이격 장착되는 1차침전실 유입격막(5); 상기 1차침전실(6)에서 침전. 분리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침전, 제거하는 2차침전실(9); 상기 1차침전실과 상기 2차침전실 사이 에 형성되는 1차침전실 유출구(8); 1차침전실 내벽에 이격 장착되는 1차침전실 유출격막(7); 상기 방류홀(13)과 상기 2차침전실(9) 사이에 형성되는 2차침전실 유출구(12); 상기 2차침전실(9)내에 설치되어 부유물질, 용존성 오염물질 및 중금속 등을 흡착제거하는 흡착여과장치(10); 2차침전실 내벽에 이격 장착되는 2차침전실 유출격막(11); 및 유체 흐름 방해를 막기 위한 공기배출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추기강우 10mm를 차집하여 침전에 의한 오염물질의 분리와 흡착여과장치에 의한 용존성 오염물질과 중금속 등을 제거함으로써 비점오염원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118881 No. 1 or 2, as shown in FIG. A
이와 같이 구성된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는 유입관(1)을 통해 유입홀(2)에 유입된 우수가 1차침전실(6)과 2차침전실(9)에 형성된 정화장치를 거처 방류관(14)으로 배출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non-point source remova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cation device formed i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입관(1)을 통해 유입된 우수는 항상 유입홀(2)에 일정양이 남아있게 되며, 상기 방류관(14)으로 배출되지 못한 우수 또한 항상 1차침전실(6)과 2차침전실(9)에 우수가 남아있게 된다.However,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 as described above always remains a certain amount in the inlet hole (2), the rainwater that is not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4) is also always the primary precipitation chamber (6) And the rainwater remains in the
이때, 남아 있는 우수에는 방류관(14)을 배출되지 못한 이물질 등이 남아 있게되어 몸체의 내부가 깨끗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remaining rainwater has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body is not clean because the foreign matter, such as the
뿐만 아니라, 동절기시에는 남아 있는 우수가 얼어붙게 되어 흡착여과장치(10) 또는 정화장치 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remaining rainwater freezes, causing the
그렇기 때문에 동절기시에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의 몸체 내부에는 항상 물이 배출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water discharged in the body of the non-point source removal apparatus at all times during the winter seas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염된 우수가 침전조와 오일흡착조 및 필터여과조로 구성되는 정화장치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침전분리되어 깨끗한 우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침전조와 오일흡착조 및 필터여과조에 물이 고여 있는 것을 방지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aminate the pollutants precipitated by the purification device consisting of contaminated rainwater sedimentation tank and oil adsorption tank and filter filtration tank to discharge the clean rainwater, the sedimentation tank and oil adsorption tank and filter filtration tank It is to provide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that can prevent freezing in the winter 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교각용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우수가 유입되도록 몸체의 일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침전 분리시키기기 위해 상기 몸체 내부의 대응되는 두개의 벽에 경사각을 이루어 다수개의 거름벽이 일체로 설치되고, 제1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침전조;와 제1격벽과 제2격벽에 의하여 구획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의 하부에는 거름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받침판의 상부에는 우수에 함유된 유분을 정화하기 위한 거름망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에는 오일필터로부터 정화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오일흡착조;와, 상기 제2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제2격벽의 하부와 몸체의 타측면에 일체로 정화받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받침판에는 정화필터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여과조;로 구성되어진다.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for piers configured to reduc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 the inle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that rainwater is introduced And a sedimentation tank formed with a plurality of mandrel walls integrally formed at an inclined angle on two corresponding walls in the body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and separat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It is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the bottom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late,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strainer for purifying the oil contained in the rainwater. And an oil adsorption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outlet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so that the rainwater purified from the oil filter can be discharged. It is partitioned by two partitions, and a purification plat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purification filter is inserted into the purification plate,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purified from the purification filter It is composed of a filter filtration tank formed.
삭제delete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오염된 우수가 침전조와 오일흡착조 및 필터여과조로 구성되는 정화장치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침전분리되어 깨끗한 우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침전조와 오일흡착조 및 필터여과조에 물이 고여 있는 것을 방지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charged clean rainwater by sedimentation and sedimentation by the purification device consisting of contaminated rainwater sedimentation tank and oil adsorption tank and filter filtration tank, the sedimentation tank and oil adsorption tank and filt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freezing in winter 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본 고안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는 몸체(110)에 남아있는 우수가 완전히 제거되어 동절기에는 발생하는 동파를 방지 가능하고,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교각용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우수가 유입되도록 몸체(110)의 일측벽면에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침전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110) 내부의 대응되는 두개의 벽면에 다수개의 거름벽(220)이 경사각을 이루어 일체로 설치되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는 제1격벽(240)에 의하여 구획되는 침전조(200);와,The non-point
삭제delete
상기 제1격벽(240)과 마주보며 공간을 형성하는 제2격벽(340)에 의하여 구획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 사이의 하부에는 거름받침판(3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받침판(320)의 상부에는 우수에 함유된 유분을 정화하기 위한 오일필터(310)가 설치되며, 상기 제2격벽(340)에는 거름망(230)과 오일필터(310)에 의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330)이 형성된 오일흡착조(300);와,It is formed by the
상기 제2격벽(34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제2격벽(340)의 하부와 몸체(110)의 타측면에 일체로 정화받침판(420)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받침판(420)에는 정화필터(450)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450)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10)가 형성된 필터여과조(400);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It is partitioned by th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는 몸체(110) 일측면에 오염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우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침전조(200)가 마련되며, 상기 침전조(200)로부터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410)가 마련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구성과 크게 다름없는 구성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 the non-point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는 크게 침전조(200), 오일흡착조(300)와 필터여과조(40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non-point
먼저, 침전조(200)는 오염된 우수가 최초 유입되는 곳으로서 몸체(110)의 일측면과 상기 몸체(110)의 양벽면에 일체로 고정된 제1격벽(240)에 의해 구획이 이루어진다.First, the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오염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 유입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침전조(200)에는 다수개의 거름벽(2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격벽(240)의 하단부는 바닥면과는 밀착되게 설치되어지되, 상단면에는 우수가 흐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상기 거름벽(220)은 경사지게 상기 몸체(110) 양벽면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어지되,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거름벽(220)의 상부에는 이물질이 제1격벽(240)을 지나지 못하도록 거름망(230)이 설치된다.The
상기 오일흡착조(300)는 상기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격벽(340)은 제1격벽(240)과 같이 바닥면과는 밀착되게 형성되어지되, 상단면에는 우수가 흐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 사이의 하부에는 일정한 높이에 거름받침판(32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The
삭제delete
상기 거름받침판(320)은 몸체(110)의 양측벽면과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에 고장 설치되며,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우수가 항상 경사각을 따라 흘러 상기 거름받침판(320)의 상부에는 물이 고여 있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상기 거름받침판(320)의 경사각은 제1격벽(240)과 접하는 부분이 높고, 제2격벽(340)과 접하는 부분은 낮게 하여 우수가 제2격벽(340)의 하부로 흐르도록 하게 한다. 이어, 상기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 사이에는 우수에 함유된 유분을 정화하기 위하여 오일필터(31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상기 오일필터(310)는 상기 거름받침판(3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의 벽면에 밀착되어 있어 제1격벽(240) 상부로 월류되어 유입되는 우수는 오일필터(310)로 유입되게 된다.The
상기 오일필터(310)는 우수에 함유된 유분을 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정화가 된 우수는 거름받침판(320)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거름받침판(320)에 형성된 소정의 경사각에 의하여 유분이 정화된 우수가 제2격벽(34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격벽(340)의 벽면에는 유출공(330)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유출공(330)은 상기 제2격벽(340)과 거름받침판(320)이 교접하는 부분의 상부에 통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출공(330)은 오일필터(310)의 하단부로부터 1/3을 넘지 않게 통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이 오일흡착조(300)에는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 사이의 하부에 형성된 거름받침판(320)에 의하여 항상 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오일흡착조(300)에는 물이 고여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ater is always discharged from the
이어, 상기 필터여과조(400)는 몸체(110)의 타측벽면과 제2격벽(34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격벽(340)과 몸체(110)의 타측벽면의 하부에는 정화받침판(4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위치는 거름받침판(320)이 제2격벽(340)에 교접한 부분과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이어,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중앙에는 정화필터(450)가 삽설될 수 있도록 결합홈(430)이 형성되며,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상부에는 결합홈(430)을 중심으로 유로홈(460)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홈(460)은 결합홈(430)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게 되어 제2격벽(340)의 유출공(33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 정화받침판(420)의 상단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a
이어,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430)에는 다시 한번 더 정화를 하기 위한 정화필터(450)가 삽설된다. 이때, 상기 정화필터(450)는 원통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정화필터(450)가 원형으로 가정할 경우에는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Subsequently, a
아울러, 상기 정화필터(450)는 중간 부분에 단턱(도면 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하부로 완전히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결합홈(430)에 결합시 1/2 정도만 삽입하여, 한번 사용 후 다시 반대로 돌려 1/2 정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정화필터(450)가 반반씩 돌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격벽(340)에 형성된 유출공(330)을 타고 배출되는 우수는 상기 정화받침판(420)에 삽설된 정화필터(450)에 의하여 다시 한번 정화가 되어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That is, the
이어,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하부로부터 배출되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410)가 몸체(110)의 타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필터여과조(400)의 바닥면에는 정화된 우수가 배출구(410)로 모두 흐를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판(440)이 형성된다.Subsequently, a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의 작동을 살펴본다.It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5a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작동과정도이다.5a to 5d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분에서 같은 부호를 기재하였으므로,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of parts not described below will be omitted.
오염된 우수는 도로 또는 교량 등에 설치되어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의 유입구(210)를 통해 침전조(200)에 고이게 된다. 그 후 일정한 시간이 흘러 침전조(200)에 고인 우수는 점점 부피가 늘어나 상기 침전조(200)를 구획하는 제1격벽(240)을 월류하게 된다.The polluted rainwater is accumulated in the
이때, 상기 우수의 상단에는 부력에 의하여 물에 뜨는 이물질과 자중의 무게에 의하여 물에 가라앉는 이물질 등이 남아있게 된다. 이어, 물에 뜨는 이물질은 상기 침전조(200)의 상단에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된 거름벽(220)에 의하여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foreign matters that float in the water due to the buoyancy and foreign matters that sink in the water by the weight of the self remains on the top of the rainwater. Subsequently,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water is no longer allowed to rise by the
삭제delete
이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늘어나는 우수는 제1격벽(240)의 상단부를 넘어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에 의하여 구획이 이루어진 오일흡착조(30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유입된 우수는 오일필터(310)에 의하여 우수에 함유된 유분이 정화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rainwater that extends over time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1차적으로 정화된 우수는 상기 오일필터(3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거름받침판(320)으로 배출된다. 이어, 상기 배출된 우수는 거름받침판(320)의 경사에 의하여 제2격벽(340) 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상기 제2격벽(340)에는 유출공(330)이 형성되어 있어 1차적으로 정화된 우수가 상기 유출공(3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purified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이때, 상기 유출공(330)의 위치는 제2격벽(340)과 거름받침판(320)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거름받침판(320)에는 우수가 남아있지 않고 모두 유출공(330)으로 배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이어, 상기 유출공(330)으로 배출된 우수는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중앙에 삽설된 정화필터(450)로 다시 한번 유입되게 되어 2차 정화를 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rainwater discharged to the
이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상단에 고여 있는 우수는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형성된 경사각을 가진 유로홈(460)을 따라 정화필터(450)로 모두 유입되게 되어 정화받침판(420)의 상단에는 항상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top of the
이때,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중앙에 삽설된 정화필터(450)는 우수가 바닥면으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중앙에 삽설된 정화필터(450)중 상단부 돌출된 정화필터(450)에는 우수가 유입되지 않고 하단부에 돌출된 정화필터(450)를 통해 2차 정화가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2차 정화가 된 우수는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하단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41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여과조(400)의 바닥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판(440)이 설치되어 바닥면에 있는 우수가 경사판(440)을 따라 모두 배출구(410)로 배출되게 된다.The rainwater that has been purified second is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이렇게 하면, 상기 오일흡착조(300)와 상기 필터여과조(400)에는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어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동절기에 물이 고여 있어 얼게 되어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ater is not accumulated i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6A and 6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200)의 바닥면에는 원뿔 형상의 돌출턱(500)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벽면에는 침전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침전물배출구(5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500)은 상기 침전물배출구(510)로 침전물이 흐를 수 있도록 원뿔 형상 이외에 경사를 이룰 수 있는 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침전조(200)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210) 상부에는 수압 및 자중에 의하여 개폐되는 유입구덮개(620)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덮개(620)는 유입구(210)의 단면 크기와 동등 이상의 크기인 것이어야 하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벽면 하단부에 형성된 침전물배출구(510)의 상단에도 수압 및 자중에 의하여 개폐되는 침전물배출구덮개(630)가 힌지결합된다.As shown, the
이때, 상기 유입구덮개(620)와 침전물배출구덮개(630)의 힌지 구성은 상기 유입구(210)의 상단과 상기 침전물배출구(5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양 덮개가 위로 열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inge configuration of the
이어, 상기 몸체(110)의 상단벽면에는 연결줄(610)이 회전롤러(600)에 권취되어 있다. 상기 회전롤러(600)를 감싸고 내려온 연결줄(610)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유입구덮개(6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줄(610)의 타측끝단부는 상기 침전물배출구덮개(63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Subsequently, a
이때, 상기 연결줄(610)에 의하여 연결된 덮개는 줄이 팽팽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되며, 상기 유입구덮개(62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침전물배출구덮개(630)는 닫히는 상태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cover connected by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연결줄(610)에 의하여 연결된 유입구덮개(620)는 우수가 유입되면 우수의 압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The
이때, 상기 유입구덮개(620)에 연결된 연결줄(610)은 위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침전물배출구덮개(630)에 연결된 연결줄(610)은 늘어나게 되어 상기 침전물배출구덮개(630)를 닫아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이와 반대로 유입구(210)로부터 더 이상 우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면, 상기 유입구덮개(620)의 자중에 의하여 유입구덮개(620)가 닫히게 되어 연결줄(610)을 당기게 된다. 이어, 상기 유입구덮개(620)가 닫혀 연결줄(610)이 당겨짐으로서 침전물배출구덮개(630)에 연결된 연결줄(610)도 당겨지게 되어 침전물배출구덮개(630)는 열리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rainwater is no longer introduced from the
즉, 상기 회전롤러(600)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줄(610)에 의하여 덮개가 열리고 닫힐 수 있어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침전물배출구덮개(63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cove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우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되면 항상 침전물배출구덮개(630)가 열려있는 상태가 되고, 침전조(200)에는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어 동절기시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존하는 우수에 의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When rainwater is no longer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the sediment
이와 같이 침전조(200)에 형성된 돌출턱(500)과 침전물배출구(510) 그리고 회전롤러(600)에 권취된 연결줄(610)과 상기 연결줄(610)에 연결된 유입구덮개(620)와 침전물배출구덮개(630)에 의하여 침전조(200)에는 항상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되며, In this way, the
상기 오일흡착조(300)에는 제1격벽(240)과 제2격벽(340)의 하부에 형성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거름받침판(320)과 제2격벽(340)에 통공된 유출공(330)에 의하여 항상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되며, The
상기 필터여과조(400)에는 제2격벽(340)과 몸체(110)의 타측벽면의 하부에 형성된 정화받침판(420)과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상단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유로홈(460)과 상기 정화받침판(420)의 하단에 형성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판(440)에 의하여 물이 배출구(410)로 모두 배출되게 됨으로써,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의 내부에는 항상 물이 배출되어 고여 있지 않아 악취를 제거 할 수 있음은 물론 동절기시 발생하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도 1은 종래 비점오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고,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removal apparatus,
도 2는 종래 비점오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removal dev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여주는 일부절개 사시도이고,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n-point sourc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5d는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5a to 5d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6a and 6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110 : 몸체100: non-point source reduction device 110: body
200 : 침전조 210 : 유입구200: sedimentation tank 210: inlet
220 : 거름벽 230 : 거름망220: sieve 230 230: sieve
240 : 제1격벽 300 : 오일흡착조240: first partition 300: oil adsorption tank
310 : 오일필터 320 : 거름받침판310: oil filter 320: manure support plate
330 : 유출공 340 : 제2격벽330: outflow hole 340: second bulkhead
400 : 필터여과조 410 : 배출구400: filter filtration tank 410: outlet
420 : 정화받침판 430 : 결합홈420: purification plate 430: coupling groove
440 : 경사판 450 : 정화필터440: inclined plate 450: purification filter
460 : 유로홈 500 : 돌출턱460: Euro groove 500: protruding jaw
510 : 침전물배출구 600 : 회전롤러510: sediment discharge outlet 600: rotary roller
610 : 연결줄 620 : 유입구덮개610: connecting line 620: inlet cover
630 : 침전물배출구덮개630: sediment outlet cov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397U KR200459753Y1 (en) | 2008-12-10 | 2008-12-10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397U KR200459753Y1 (en) | 2008-12-10 | 2008-12-10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204U KR20100006204U (en) | 2010-06-18 |
KR200459753Y1 true KR200459753Y1 (en) | 2012-04-16 |
Family
ID=4445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6397U KR200459753Y1 (en) | 2008-12-10 | 2008-12-10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753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8819A (en) | 2013-07-19 | 2013-08-08 | 한민섭 | Eco-friendly method to clean polluted river water using multi-functional rope-operated movable beams that naturally form fisheries and its operation system |
KR20130089629A (en) | 2013-07-23 | 2013-08-12 | 한민섭 | An eco-friendly method that cleans contaminated river water cleanly using a multifunctional movable beam that uses a rope-operated water purification system while the fishery that naturally restores the natural ecosystem is formed and the operating system applied to it. |
KR20140133489A (en) | 2014-09-15 | 2014-11-1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facility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Railway Facilities |
WO2016163581A1 (en) * | 2015-04-06 | 2016-10-13 | (주)거도 | Oil/water separation pack for maritime oil spill recovery device and oil/water separation device using same |
EP3608294A1 (en) * | 2018-08-10 | 2020-02-12 | Stephen Marsh Boyer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045B1 (en) * | 2011-08-26 | 2014-01-21 | 남기윤 |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with control function |
KR101353039B1 (en) * | 2011-08-26 | 2014-01-21 | 남기윤 |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
KR101143866B1 (en) * | 2011-12-07 | 2012-05-09 | 한우승 | Nonpoint pollution purify apparatus |
KR101501925B1 (en) * | 2014-06-20 | 2015-03-12 | 동양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Street inlet having function of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
KR101725527B1 (en) * | 2014-11-25 | 2017-04-11 | 동양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Street inlet having function of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
KR101635595B1 (en) * | 2015-12-30 | 2016-07-01 |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 Trees filter box of Low Impact Development with pretreatment filtration facilit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9598A (en) * | 1999-07-12 | 2001-02-05 | 류재근 | Sludge Separation in Aeration Tank Type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KR100783048B1 (en) | 2007-08-27 | 2007-12-07 |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 A equipment for nonpoint pollution source |
KR100849017B1 (en) | 2008-05-06 | 2008-07-30 | 구석본 | Filtering device |
KR100862740B1 (en) | 2008-06-19 | 2008-10-16 |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two-stage swirl and filtering type |
-
2008
- 2008-12-10 KR KR2020080016397U patent/KR20045975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9598A (en) * | 1999-07-12 | 2001-02-05 | 류재근 | Sludge Separation in Aeration Tank Type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KR100783048B1 (en) | 2007-08-27 | 2007-12-07 |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 A equipment for nonpoint pollution source |
KR100849017B1 (en) | 2008-05-06 | 2008-07-30 | 구석본 | Filtering device |
KR100862740B1 (en) | 2008-06-19 | 2008-10-16 |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two-stage swirl and filtering typ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8819A (en) | 2013-07-19 | 2013-08-08 | 한민섭 | Eco-friendly method to clean polluted river water using multi-functional rope-operated movable beams that naturally form fisheries and its operation system |
KR20130089629A (en) | 2013-07-23 | 2013-08-12 | 한민섭 | An eco-friendly method that cleans contaminated river water cleanly using a multifunctional movable beam that uses a rope-operated water purification system while the fishery that naturally restores the natural ecosystem is formed and the operating system applied to it. |
KR20140133489A (en) | 2014-09-15 | 2014-11-1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facility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Railway Facilities |
WO2016163581A1 (en) * | 2015-04-06 | 2016-10-13 | (주)거도 | Oil/water separation pack for maritime oil spill recovery device and oil/water separation device using same |
EP3608294A1 (en) * | 2018-08-10 | 2020-02-12 | Stephen Marsh Boyer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WO2020030883A1 (en) * | 2018-08-10 | 2020-02-13 | Stephen Marsh Boyer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204U (en) | 201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9753Y1 (en)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0949325B1 (en) | The reduction apparatus nonpoint pollution sources being able to adopt at the front of the water storing place | |
KR101381402B1 (en) | Early rainwater exclusion apparatus | |
KR100984676B1 (en) | Apparatus for drai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0896015B1 (en) | Non-point source decrease equipment | |
KR200431389Y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101003477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
KR100524151B1 (en) |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
KR100913315B1 (en) |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1013091B1 (en) | Purification structure for rainwater | |
KR100784496B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20150114224A (en) | infiltration institution of rainwater in rainwater treatment | |
KR20120022028A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582931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KR100904287B1 (en) | Combined Sewer Overflow System | |
KR100814790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 |
KR100638526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unoff | |
KR101339455B1 (en) | Rainwater storage apparatus using multi separation | |
KR101714397B1 (en) | Appratus of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for the bridge | |
KR101085199B1 (en) | Floating removal and filtering system of branch stream | |
KR101764398B1 (en) |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 |
KR200446515Y1 (en) | A radial shape primary stag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 |
KR101203059B1 (en)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134311B1 (en) | Road trap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