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475B1 -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475B1
KR100713475B1 KR1020040110732A KR20040110732A KR100713475B1 KR 100713475 B1 KR100713475 B1 KR 100713475B1 KR 1020040110732 A KR1020040110732 A KR 1020040110732A KR 20040110732 A KR20040110732 A KR 20040110732A KR 100713475 B1 KR100713475 B1 KR 10071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layer
mode
ethernet
ethernet physical
lay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755A (ko
Inventor
손성일
정도영
오윤제
박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4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을 자동으로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에서, TX 모드로 동작하는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FX 모드로 동작하는 F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TX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하여 상기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한 후, 광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면 FX 모드로 변환됨을 인지하여 상기 F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는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더넷 물리 미디어 장치, 미디어 컨버터, 이더넷 파이.

Description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ETHERNET PHYSICAL LAYER AUTOMATICALLY}
도 1은 일반적인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에서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을 자동으로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AN에 대한 IEEE 802.3 기준을 흔히 이더넷이라 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s), 허브, 브릿지, 라우터 및 스위치와 같은 다양한 통신 장치 제 품들이 LAN에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IEEE 802.3 기준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 의해 정의된다. 이 모델은 데이터 통신 모델을 계층에 의해 정의한다. OSI 모델에 포함되는 계층들은 (1) 전송 매체의 전기 및 코딩 특성을 특정하는 물리 계층(PHY); (2)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3) 네트워크에서 통신되는 데이터의 소스 및 목적지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계층들이다. 다른 층들에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인 전달 계층및 워드 프로세서 또는 스프레드 시트 응용과 같은 응용 계층이 포함된다.
더 높은 데이터 통신 속도를 위한 802.3 기준의 부록은 흔히 고속 이더넷이라 불리우는 802.3u이다. 이 기준은 100BASE-TX(카테고리 5 데이터 등급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링을 위한), 100BASE-FX(광섬유 케이블링을 위한) 및 100BASE-T4(카테고리 3 음성 등급 UTP를 위한)를 포함하는 수개의 물리 계층(PHY) 스펙(specificat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PHY 스펙 각각은 그 나름대로의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100BASE-TX는 100BASE-T4보다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TP 케이블이 더 적게 필요하지만, 100BASE-TX에 대해서는 카테고리 5UTP 케이블링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100BASE-T4가 전화 시스템을 대신하여 현존하는 카테고리 3 UTP 케이블을 갖는 장소에 더 적절하다. 또한, 100BASE-FX에 사용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은 특히, UTP 케이블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UTP 케이블 보다 더 비싼 경향이 있지만, 광섬유 케이블은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더 큰 거리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100BASE-TX 또는 100BASE-T4는 빌딩 내의 LAN 세그먼 트에 대해서는 적절한 선택이 되겠지만, 빌딩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100BASE-FX가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링은 구리 도체보다 더 전기 잡음에 강한 면역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100BASE-FX가 전기적으로 잡음이 많은 환경에 대해서는 적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 LAN은 하나 이상 타입의 전송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802.3u 기준은 또한 물리 계층(PHY) 및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사이의 매체-독립 인터페이스(MII)에 대한 스펙도 포함한다. 따라서, 고속 이더넷 네트워크에 대한 브릿지는 서로 다른 PHY 계층에 대한 서로 다른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각 PHY 계층은 MII 스펙에 따라 브릿지 MAC 계층과 통신한다. 고속 이더넷은 두 방향(완전 이중 통신(duplex) 방식)으로의 동시 통신을 위한 가능성을 포함한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이더넷 LAN에 있는 전송 매체를 통해 직렬로 통신되는 반면에, MII 스펙은 병렬 데이터 통신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고속-이더넷 트랜시버는 통상적으로 직렬-병렬 변환을 수행한다.
한편, 현재 이더넷 스위치 또는 이더넷 종단장치의 경우 외부장비의 인터페이스가 달라 질 경우 미디어 컨버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이더넷 스위치 또는 이더넷 종단장치의 포트 즉, 전송선로를 UTP 케이블(cable)을 사용하는 100BASE-TX/1000BASE-TX 모드로 설정을 하거나, 광 테이블(optical cable)을 사용하는 100BASE-FX/1000BASE-FX 모드로 설정할 경우 미디어 컨버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은 일반적인 이더넷 물리 계층(Ethernet physical layer) 변환 회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더넷 물리 계층 칩(Ethernet PHY chip)의 경우 이더넷 스위치나 프로세서에 연결하게 될 경우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II), RMII(Reduced MII), RGMII(Reduced GMI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또한, 일반적인 이더넷 물리 계층 칩들은 TX모드와 FX 모드를 동시에 지원한다. 이때, TX 모드로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FX 모드로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둘 중의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TX 모드의 경우 단지 TX 모드로 사용할 것인가 만을 결정하면 되고, FX 모드의 경우 TX/FX 모드를 결정한 후 광 전송기(106)의 시그널 감지(SD : signal detection) 신호를 감지하여 광 전송기(106)에 광신호가 감지될 경우에 동작하거나 이더넷 파이 칩(Ethernet PHY chip)(104)에서 SD 신호를 강제적으로 인식한 상태로 만들어 놓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도 1과 같이 개별 TX와 F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구조로 사용해야하는데 TX를 사용하다가 F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신호를 광으로 바꾸어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미디어 컨버터를 사용해야만 한다.
즉, 이더넷 물리 미디어 계층을 설계하게 될 경우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가 다르게 되면 미디어 컨버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되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더넷 물리 미디어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더넷 물리 계층 장치에서 100BASE-TX/1000BASE-TX 모드로 동작중 100BASE-FX/1000BASE-FX를 가지는 기기를 연결하게 될 경우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여 해당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 미디어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에 있어서, TX 모드로 동작하는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FX 모드로 동작하는 F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TX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하여 상기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한 후, 광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면 FX 모드로 변환됨을 인지하여 상기 F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는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방법에 있어서, TX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하여 상기 TX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과, 광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면 FX 모드로 변환됨을 인지하여 상기 FX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 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더넷 물리 미디어 계층을 100(1000)BASE-TX 와 100(1000)BASE-FX 모드를 종단장치에 UTP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의 전송선로가 연결 될 경우 자동으로 변환해 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즉, 이더넷 물리 미디어 계층 장치에서 전송선로의 특성이 다를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모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에 따라 이종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자동 변환시키기 위한 이더넷 물리 계층 자동 변환 장치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회로이다.
상기한 도 2를 참조하면,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이더넷 물리 계층을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 두 개의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 210)와 하나의 물리 계층 선택부(202)로 구성된다. 여기서 물리 계층 선택부(202)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 210)와 물리 계층 선택부(202)는 MII, GMII, RMII, RGMII, TBI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각각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더넷 스위치(200)나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프로세서 및 기타 응용 칩에 연결된다.
또한, FX 모드로 동작하게 될 이더넷 물리 계층부(210)의 신호 검출핀(SD)은 광 전송기(212)와 물리계층 선택부(202)와 연결되고, TX/FX 모드 변환 핀과 파워 다운(PWRDWN : POWER DOWN)핀은 물리계층 선택부(202)에 연결된다.
한편, TX 모드로 동작되게 될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는 TX/FX 모드 변환 핀과 PWRDWN핀이 물리계층 선택부(202)에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 210)들 중 PWRDWN 기능이 없는 칩을 사용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경우에는 물리계층 선택부(202)와 패스를 연결하지 않고 사용하여도 된다.
그러면, 상기의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이더넷 물리 계층을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서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에서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300단계에서 TX 모드와 FX 모드 중 TX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한다. 300단계와 같이 TX 모드로 설정되면 TX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는 이 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의 인터페이스 채널 1단자를 통하여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와 연결된다. 그러면, 302단계에서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10)는 파워-다운(power-down) 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304단계에서 FX 모드로 변환이 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FX 모드로의 변환은 광신호가 검출될 시 신호 검출 SD 신호를 통해 감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광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방법을 사용하였지만, 만약, 광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기계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더넷의 전송선로의 따른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FX 모드로 변환이 되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광 전송선로를 광 전송기(212)에 연결한다. 이후 308단계에서 광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308단계에서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에서 광 전송기(21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됨이 인지되면 310단계로 진행한다. 310단계에서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는 프로세서 또는 이더넷 스위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이더넷 채널단자 1과의 연결을 끊고, 이더넷 채널단자 2를 통해 FX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10)와 연결한다.
이후, 312단계에서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10)의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고,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의 파워-다운 모드를 설정한 후 304단계로 진행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하지 않는 모드의 이더넷 물리 계층부는 파워-다운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이더넷 물리 계층부에서 파워-다운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에서 출력되는 파워-다운을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 하지 않거나 기계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작되지 않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상기와 같이 FX 모드로 동작하다가 304단계 검사결과 TX 모드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FX 모드로 동작되는 광 전송기(212)에 연결된 광 케이블을 제거하게 될 경우이므로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는 SD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314단계로 진행하여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202)는 이더넷 채널 단자 2와의 연결을 끊고 이더넷 채널 단자 1과 연결함으로써 TX 모드로 동작될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316단계로 진행하여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04)의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고,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210)를 파워-다운 모드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서 자동으로 TX 모드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더넷 물리 계층이 UTP 케이블을 전송선로로 사용하는 100(1000)BASE-TX 모드에서 광 케이블을 전송선로로 사용하는 100(1000BASE)-FX 모드로 또는 100(1000BASE)-FX 모드에서 100(1000)BASE-TX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더넷 물리 계층 100(1000)BASE-TX 와 100(1000)BASE-FX 모드를 종단장치에 UTP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의 전송선로가 연결 될 경우, 해당되는 이더넷 물리 계층으로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전송선로의 특성이 다를 경우 미디어 컨버터를 사용하였던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장치에 있어서,
    TX 모드로 동작하는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FX 모드로 동작하고, 광 신호 검출을 위한 신호 검출핀을 구비하는 F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TX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하여 상기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한 후, 상기 신호 검출핀을 통해 광신호 검출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면 FX 모드로 변환됨을 인지하여 상기 F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TX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하는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가,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면, 상기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선택부가,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면, 상기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4. 외부 연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TX/FX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더넷 물리계층 변환방법에 있어서,
    TX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하여 상기 TX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과,
    광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면 FX 모드로 변환됨을 인지하여 상기 FX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는지에 대한 검사 결과 상기 광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TX 모드로 동작될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면, 상기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와 상기 이더넷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면, 상기 T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FX 모드로 동작하는 이더넷 물리 계층부의 파워-다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방법.
KR1020040110732A 2004-12-22 2004-12-22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71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32A KR100713475B1 (ko) 2004-12-22 2004-12-22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32A KR100713475B1 (ko) 2004-12-22 2004-12-22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755A KR20060071755A (ko) 2006-06-27
KR100713475B1 true KR100713475B1 (ko) 2007-05-02

Family

ID=3716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732A KR100713475B1 (ko) 2004-12-22 2004-12-22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131A (ko) * 2006-05-30 2007-12-05 옵시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선로 감시 데이터의 이더넷 정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213A (ko) * 2001-07-26 2003-02-07 아라이도테레시스 가부시키가이샤 미디어 컨버터와 이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213A (ko) * 2001-07-26 2003-02-07 아라이도테레시스 가부시키가이샤 미디어 컨버터와 이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755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3601B2 (ja) 自動ネゴシエーションに基づき自動設定する送受信器
US6072803A (en) Automatic communication protoco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ystems
US7496671B2 (en)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s module adaptive to different host system types
KR100420708B1 (ko)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멀티포트 랜 스위치
US6434716B1 (en) Network link tester device configured to selectively and automatically couple to a network transmit pair line or a node transmit pair line of a LAN port and determine available operational modes
US6175556B1 (en) Remote powered ethernet repeater
US9686598B2 (en) Power over ethernet electrical to optical interface converter
US20070147354A1 (en) Local area network
US5648984A (en) Multidirectional repeat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electrically isolated and/or physically different signal transmission media
US6965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tibility between different transceivers in a multi-pair communication system
US6272552B1 (en) Dual channel 100Base-T link for computer networks
JP2011523541A (ja) 長距離通信イーサネットシステムおよびリレー
CN101741721A (zh) 一种联网方法及系统
US20070047525A1 (en) Local area network
EP0853403A2 (en) Carrier extension for ethernet networks
US20040247313A1 (en) Media converter
US7428599B2 (en) Method for detecting link partner state during auto negotiation and switching local state to establish link
US6880078B2 (en) Xaui extender card
KR100713475B1 (ko) 이더넷 물리계층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
JP2008160197A (ja) 加入者宅側光回線終端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5585876B2 (ja) メディアコンバータ、スイッチングハブ、及びオートネゴシエ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13416B1 (ko) 복수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리피터 장치 및 그장치에서의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제어 방법
US8543844B2 (en) Inline power control
CN110752957B (zh) 以太网控制自动化网络节点及其报文分析设备
US7627002B1 (en) Mechanism for deploying an access point within a WLAN using a single interconn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