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855B1 -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855B1
KR100712855B1 KR1020050063804A KR20050063804A KR100712855B1 KR 100712855 B1 KR100712855 B1 KR 100712855B1 KR 1020050063804 A KR1020050063804 A KR 1020050063804A KR 20050063804 A KR20050063804 A KR 20050063804A KR 100712855 B1 KR100712855 B1 KR 10071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eneration system
error
error detection
waste hea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869A (ko
Inventor
최원재
최창민
최영섭
이재원
장세동
정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8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에러 검지시 에러 검지 횟수를 적산하고,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미만이면 자동으로 에러 해제하며,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이상이면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을 위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운전 불가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로 인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 횟수가 최소화되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열병합 발전 시스템, 엔진, 발전기, 발전 전력, 상용 전력, 전력 절환장치,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Description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generation air condi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시스템이 발전 전력 출력이고,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 모드일 때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시스템이 발전 전력 출력이고,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가 실외 고온 난방 운전 모드일 때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시스템이 발전 전력 출력이고,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가 실외 저온 난방 운전 모드일 때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시스템이 상용 전력 출력이고,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 모드일 때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시스템의 상용 전력 출력이고,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 모드일 때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에 따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발전기 51 : 전력절환장치
52 : 구동원 55 : 엔진 냉각장치
60 : 폐열 회수장치 70 : 압축기
73 : 사방밸브 74 : 실내 열교환기
75 : 실외 열교환기 76 : 실내 팽창밸브
77 : 실외 팽창밸브 80 : 폐열 공급 열교환기
85 : 폐열 방열장치 94 : 삼방변
100 : 난방용 댐퍼 104 : 냉방용 댐퍼
250 :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제어부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러 검지 적산 횟수에 따라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제어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 발전시스템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Cogeneration system) 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하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가스 엔진 또는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을 하면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열 또는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하여 종합열효율을 70~80%까지 높이는 것이 가능하여, 최근에는 건축물의 전력, 열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회수 폐열을 냉난방, 급탕 등에 많이 활용하고 있는 고효율 에너지 이용방식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2)와, 상기 발전기(2)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열이 발생되는 가스 엔진 등의 구동원(10, 이하 ‘가스 엔진’이라 칭함)과, 상기 가스 엔진(10)에서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장치(20)와, 상기 폐열 회수 장치(20)의 폐열을 급탕 등에 이용하거나 외부로 방열되게 하는 열수요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2)에서 생산된 발전 전력은 가정의 각종 조명기구나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4) 등의 전력 소비기기로 공급된다.
상기 발전기(2)와 가스 엔진(10)은 상기 열수요처(30)와 별도로 이루어진 섀시(미도시)의 엔진룸(E) 내에 설치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4)는 실내기(3)와 실외기(5)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열 회수장치(20)는 상기 가스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22)와, 상기 가스 엔진(10)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 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24)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2)는 상기 열수요처(30)와 제 1 열 공급라인(23)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스 엔진(10)의 배기가스로부터 빼앗은 폐열은 상기 제 1 열 공급라인(23)을 통해 열수요처(30)로 전달된다.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24)는 상기 열수요처(30)와 제 2 열 공급라인(25)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스 엔진(10)을 냉각시킨 냉각수로부터 빼앗은 열은 상기 제 2 열 공급라인(25)을 통해 열수요처(30)에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에러 검지시 검지된 에러가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는데, 에러 검지시마다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정지도고,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자가 직접 검지된 에러를 해결하고 수동으로 에러를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잦은 에러 검지로 인해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가스 엔진(10)의 폐열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4)에서 이용되지 못하고 급탕 등에서만 사용되므로, 그 효율이 극대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러 검지시마다 에러 검지 횟수를 적산하여,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미 만이면 자동으로 에러를 해제하고,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이상이면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을 위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운전 불가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로 인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 횟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 및 편의성을 도모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원의 폐열이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모드시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성능을 높이는데 활용되어 그 효율이 극대화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전력 소비기기와; 상기 전력 소비기기에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발전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장치와; 열방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 적산 횟수에 따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가능여부를 판단, 제어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소비기기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이 설치된 발전실의 환기를 위한 환기 송풍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의 폐열 모두가 회수되게 하는 난방 용 댐퍼와, 상기 구동원의 폐열 중 일부만 회수되게 하는 냉방용 댐퍼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장치에 회수된 폐열이 상기 전력 소비기기에 전달되는 폐열 공급 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열 공급 장치는 상기 전력 소비기기와 난방 운전용 밸브를 통해 연결/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장치에 회수된 폐열이 방열되는 폐열 방열 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검지된 에러 유형을 디스플레이하는 에러 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 횟수를 적산하는 에러 검지 적산단계와;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에 따라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 운전 가능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에러 검지 횟수 적산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새로운 에러 검지시, 에러 검지 적산 횟수 1회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에러 검지 횟수 적산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후,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되는 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 정지 후, 소정 시간 경과되면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의 운전 정지가 해제되는 과정과; 에러 해제 후, 상기 구동원이 재 운전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시, 검지된 에러 유형을 디스플레이하는 에러 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시간 이내에 변화 없으면, '0'으로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에러 검지 횟수 적산 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후,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되는 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 정지 후, 소정 시간 경과되면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의 운전 정지가 해제되는 과정과; 에러 해제 후, 상기 구동원이 재 운전되는 과정과; 상기 구동원 재 운전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에러 미 발생시, 상기 에러 검지 횟수가 '0'으로 리셋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러 디스플레이단계는, 2개 이상의 에러 동시 검지시 에러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에러 코드가 더 높은 에러 유형이 우선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시스템은, 전력 소비기기와, 상기 전력 소비기기 에 발전 전력 및 폐열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닛(210)과 서브 유닛(220)으로 이루어진 열병합 발전부(230)와, 상기 열병합 발전부(230)와 전력 소비기기로 이루어진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제어부(250)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전력 소비기기로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냉장고, 전자레인지, 컴퓨터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하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열병합 발전부(23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열병합 발전부(230)는 상기 전력 소비기기에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50)와, 상기 발전기(50)를 구동시키는 구동원(52)과, 상기 구동원(52)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50)는 교류 발전기와 직류 발전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구동원(60)의 출력축에 회전자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시 전력을 생산한다.
상기 발전기(50)는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과 상용 전력(5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로 출력되도록 전력을 절환하는 전력절환장치(51)를 통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절환장치(51)는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 출력을 단속하는 발전 전력 개폐기(GCB)(51a)와, 상용 전력(50') 출력을 단속하는 상용 전력 개폐기(MCB)(51b)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52)은 연료 전지 또는, 가스, 석유 등 연료를 이용하여 운전되 는 엔진, 터빈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엔진으로 한정하여 설명함과 아울러 도면 부호 '52'는 엔진(52)을 지시한다.
상기 엔진(52)에는 내부에 구비된 연소실로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통로(53)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통로(5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엔진(52)에는 상기 엔진(52) 과열시 고장나기 쉽고 수명이 단축되며 엔진 출력이 저하되고, 상기 엔진(52) 과냉시 엔진 효율이 저하되는 등 상기 엔진(52)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바, 상기 엔진(52)이 적정 온도 범위 내에서 운전되게 하는 엔진 냉각장치(55)가 구비된다.
상기 엔진 냉각장치(55)는 냉각수가 상기 엔진(52)과 상기 폐열 회수장치(60) 중 후술할 냉각수 열교환기(61) 사이에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순환 유로(56)와, 상기 냉각수 순환 유로(56) 상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 펌프(57)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열 회수장치(60)는 상기 냉각수 순환 유로(56)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52) 냉각 후 고온이 된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61)와, 상기 엔진(52)의 배기통로(54)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52)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제 1,2배기가스 열교환기(62)(63)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폐열 회수장치(60)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엔진(52)의 배기가스 폐열을 선택적으로 회수토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62)는 상기 엔진(52)의 배기가스 폐열을 회수토록 상기 배기통로(54) 상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통로(54) 상에는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62) 입구 측에 상기 배기통로(54)를 개폐하는 난방용 댐퍼(10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배기통로(54)에는 상기 엔진(52)의 배기가스 폐열이 상기 제2배기가스 열교환기(63)를 바이패스하여 외부로 바로 방출되게 하는 폐열방출통로(102)가 연결된다.
상기 폐열방출통로(102)에는 상기 폐열방출통로(102)를 개폐하는 냉방용 댐퍼(10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냉/난방용 댐퍼(100)(104)는 각각 상기 전력절환장치(51)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개방 모드 또는 폐쇄 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폐열 회수장치(60)에 회수된 폐열은 열 수요처인 폐열 공급 장치(80)를 통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폐열 공급 장치(80)는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에 회수된 폐열과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게 하는 열교환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폐열 공급 장치(80)는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와 상기 엔진(52)의 폐열 회수를 위한 열매체를 안내하는 폐열회수통로(64)를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폐열회수통로(64)는 상기 폐열회수통로(64) 내 열매체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61), 제2배기가스 열교환기(63), 제1배기가스 열교환기(62) 그리고,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차례로 순환토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폐열회수통로(64)에는 상기 폐열회수통로(64) 내 열매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펌핑 작용을 행하는 열매체 순환펌프(6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에 회수된 폐열은 폐열 방열장치(85)를 통해 대기 중에 방열될 수 있다.
상기 폐열 방열장치(85)는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에 회수된 폐열이 대기중으로 방열되게 하는 방열 열교환기(86)와, 상기 폐열회수통로(64)와 연결되어 상기 폐열회수통로(64) 내 열매체를 상기 방열 열교환기(68)로 안내하는 폐열 방열유로(87)와, 상기 방열 열교환기(86)로 외부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폐열 방열 송풍기(88)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열 방열유로(87)와 폐열회수통로(64)가 상호 연결되는 2개의 합지점 중 점 중 어느 한 합지점에는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에 회수된 폐열 분배를 위한 폐열 분배기(94)가 설치된다.
상기 폐열 분배기(94)는 상기 폐열 회수 통로(64) 내 열매체의 흐름을 절환하는 삼방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번호 '94'가 지시하는 것은 삼방변인 것으로 한정한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부(230)의 메인 유닛(210)에는 상기 메인 유닛(210) 내부 환기를 위한 환기 송풍기(212)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전력 소비기기 중 하나인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는, 크게 실외기(Oa)와 실내기(Ia)로 나뉠 수 있으며, 하나의 실외기(Oa)와 하나의 실내기(Ia)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실외기(Oa)와 복수개의 실내기(Ia)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의 실외기(Oa)와 복수개의 실내기(Ia)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는 하나의 실외기(Oa)와 복수개의 실내기(Ia)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Oa)에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순환되게 하는 압축기(70)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 흐름을 절환하는 사방밸브(73)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상기 실외기(Oa)가 설치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75)와, 실외 팽창밸브(77)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7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압축기(70)가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2개의 압축기(70)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 측에 설치된 공용 어큐뮬레이터(78)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실내기(Ia)에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상기 실내기(Ia)가 설치된 실내기(Ia)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74)와, 실내 팽창밸브(76)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 순환유로(79) 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냉매 순환유로(79)에는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의 입구 측에,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로 유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난방 운전용 밸브인 제1개폐밸브(8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매 순환유로(79)에는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의 출구 측에,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1체크밸브(9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매 순환유로(79)에는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의 입구 측과 출구 측을 연결하는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5)가 구비된다.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5)에는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의 출구 측에서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의 입구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제2체크밸브(9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매 순환유로(79)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의 일측에,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75)로 유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제2개폐밸브(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매 순환유로(79)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의 타측에, 냉매가 실내기(Ia)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75)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3체크밸브(9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냉매 순환유로(79)에는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75)를 바 이패스하도록,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0)의 입구 측에는, 상기 실외 팽창밸브(77)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0)의 출구 측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0)를 개폐할 수 있는 제3개폐밸브(83)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의 타측과, 실외 열교환기 연결 유로(9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 연결 유로(96)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 연결 유로(96)를 개폐하는 제4개폐밸브(8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200)의 운전 모드는, 상기 실내기(Ia)가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냉방 운전모드와, 상기 실내기(Ia)가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는 난방 운전모드가 있다.
또한,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200)의 난방 운전 모드는, 상기 실외기(Oa)가 설치된 실외 온도에 따라,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해 상기 엔진(52)의 폐열을 이용하지 않는 실외 고온 난방 운전 모드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해 상기 엔진(52)의 폐열을 이용하는 실외 저온 난방 운전 모드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실외 저온 난방 운전 모드는 상기 엔진(52)의 운전시 상기 엔진(52)의 폐열 회수가 가능하므로,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가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만 구현 가능하다.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제어부(250)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Ia)의 운전 비율과, 실내/외 온도 등에 따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제어부(250)는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 횟수를 적산하여,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 적산 횟수에 따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계속 운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제어한다.
상기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요인은, 상기 냉각수 펌프(57)와, 열매체 순환 펌프(64)와, 방열 송풍기(88)와, 난방용 댐퍼(100)와, 냉방용 댐퍼(104)와, 난방 운전용 밸브인 제1개폐밸브(81)와, 환기 송풍기(212) 등의 동작 오류 및 상기 엔진(52)의 비상 정지, 그리고 후술할 센서들의 동작 오류 등이 있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센서로는, 상기 냉매 순환 유로(79) 상에 설치된 냉방 입구 센서(300)와, 난방 입구 센서(302)와, 방열 입구 센서(304)와, 방열 출구 센서(306)와, 회수 입구 센서(308)와, 회수 출구 센서(310)와, 엔진 출구 센서(312)와, 컨테이너 센서(314)와, 실외 센서(316) 등이 있다.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은,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25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시 상기 검지된 에러 유형 정보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에러 디스플레이(1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에러 디스플레이(140)는 발광 다이오드(LED)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52) 및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I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운전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200)의 운전 모드 및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3체크밸브(91~93)와, 삼방변(94)과, 제1~제4개폐밸브(81~84)와, 난방용 댐퍼(100)와, 냉방용 댐퍼(104), 그리고 전력 절환 장치(51)가 세팅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200)의 운전 모드에 따른 세팅단계가 끝나면,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과 상용 전력(5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출력된다.
이 때, 상기 전력 절환장치(51)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운전 모드 및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부하에 따라 제어되거나, 상기 히 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초기 운전을 위하여 기 설정된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 또는 상용 전력(50')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50')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52)이 운전됨과 아울러,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에 의해 상기 냉각수 펌프(57)와, 열매체 순환펌프(65)와, 폐열 방열 송풍기(88), 그리고 환기 송풍기(212)가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상용 전력(50')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전기(50) 및 엔진(52)과, 냉각수 펌프(57)와, 열매체 순환펌프(65)와, 폐열 방열 송풍기(88)와, 그리고 환기 송풍기(212)가 정지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발전기(50)의 발전 전력과 상용 전력(5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출력되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가 상기 전력 절환장치(51)를 통해 출력된 전력을 공급받아 운전된다.
상기와 같이 운전 중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Ia)가 모두 운전 요청을 하지 않으면, 즉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Ia)가 모두 정지되면, 상기 실외기(Oa)가 정지된 후, 운전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시 제어방법을 특히, 도 7,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도중(S2) 최초 에러가 검지되면(S4),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252)에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 '1'이 카운터되고(S6),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안정 운전을 위해 상기 엔진(52)이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된다. 이 때,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전부가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검지된 에러 유형이 상기 에러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S8).
이 때, 각각의 에러 유형은 에러 코드로 기 설정되어 있고, 상기 에러 디스플레이(260)는 둘 이상의 에러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에러 코드가 더 높은 에러 유형을 우선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엔진(52)이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되면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시간이 적산된다.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적산 시간(T1)이 기 설정된 에러 해제 시간(예를 들어, 2분)(Ts)을 경과하면(S10),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가 해제된다(S12).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해제 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엔진(52)의 재 운전을 위한 세팅 시간인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 경과 후 상기 엔진(52)이 재 운전되고 아울러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정상화된다(S14).
상기 엔진(52)이 재 운전되면, 상기 엔진(52)의 재 운전 시간이 적산된다.
상기 엔진(52)의 재 운전 적산 시간(T2)이 기 설정된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시간(Te)에 도달하기 전에 에러가 재 검지되면(S16),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525)에 상기 에러 검지 횟수 1이 추가되어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2'가 카운터된다(S18).
그리고,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252)에 카운터된 에러 검지 적산 횟수(C)가 기 설정된 운전 불가 판정 적산 횟수(예를 들어, 3회)(Co)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20). 즉, 시스템 운전 가능여부 판단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252)에 카운터된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기 설정된 운전 불가 판정 적산 횟수 미만이면, 상기 에러 검지로 인한 엔진(52) 정지(S8), 에러 검지로 인한 운전 정지 해제(S10)(S12), 상기 엔진(52)의 재 운전 과정(S14)이 반복된다. 아울러, 기 설정된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시간(Te) 내 에러 재 검지되면(S16),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과정(S18)과, 상기 시스템 운전 가능여부 판단단계(S20)가 반복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252)에 카운터된 에러 검지 적산 횟수(C)가 기 설정된 운전 불가 판정 적산 횟수(Co)가 되면, 상기 검지된 에러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킨 것으로 간주되고,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운전 불가 상태로 제어됨과 아울러 상기 에러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검지된 에러가 디스플레이된다(S30).
상기 기 설정된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시간(Te) 내 에러 재 검지 여부 판단과정(S16)에서, 상기 기 설정된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시간(Te) 내에 에러가 재 검지되지 않으면, 일시적인 에러로 간주되고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카운터(252) 에 카운터된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0'으로 리셋된다(S40).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운전 불가 상태로 제어된 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점검됨과 아울러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 제어부(250)가 재부팅되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불가 상태가 해제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운전 모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에 출력되는 전력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 모드이고, 발전 전력 출력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5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기(50)가 발전하게 되면, 상기 엔진(52)은 상기 엔진 냉각장치(55)에 의해 적정 온도로 운전된다. 즉,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56) 상의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펌프(57)에 의해 펌핑됨에 따라, 상기 엔진(52)의 열이 냉각수에 흡수되고, 상기 엔진(52)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61)에서 열을 방출한 후 다시 상기 엔진(52)으로 순환된다.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61)에 회수된 냉각수 폐열은, 상기 폐열회수통로(64) 상의 열매체가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5)에 펌핑됨에 따라,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61), 제2배기가스 열교환기(62), 제1배기가스 열교환기(63)를 차례로 거친 후, 상기 삼방변(94)을 통해 상기 폐열 방열장치(85)에 전달된다.
상기 폐열 방열장치(85)에 전달된 냉각수 폐열은 상기 폐열 방열장치(85)에 의해 전부 외부로 방열된다.
상기 엔진(52)의 배기가스 폐열은, 일부가 상기 폐열방출통로(102)를 통해 외부로 바로 방출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2배기가스 열교환기(63)를 통해 회수되어, 상기 냉각수 폐열과 함께 상기 폐열 방열장치(85)에서 방열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200)에서는, 상기 압축기(70)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73)를 실외 열교환기(75)로 전달되어 응축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에서 응축된 냉매가 실내 팽창밸브(76)를 거쳐 실내 열교환기(74)에 전달되어 증발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74)에서 증발된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73)를 통해 다시 상기 압축기(70)로 순환된다.
그러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74)에서 실내 공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됨으로써, 실내가 냉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운전 모드가 실외 고온 난방 운전 모드이고, 발전 전력 출력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52)은 상기 엔진 냉각장치(55)에 의해 적정 온도로 운전되고, 상기 엔진(5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기(50)가 발전 전력을 생산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52)의 냉각수 폐열과 배기가스 폐열 일부가, 상기 폐열 회수장치(60)에 회수된 후, 상기 폐열 방열장치(85)를 통해 방열되고, 상기 엔진(52)의 배기가스 폐열 일부가 상기 폐열방출통로(102)를 통해 바로 방출된다.
상기 압축기(70)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 밸브(73)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74)로 전달되어 응축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74)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실내 팽창밸브(76)와 실외 팽창밸브(77)를 차례로 거쳐 실외 열교환기(75)로 전달되어 증발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에서 증발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와 사방 밸브(73)를 차례로 통과한 후 다시 상기 압축기(70)로 순환된다.
이 때,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에 회수된 폐열이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75)에서 증발된 냉매는 상기 냉매 순환 유로(79)의 설계 특성 상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과는 하되,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에서 증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난방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74)에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기 때문에, 실내가 난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가 실외 저온 난방 운전 모드이고, 발전 전력 출력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상기 난방 운전용 밸브인 제1개폐밸브(81)는 상기 냉매 순환 유로(79) 내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과하도록 온 상태로 세팅된다.
상기 엔진(52)은 상기 엔진 냉각장치(55)에 의해 적정 온도로 운전되고, 상기 엔진(5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기(50)가 발전 전력을 생산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52)의 냉각수 폐열과 상기 엔진(52)의 배기가스 폐열이 상기 폐열회수장치(60)를 통해 차례로 회수된다. 상기 폐열회수장치(60)에 회수된 폐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로 전달되고,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로 전달되고 남은 잉여 폐열이 상기 폐열 방열장치(85)를 통해 방열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200)에서는, 상기 압축기(70)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사방 밸브(73)를 거쳐 상기 실내 열교환기(74)로 전달되어 응축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74)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실내 팽창밸브(76)와 실외 팽창밸브(77)를 차례로 거쳐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로 전달되어 증발되며,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에서 증발된 냉매가 상기 사방 밸브(73)를 통해 다시 상기 압축기(70)로 순환된다.
그러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의 냉매가상기 실내 열교환기(74)에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기 때문에, 실내가 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외 저온 난방 운전 모드시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75)가 아닌 상기 폐열공급 열교환기(80)가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외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난방 능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압축기(70)가 무리없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52)의 폐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70)의 운전 용량 감소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가 냉방 운전 모드이고, 상용 전력 출력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상기 발전기(50)와, 엔진(52)과 냉각수 펌프(57), 열매체 순환 펌프(65), 그리고 폐열 방열 송풍기(88)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난방 운전용 밸브인 제1개폐밸브(81)는 상기 냉매 순환 유로(79) 내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과하지 않도록 오프 상태로 세팅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압축기(70)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73)와, 실외 열교환기(75), 실내 팽창밸브(76), 실내 열교환기(74)와 사방밸브(73)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70)로 순환되면서, 상기 실내기(Ia)가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가 난방 운전 모드이고, 상용 전력 출력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상기 발전기(50)와, 엔진(52)과 냉각수 펌프(57), 열매체 순환 펌프(65), 그리고 폐열 방열 송풍기(88)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상기 난방 운전용 밸브인 제1개폐밸브(81)는 상기 냉매 순환 유로(79) 내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과하도록 온 상태로 세팅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압축기(70)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 밸브(73)와 실내 열교환기(74), 실내 팽창밸브(76), 실외 팽창밸브(77), 실외 열교환기(75), 폐열 공급 열교환기(80), 그리고 사방 밸브(73)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70)로 순환되면서, 상기 실내기(Ia)가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폐열 회수 장치(60)에 회수된 폐열이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냉매는 상기 냉매 순환 유로(79)의 설계 특성 상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를 통과는 하되,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80)에서 증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에러 검지시 에러 검지 횟수를 적산하고,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미만이면 자동으로 에러 해제하며,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이상이면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을 위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운전 불가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로 인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 횟수가 최소화되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러 검지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에러가 재 검지되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에러로 간주하고, 상기 에러 검지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에러가 재 검지되면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운전 불가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인 에러로 인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점검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러 검지시마다 에러 유형에 따라 검지된 에러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검지된 에러 유형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발전기를 발전하여 상기 발전기의 발전 전력을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모드시 상기 구동원의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에 공급하여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그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전력 소비기기와;
    상기 전력 소비기기에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발전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장치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의 운전을 정지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구동원의 재운전시킨 후 소정시간 내에 에러의 재검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가능여부를 판단,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기기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이 설치된 발전실의 환기를 위한 환기 송풍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의 폐열 모두가 회수되게 하는 난방 용 댐퍼와, 상기 구동원의 폐열 중 일부만 회수되게 하는 냉방용 댐퍼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장치에 회수된 폐열이 상기 전력 소비기기에 전달되는 폐열 공급 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 공급 장치는 상기 전력 소비기기와 난방 운전용 밸브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장치에 회수된 폐열이 방열되는 폐열 방열 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검지된 에러 유형을 디스플레이하는 에러 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 횟수를 적산하는 에러 검지 적산단계와;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에 따라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 운전 가능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에러 검지 횟수 적산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후,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되는 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 정지 후, 소정 시간 경과되면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의 운전 정지가 해제되는 과정과;
    에러 해제 후, 상기 구동원이 재 운전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에러 검지시, 검지된 에러 유형을 디스플레이하는 에러 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상기 에러 검지 적산 횟수가 소정 시간 이내에 변화 없으면, '0'으로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지 적산단계는, 에러 검지 횟수 적산 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 횟수 적산 후,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에러 검지에 의한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되는 과정과;
    상기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 정지 후, 소정 시간 경과되면 에러 검지에 의한 구동원의 운전 정지가 해제되는 과정과;
    에러 해제 후, 상기 구동원이 재 운전되는 과정과;
    상기 구동원 재 운전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에러 미 발생시, 상기 에러 검지 횟수가 '0'으로 리셋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디스플레이단계는, 2개 이상의 에러 동시 검지시 에러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에러 코드가 더 높은 에러 유형이 우선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63804A 2005-07-14 2005-07-14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804A KR100712855B1 (ko) 2005-07-14 2005-07-14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804A KR100712855B1 (ko) 2005-07-14 2005-07-14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869A KR20070009869A (ko) 2007-01-19
KR100712855B1 true KR100712855B1 (ko) 2007-05-02

Family

ID=3801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804A KR100712855B1 (ko) 2005-07-14 2005-07-14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7279A4 (en) * 2019-10-16 2022-10-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678A (ko) * 1999-11-29 2001-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통신운전방법
KR20030019226A (ko) * 2001-08-31 2003-03-0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 엔진 냉각수 가열 장치및 가스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방법
KR20040061773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효성 냉/난방 및 발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트리 제너레이션에너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678A (ko) * 1999-11-29 2001-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통신운전방법
KR20030019226A (ko) * 2001-08-31 2003-03-0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 엔진 냉각수 가열 장치및 가스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방법
KR20040061773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효성 냉/난방 및 발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트리 제너레이션에너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48678 *
1020030019226 *
102004006177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7279A4 (en) * 2019-10-16 2022-10-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869A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841B2 (en) Cogeneration system
US7240505B2 (en) Cogeneration system
KR20080009953A (ko) 코제너레이션 및 그 제어 방법
US7243504B2 (en) Cogeneration system
KR10068019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060242977A1 (en) Cogeneration system
KR100712855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55324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03574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300396A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08889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폐열 회수방법
KR10071285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9082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55323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20070050298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6892A (ko) 공기조화기
KR100634812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0444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3930A (ko) 히트펌프 시스템
KR100712858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790830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854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5378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653787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70009870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