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208B1 - 야간조명 펜스 - Google Patents

야간조명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208B1
KR100713208B1 KR1020050059672A KR20050059672A KR100713208B1 KR 100713208 B1 KR100713208 B1 KR 100713208B1 KR 1020050059672 A KR1020050059672 A KR 1020050059672A KR 20050059672 A KR20050059672 A KR 20050059672A KR 100713208 B1 KR100713208 B1 KR 100713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ence
diffuse reflection
semi
n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236A (ko
Inventor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to KR102005005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2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미관이 향상된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멍들이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구멍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등;을 구비한 야간조명 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야간조명 펜스 {illuminated fence}
도 1 은 종래의 펜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Ⅳ방향으로 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 은 제5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제5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 은 제5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플레이트 12: 중앙부
12a: 구멍 12b: 미세공
40: 조명등 160, 260, 460: 반투과막
360: 난반사막 165, 265, 365, 465: 그림
본 발명은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축공사현장, 도로공사현장 등의 주변을 둘러싸는데에 사용되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10-259664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 펜스는 지지블럭(2)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틀(1)을 구비하고, 이 지지틀 내에는 차폐판(3)이 고정된다. 차폐판(3)에는 구멍(5)들이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서 펜스의 미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멍(5)들을 통해 바람이 소통될 수 있어서 강풍에 의해서 펜스가 넘어지는 것이 저지되기도 한다. 미세공(4)은 구멍(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의 바람이 소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펜스의 경우에는, 야간에 있어서의 미관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야간 미관이 향상된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멍들이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구멍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등;을 구비한 야간조명 펜스를 제공한다.
상기 플레이트와 조명등 사이에는 반투과막이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반투과막은 경사버팀대, 및 경사버팀대와 반투과막을 매개하는 기구물에 의하여 세워지거나, 또는 그에 고정된 걸림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반투과막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빛에 반투과막 자체의 색과는 다른 색을 부가하는 염료가 입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투과막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부의 후면 또는 전면에는 구멍을 차폐하는 반투과막이 부착될 수 있는데, 그 반투과막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빛에 반투과막 자체의 색과는 다른 색을 부가하는 염료가 입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반투과막에는 중앙부에 형성된 미세공과 대응되는 미세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멍들이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된 난반사막; 및 상기 플레이트와 난반사막 사이에 배치되고, 난반사막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등;을 구비한 야간조명 펜스를 제공한다.
상기 난반사막은 경사버팀대, 및 경사버팀대와 난반사막을 매개하는 기구물에 의하여 세워지거나, 또는 그에 고정된 걸림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걸리고 조명등은 플레이트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난반사막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빛에 난반사막 자체의 색과는 다른 색을 부가하는 염료가 입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난반사막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경사버팀대 및 경사버팀대와 플레이트를 매개하는 기구물에 의하여 세워질 수 있고, 인접한 다른 플레이트와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의 면적은 1mm2 내지 100c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구멍의 면적의 1/100 내지 1/3의 면적을 갖는 미세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90)는 적어도 한 개의 플레이트(10) 및 상기 플레이트(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조명등(40)을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제조되고, 차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부(12)를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다른 플레이트와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부들(11, 13)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부(12)와 단부들(11, 13)이 절곡에 의하여 구분되지만, 반드시 이러한 절곡에 의하여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의 각 부분들 중 차폐의 기능을 하는 부분은 중앙부(12)이며, 인접한 다른 플레이트와의 연속성 을 확보하는 부분은 단부(11, 13)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제1단부(11)와 제2단부(13)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인접한 플레이트(10)들 간의 연속성(X,-X방향으로의 연속성)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각 단부들(11, 13)의 끝은 Y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고정구(25)의 갈고리 형상을 가진 끝부분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12)에는 구멍(1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0)가 금속판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멍(12a)이 펀칭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용도 하에서는 그 구멍의 면적이 1mm2 내지 100cm2 정도이지만, 이것은 플레이트(10)의 크기, 펜스의 용도 기타 다른 설계요건들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멍(12a)의 모양이 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멍(12a)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별모양, 'S'자형, 기타 임의의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의 중앙부(12)에 형성된 구멍(12a)들은 동물(예를 들어, 새), 식물, 풍경, 인공물(예를 들어, 가로등) 기타 임의의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나무)을 구성하는데, 이로써 펜스의 미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펜스(90)의 횡방향(Y,-Y방향)으로의 통풍이 향상되어 강풍에도 펜스(90)가 넘어지지 않고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강풍에 대한 펜스의 저항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중앙부(12)에 구멍(12a)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공(12b)들을 더 형성할 수 있 다. 이 미세공(12b)들은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구멍(12a)들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방해하지는 않도록 작으면서도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구멍(12a)의 면적의 1/100 내지 1/3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 에는 미세공(12b)들이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상하방향(Z, -Z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바람에 의한 힘이 중앙부(12)의 윗부분 또는 아랫부분에 강하게 가해져서 플레이트(10)가 강한 회전모멘트를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멍(12a)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에 미세공(12b)들을 많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구멍(12a)들의 배치에 있어서도 고려할 사항으로서, 구멍(12a)들은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상하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10)는 경사버팀대(30), 및 경사버팀대와 플레이트를 매개하는 각종 기구물들에 의하여 세워지는데, 아래에서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플레이트(10)의 제1단부(11)와 제2단부(13)의 끝부분(Y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은 고정구(25)의 갈고리 형상을 가진 단부(Y방향의 끝부분)에 걸리고, 상기 고정구(25)는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하여 가로버팀대(20)에 지지된다. 상기 가로버팀대는 플레이트(10)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0)의 상측에 배치된 가로버팀대(20)는, 두개의 클램프(35)들이 서로 결합된 클램프 연결체(35)에 의하여 경사버팀대(30)에 지지됨으로써 그 높이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10)의 하측에 배치된 가로버팀대(20)는, 도 2 에 도시되지 않은 짧은 길이의 경사버팀대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고, 벽돌로서 지지 될 수도 있으며, 고정구(25)의 볼트 체결을 강하게 함으로써 플레이트(10)에 지지될 수도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는 고정구(25), 가로버팀대(20), 클램프 연결체(35) 등과 같은 기구물들과 경사버팀대(30)에 의하여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상기 기구물들과 경사버팀대(30)는 플레이트(10)를 지면에 세우기 위한 각종 수단들 중의 일 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이 상기 기구물들과 경사버팀대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레이트(10)의 후방(-Y방향)에는 조명등(40)이 배치되는데, 이 조명등은 플레이트 중앙부(12)에 형성된 구멍(12a)들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임의의 것이면 되므로, 본 발명이 백열등,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야간에 상기 조명등(40)에 의하여 조사된 빛은 상기 구멍(12a)들을 통하여 플레이트(10)의 전방(Y방향)으로 진행하는 바, 공사장(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Y방향에 있는 공간) 주변을 지나는 사람은 그 빛으로 형성되는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나무)을 보고 미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90)가 도로변에 설치된 경우에는,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확실히 알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위험성도 현저히 저감된다는 장점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효과는 종래의 펜스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19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190)는 플레이트(10)와 조명등(40) 사이에 배치된 반투과막(160)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구분된다. 이는 조명등(40)에서 방출된 빛이 플레이트의 구멍(12a)을 통해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인접해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눈에 직접 닿는 경우에, 눈부심으로 인하여 보행자가 불쾌할 수 있다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반투과막(160)은 종이(예를 들어, 기름종이), 얇은 천, 얇은 합성수지 등과 같이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하는 소재로 형성된 막인데, 광투과율이 반드시 50%인 것은 아니며, 광투과율은 필요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투명하다고 인정되는 막(예를 들어 광투과율이 70% 이상인 막)에 후술되는 그림(165)을 부가함으로써 그 막이 실질적으로 반투과성을 띠게 되는 경우에는, 그 막도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160)에 해당된다.
반투과막(160)은 플레이트(10)를 세우는 수단과 유사한 수단에 의하여 세워지는데, 즉 가로버팀대(120), 클램프 연결체(135), 경사버팀대(130), 세로버팀대(150) 등의 기구물들에 의하여 세워지도록 지지된다.
반투과막(160)이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가로버팀대(12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과막에는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체결구들이 고정될 수 있다. 즉, 반투과막(160)의 전면(Y측 면)에 고정된 제1체결구(161)의 고리에 반투과막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된 제2체결구(162)의 갈고리가 걸림으로써, 반투과막 (160)이 가로버팀대(120)에 걸릴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막(160)들이 서로 간극(160a)을 두고 배치되면 강풍 등에 의하여 반투과막(160)과 이를 지지하는 기구물들이 넘어질 위험이 적게 되어 바람직한데, 반투과막(160)에 미세공(160b)들이 형성되면 이와 같은 위험이 더 저감된다.
펜스(190)가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조명등(4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투과막(160)을 통과하면서 은은하게 되고, 그 빛이 플레이트 중앙부(12)에 형성된 구멍(12a)들을 통과하여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있는 관찰자에게 보임으로써 눈부심이 방지되고 미관도 세련되게 된다.
상기 반투과막(160)이 전체적으로 단일의 색을 띠는 경우에는, 플레이트(10)의 전방에서 볼 때 한가지의 색을 가진 모양(나무 모양)이 보이게 되는데, 이로써도 펜스(190)의 야간 미관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그 빛에 색을 입히면 미관이 다채로워짐으로써 더 향상된다.
상기 빛에 색을 입히는 수단으로서, 반투과막(160)의 적어도 일부에 반투과막 자체의 색과는 다른 색을 갖는 염료를 입히는 방안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12a)들이 나무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반투과막(160)에 전체적으로 나무의 형상으로 그림(165)을 그리되, 그 상부(165a)에는 나뭇잎색을 대표하는 녹색의 염료를 입히고, 그 하부(165b)에는 갈색의 염료를 입힌다. 상기 녹색과 갈색의 염료는 빛을 지나치게 차단하지 않도록 얇게 도포되거나 또는 묽은 상태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투과막(160)에 녹색과 갈색의 염료를 입히면, 야간에 보이는 나무의 형상이 실제의 나무와 유사하게 보여서 미관이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3 에는 상기 염료들이 플레이트 중앙부(12)에 형성된 구멍(12a)들의 배치 형태와 유사하게 반투과막(160)에 입혀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반투과막을 아래위로 양분하여 상측에는 녹색 염료를, 하측에는 갈색 염료를 입혀도 전술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 에는 상기 염료들이 반투과막(160)의 전면(Y측 면)에 도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빛이 반투과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에 색이 입혀지는 것이므로, 염료들은 반투과막(160)을 후면(-Y측 면)에 도포되어도 된다. 한편, 주간에 보행자에게 보이는 펜스(190)의 외관과 야간에 보행자에게 보이는 펜스(190)의 외관을 원하는 대로 결정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서 반투과막(160)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염료를 도포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실시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1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를 참조하되 제2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29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290)는 반투과막(260)이 그에 고정된 걸림 부재들(210, 220)에 의하여 플레이트(10)에 걸린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구분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190)는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반투과막(160)의 설치를 위해서 가로버팀대(120)들, 경사버팀대(130), 세로버팀대(150) 등을 설치해야 하는 등, 설치에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투과막(260)에는 제1걸림부재(210)와 제2걸림부재(220)가 고정됨으로써 그 전체가 반투과막 결합체(200)를 구성하고, 이 반투과막 결합체(200)가 상기 플레이트(10)에 직접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반투과막(260)이 플레이트(1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도시된 제1걸림부재(210)의 하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좌측에 인접한 플레이트의 제2단부(13)의 최상측에 하향으로 걸리고, 우측에 도시된 제1걸림부재(210)의 하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우측에 인접한 플레이트의 제1단부(11)의 최상측에 하향으로 걸리며, 좌측에 도시된 제2걸림부재(220)들은 좌측에 인접한 플레이트의 제2단부(13)에 측방향으로 걸리고, 우측에 도시된 제2걸림부재(220)들은 우측에 인접한 플레이트의 제1단부(11)에 측방향으로 걸린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플레이트(10)마다 반투과막 결합체(200)를 설치하기 위해서, 좌우측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부재(220)들이 수평선(H1, H2)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반투과막(260) 중 제2걸림부재(22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인입부(260a)가 형성되어 인접한 반투과막 결합체의 제2걸림부재(220) 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걸림부재(210)의 두께도 지나치게 두껍지 않게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입부(260a)가 제1걸림부재(210)와 제2걸림부재(220) 사이 및 수직으로 배치된 제2걸림부재(220)들 사이에 길게 형성되었는데, 이는 이를 통하여 통풍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펜스(290)가 강풍에 넘어질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펜스(290)의 강풍에 대한 저항력을 더 높이기 위하여 반투과막(260)에 미세공(260b)들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투과막(260)은 전체적으로 단일의 색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반투과막(260)에 염료를 입힘으로써 보다 다채로운 야간조명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260)에 염료를 입힘으로써 그려지는 그림(265), 그림의 상부(265a), 및 그림의 하부(265b)에 관한 사항은 제2실시예의 그림(165), 그림의 상부(165a), 및 그림의 하부(165b)에 관한 사항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290)에 있어서는, 반투과막(260)을 포함하는 반투과막 결합체(200)를 플레이트(10)에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여 그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측의 사고로 인하여 찢어진 반투과막을 교체하거나 또는 다른 색의 그림이 그려진 반투과막(260)을 채택하고자 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이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260)은 플레이트(10)와 매우 인접하도록 배치되 기 때문에, 주간 및 야간에 플레이트(10)의 전방(Y측 방향)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구멍(12a)을 통해 플레이트(10)의 후방(-Y측 방향)이 보이더라도, 반투과막(260)만이 보이고, 경사버팀대(130) 등과 같은 구조물이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미관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도 있다.
그 밖에 본 실시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2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을 참조하되 제2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39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390)는 플레이트(10)의 후방에 난반사막(360)이 배치되고, 플레이트(10)와 난반사막(360) 사이에 난반사막(360)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40)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구분된다.
난반사막(360)은 종이, 얇은 천, 얇은 합성수지 등과 같이 조사된 빛의 일부가 난반사되는 소재로 형성된 막인데, 이것은 제2실시예의 반투과막(160)과 같이 가로버팀대(120), 클램프 연결체(135), 경사버팀대(130), 세로버팀대(150) 등의 기구물들에 의하여 세워지도록 지지된다.
난반사막(360)들이 서로 간극(360a)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강풍 등에 의하여 난반사막(360)과 이를 지지하는 기구물들이 넘어질 위험이 적게 되며, 난반사막(360)에 미세공(360b)들이 형성되면 이 위험이 더 저감된다.
조명등(4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난반사막(360)에 의하여 난반사되면서 은은 하게 되고, 그 은은해진 빛이 플레이트 중앙부(12)에 형성된 구멍(12a)들을 통과하여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있는 관찰자에게 보임으로써 눈부심이 방지된다.
상기 난반사막(360)이 전체적으로 단일의 색을 띠는 경우에는, 플레이트(10)의 전방에서 볼 때 한가지의 색을 가진 모양(나무 모양)이 보이게 되는데, 이로써도 펜스(390)의 야간 미관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그 빛에 색을 입히면 미관이 더 향상된다.
난반사막(360)에 염료를 입힘으로써 그려지는 그림(365), 그림의 상부(365a), 및 그림의 하부(365b)에 관한 사항은 제2실시예의 그림(165), 그림의 상부(165a), 및 그림의 하부(165b)에 관한 사항과 유사하다. 다만, 제2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그림(365)은 난반사막(360)의 전면(Y측 면)에 그려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등(4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난반사막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난반사막에서 반사되면서 빛에 색이 입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상적으로 투명하다고 인정되는 막(예를 들어 광투과율이 70% 이상인 막)의 전면 또는 후면에 그림(365)을 부가함으로써 그 막이 실질적으로 난반사성을 띠게 되는 경우에는, 그 막도 본 실시예의 난반사막(360)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실시예와 본 실시예가 조합된 형태를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난반사막(360)이 제3실시예에서 설명된 걸림부재들에 의하여 플레이트(10)에 걸리고, 조명등(40)은 난반사막(360)과 플레이트(10) 사이에 개재되며, 조명등은 난반사막(360)에 빛을 조사한다. 이 경우 도 6 에 도시된 것 과 같은 대형 조명등(40)은 난반사막(360)과 플레이트(10) 사이에 개재되기 어려우므로, 이것은 플레이트(10)의 후면(-Y측 면)에 지지된 여러개의 소형 조명등들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소형 조명등으로서는 발광다이오드가 채택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2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을 참조하되 제2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49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490)는 플레이트 중앙부(12)의 후면(-Y측 면)에 구멍(12a)을 차폐하는 반투과막(460)이 부착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구분된다.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460)이 조명등(40)에서 방출된 빛이 보행자의 눈에 직접 닿음으로써 발생되는 눈부심을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제2실시예의 반투과막(160)과 동일하지만, 반투과막(160)을 세우기 위한 가로버팀대(120), 클램프 연결체(135), 경사버팀대(130), 세로버팀대(150) 등의 기구물들이 필요없다는 점이 제2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는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460)이 접착제 등에 의하여 플레이트 중앙부(12)의 후면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인데, 이로써 실질적으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펜스(490)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490)에 있어서, 플레이트 중앙부(12)에 미 세공(12b)을 뚫어서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함으로써 강풍에도 펜스(49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반투과막(460)에도 상기 미세공(12b)에 대응되도록 미세공(460b)이 형성되어야 바람이 미세공들(12b, 460b)을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야간조명 펜스(490)가 강풍에 의한 힘을 적게 받게 되어 강풍에도 잘 넘어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460)은 플레이트(10)의 후면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주간 및 야간에 플레이트(10)의 전방(Y측 방향)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구멍(12a)을 통해 플레이트(10)의 후방(-Y측 방향)이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미관향상에 도움이 된다.
한편, 상기 반투과막(460)은 전체적으로 단일의 색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반투과막의 전면에 염료를 입힘으로써 보다 다채로운 야간조명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반투과막(460)의 전면(Y측 면)에 염료를 입힘으로써 그려지는 그림(465), 그림의 상부(465a), 및 그림의 하부(465b)에 관한 사항은 제2실시예의 그림(165), 그림의 상부(165a), 및 그림의 하부(165b)에 관한 사항과 같다.
반투과막(460)의 전면에 염료를 입혀서 플레이트(10)의 후면에 부착하면, 주간에 플레이트(10)의 전방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는 구멍(12a)을 통하여 반투과막(460)의 전면에 입혀진 염료가 보임으로써 구멍(12a)들의 배열 형태에 따른 모양(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나무)가 인식되어 미감을 느끼게 되며, 야간에도 이와 유사한 미감을 느끼게 된다.
그 밖에 본 실시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2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을 참조하되 제5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제5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변형예가 제5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플레이트 중앙부(12)의 후면에 부착되어 구멍(12a)을 차폐하는 반투과막(460)의 전면(Y측 면)이 아닌 후면(-Y측 면)에 염료가 입혀짐으로써 그림(465)이 그려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전면의 색이 회색이고, 반투과막(460) 자체 또는 반투과막의 전면의 색이 옅은 베이지색이며, 그림 상부(465a)의 색은 녹색이고, 그림 하부(465b)의 색이 갈색인 경우, 주간에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있는 보행자에게는 회색바탕에 베이지색의 점으로 그려진 나무가 보이게 되고, 야간에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있는 보행자에게는 어두운 바탕에 점으로 그려지되 상측은 녹색이고 하측은 갈색인 나무가 보이게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야간조명 펜스는, 펜스(490)의 주변환경상, 주간에는 펜스의 외관이 눈에 띄지 않고 야간에는 아름다운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기에 적절한 것이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5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를 참조하되 제5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제5실시예 의 제2변형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변형예가 제5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플레이트 중앙부(12)의 후면(-Y측 면)이 아닌 전면(Y측 면)에 구멍(12a)을 차폐하는 반투과막(460)이 부착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전면의 색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모양(본 실시예에서는, 나무)을 반투과막(460)의 전면에 그려서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주간에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있는 보행자에게 보다 다채로운 외관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단부들(11, 13)이 -Y방향으로 돌출됨에 의하여 반투과막(460)을 플레이트 중앙부(12)의 후면에 부착하는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도, 본 변형예와 같이 반투과막(460)을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5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을 참조하되 제5실시예와 다른 사항을 중심으로 제5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제5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제2변형예가 조합된 것으로서, 후면에 그림(465)이 그려진 반투과막(460)이 플레이트 중앙부(12)의 전면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제5실시예와 구분된다.
본 변형예는, 제1변형예와 같이 주간에는 펜스의 외관이 눈에 띄지 않고 야간에는 아름다운 조명이 필요한 주변환경에 배치된 펜스에 사용되기에 적절하며, 제2변형예와 같이 반투과막(460)을 플레이트 중앙부(12)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5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야간의 미관이 향상된 야간조명 펜스가 제공된다.
또한 도로변에 설치됨으로써 야간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야간조명 펜스가 제공된다.
더욱이, 강풍에도 잘 넘어지지 않는 야간조명 펜스가 제공된다.
나아가, 눈부심이 적고 야간의 미관이 세련된 야간조명 펜스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설치 및 사후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저감되는 야간조명 펜스가 제공된다.
또한 주간의 외관과 야간의 외관이 다른 야간조명 펜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구멍들이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된 난반사막; 및
    상기 플레이트와 난반사막 사이에 배치되고, 난반사막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등;을 구비한 야간조명 펜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막은 경사버팀대, 및 경사버팀대와 난반사막을 매개하는 기구물에 의하여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막은 그에 고정된 걸림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걸리고, 상기 조명등은 플레이트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막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빛에 난반사막 자체의 색과는 다른 색을 부가하는 염료가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막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경사버팀대, 및 경사버팀대와 플레이트를 매개하는 기구물에 의하여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인접한 다른 플레이트와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단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면적은 1mm2 내지 100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구멍의 면적의 1/100 내지 1/3의 면적을 갖는 미세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조명 펜스.
KR1020050059672A 2005-07-04 2005-07-04 야간조명 펜스 KR10071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72A KR100713208B1 (ko) 2005-07-04 2005-07-04 야간조명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72A KR100713208B1 (ko) 2005-07-04 2005-07-04 야간조명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36A KR20070004236A (ko) 2007-01-09
KR100713208B1 true KR100713208B1 (ko) 2007-05-02

Family

ID=3787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72A KR100713208B1 (ko) 2005-07-04 2005-07-04 야간조명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2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21A (ja) * 1994-03-09 1995-09-26 Sekisui Jushi Co Ltd 照明灯付道路柵
JPH0842199A (ja) * 1994-07-27 1996-02-13 Keiichiro Yamazaki 土木建築用付属構造物
JPH0842162A (ja) * 1994-07-27 1996-0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安全柵装置
JPH09317259A (ja) * 1996-05-27 1997-12-09 Nisshin:Kk 透明型欄干に付属するフェンス体
JPH10259664A (ja) 1997-03-18 1998-09-29 Nikko Planning Kk ガードフェンス
JPH1181693A (ja) 1997-09-05 1999-03-26 Niyuucentral Kk 防護用フェンス
JPH1185082A (ja) 1997-09-01 1999-03-30 Nippon Exterior Kenkyusho:Kk 発光性を有する懸架式カラーパネル
JP2005248621A (ja) 2004-03-05 2005-09-15 Nikko Planning Kk ガードフェンス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21A (ja) * 1994-03-09 1995-09-26 Sekisui Jushi Co Ltd 照明灯付道路柵
JPH0842199A (ja) * 1994-07-27 1996-02-13 Keiichiro Yamazaki 土木建築用付属構造物
JPH0842162A (ja) * 1994-07-27 1996-0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安全柵装置
JPH09317259A (ja) * 1996-05-27 1997-12-09 Nisshin:Kk 透明型欄干に付属するフェンス体
JPH10259664A (ja) 1997-03-18 1998-09-29 Nikko Planning Kk ガードフェンス
JPH1185082A (ja) 1997-09-01 1999-03-30 Nippon Exterior Kenkyusho:Kk 発光性を有する懸架式カラーパネル
JPH1181693A (ja) 1997-09-05 1999-03-26 Niyuucentral Kk 防護用フェンス
JP2005248621A (ja) 2004-03-05 2005-09-15 Nikko Planning Kk ガードフェ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36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928B2 (en) Flag lighting apparatus
US20020085380A1 (en) Christmas decorative lighting concealing device
KR100713208B1 (ko) 야간조명 펜스
US20120294010A1 (en) Lighted Multi-Plane Window Well Enhancement System
DE10253343A1 (de) Spannwand oder -decke
GB2215447A (en) Lighting installation
KR102319188B1 (ko) 횡단보도용 양면 표지판
US20140090281A1 (en) Advertising device
US9454920B2 (en) Apparatus for backlighting billboards using indirect light
GB2411512A (en) Illuminated sign with canopy for e.g. bus stop or telephone kiosk.
CN2793235Y (zh) 围栏集成系统
CN211037431U (zh) 一种带隐藏式灯具的幕墙系统
CN206647874U (zh) 便捷拆装的光源隐藏式照明灯
CN205135107U (zh) 一种工程施工用智能化、多功能防护栏
JP4235816B2 (ja) ガードフェンス
CN205824740U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照明结构
KR200170732Y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213649836U (zh) 一种游艇飞桥甲板挡风
CN204895281U (zh) 一种汽车前后牌照统一标准灯板
CN217584168U (zh) 一种波纹护栏的照明引导一体式灯具
CN211256744U (zh) 一种全天候主动式无眩光交通标识牌
CN205189212U (zh) 一种带灯体的吊顶用装饰面板
CN207905187U (zh) 一种带有像素灯的幕墙
KR200396164Y1 (ko) 가로등주를 활용한 경관조명 및 광고물 고정 구조
CN216586170U (zh) 人行桥装饰防护栏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